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루푸스"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48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의료진 (19)
  • 김용철( 金龍哲 / Yong Chul Kim ) [신장내과]

    세부전공루프스신염,상염색체 우성 다낭성 신종,급성신부전,만성콩팥병,당뇨병성 신질환,혈뇨,단백뇨,투석,사구체신염, 루프스신염, 급성신손상, 만성콩팥병, 말기신부전, 투석,,사구체신염,신장이식,

    사구체신염, 루프스신염, 급성신손상, 만성콩팥병, 말기신부전, 투석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 내과
  • 박세훈( / SEHOON PARK ) [신장내과]

    세부전공루푸스 신염,신장이식,사구체신질환,사구체신염,급성 신부전,만성 신부전,신장이식, 사구체신염, 급성신손상, 만성콩팥병,

    신장이식, 사구체신염, 급성신손상, 만성콩팥병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 내과
  • 한승석( 韓承錫 / Seung Seok Han ) [신장내과]

    세부전공당뇨병성 신질환,사구체신염,신장이식,루프스신염,만성콩팥병,급성신부전,사구체신염, 루프스신염, 신장이식, 당뇨병성 신질환, 만성콩팥병, 투석, 급성신부전, 혈뇨 ,당뇨병 콩팥병, 혈액 투석, 면역성 평가,신장 면역,혈액 투석,

    사구체신염, 루프스신염, 신장이식, 당뇨병성 신질환, 만성콩팥병, 투석, 급성신부전, 혈뇨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 내과
  • 진선필( / SEON PIL JIN ) [소아피부과]

    세부전공류마티스 피부질환(루푸스, 피부경화증, 피부근염, 베체트병 등),경피증,손발톱질환,아토피 피부염,아토피피부염, 류마티스 피부질환 (루프스, 피부근육염, 피부경화증), 손발톱질환, 피부진균증, 비만세포종,아토피 피부염, 수포성 및 류마티스성 피부질환(루프스, 피부근육염, 경화증), 면역피부질환, 일반 피부질환,면역피부질환,소아피부일반질환,

    아토피피부염, 류마티스 피부질환 (루프스, 피부근육염, 피부경화증), 손발톱질환, 피부진균증, 비만세포종

    어린이병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 소아피부과
진료과/센터/클리닉 (4)
내과

류마티스 내과는 만성 근골격계 질환 및 자가면역질환을 진료하는 분과로,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강직성 척추염과 같은 관절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전신 경화증, 피부근염, 베체트병, 혈관염과 같은 전신 류마티스 질환 및 허리통증, 어깨통증, 인대염 등과 같은 기타질환의 내과적 치료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현재 교수외래와 임상강사외래가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개설되어 있습니다. 또한 활발한 국내외 임상연구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난치환자들의 경우는 최신 치료제에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질환별 환자 코호트 관리를 통해서 체계적인 진료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류마티스 교육실 (☎ 02-2072-3198) 에는 전문 간호사가 상주하면서 환자 교육과 상담을 담당하고 있고, 타과와의 원활한 협진을 조정하고 있다. 류마티스 검사실에서는 관절초음파검사, 관절주사, 관절액 현미경 검사, 손톱부위 모세혈관검사 등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1. 주요 치료질환 또는 연구분야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전신 경화증, 피부근염, 쇼그렌 증후군, 베체트병, 혈관염 및 각종 희귀면역질환 2. 진료 전 유의사항 - 첫 진료를 받는 환자는 1, 2차 의료기관에서 받은 최근 검사 결과지 및 영상사진을 가지고 오시면 진료에 도움이 됩니다. - 시간 경과에 따른 증상의 변화나 진단병력을 메모하여 갖고 오시면 보다 체계적인 접근에 도움이 됩니다. (예시) 2015년 1월 우측 무릎 통증 발생, 2016년 5월 허리통증 발생, 2016년 9월 강직성 척추염 진단 (OO병원), OO약 처방 받음 2017년 7월 우측눈 포도막염 진단, OO약 처방 받음, 증상이 호전됨. - 피부증상이 있는 경우 사진으로 찍어오시면 진료에 도움이 됩니다. 3. 진료안내 1) 진료 전 과정 ① 류마티스내과 외래를 처음 방문하시는 분들은 가장 먼저 본관 1층 현관 접수창구에서 진료의뢰서를 접수하고 선택 진료 확인과 진료카드를 발급 받습니다. ② 다른 병의원에서 방사선 사진 등이 담긴 CD를 가져오신 분들은 1층 현관입구 안내창구 앞에 위치한 비접촉영상등록기에서 CD를 사전에 접수합니다. ③ 본관의 현관 왼편 쪽의 내과계 외래 쪽으로 들어오십시오. 류마티스내과 외래 간호사실에서 진료실 확인과 진료절차에 관한 안내를 받으십시오. ④ 다른 병원에서 조직검사를 하신 분은 조직검사 슬라이드와 결과지를, 복용중인 약이 있는 분은 약 처방전을 가져 오셔서 진료 시에 보여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2) 진료 후 과정 외래진료가 끝난 후에는 담당 직원의 안내에 따라 설명간호사실로 오시면 설명간호사가 질병과 관련된 검사 및 수술에 대한 설명, 입원안내, 수술 전후 주의사항이나 귀가 후 주의사항에 대해 친절히 설명해 드립니다. 진료 후 전문적 상담이 필요한 경우에는, 류마티스 교육실을 방문하시면 질환이나 약물치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루어집니다. 이상의 진료절차를 모두 마친 후, 수납창구에서 검사예약과 수납을 하시고 처방약이 있는 분들께서는 수납 맞은편 처방전 출력장치에서 처방전을 받으신 다음, 외부 약국에서 약을 사시면 됩니다.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56% 2024.06.04
소아청소년과

1. 주요 질환명 소아면역류마티스 분과에서는 주로 면역조절 장애와 관련이 있는 질환의 환자들을 진료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자가면역질환 (류마티스 질환)/자가염증질환)이 이에 해당하며, 이 외에 원인 미상의 만성 통증과 관련하여 다학제 진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근골격계 통증 등의 이상과 발진, 발열, 자가항체양성 등의 다양한 이상이 지속되나 진단을 받지 못하는 환자들에 대해서도 진단적 접근을 하여 원인을 찾고 적절히 치료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1)자가면역질환(류마티스질환)/자가염증질환 류마티스 질환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자가면역질환/자가염증질환은 우리 면역체계가 과하게 반응하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자가항체 (우리 몸을 적으로 인식하고 우리 몸에 대하여 만든 항체)가 질병 유발과 연관성이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1) 자가면역질환 (류마티스질환) : 소아기 특발성 관절염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피부근염, 혈관염, 베체트병, 쇼그렌 증후군, 전신경화증, 경피증 등 2) 자가염증질환 : 주기 발열 증후군 (발열 등 다양한 류마티스 질환의 증상이 매우 어린 시기부터 반복되는 경우에 의심) 3) 만성 통증 증후군 소아면역질환은 대부분 (극)희귀질환에 속할 정도로 흔하지 않은 질환입니다.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소아면역류마티스분과는 국내 유일의 소아면역질환만을 진료하는 소아청소년 분과로, 30년 이상 소아면역질환 환자만을 돌보면서 축적한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한 진단과 최고의 맞춤 진료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희귀질환이지만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기에 질환과 환자에 특화되고 개별화된 치료를 제공하고자 다른 여러 분과와 긴밀한 협력 진료를 하고 있습니다. 소아면역류마티스 질환은 대부분 만성 질환으로 병을 잘 조절하고, 일상 생활을 지속하며, 개개인의 꿈을 이뤄나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류마티스분과는 다양하고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기술을 축적하고, 질환과 치료에 대하여 연구를 하며, 이를 환자 및 차세대 의료진을 교육하는 선도자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 예약 전 유의사항 면역결핍증은 소아감염분과로 예약하여 주십시오. 급성으로 발생한 관절 증상은 정형외과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진료 전 유의사항 - 첫 진료를 받는 환자는 1, 2차 의료기관에서 받은 의무기록지, 최근 검사 결과지 및 복용 중인 약 처방전을 가지고 오시면 진료에 도움이 됩니다. - 외부병원 영상자료는 어린이 병원 2층 원내 약국 옆 외부 영상 등록 창구에서 먼저 등록해 주십시오.

어린이병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31% 2023.03.22
내과

신장내과의 주요 진료부문은 부종, 혈뇨, 단백뇨, 산염기 전해질 이상, 사구체 질환, 간질성 신염, 급성 신손상, 만성 콩팥병, 당뇨병과 고혈압으로 인한 신장 질환, 신장으로 인한 고혈압 질환, 혈액 투석, 복막투석 및 신장 이식 등이다. 고혈압과 당뇨병, 비만 등의 증가로 인해 신장질환을 앓는 환자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투석과 신장이식 환자들도 급증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신장내과에서는 IgA 신장염, 미세변화신증후군, 막성 사구체신염, 국소분절성 사구체경화증 등 다양한 사구체 질환에 대한 진료뿐만 아니라 루프스신염, 요독성 용혈 증후군 및 다낭성 신증 등 희귀 난치성 질환에 대한 최고의 진료 역량을 갖추고 있다. 입원 환자와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투석 치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중환자실의 급성 신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최상의 지속적 신대체요법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30년 역사의 복막투석실은 지금까지 1300명 이상의 복막투석 환자를 진료해 왔으며, 세계 최고의 치료 성적을 자랑한다. 만성 콩팥병은 의학적 관리가 매우 중요한 병이며, 이를 위해 서울대병원 신장교육실에서는 월1회 정기적으로 만성신장병 환자 교육 시간을 통해 식이요법, 약물 요법, 복약지도, 투석과 이식에 대한 소개 등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신장내과 낮병동에서는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의 조영제 투여 전 신장 보호 조치와 수 시간이 소요되는 주사약물 치료를 당일 입퇴원 시스템으로 진행하여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노력을 하고 있다. 긴급처치클리닉에서는 투석 환자의 동정맥루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추고 혈관 접근로 관련 문제의 진단 및 치료를 One-stop 서비스로 시행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40년의 신장이식 역사를 자랑하며 3000 건 이상의 신장 이식 수술을 시행해 왔으며 높은 이식신 및 환자 생존율을 자랑하고 있다. 최첨단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다학제 협력을 통해 수혜자 및 기증자 모두에게 섬세한 이식 전후 관리를 제공하고 있다.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37% 2020.11.28
루푸스 클리닉

1. 대상질환 전신성 홍반성루푸스 (systemic lupus erythematosus),루프스신염 (lupus nephritis) 2. 소개 전신성 홍반성루푸스(루푸스)는 대표적인 류마티스질환(자가면역질환) 중 하나로 우리 몸을 공격하는 자가항체가 신체의 각 기관을 침범하면서 증상을 나타내는 만성 질환입니다.루푸스 환자에서 나비 모양의 얼굴 발진이 특징적이지만 이외에도 관절 및 콩팥의 이상을 포함한 다양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루푸스의 진단은 용이하지 않습니다.또한,루푸스는 치료 중에도 언제든지 질병의 활성도가 증가하여 심한 증상을 나타낼 수 있어서 치료 및 관리가 어렵습니다.따라서 루푸스의 진단 및 치료에 있어서 전문적인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가진 의료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본 클리닉은 소아기루푸스루푸스신염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다양하고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가진 의료진으로 구성되어 있어 국내의 어느 의료기관보다 환자에게 가장 적절하고 전문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환자들은 한번의 내원으로면역류마티스분과와 신장분과 진료를 동시에 받을 수 있으며,분과의적극적인 협진에 의한 최적의 치료와 생활 및 건강 관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어린이병원 > 진료예약 > 센터클리닉
정확도 : 94% 2018.01.25
건강정보 (8)
이용안내 (4)

류마티스 내과는 만성 근골격계 질환 및 자가면역질환을 진료하는 분과로,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강직성 척추염과 같은 관절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전신 경화증, 피부근염, 베체트병, 혈관염과 같은 전신 류마티스 질환 및 허리통증, 어깨통증, 인대염 등과 같은 기타질환의 내과적 치료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현재 교수외래와 임상강사외래가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개설되어 있습니다. 또한 활발한 국내외 임상연구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난치환자들의 경우는 최신 치료제에 접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질환별 환자 코호트 관리를 통해서 체계적인 진료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류마티스 교육실 (☎ 02-2072-3198) 에는 전문 간호사가 상주하면서 환자 교육과 상담을 담당하고 있고, 타과와의 원활한 협진을 조정하고 있다. 류마티스 검사실에서는 관절초음파검사, 관절주사, 관절액 현미경 검사, 손톱부위 모세혈관검사 등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1. 주요 치료질환 또는 연구분야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전신 경화증, 피부근염, 쇼그렌 증후군, 베체트병, 혈관염 및 각종 희귀면역질환 2. 진료 전 유의사항 - 첫 진료를 받는 환자는 1, 2차 의료기관에서 받은 최근 검사 결과지 및 영상사진을 가지고 오시면 진료에 도움이 됩니다. - 시간 경과에 따른 증상의 변화나 진단병력을 메모하여 갖고 오시면 보다 체계적인 접근에 도움이 됩니다. (예시) 2015년 1월 우측 무릎 통증 발생, 2016년 5월 허리통증 발생, 2016년 9월 강직성 척추염 진단 (OO병원), OO약 처방 받음 2017년 7월 우측눈 포도막염 진단, OO약 처방 받음, 증상이 호전됨. - 피부증상이 있는 경우 사진으로 찍어오시면 진료에 도움이 됩니다. 3. 진료안내 1) 진료 전 과정 ① 류마티스내과 외래를 처음 방문하시는 분들은 가장 먼저 본관 1층 현관 접수창구에서 진료의뢰서를 접수하고 선택 진료 확인과 진료카드를 발급 받습니다. ② 다른 병의원에서 방사선 사진 등이 담긴 CD를 가져오신 분들은 1층 현관입구 안내창구 앞에 위치한 비접촉영상등록기에서 CD를 사전에 접수합니다. ③ 본관의 현관 왼편 쪽의 내과계 외래 쪽으로 들어오십시오. 류마티스내과 외래 간호사실에서 진료실 확인과 진료절차에 관한 안내를 받으십시오. ④ 다른 병원에서 조직검사를 하신 분은 조직검사 슬라이드와 결과지를, 복용중인 약이 있는 분은 약 처방전을 가져 오셔서 진료 시에 보여 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2) 진료 후 과정 외래진료가 끝난 후에는 담당 직원의 안내에 따라 설명간호사실로 오시면 설명간호사가 질병과 관련된 검사 및 수술에 대한 설명, 입원안내, 수술 전후 주의사항이나 귀가 후 주의사항에 대해 친절히 설명해 드립니다. 진료 후 전문적 상담이 필요한 경우에는, 류마티스 교육실을 방문하시면 질환이나 약물치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이루어집니다. 이상의 진료절차를 모두 마친 후, 수납창구에서 검사예약과 수납을 하시고 처방약이 있는 분들께서는 수납 맞은편 처방전 출력장치에서 처방전을 받으신 다음, 외부 약국에서 약을 사시면 됩니다.

어린이병원 > 진료안내 > 진료지원부서
정확도 : 1% 2024.06.04

상급종합병원 심층진찰 시범사업 「심층 진찰」 을 예약하시면 보다 충분한 시간(10분~15분 전후) 동안 의료진과의 깊이 있는 상담 이 가능합니다. (보건복지부 시범사업) 대상환자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해당 진료과를 처음 방문하시는 분 (특히 중증·희귀난치질환 확진환자 및 의심환자) 예약절차 환자가 직접 예약하는 경우 - 진료협력센터 : 02-2072-0015 또는 - 예약센터 : 1588-5700 의료기관 통한 진료의뢰의 경우 - 전화 : 02-2072-0015 (진료협력센터) - 온라인 : 진료정보교류, 진료의뢰 회송중계시스템, 서울대학교병원 진료협력시스템 - FAX : 02-762-5172 진료협력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진료절차 01 진료 예약 상담 및 예약 확정 (위의 '예약 절차' 참고) 02 서울대병원 방문 및 접수 (진료의뢰서 / CD 등 1차 병원에서 발급받은 진료자료를 지참하여 수납창구 방문) 03 심층진찰 진행 진찰료 안내 환자 본인 부담액 약 3만원 (*단, 환자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심층진찰 개설 의료진 안내 진료과 의사명 심층진찰 대상 환자군 운영 시간대 내과(내분비대사) 곽수헌 가족성 당뇨병, 가족성 고지혈증, 유전성 비만 화 오후 내과(내분비대사) 김정희 뇌하수체 양성 신생물 유전성 뇌하수체 질환, 유전성 부신질환, 희귀 골대사 질환, 유전성 다발성 내분비질환 화 오후, 목 오후 내과(내분비대사) 박영주 진행성/난치성 갑상선암 수 오후 내과(내분비대사) 정혜승 제1형 당뇨병, 심뇌혈관 합병증이 동반된 인슐린 투여 환자 금 오전 내과(류마티스) 이은영 희귀질환, 자가면역질환, 진단이 불확실한 염증성 관절염, 염증성 척추질환, 원인불명열 등 월 오후, 화 오전, 금 오후 내과(소화기) 고성준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월 오전, 수 오전, 목 오후 내과(소화기) 백우현 췌암암, 담도암, 담낭암 금 오전 내과(소화기) 조은주 간경화, 간암(의심포함) 화 오후 내과(순환기) 나상훈 정맥혈전증 (폐색전증/ 심부정맥혈전증) 화 오후, 목 오후 내과(순환기) 이승표 유전성/가족성 심혈관질환 목 오전 내과(순환기) 이해영 심부전, 저항성 고혈압 월 오후, 목 오후 내과(신장) 박세훈 신이식 환자, 신이식 상담, 신이식 후 합병증 목 오전 내과(신장) 오국환 만성신장병, 혈뇨, 단백뇨, 사구체신염, 혈액투석, 복막투석, 기타 신장 질환 (신장이식은 제외) 목 오전 내과(알레르기) 강혜련 (중증)천식, 약물알레르기, 만성 두드러기, 중증 두드러기, 혈관부종 월 오후 내과(혈액종양) 김동완 폐암 화 오후 내과(혈액종양) 신동엽 급성백혈병으로 처음 진단된 환자 월 오후 외과(간담췌) 최영록 간이식, 간절제환자, 간 생체기증자 목 오전, 금 오전 외과(소아외과) 김현영 단장증후군, 만성가성장폐쇄 목 오후 산부인과 이승미 고위험임신, 태아기형 화 오후 가정의학과 박민선 간이식 기증자, 비만수술 화 오전, 목 오전 가정의학과 박상민 암경험자 수 오후, 금 오전 가정의학과 조비룡 암경험자, 암 수술 경험자, 복합만성질환자 월 오전, 수 오전 갑상선센터외과 이규언 진행성/난치성/유전성 갑상선암, 유전성 부신질환, 유전성 내분비질환 목 오후 비뇨의학과 정창욱 재발성, 난치성 비뇨암 (전립선암, 신장암, 고환암, 부신암 등) 환자 화 오전, 목 오전 성형외과 김병준 피부암 화 오후 성형외과 홍기용 이차성 림프부종 월 오전 소아청소년과 강희경 신증후군, 만성콩팥병, 유전성신질환, 신환 또는 타기관 진료기록 양이 많은 환자 수 오후 소아청소년과 고재성 소아 간, 췌장 화 오후, 목 오전 소아청소년과 고정민 미진단희귀질환, 유전질환, 유전성대사질환, 유전성증후군 월 오전, 화 오후, 목 오후 소아청소년과 김기범 소아 선천성 심장 기형 금 오전 소아청소년과 김성헌 소아 류마티스 질환 (소아기 특발성 관절염, 루프스, 혈관염 등) 월 오전 소아청소년과 김수연 미진단 희귀질환, 유전성 희귀질환, 유전성 신경발달질환 월 오전 소아청소년과 채종희 유전질환, 발달 지연, 발달 장애, 다발성 장기 이상, 신경학적 증상을 포함한 여러가지 증상이 있으나 진단을 받지 못한 경우 화 오후, 목 오전 소아청소년과(호흡알레르기) 서동인 폐색성세기관지염, 만성호흡부전, 천식 화 오후 소아청소년과(심장) 송미경 유전성 부정맥, 유성성 심근증, 유전성 혈관질환 화 오후 신경과 김성민 다발성경화증, 시신경척수염, 시신경염, 척수염 화 오전/오후, 목 오전 신경과 문장섭 희귀 신경계 질환, 성인 미진단 희귀질환 수 오전, 금 오후 신경외과 김민성 뇌종양 금 오전 신경외과 김치헌 척추암, 경계성종양 수 오전, 금 오전 신경외과 이창현 척추, 척수 종양 화 오전 이비인후과 박무균 고도난청, 어지럼증, 이명 월 오전/오후, 목 오후 이비인후과 서명환 어지럼증상 수 오전 재활의학과 오병모 뇌진탕 화 오전, 목 오후 재활의학과 김기원 신경근육질환 및 희귀난치질환 목 오후 정형외과 김민범 불유합, 부정유합, 골수염 수 오전 정형외과 이영호 초기 외상 및 골절, 미세수술 및 재수술 금 오전 정형외과 한일규 근골격종양 화 오전, 수 오전 정형외과(소아정형외과) 조태준 희귀 골격계질환, 골격계 유전성 질환 화 오전 환경의학클리닉 정은주 중금속/환경호르몬 수치가 높은 환자 수 오전 흉부외과 김경환 중증대동맥판막협착증, 대동맥질환, 희귀 심장질환 화 오전, 목 오후 흉부외과(소아흉부외과) 김웅한 선천성심장병 태아를 임신한 산모 수 오후, 목 오후

서울대학교병원 > 진료예약>외래진료안내>심층진료
정확도 : 0% 2024.03.07

1. 주요 질환명 소아면역류마티스 분과에서는 주로 면역조절 장애와 관련이 있는 질환의 환자들을 진료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자가면역질환 (류마티스 질환)/자가염증질환)이 이에 해당하며, 이 외에 원인 미상의 만성 통증과 관련하여 다학제 진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근골격계 통증 등의 이상과 발진, 발열, 자가항체양성 등의 다양한 이상이 지속되나 진단을 받지 못하는 환자들에 대해서도 진단적 접근을 하여 원인을 찾고 적절히 치료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1)자가면역질환(류마티스질환)/자가염증질환 류마티스 질환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자가면역질환/자가염증질환은 우리 면역체계가 과하게 반응하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자가항체 (우리 몸을 적으로 인식하고 우리 몸에 대하여 만든 항체)가 질병 유발과 연관성이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1) 자가면역질환 (류마티스질환) : 소아기 특발성 관절염 (소아기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피부근염, 혈관염, 베체트병, 쇼그렌 증후군, 전신경화증, 경피증 등 2) 자가염증질환 : 주기 발열 증후군 (발열 등 다양한 류마티스 질환의 증상이 매우 어린 시기부터 반복되는 경우에 의심) 3) 만성 통증 증후군 소아면역질환은 대부분 (극)희귀질환에 속할 정도로 흔하지 않은 질환입니다.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소아면역류마티스분과는 국내 유일의 소아면역질환만을 진료하는 소아청소년 분과로, 30년 이상 소아면역질환 환자만을 돌보면서 축적한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정확한 진단과 최고의 맞춤 진료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희귀질환이지만 다양한 증상을 보일 수 있기에 질환과 환자에 특화되고 개별화된 치료를 제공하고자 다른 여러 분과와 긴밀한 협력 진료를 하고 있습니다. 소아면역류마티스 질환은 대부분 만성 질환으로 병을 잘 조절하고, 일상 생활을 지속하며, 개개인의 꿈을 이뤄나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류마티스분과는 다양하고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기술을 축적하고, 질환과 치료에 대하여 연구를 하며, 이를 환자 및 차세대 의료진을 교육하는 선도자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 예약 전 유의사항 면역결핍증은 소아감염분과로 예약하여 주십시오. 급성으로 발생한 관절 증상은 정형외과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3. 진료 전 유의사항 - 첫 진료를 받는 환자는 1, 2차 의료기관에서 받은 의무기록지, 최근 검사 결과지 및 복용 중인 약 처방전을 가지고 오시면 진료에 도움이 됩니다. - 외부병원 영상자료는 어린이 병원 2층 원내 약국 옆 외부 영상 등록 창구에서 먼저 등록해 주십시오.

어린이병원 > 진료안내 > 진료지원부서
정확도 : 0% 2023.03.22

신장내과의 주요 진료부문은 부종, 혈뇨, 단백뇨, 산염기 전해질 이상, 사구체 질환, 간질성 신염, 급성 신손상, 만성 콩팥병, 당뇨병과 고혈압으로 인한 신장 질환, 신장으로 인한 고혈압 질환, 혈액 투석, 복막투석 및 신장 이식 등이다. 고혈압과 당뇨병, 비만 등의 증가로 인해 신장질환을 앓는 환자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투석과 신장이식 환자들도 급증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신장내과에서는 IgA 신장염, 미세변화신증후군, 막성 사구체신염, 국소분절성 사구체경화증 등 다양한 사구체 질환에 대한 진료뿐만 아니라 루프스신염, 요독성 용혈 증후군 및 다낭성 신증 등 희귀 난치성 질환에 대한 최고의 진료 역량을 갖추고 있다. 입원 환자와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투석 치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중환자실의 급성 신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최상의 지속적 신대체요법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30년 역사의 복막투석실은 지금까지 1300명 이상의 복막투석 환자를 진료해 왔으며, 세계 최고의 치료 성적을 자랑한다. 만성 콩팥병은 의학적 관리가 매우 중요한 병이며, 이를 위해 서울대병원 신장교육실에서는 월1회 정기적으로 만성신장병 환자 교육 시간을 통해 식이요법, 약물 요법, 복약지도, 투석과 이식에 대한 소개 등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신장내과 낮병동에서는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의 조영제 투여 전 신장 보호 조치와 수 시간이 소요되는 주사약물 치료를 당일 입퇴원 시스템으로 진행하여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노력을 하고 있다. 긴급처치클리닉에서는 투석 환자의 동정맥루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추고 혈관 접근로 관련 문제의 진단 및 치료를 One-stop 서비스로 시행하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40년의 신장이식 역사를 자랑하며 3000 건 이상의 신장 이식 수술을 시행해 왔으며 높은 이식신 및 환자 생존율을 자랑하고 있다. 최첨단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다학제 협력을 통해 수혜자 및 기증자 모두에게 섬세한 이식 전후 관리를 제공하고 있다.

어린이병원 > 진료안내 > 진료지원부서
정확도 : 0% 2020.11.28
고객참여 (2)

진료교수요원 채용 공고 “ 대한민국 의료를 세계로 ”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근무할 진료교수요원을 아래와 같이 초빙합니다. 1. 채용분야 및 인원 (총 9명) 부 서 세부분야 채용 인원(명) 필요자격 비 고 류마티스내과 류마티스관절염 , 통풍 , 루푸스 , 베제트병 , 혈관염 등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외상외과 외상 , 응급 1 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외부 재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소아심장 1 심장혈관흉부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입원의학센터 신경외과 3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 하는 자 1. 신경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2. 신경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3.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4. 가정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외과계 강남센터 내과 1 내분비대사내과분과전문의 소지자 SKSH 영상의학과 1 다 음 조건을 모두 충족 하는 자 1. 채용공고일 기준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 영상의학과 : 영상의학과전문의 소지자 - 중환자진료과 : 중환자의학과세부전문의 소지자 2. 전문의 자격 취득 후 최소 5 년 이상 경력 3. 파견 예정일 기준 유효한 국제 영어시험 성적표 - 점수 : TOEIC ー 700 이상 TOEFL-80 이상 IIELTS-6.5 이상 - 면제자 : 북미권 대학 졸업한 자 - 제출기한 : 채용 합격 시 파견 전까지 제출 - 유효기한 : 파견 예정일까지 유효한 점수 4. 파견 예정일 기준 U.A.E. 의사면허 소지자 (U.A.E. Ministry of Health and Prevention 발급 면허 ) - 제출기한 : 채용 합격 시 파견 전까지 제출 SKSH 파견 중환자진료과 1 합 계 9 ※ SKSH의 경우 채용 합격일 기준 1년 이내에 U.A.E. 의사면허 및 영어 성적을 취득하지 못할 경우 최종 합격 취소됨 ※ 소정의 채용 절차를 통과한 자에 한하여 U.A.E. 면허 취득 지원 예정 2. 제출서류 가. 공개채용응시원서(본원 소정양식) 1부. 나. 자기소개서 1부. 다. 교육, 연구 및 진료계획서 각 1부. 라. 졸업증명서(대학 및 대학원) 각 1부. 마. 의사면허증, 전문의자격증, 세부전문의자격증 사본 각 1부. 바. 경력증명서(응시원서에 기재된 모든 경력) 각 1부. 사. 병적기록이 있는 주민등록초본 또는 병적증명서(남성에 한함) 1부. 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1부. 자. 최종합격자 제출서류( 최종합격자 서류와 관련된 양식은 최종합격 후 제공 ) ① 주민등록등본 2부. ② 서약서, 각서, 범죄경력동의서, 개인정보동의서 각 1부. ③ 최근 3개월 이내 촬영한 반명함판(3cm x 4cm)사진 혹은 그림파일 1부. ④ 채용신체검사 결과서 1부. ⑤ 신원진술서 등 기타 서류(본원소장양식) 각 1부. ⑥ 급여계좌신청서 및 급여계좌 사본 각 1부. ⑦ 개인용 인증서 신청서 및 이용서약서 ⑧ 신분증 사본(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1부. ⑨ 기본증명서(최근 3개월 이내, 자신만 표기되도록 발급, 주민등록번호 및 전체내역 기재) 1부. ⑩ 의사면허신고확인증 1부. ⑪ 보훈증명서 및 장애증명서(해당자에 한함) 1부. ⑫ (SKSH 파견자 ) 파견일까지 유효한 공인어학성적표 (TOEIC, TOEFL , IELTS) 1부. ⑬ (SKSH 파견자 ) U.A.E 의사면허증 사본 1부. ※ 서류 제출 시 주의사항 - 경력증명서 제출 시 , 생년월일 · 사진 등 개인정보가 포함되는 항목은 펜 , 수정테이프 등으로 지운 후 제출 - 근무기관이 폐업 등의 사유로 경력증명서 발급이 어려운 경우 , 국민연금가입증명서 ( 또는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 등으로 제출 가능 3. 서류제출기간 및 제출장소 가 . 서류 제출 기간 : 2023. 05. 29.(월 ) 9:00 ∼ 2023. 06. 05.(월 ) 18:00 [주말, 공휴일 제외] 나 . 서류 접수 시간 : 09:00 ∼ 18:00 ( 점심시간 12:00 ∼ 13:00 제외 ) 다 . 서류 제출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인사팀 ( ☏ 02-2072-4928) [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71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 운영지원동 1 층 인사팀] ※ 제출서류 중 "가, 나, 다"는 인사팀에 제출과 별도로 마감일 이전에 한글 파일을 email( 02877@snuh.org )로 송부요망. 4. 합격자발표: 개별통보 5. 기타 가 . 계약기간은 진료과별 상이 . 나 . 기타 본 공고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본원 관련규정을 적용함 . 다 . 우편접수는 마감일 마감시간까지 도착분에 한함 . 라. 제출서류는 원본을 제출하여야 하며 부득이 사본을 제출할 경우에는 원본과 대조 후 도장을 날인하여 제출하고 외국어로 발급된 증명서는 번역문을 첨부 ( 영어제외 ) 하 여야 함 . 추후 필요한 경우 병원에서 대조할 수 있어야 함 . 마. 추천서 제출 가능.(자유양식) 바. 하나의 세부분야로만 지원이 가능하며, 중복 지원 시 접수를 무효로 함. 사. 적임자가 없을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음. 아. 졸업증명서 등의 서류는 학위 파악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며 , 학교명 등의 정보는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 자. 의사 면허 및 전문의 면허 등 자격증 서류는 지원 자격 파악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며,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차. 외부재원의 경우, 해당 사업 종료를 사유로 계약이 종료될 수 있음. 카. SKSH 관련 참고사항 ① SKSH 파견자의 경우 복무, 보수 등에 있어 현지 병원(SKSH)의 취업규칙 및 UAE 법령을 적용받으며, 사업 또는 파견 종료를 사유로 계약이 종료될 수 있음. ② SKSH 파견자는 영어로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을 것. ③ SKSH 최종합격자는 아랍에미리트 내에서 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이슬람 문화에 위배되는 사항이 있을 경우 지원할 수 없으며, 이슬람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상호협조 하여야 함. ④ 현지 병원(SKSH) 추가 요청에 의한 신체검사 결과에 따라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타. 최종합격 이후 신원조사 및 추가관련 조사에서 부적격으로 판단 시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파. 채 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일 간 반환청구할 수 있음. ※ 보관 기 간 이 경 과 한 증 빙 서 류 는 모 두 파 기 예 정 이 며 , 최 종 합 격 후 임 용 된 자 에 대 해 서 는 서 류 를 반 환 하지 않음. 2023. 05. 29. 서울대학교병원장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0% 2023.08.18

진료교수요원 채용 공고 “ 대한민국 의료를 세계로 ”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근무할 진료교수를 아래와 같이 초빙합니다. 1. 채용분야 및 인원 (총 42명) 채용 분야 및 인원 부 서 세부분야 인원 필요자격 비 고 순환기내과 부정맥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내분비대사내과 갑상선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신장내과 사구체신염 , 신장이식 , 루푸스신염 , 만성콩팥병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감염내과 신종감염증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대장항문외과 대장항문 1 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유방내분비외과 유방 1 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신경외과 척추 1 신경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산부인과 부인종양학 1 산부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피부과 피부외과 , 피부암 , 항노화 , 모발 및 조갑질환 1 피부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 1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 하는 자 1. 박사학위 소지자 2.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소지자 신경과 이상운동질환 1 신경과 전문의 소지자 마취통증의학과 부위마취 1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뇌신경마취 1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안이비인후과마취 1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외과수술 및 간이식 마취 1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산과마취 1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통증의학 2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가정의학과 가정의학 1 가정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관악보건소 파견 권역응급의료센터 외과 1 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응급의학과 중환자이송 5 응급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SMICU 사업 응급의료체계 1 응급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영상 의학과 흉부 1 영상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소아 및 흉부 1 영상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유방 1 영상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복부 1 영상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심혈관 1 영상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진단검사의학과 세포유전 , 분자미생물 1 진단검사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병리과 외과병리 , 분자병리 1 병리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중환자의학과 마취통증의학 1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약물안전센터 약물이상반응관리 1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공공진료센터 예방의학 1 예방의학과 또는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임상유전체의학과 정밀의료 1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 하는 자 1. 생물정보학 관련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2.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바이오빅데이터 1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 하는 자 1. 박사학위 소지자 2.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외부재원 소아청소년과 신생아 1 소아청소년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의학교육실 의학교육 1 전문의 가젹증 소지자 강남센터 영상의학 1 영상의학과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SKSH 방사선종양학과 1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 하는 자 1. 채용공고일 기준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2. 전문의 자격 취득 후 최소 5 년 이상 경력 3. 파견 예정일 기준 유효한 국제 영어시험 성적표 - 점수 : TOEIC ー 700 이상 TOEFL-80 이상 IELTS-6.5 이상 - 면제자 : 북미권 대학 졸업한 자 - 제출기한 : 채용 합격 시 파견 전까지 제출 - 유효기한 : 파견 예정일까지 유효한 점수 4. 파견 예정일 기준 U.A.E. 의사면허 소지자 (U.A.E. Ministry of Health and Prevention 발급 면허 ) - 제출기한 : 채용 합격 시 파견 전까지 제출 합 계 42 ※ SMICU 사업 : 서울시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체계 구축사업 ( 외부재원 ) ※ SKSH 의 경우 채용 합격일 기준 1 년 이내에 U.A.E. 의사면허 및 영어 성적을 취득하지 못할 경우 최종 합격 취소됨 . ※ 소정의 채용 절차를 통과한 자에 한하여 U.A.E. 면허 취득 지원 예정 2. 제출서류 가. 공개채용응시원서(본원 소정양식) 1부. 나. 자기소개서 1부. 다. 교육, 연구 및 진료계획서 각 1부. 라. 졸업증명서(대학 및 대학원) 각 1부. 마. 의사면허증, 전문의자격증, 세부전문의자격증 사본 각 1부. 바. 경력증명서(응시원서에 기재된 모든 경력) 각 1부. 사. 병적기록이 있는 주민등록초본 또는 병적증명서(남성에 한함) 1부. 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1부. 자. 최종합격자 제출서류( 최종합격자 서류와 관련된 양식은 최종합격 후 제공 ) ① 주민등록등본 2부. ② 서약서, 각서, 범죄경력동의서, 개인정보동의서 각 1부. ③ 최근 3개월 이내 촬영한 반명함판(3cm x 4cm)사진 혹은 그림파일 1부. ④ 채용신체검사 결과서 1부. ⑤ 신원진술서(본원소장양식) 2부. ⑥ 급여계좌신청서 및 급여계좌 사본 각 1부. ⑦ 신분증 사본(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1부. ⑧ 기본증명서(최근 3개월 이내, 자신만 표기되도록 발급, 주민등록번호 및 전체내역 기재) 1부. ⑨ 의사면허신고확인증 1부. ⑩ 보훈증명서 및 장애증명서(해당자에 한함) 1부. ⑪ 백신접종확인서 1부. ⑫ (SKSH 파견자 ) 파견일까지 유효한 공인어학성적표 (TOEIC, TOEFL , IELTS) 1부. ⑬ (SKSH 파견자 ) U.A.E 의사면허증 사본 1부. ※ 서류 제출 시 주의사항 - 경력증명서 제출 시 , 생년월일 · 사진 등 개인정보가 포함되는 항목은 펜 , 수정테이프 등으로 지운 후 제출 - 근무기관이 폐업 등의 사유로 경력증명서 발급이 어려운 경우 , 국민연금가입증명서 ( 또는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 등으로 제출 가능 3. 서류제출기간 및 제출장소 가 . 서류 제출 기간 : 2023. 01. 04.(수 ) ∼ 2023. 01. 12.(목 ) [주말, 공휴일 제외] 나 . 서류 접수 시간 : 09:00 ∼ 18:00 ( 점심시간 12:00 ∼ 13:00 제외 ) 다 . 서류 제출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인사팀 ( ☏ 02-2072-4928) [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71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 운영지원동 1 층 인사팀] ※ 제출서류 중 "가, 나, 다"는 인사팀에 제출과 별도로 마감일 이전에 한글 파일을 email( 02877@snuh.org )로 송부요망. 4. 합격자발표: 개별통보 5. 기타 가 . 계약기간은 진료과별 상이 . 나 . 기타 본 공고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본원 관련규정을 적용함 . 다 . 우편접수는 마감일 마감시간까지 도착분에 한함 . 라. 제출서류는 원본을 제출하여야 하며 부득이 사본을 제출할 경우에는 원본과 대조 후 도장을 날인하여 제출하고 외국어로 발급된 증명서는 번역문을 첨부 ( 영어제외 ) 하 여야 함 . 추후 필요한 경우 병원에서 대조할 수 있어야 함 . 마. 추천서 제출 가능.(자유양식) 바. 하나의 세부분야로만 지원이 가능하며, 중복 지원 시 접수를 무효로 함. 사. 적임자가 없을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음. 아. 졸업증명서 등의 서류는 학위 파악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며 , 학교명 등의 정보는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 자. 의사 면허 및 전문의 면허 등 자격증 서류는 지원 자격 파악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며,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차. 외부재원의 경우, 해당 사업 종료를 사유로 계약이 종료될 수 있음. 카. 파견 근무자의 경우 복무, 보수 등에 있어 현지 기관의 취업규칙을 적용 받으며, 사업 또는 파견 종료를 사유로 계약이 종료될 수 있음. 타. SKSH 관련 참고사항 ① SKSH 파견자의 경우 복무 , 보수 등에 있어 현지 병원 (SKSH) 의 취업규칙 및 UAE 법령 을 적용받으며 , 사업 또는 파견 종료를 사유로 계약이 종료될 수 있음 . ② SKSH 파견자는 영어로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을 것 . ③ SKSH 최종합격자는 아랍에미리트 내에서 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이슬람 문화에 위배되는 사항이 있을 경우 지원할 수 없으며 , 이슬람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 하며 상호협조 하여야 함 . ④ 현지 병원 (SKSH) 추가 요청에 의한 신체검사 결과에 따라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파. 최종합격 이후 신원조사 및 추가관련 조사에서 부적격으로 판단 시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하. 채 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일 간 반환청구할 수 있음. ※ 보관 기 간 이 경 과 한 증 빙 서 류 는 모 두 파 기 예 정 이 며 , 최 종 합 격 후 임 용 된 자 에 대 해 서 는 서 류 를 반 환 하지 않음. 2023. 1. 4. 서울대학교병원장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0% 2023.01.12
병원소개 (5)

서울대병원 연구팀, 감염률 20%, 중증 위험 25% 증가 항류마티스제, 저용량 스테로이드제는 영향 안 줘 류마티스는 코로나19 감염과 중증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연동건 연구팀(세종대 이승원, 연세의대 신재일, 강남차병원 신윤호)은 류마티스 질환이 코로나19의 감염과 중증 위험도를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13일 세계 최초로 발표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했으며 연구대상은 2020년 1~5월, 국내에서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20세 이상 성인 13만 3,609명이다. 연구팀은 류마티스 질환이 있는 군 8,297명과 질환이 없는 군 12만 5,312명으로 나눠 코로나19의 감염률과 중증 악화 위험도를 비교 분석했다. 류마티스 질환은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관절염, 척추관절염, 전신 홍반 루푸스, 쇼그렌 증후군, 전신경화증, 류마티스 다발근육통, 피부근육염, 결정성 다발동맥염, 혈관염 등을 의미한다. 연구결과, 류마티스 질환이 있으면 코로나19 감염률이 20% 증가했다. 감염시 중증 악화 위험도는 25% 이상 늘어났다. 항류마티스제(DMARD) 혹은 스테로이드제를 복용하는 환자는 코로나19와 관련해 나쁜 영향은 없었다. 다만, 하루 10mg 이상의 고용량 스테로이드제를 복용하는 환자는 코로나19 감염률이 50% 증가하고, 감염되면 중증 악화 위험도는 70% 이상 높아졌다.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류마티스 질환에 관여하는 T세포가 서로 영향을 미치고, 감염되면 새로운 항원에 반응하는 능력이 떨어져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전했다. 세종대 이승원 교수(데이터사이언스학과)는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이번 연구는 코로나19의 위험에 노출된 류마티스 환자들을 위한 보건의료 지침과 정책 개발의 객관적 근거 데이터로서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한, 서울대병원 연동건 전문의(소아청소년과)는 류마티스 질환과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연관성을 규명한 첫 연구라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이어 류마티스 환자는 코로나19의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예방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번에 발표한 연구는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학술지 란셋 류마티스학(The Lancet Rheumatology) 온라인 최근호에 게재됐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0% 2021.08.13

- 서울대병원 권오상 연구팀, 원형탈모증과 임신 결과와의 연관성 확인- 원형탈모 앓은 임산부, 자궁외임신 및 자연유산 등 더 빈번하게 나타나 원형탈모를 앓은 임산부의 경우 유산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원형탈모 환자의 경우 임신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피부과 권오상 연구팀(제1저자 조수익 진료교수)은 산부인과 이승미 교수, 김세익 연구교수와 원형탈모증이 임신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대규모 데이터를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원형탈모는 면역세포가 모낭을 외부 침입자로 인식하고 공격해 모발이 빠지게 만드는 자가면역질환이다. 이 질환은 아토피피부염, 백반증, 건선 등 피부질환이나 갑상선 질환, 당뇨 등 전신질환과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지만 임신 결과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2016~2017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원형 탈모증 임산부 4552명과 원형 탈모증이 없는 임산부(대조군) 50만8345명을 비교 분석했다. 분석한 결과, 일반 임산부와 비교해 원형탈모를 앓은 임산부에게 임신 1,000건당 유산되는 경우가 약 30건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조군보다 자궁외임신율과 자연 유산율 모두 유의미하게 높았다. 다만 임신 자체와 관련된 난임과의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임신 중 산모의 건강상에 문제는 없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원형탈모가 임산부의 출산에 있어 유의미한 위험스러운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원형탈모가 임신결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크게 세 가지로 설명했다. ▲모낭과 임신한 자궁은 면역거부반응으로부터 자유로운 면역특권을 가지고 있는데 면역체계의 변화로 회피 능력 소실 ▲임신유지와 모낭형성에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케모카인과 T 면역세포의 영향 ▲다른 자가면역질환과의 연관성 등이다. 이 밖에도 임신 결과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으로 전신 루푸스, 항인지질항체증후군,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 등이 있다. 이러한 질환에서 유산이나 조산 등의 위험이 높아진다고 보고됐다. 또한 다른 자가면역성 피부질환인 백반증 환자에서도 자연유산의 위험이 커진다고 보고된 바 있다. 권오상 교수는 이번 연구는 원형탈모가 단순히 피부의 문제뿐 아니라 임신 결과와 연관이 있음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향후 여성 원형탈모 환자는 임신 시 주의사항을 더욱 준수하고, 산부인과 의사와 지속적인 진료와 상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피부과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피부연구학회지(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최신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0% 2021.01.18

신간 - 루푸스(Lupus)환자들이 자주 질문하고 궁금해 하는 루푸스에 대한 내용을 다양한 사진들과 함께 알기 쉽게 소개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송영욱 교수와 피부과학교실 정진호 교수가 루프스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설명서 '루푸스(Lupus)'를 출간했다. 루푸스는 주로 가임기 여성을 포함한 젊은 나이에 발병하는 만성 자가면역질환으로 외부로부터 인체를 방어하는 면역계가 이상을 일으켜 자신의 인체를 공격하게 되어 피부, 관절, 신장, 폐, 신경 등 전신에 염증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질환이다. '천(千)의 얼굴'이라는 별명을 가진 이 병은 머리부터 발끝 까지 신체의 각종 장기의 기능 이상을 초래할 수 있는데 이를 진단받은 환자들은 병에 대한 무지로 인해 병이 한참 진행된 이후에나 진단 받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쳐 치료를 받더라고 회복이 더디게 되고 후유증을 앓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이 병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처음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 가운데 거의 대부분이 이 병에 대해 공포감을 갖고 있었다. 이런 공포감과 불안은 스스로 이 병이 불치병이라는 낙인을 찍거나, 적절한 치료 대신 증명되지 않는 방법에 의존하게 만든다. 이에 송영욱, 정진호 교수는 환자들이 궁금해 하는 루푸스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양한 사진과 함께 알기 쉽게 설명하는 책을 출간했다. 이 책은 루푸스란 어떤 병인가에서 부터 원인, 검사, 증상, 진단법, 치료, 가족력, 예후, 생활 지침, 관리법, 식이법 등에 대해 38개의 목록으로 세분화 하여 자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송영욱 교수는 “루푸스는 흔치 않은 질병으로 환자들에게 이 병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것이 사실이었다” 며 “그 동안 진료과정에서 환자들로부터 자주 접하는 질문들과 경험들을 모아 피부과 의사와 내과 의사가 공동으로 집필하였다” 고 말했다. 정진호 교수는 “이 책의 목적은 루푸스에 대한 잘못된 편견과 오해를 없애고 정확한 정보를 알기 쉽게 소개하는 것이다” 며 “이 책을 통해 환자들과 루푸스를 흔히 접해 보지 못한 의료인들이게 병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고 말했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4% 2011.12.07

서울대학교병원 “희귀질환센터” 개소식 및 심포지엄 개최- 희귀질환의 명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한 진료시스템 개발에 박차를 가할 예정 서울대학교병원(원장 정희원)은 5월 19일(목) 오후 1시 어린이병원 임상 제1강의실에서 '희귀질환센터' 개소식 및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날 행사에서는 보건복지위원회 전현희 국회의원, (사)한국희귀난치성질환연합회 신현민 회장, The University of Chicago Dr. Nancy J. Cox,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노정일 소아진료부원장 등 내외 귀빈이 참석한 가운데 현판 제막식과 함께 심포지엄을 개최할 예정이다. 심포지엄 제1부(좌장: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정해일 희귀질환센터장)에서는 “Insights from Rare Disorders: A Productive Pathway for Translation, and New Perspectives on Common Diseases”(Dr. Nancy J. Cox, The University of Chicago), 'Genome-wide map of common and rare variants in Asian popukation using massively parallel DNA and RNA sequencing Preliminary results from 1000 Asian Genome Project'(서정선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지체 희귀질환 아동의 감별진단'(이동환 교수, 순천향대학교병원)의 연제가 발표된다. 2부[좌장: 황용승 교수, 서울대학교병원]에서는 “희귀질환 연구:현재와 미래”(채종희 교수, 서울대학교병원), “희귀질환 유전체 지식베이스 소개”(김주한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희귀질환센터의 역할”(조태준 교수, 서울대학교병원)의 연제가 발표된다. 정해일 희귀질환센터장은 “희귀질환 환자들은 진단하고 치료하는 과정에서 오랜기간 동안 여러 전문의의 많은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른 환자들에 비해 소외받기 쉬운 환경에 처해 있다” 며 “센터 개소와 함께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의 수많은 희귀질환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나은 국내 희귀질환 환자진료시스템을 만드는데 노력하겠다” 고 전했다. 희귀질환은 개별 질환으로는 매우 드문 질환이지만 전체적으로는 척추성근위축증[SMA], 자가면역질환인 루푸스, 베체트병 등 세계적으로 6,000~7,000여 종의 질환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진단과 치료가 어려우며, 치료약도 거의 없다. 이에 2008년도부터 보건복지부가 지정하고 서울대학교병원이 주관연구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는 희귀질환 진단치료기술 연구사업단이 발족되어 전국 주요 의료기관과 협력하여 희귀질환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희귀질환센터는 이와 같은 연구 인프라를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진료시스템을 구축하여 희귀질환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와 그 가족들에게 완치의 꿈을 실현시키고자 개소하게 되었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0% 2011.05.20
홈페이지 (6)

소개 현황 개요 심층진료는 중증·희귀난치 질환자가 상급종합병원에서 적정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정부 시범사업으로, 해당 진료과를 처음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10~15분 가량 충분한 진료 상담을 시행합니다. 별도의 핫라인을 구축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예약해드리고 있습니다. 심층진료 대상 1단계 병의원에서 2단계 진료가 필요하다고 의뢰한, 의료진별 해당 진단 또는 의심 환자로 서울대학교병원 해당 진료과를 처음 방문하는 환자 기타: 기존 초진환자 부담금에 5,000원 정도의 추가비용이 청구됩니다. 심층진료 진행방법 01 진료의뢰 02 환자 방문 접수 03 진료 04 진료결과 조회 05 환자회송 개념도 예약 절차 환자가 직접 예약하는 경우 - 진료협력센터 : 02-2072-0015 또는 - 예약센터 : 1588-5700 의료기관 통한 진료의뢰의 경우 - 전화 : 02-2072-0015 (진료협력센터) - 온라인 : 진료정보교류, 진료의뢰 회송중계시스템, 서울대학교병원 진료협력시스템 - FAX : 02-762-5172 진료협력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진료절차 01 진료 예약 상담 및 예약 확정 (위의 '예약 절차' 참고) 02 서울대병원 방문 및 접수 (진료의뢰서 / CD 등 1차 병원에서 발급받은 진료자료를 지참하여 수납창구 방문) 03 심층진찰 진행 진찰료 안내 환자 본인 부담액 약 3만원 (*단, 환자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심층진찰 의료진 현황 [PDF] 심층진찰 수가 시범사업 바로보기 진료과 의사명 심층진찰 대상 환자군 운영 시간대 내과(내분비대사) 곽수헌 가족성 당뇨병, 가족성 고지혈증, 유전성 비만 화 오후 내과(내분비대사) 김정희 뇌하수체 양성 신생물 유전성 뇌하수체 질환, 유전성 부신질환, 희귀 골대사 질환, 유전성 다발성 내분비질환 화 오후, 목 오후 내과(내분비대사) 박영주 진행성/난치성 갑상선암 수 오후 내과(내분비대사) 정혜승 제1형 당뇨병, 심뇌혈관 합병증이 동반된 인슐린 투여 환자 금 오전 내과(류마티스) 이은영 희귀질환, 자가면역질환, 진단이 불확실한 염증성 관절염, 염증성 척추질환, 원인불명열 등 월 오후, 금 오전 내과(소화기) 고성준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화 오전, 수 오전, 목 오후 내과(소화기) 백우현 췌암암, 담도암, 담낭암 금 오전 내과(소화기) 조은주 간경화, 간암(의심포함) 화 오후 내과(순환기) 나상훈 정맥혈전증 (폐색전증/ 심부정맥혈전증) 화 오후, 목 오후 내과(순환기) 이승표 유전성/가족성 심혈관질환 목 오후 내과(순환기) 이해영 심부전, 저항성 고혈압 월 오후, 목 오후 내과(신장) 박세훈 신이식 환자, 신이식 상담, 신이식 후 합병증 목 오전 내과(신장) 오국환 만성신장병, 혈뇨, 단백뇨, 사구체신염, 혈액투석, 복막투석, 기타 신장 질환 (신장이식은 제외) 목 오전 내과(알레르기) 강혜련 (중증)천식, 약물알레르기, 만성 두드러기, 중증 두드러기, 혈관부종 월 오후 내과(혈액종양) 김동완 폐암 화 오후 내과(혈액종양) 신동엽 급성백혈병으로 처음 진단된 환자 월 오후 내과(호흡기) 임재준 결핵, 비결핵항산균(NTM) 목 오후 외과(간담췌) 최영록 간이식, 간절제환자, 간 생체기증자 목 오전, 금 오전 외과(소아외과) 김현영 단장증후군, 만성가성장폐쇄 목 오후 산부인과 박중신 고위험임신, 산전 진단 화 오후, 목 오후 산부인과 이승미 고위험임신, 태아기형 화 오후 가정의학과 박민선 간이식 기증자, 비만수술 화 오전, 목 오전 가정의학과 박상민 암경험자 수 오후, 금 오전 가정의학과 조비룡 암경험자, 암 수술 경험자, 복합만성질환자 월 오전, 수 오전 비뇨의학과 정창욱 재발성, 난치성 비뇨암 (전립선암, 신장암, 고환암, 부신암 등) 환자 화 오전, 화 오후, 목 오전 성형외과 김병준 피부암 화 오후 성형외과 홍기용 이차성 림프부종 금 오전 소아청소년과 강희경 신증후군, 만성콩팥병, 유전성신질환, 신환 또는 타기관 진료기록 양이 많은 환자 수 오후 소아청소년과 고재성 소아 간, 췌장 화 오후, 목 오전 소아청소년과 고정민 미진단희귀질환, 유전질환, 유전성대사질환, 유전성증후군 월 오전, 화 오후, 목 오후 소아청소년과 김기범 소아 선천성 심장 기형 금 오전 소아청소년과 김성헌 소아 류마티스 질환 (소아기 특발성 관절염, 루프스, 혈관염 등) 수 오전 소아청소년과 김수연 미진단 희귀질환, 유전성 희귀질환, 유전성 신경발달질환 월 오전 소아청소년과 채종희 유전질환, 발달 지연, 발달 장애, 다발성 장기 이상, 신경학적 증상을 포함한 여러가지 증상이 있으나 진단을 받지 못한 경우 화 오후, 목 오전 신경과 김성민 다발성경화증, 시신경척수염, 시신경염, 척수염 화 오전/오후, 목 오전 신경과 문장섭 희귀 신경계 질환, 성인 미진단 희귀질환 수 오전, 금 오후 신경외과 김민성 뇌종양 금 오전 신경외과 김치헌 척추암, 경계성종양 수 오전 신경외과 이창현 척추, 척수 종양 화 오전 신경외과 정천기 척추종양, 척추 희귀 난치질환 (혈관질환, 공동증, 신경섬유종증, 기타 희귀난치질환) 화 오전/오후 약물안전센터 안경민 (중증)약물이상반응, 약물알레르기, 약물 부작용, 아나필락시스, 조영제이상반응, 스티븐스존슨신드롬, 독성표피괴사융해, 드레스증후군 수 오후 이비인후과 박무균 고도난청, 어지럼증, 이명 월 오전/오후, 목 오후 이비인후과 서명환 어지럼증상 수 오후 재활의학과 오병모 뇌진탕 화 오전/오후 정형외과 김민범 불유합, 부정유합, 골수염 수 오전 정형외과 이영호 초기 외상 및 골절, 미세수술 및 재수술 금 오전 정형외과 한일규 근골격종양 화 오전, 수 오전, 목 오후 정형외과(소아정형외과) 조태준 희귀 골격계질환, 골격계 유전성 질환 월 오후 흉부외과 김경환 중증대동맥판막협착증, 대동맥질환, 희귀 심장질환 화 오전, 목 오후 흉부외과(소아흉부외과) 김웅한 선천성심장병 태아를 임신한 산모 목 오전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 > 공공부문 주요사업 > 상급종합병원 심층진찰 사업
정확도 : 0% 2023.11.17

상급종합병원 심층진찰 시범사업 「심층 진찰」 을 예약하시면 보다 충분한 시간(10분~15분 전후) 동안 의료진과의 깊이 있는 상담 이 가능합니다. (보건복지부 시범사업) 대상환자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해당 진료과를 처음 방문하시는 분 (특히 중증·희귀난치질환 확진환자 및 의심환자) 예약절차 환자가 직접 예약하는 경우 - 진료협력센터 : 02-2072-0015 또는 - 예약센터 : 1588-5700 의료기관 통한 진료의뢰의 경우 - 전화 : 02-2072-0015 (진료협력센터) - 온라인 : 진료정보교류, 진료의뢰 회송중계시스템, 서울대학교병원 진료협력시스템 - FAX : 02-762-5172 진료협력센터 홈페이지 바로가기 진료절차 01 진료 예약 상담 및 예약 확정 (위의 '예약 절차' 참고) 02 서울대병원 방문 및 접수 (진료의뢰서 / CD 등 1차 병원에서 발급받은 진료자료를 지참하여 수납창구 방문) 03 심층진찰 진행 진찰료 안내 환자 본인 부담액 약 3만원 (*단, 환자별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심층진찰 개설 의료진 안내 진료과 의사명 심층진찰 대상 환자군 운영 시간대 내과(내분비대사) 곽수헌 가족성 당뇨병, 가족성 고지혈증, 유전성 비만 화 오후 내과(내분비대사) 김정희 뇌하수체 양성 신생물 유전성 뇌하수체 질환, 유전성 부신질환, 희귀 골대사 질환, 유전성 다발성 내분비질환 화 오후, 목 오후 내과(내분비대사) 박영주 진행성/난치성 갑상선암 수 오후 내과(내분비대사) 정혜승 제1형 당뇨병, 심뇌혈관 합병증이 동반된 인슐린 투여 환자 금 오전 내과(류마티스) 이은영 희귀질환, 자가면역질환, 진단이 불확실한 염증성 관절염, 염증성 척추질환, 원인불명열 등 월 오후, 금 오전 내과(소화기) 고성준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화 오전, 수 오전, 목 오후 내과(소화기) 백우현 췌암암, 담도암, 담낭암 금 오전 내과(소화기) 조은주 간경화, 간암(의심포함) 화 오후 내과(순환기) 나상훈 정맥혈전증 (폐색전증/ 심부정맥혈전증) 화 오후, 목 오후 내과(순환기) 이승표 유전성/가족성 심혈관질환 목 오후 내과(순환기) 이해영 심부전, 저항성 고혈압 월 오후, 목 오후 내과(신장) 박세훈 신이식 환자, 신이식 상담, 신이식 후 합병증 목 오전 내과(신장) 오국환 만성신장병, 혈뇨, 단백뇨, 사구체신염, 혈액투석, 복막투석, 기타 신장 질환 (신장이식은 제외) 목 오전 내과(알레르기) 강혜련 (중증)천식, 약물알레르기, 만성 두드러기, 중증 두드러기, 혈관부종 월 오후 내과(혈액종양) 김동완 폐암 화 오후 내과(혈액종양) 신동엽 급성백혈병으로 처음 진단된 환자 월 오후 내과(호흡기) 임재준 결핵, 비결핵항산균(NTM) 목 오후 외과(간담췌) 최영록 간이식, 간절제환자, 간 생체기증자 목 오전, 금 오전 외과(소아외과) 김현영 단장증후군, 만성가성장폐쇄 목 오후 산부인과 박중신 고위험임신, 산전 진단 화 오후, 목 오후 산부인과 이승미 고위험임신, 태아기형 화 오후 가정의학과 박민선 간이식 기증자, 비만수술 화 오전, 목 오전 가정의학과 박상민 암경험자 수 오후, 금 오전 가정의학과 조비룡 암경험자, 암 수술 경험자, 복합만성질환자 월 오전, 수 오전 비뇨의학과 정창욱 재발성, 난치성 비뇨암 (전립선암, 신장암, 고환암, 부신암 등) 환자 화 오전, 화 오후, 목 오전 성형외과 김병준 피부암 화 오후 성형외과 홍기용 이차성 림프부종 금 오전 소아청소년과 강희경 신증후군, 만성콩팥병, 유전성신질환, 신환 또는 타기관 진료기록 양이 많은 환자 수 오후 소아청소년과 고재성 소아 간, 췌장 화 오후, 목 오전 소아청소년과 고정민 미진단희귀질환, 유전질환, 유전성대사질환, 유전성증후군 월 오전, 화 오후, 목 오후 소아청소년과 김기범 소아 선천성 심장 기형 금 오전 소아청소년과 김성헌 소아 류마티스 질환 (소아기 특발성 관절염, 루프스, 혈관염 등) 수 오전 소아청소년과 김수연 미진단 희귀질환, 유전성 희귀질환, 유전성 신경발달질환 월 오전 소아청소년과 채종희 유전질환, 발달 지연, 발달 장애, 다발성 장기 이상, 신경학적 증상을 포함한 여러가지 증상이 있으나 진단을 받지 못한 경우 화 오후, 목 오전 신경과 김성민 다발성경화증, 시신경척수염, 시신경염, 척수염 화 오전/오후, 목 오전 신경과 문장섭 희귀 신경계 질환, 성인 미진단 희귀질환 수 오전, 금 오후 신경외과 김민성 뇌종양 금 오전 신경외과 김치헌 척추암, 경계성종양 수 오전 신경외과 이창현 척추, 척수 종양 화 오전 신경외과 정천기 척추종양, 척추 희귀 난치질환 (혈관질환, 공동증, 신경섬유종증, 기타 희귀난치질환) 화 오전/오후 약물안전센터 안경민 (중증)약물이상반응, 약물알레르기, 약물 부작용, 아나필락시스, 조영제이상반응, 스티븐스존슨신드롬, 독성표피괴사융해, 드레스증후군 수 오후 이비인후과 박무균 고도난청, 어지럼증, 이명 월 오전/오후, 목 오후 이비인후과 서명환 어지럼증상 수 오후 재활의학과 오병모 뇌진탕 화 오전/오후 정형외과 김민범 불유합, 부정유합, 골수염 수 오전 정형외과 이영호 초기 외상 및 골절, 미세수술 및 재수술 금 오전 정형외과 한일규 근골격종양 화 오전, 수 오전, 목 오후 정형외과(소아정형외과) 조태준 희귀 골격계질환, 골격계 유전성 질환 월 오후 흉부외과 김경환 중증대동맥판막협착증, 대동맥질환, 희귀 심장질환 화 오전, 목 오후 흉부외과(소아흉부외과) 김웅한 선천성심장병 태아를 임신한 산모 목 오전

서울대학교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단 > 공공부문 주요사업 > 공공보건의료총괄팀 > 심층진찰 수가 시범사업
정확도 : 0% 2023.08.22

진료교수요원 채용 공고 “ 대한민국 의료를 세계로 ”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근무할 진료교수요원을 아래와 같이 초빙합니다. 1. 채용분야 및 인원 (총 9명) 부 서 세부분야 채용 인원(명) 필요자격 비 고 류마티스내과 류마티스관절염 , 통풍 , 루푸스 , 베제트병 , 혈관염 등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외상외과 외상 , 응급 1 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외부 재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소아심장 1 심장혈관흉부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입원의학센터 신경외과 3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 하는 자 1. 신경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2. 신경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3.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4. 가정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외과계 강남센터 내과 1 내분비대사내과분과전문의 소지자 SKSH 영상의학과 1 다 음 조건을 모두 충족 하는 자 1. 채용공고일 기준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 영상의학과 : 영상의학과전문의 소지자 - 중환자진료과 : 중환자의학과세부전문의 소지자 2. 전문의 자격 취득 후 최소 5 년 이상 경력 3. 파견 예정일 기준 유효한 국제 영어시험 성적표 - 점수 : TOEIC ー 700 이상 TOEFL-80 이상 IIELTS-6.5 이상 - 면제자 : 북미권 대학 졸업한 자 - 제출기한 : 채용 합격 시 파견 전까지 제출 - 유효기한 : 파견 예정일까지 유효한 점수 4. 파견 예정일 기준 U.A.E. 의사면허 소지자 (U.A.E. Ministry of Health and Prevention 발급 면허 ) - 제출기한 : 채용 합격 시 파견 전까지 제출 SKSH 파견 중환자진료과 1 합 계 9 ※ SKSH의 경우 채용 합격일 기준 1년 이내에 U.A.E. 의사면허 및 영어 성적을 취득하지 못할 경우 최종 합격 취소됨 ※ 소정의 채용 절차를 통과한 자에 한하여 U.A.E. 면허 취득 지원 예정 2. 제출서류 가. 공개채용응시원서(본원 소정양식) 1부. 나. 자기소개서 1부. 다. 교육, 연구 및 진료계획서 각 1부. 라. 졸업증명서(대학 및 대학원) 각 1부. 마. 의사면허증, 전문의자격증, 세부전문의자격증 사본 각 1부. 바. 경력증명서(응시원서에 기재된 모든 경력) 각 1부. 사. 병적기록이 있는 주민등록초본 또는 병적증명서(남성에 한함) 1부. 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1부. 자. 최종합격자 제출서류( 최종합격자 서류와 관련된 양식은 최종합격 후 제공 ) ① 주민등록등본 2부. ② 서약서, 각서, 범죄경력동의서, 개인정보동의서 각 1부. ③ 최근 3개월 이내 촬영한 반명함판(3cm x 4cm)사진 혹은 그림파일 1부. ④ 채용신체검사 결과서 1부. ⑤ 신원진술서 등 기타 서류(본원소장양식) 각 1부. ⑥ 급여계좌신청서 및 급여계좌 사본 각 1부. ⑦ 개인용 인증서 신청서 및 이용서약서 ⑧ 신분증 사본(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1부. ⑨ 기본증명서(최근 3개월 이내, 자신만 표기되도록 발급, 주민등록번호 및 전체내역 기재) 1부. ⑩ 의사면허신고확인증 1부. ⑪ 보훈증명서 및 장애증명서(해당자에 한함) 1부. ⑫ (SKSH 파견자 ) 파견일까지 유효한 공인어학성적표 (TOEIC, TOEFL , IELTS) 1부. ⑬ (SKSH 파견자 ) U.A.E 의사면허증 사본 1부. ※ 서류 제출 시 주의사항 - 경력증명서 제출 시 , 생년월일 · 사진 등 개인정보가 포함되는 항목은 펜 , 수정테이프 등으로 지운 후 제출 - 근무기관이 폐업 등의 사유로 경력증명서 발급이 어려운 경우 , 국민연금가입증명서 ( 또는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 등으로 제출 가능 3. 서류제출기간 및 제출장소 가 . 서류 제출 기간 : 2023. 05. 29.(월 ) 9:00 ∼ 2023. 06. 05.(월 ) 18:00 [주말, 공휴일 제외] 나 . 서류 접수 시간 : 09:00 ∼ 18:00 ( 점심시간 12:00 ∼ 13:00 제외 ) 다 . 서류 제출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인사팀 ( ☏ 02-2072-4928) [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71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 운영지원동 1 층 인사팀] ※ 제출서류 중 "가, 나, 다"는 인사팀에 제출과 별도로 마감일 이전에 한글 파일을 email( 02877@snuh.org )로 송부요망. 4. 합격자발표: 개별통보 5. 기타 가 . 계약기간은 진료과별 상이 . 나 . 기타 본 공고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본원 관련규정을 적용함 . 다 . 우편접수는 마감일 마감시간까지 도착분에 한함 . 라. 제출서류는 원본을 제출하여야 하며 부득이 사본을 제출할 경우에는 원본과 대조 후 도장을 날인하여 제출하고 외국어로 발급된 증명서는 번역문을 첨부 ( 영어제외 ) 하 여야 함 . 추후 필요한 경우 병원에서 대조할 수 있어야 함 . 마. 추천서 제출 가능.(자유양식) 바. 하나의 세부분야로만 지원이 가능하며, 중복 지원 시 접수를 무효로 함. 사. 적임자가 없을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음. 아. 졸업증명서 등의 서류는 학위 파악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며 , 학교명 등의 정보는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 자. 의사 면허 및 전문의 면허 등 자격증 서류는 지원 자격 파악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며,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차. 외부재원의 경우, 해당 사업 종료를 사유로 계약이 종료될 수 있음. 카. SKSH 관련 참고사항 ① SKSH 파견자의 경우 복무, 보수 등에 있어 현지 병원(SKSH)의 취업규칙 및 UAE 법령을 적용받으며, 사업 또는 파견 종료를 사유로 계약이 종료될 수 있음. ② SKSH 파견자는 영어로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을 것. ③ SKSH 최종합격자는 아랍에미리트 내에서 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이슬람 문화에 위배되는 사항이 있을 경우 지원할 수 없으며, 이슬람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상호협조 하여야 함. ④ 현지 병원(SKSH) 추가 요청에 의한 신체검사 결과에 따라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타. 최종합격 이후 신원조사 및 추가관련 조사에서 부적격으로 판단 시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파. 채 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일 간 반환청구할 수 있음. ※ 보관 기 간 이 경 과 한 증 빙 서 류 는 모 두 파 기 예 정 이 며 , 최 종 합 격 후 임 용 된 자 에 대 해 서 는 서 류 를 반 환 하지 않음. 2023. 05. 29. 서울대학교병원장

채용사이트 > 입사지원 > 채용공고/입사지원
정확도 : 0% 2023.08.18

진료교수요원 채용 공고 “ 대한민국 의료를 세계로 ”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근무할 진료교수를 아래와 같이 초빙합니다. 1. 채용분야 및 인원 (총 42명) 채용 분야 및 인원 부 서 세부분야 인원 필요자격 비 고 순환기내과 부정맥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내분비대사내과 갑상선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신장내과 사구체신염 , 신장이식 , 루푸스신염 , 만성콩팥병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감염내과 신종감염증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대장항문외과 대장항문 1 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유방내분비외과 유방 1 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신경외과 척추 1 신경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산부인과 부인종양학 1 산부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피부과 피부외과 , 피부암 , 항노화 , 모발 및 조갑질환 1 피부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심리 1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 하는 자 1. 박사학위 소지자 2.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소지자 신경과 이상운동질환 1 신경과 전문의 소지자 마취통증의학과 부위마취 1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뇌신경마취 1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안이비인후과마취 1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외과수술 및 간이식 마취 1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산과마취 1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통증의학 2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가정의학과 가정의학 1 가정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관악보건소 파견 권역응급의료센터 외과 1 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응급의학과 중환자이송 5 응급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SMICU 사업 응급의료체계 1 응급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영상 의학과 흉부 1 영상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소아 및 흉부 1 영상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유방 1 영상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복부 1 영상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심혈관 1 영상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진단검사의학과 세포유전 , 분자미생물 1 진단검사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병리과 외과병리 , 분자병리 1 병리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중환자의학과 마취통증의학 1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약물안전센터 약물이상반응관리 1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공공진료센터 예방의학 1 예방의학과 또는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임상유전체의학과 정밀의료 1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 하는 자 1. 생물정보학 관련 분야 박사학위 소지자 2.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바이오빅데이터 1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 하는 자 1. 박사학위 소지자 2.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외부재원 소아청소년과 신생아 1 소아청소년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의학교육실 의학교육 1 전문의 가젹증 소지자 강남센터 영상의학 1 영상의학과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SKSH 방사선종양학과 1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 하는 자 1. 채용공고일 기준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2. 전문의 자격 취득 후 최소 5 년 이상 경력 3. 파견 예정일 기준 유효한 국제 영어시험 성적표 - 점수 : TOEIC ー 700 이상 TOEFL-80 이상 IELTS-6.5 이상 - 면제자 : 북미권 대학 졸업한 자 - 제출기한 : 채용 합격 시 파견 전까지 제출 - 유효기한 : 파견 예정일까지 유효한 점수 4. 파견 예정일 기준 U.A.E. 의사면허 소지자 (U.A.E. Ministry of Health and Prevention 발급 면허 ) - 제출기한 : 채용 합격 시 파견 전까지 제출 합 계 42 ※ SMICU 사업 : 서울시 중증응급환자 공공이송체계 구축사업 ( 외부재원 ) ※ SKSH 의 경우 채용 합격일 기준 1 년 이내에 U.A.E. 의사면허 및 영어 성적을 취득하지 못할 경우 최종 합격 취소됨 . ※ 소정의 채용 절차를 통과한 자에 한하여 U.A.E. 면허 취득 지원 예정 2. 제출서류 가. 공개채용응시원서(본원 소정양식) 1부. 나. 자기소개서 1부. 다. 교육, 연구 및 진료계획서 각 1부. 라. 졸업증명서(대학 및 대학원) 각 1부. 마. 의사면허증, 전문의자격증, 세부전문의자격증 사본 각 1부. 바. 경력증명서(응시원서에 기재된 모든 경력) 각 1부. 사. 병적기록이 있는 주민등록초본 또는 병적증명서(남성에 한함) 1부. 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1부. 자. 최종합격자 제출서류( 최종합격자 서류와 관련된 양식은 최종합격 후 제공 ) ① 주민등록등본 2부. ② 서약서, 각서, 범죄경력동의서, 개인정보동의서 각 1부. ③ 최근 3개월 이내 촬영한 반명함판(3cm x 4cm)사진 혹은 그림파일 1부. ④ 채용신체검사 결과서 1부. ⑤ 신원진술서(본원소장양식) 2부. ⑥ 급여계좌신청서 및 급여계좌 사본 각 1부. ⑦ 신분증 사본(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1부. ⑧ 기본증명서(최근 3개월 이내, 자신만 표기되도록 발급, 주민등록번호 및 전체내역 기재) 1부. ⑨ 의사면허신고확인증 1부. ⑩ 보훈증명서 및 장애증명서(해당자에 한함) 1부. ⑪ 백신접종확인서 1부. ⑫ (SKSH 파견자 ) 파견일까지 유효한 공인어학성적표 (TOEIC, TOEFL , IELTS) 1부. ⑬ (SKSH 파견자 ) U.A.E 의사면허증 사본 1부. ※ 서류 제출 시 주의사항 - 경력증명서 제출 시 , 생년월일 · 사진 등 개인정보가 포함되는 항목은 펜 , 수정테이프 등으로 지운 후 제출 - 근무기관이 폐업 등의 사유로 경력증명서 발급이 어려운 경우 , 국민연금가입증명서 ( 또는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 등으로 제출 가능 3. 서류제출기간 및 제출장소 가 . 서류 제출 기간 : 2023. 01. 04.(수 ) ∼ 2023. 01. 12.(목 ) [주말, 공휴일 제외] 나 . 서류 접수 시간 : 09:00 ∼ 18:00 ( 점심시간 12:00 ∼ 13:00 제외 ) 다 . 서류 제출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인사팀 ( ☏ 02-2072-4928) [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71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 운영지원동 1 층 인사팀] ※ 제출서류 중 "가, 나, 다"는 인사팀에 제출과 별도로 마감일 이전에 한글 파일을 email( 02877@snuh.org )로 송부요망. 4. 합격자발표: 개별통보 5. 기타 가 . 계약기간은 진료과별 상이 . 나 . 기타 본 공고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본원 관련규정을 적용함 . 다 . 우편접수는 마감일 마감시간까지 도착분에 한함 . 라. 제출서류는 원본을 제출하여야 하며 부득이 사본을 제출할 경우에는 원본과 대조 후 도장을 날인하여 제출하고 외국어로 발급된 증명서는 번역문을 첨부 ( 영어제외 ) 하 여야 함 . 추후 필요한 경우 병원에서 대조할 수 있어야 함 . 마. 추천서 제출 가능.(자유양식) 바. 하나의 세부분야로만 지원이 가능하며, 중복 지원 시 접수를 무효로 함. 사. 적임자가 없을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음. 아. 졸업증명서 등의 서류는 학위 파악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며 , 학교명 등의 정보는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 자. 의사 면허 및 전문의 면허 등 자격증 서류는 지원 자격 파악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며,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차. 외부재원의 경우, 해당 사업 종료를 사유로 계약이 종료될 수 있음. 카. 파견 근무자의 경우 복무, 보수 등에 있어 현지 기관의 취업규칙을 적용 받으며, 사업 또는 파견 종료를 사유로 계약이 종료될 수 있음. 타. SKSH 관련 참고사항 ① SKSH 파견자의 경우 복무 , 보수 등에 있어 현지 병원 (SKSH) 의 취업규칙 및 UAE 법령 을 적용받으며 , 사업 또는 파견 종료를 사유로 계약이 종료될 수 있음 . ② SKSH 파견자는 영어로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을 것 . ③ SKSH 최종합격자는 아랍에미리트 내에서 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이슬람 문화에 위배되는 사항이 있을 경우 지원할 수 없으며 , 이슬람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 하며 상호협조 하여야 함 . ④ 현지 병원 (SKSH) 추가 요청에 의한 신체검사 결과에 따라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파. 최종합격 이후 신원조사 및 추가관련 조사에서 부적격으로 판단 시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하. 채 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일 간 반환청구할 수 있음. ※ 보관 기 간 이 경 과 한 증 빙 서 류 는 모 두 파 기 예 정 이 며 , 최 종 합 격 후 임 용 된 자 에 대 해 서 는 서 류 를 반 환 하지 않음. 2023. 1. 4. 서울대학교병원장

채용사이트 > 입사지원 > 채용공고/입사지원
정확도 : 0% 2023.01.12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