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irb"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30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진료과/센터/클리닉 (3)
의료사회복지팀

부서소개 의료사회복지팀 연 혁 의료사회복지 서비스 안내 주요 협진 업무 집단상담 및 집단교육 수련 및 실습 부서소개 서울대학교병원 의료사회복지팀의 의료사회복지사는 보건복지부에서 발급하는 사회복지사1급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며, 별도로 의료사회복지사 자격증 또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습니다. 의료사회복지사는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려운 상황에 환자와 가족이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전문가로서 환자와 가족의 개별상담을 진행하고 집단상담 및 집단교육을 진행할 뿐 아니라 타전문가 및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자원을 연결합니다. 의료사회복지 서비스는 서울대학교병원의 입원 및 외래 환자가 아래와 같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합니다. - 질병, 치료 및 회복 과정에 대처하기 - 치료비 마련의 어려움 - 만성질환 관리 - 정신건강과 약물 남용 - 임종준비와 사별 - 대인관계, 양육 및 가족관계의 어려움 - 직업 또는 학업과 관련된 어려움 - 학대, 방임 그리고 폭력 의료사회복지사는 누구와 함께 일하나요? 환자와 가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병원의 의료진과 협력하며, 특히 정신건강의학과, 재활의학과, 장기이식센터, 소아청소년과(신장, 내분비, 소아암), 호스피스완화의료팀, 재택의료클리닉에서 다학제협력팀의 일원으로 활동합니다. 의료사회복지 서비스 이용 시 비밀보장은 되나요? 의료사회복지사는 ‘환자의 권리’와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에 따라 환자의 비밀보장에 대한 권리를 존중합니다. 단, 후원기관, 지역사회기관 등과 협력할 경우에는 사전 동의 후 상담내용이 공유될 수 있습니다. 의료사회복지 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용이 발생 하나요? 서울대학교병원 의료사회복지팀이 제공하는 상담 서비스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단, 정신건강의학과 상담 및 프로그램, 재활의학과 상담, 장기이식상담의 경우 일부 상담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의료사회복지팀은 언제, 어떻게 방문하면 되나요? 상담을 원하는 경우, 의료진(담당 의사 또는 담당간호사)에게 의료사회복지팀 타과의뢰를 요청하십시오. 타과의뢰가 접수되면 담당 사회복지사와 사전 약속 후 상담할 수 있습니다. 주중(월~금)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방문이 가능합니다. ※ 공휴일과 주중 점심시간(오후 12시~1시) 제외 의료사회복지팀은 어디에 있나요?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1층에 위치하고 있습니다(하단 약도 참고). 의료사회복지팀 연혁 1960년대 1960~1965 -서울대학교 문리대학 사회사업과 하상락 교수가 미국 ‘유니테리안봉사회(U.S.C)’로부터 인건비 및 보조비를 지원받아 전문사회복지사 1명과 보조원 1명을 두고 상담지도 및 물자와 금품 급여 제공 1970년대 1978 -제2진료부문 의료사회사업실 개설 1980년대 1980 -사회복지사 채용으로 헌혈업무 지원(~1982)과 자원봉사활동 시작 -제1회 자원봉사자 교육 실시 1982 -상담업무 시작 1985 -어린이병원 개원으로 소아 상담업무 시작 1986 -제1회 경인지역 소아당뇨여름캠프 지원업무와 소아당뇨병클리닉 부모교육 시작 1987 -보건직으로 직종 변경 1989 -의료사업사업계 설치 -신경과 뇌졸중 교육 시작 1990년대 1990 -신경정신과 낮병동 사이코드라마 시작 1991 -제1회 백혈병 어린이 후원회의 백혈병 여름가족캠프 지원 -말기암 환자와 가족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시작 -제1회 자원봉사자 친목 및 단합대회 1992 -‘함춘후원회’ 발족에 따른 업무 지원 시작 1993 -제1회 함춘후원회 바자회 개최 지원 1995 -중고생자원봉사 시작 -롯데월드 공연팀 어린이병원 위문공연 시작(2010년 소아진료기획팀 이관) 1998 -말기신부전환자 교육 시작 -소아성형외과 부모 교육, 상담 및 후원업무 시작 -학대아동보호팀 간사활동 시작 -인공와우이식환자 지원 업무 시작 1999 -정신보건사회복지사 2급 수련제도 시작 -의료사회사업실 사무실 확장 이전 2000년대 2000 -장기이식 순수성평가 상담 시작 -소아정신과 사회기술훈련 시작 2001 -의료사회복지사 임상실습사제도 시작 2005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가족평가 및 가족치료 시작 2006 -‘어린이병원후원회’ 운영위원 활동 시작 -제1회 인터넷중독 청소년 가족캠프 실시 -소아성형외과 구순구개열 및 얼굴기형 가족캠프에서 부모상담 실시 -미숙아 환자 상담 시작 -‘함춘후원회’ 사무실 개소 2007 -124완화병동 운영위원회 참석 -인공신장실 부모 교육 -신생아중환자실 퇴원환자 부모교육 실시 2009 -공공보건의료사업단 의료사회복지팀으로 개편 -본원과 어린이병원 사무실 통합 -성인당뇨환자 입원패키지 시작 -소아대사증후군 예방클리닉 시작 -서울대학교암병원 개원 기념: 암환자 가발 패션쇼 개최 -IRB 윤리위원회 활동 -자원봉사자실 이전 -퇴임자원봉사자 감사 행사 2010 -안내자원봉사 질향상활동(QA) -암병원개원준비단 간사 활동 2011 -의료사회복지팀 종합정보시스템 개발 완료 2013 -서울시 저소득환자 무료진료사업 시작 -취약계층환자의 의료사회복지서비스 접근성 증진 활동(QA) -전체 자원봉사자 대상 교육매체 제작을 위한 학습조직활동 -인턴 및 신입전공의 교육 시작 -제1기 WOW 대학생봉사단 발족 -제1회 공공의료와 사회복지 심포지엄 개최 2014 -진료지원실 의료사회복지팀으로 개편 2016 -의료사회복지팀 사무실 이전 -임상연수사회복지사 수련제도 시작 2017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교직원이 반드시 알아야할 5가지 교육콘텐츠 개발 (SNUH-developer 학습활동 경진대회) 2019 -공공보건의료사업단 의료사회복지팀으로 개편 2020 -공공진료센터 의료사회복지팀으로 개편 전화: 02-2072-0301, 팩스: 02-764-4736 의료사회복지 서비스 안내 의뢰절차 상담을 원하는 경우, 의료진(담당 의사 또는 담당간호사)에게 의료사회복지팀 타과의뢰를 요청하십시오. 타과의뢰가 접수되면 담당 사회복지사와 상담을 할 수 있습니다. 타과의뢰 (담당의사) ➜ 접수 및 상담 ➜ 문제평가 ➜ 문제해결을 위한 계획 수립 ➜ 서비스 제공 ➜ 종결 ■심리사회적 상담 상담을 통해 환자가 처한 현재의 문제를 평가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개입계획을 수립합니다. 평가된 문제에 따라 개별상담, 집단상담 및 집단교육을 진행합니다. -치료과정에서 겪는 환자 및 가족의 심리적 어려움 상담 -정신과 가족평가 및 가족상담 -장기기증 상담 평가 -임종을 앞둔 환자 및 가족 상담 ■치료비 지원 상담 경제적 문제를 평가하고, 해당 연도 보건복지부의 중위소득 및 자산기준을 근거로 지원기준 충족여부(저소득층 해당여부)를 판단합니다. 치료비는 환자의 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부지원사업 또는 원내외 민간재단의 자원을 연결하여 지원합니다. (2023년 12월 기준/변동 가능성 있음) 입원환자 -입원 치료비 지원 -유료간병인 서비스 비용 지원(저소득층이며, 간병할 보호자가 없을 시) 외래환자 -암진단을 위한 검사비 -암환자의 항암치료비 -암환자의 방사선치료비 -안과 녹내장, 백내장 수술 전 검사비 -정형외과 MRI 검사비(의료급여 수급자에 한함, 일부 질환 제외) -정신건강의학과 비급여 검사 및 치료비 -어린이병원 환자의 외래진료비 -어린이병원 환자의 의료소모품비 및 보장구 구입비 기 타 -헌혈증 지원 -건강안전망 지원활동: 취약환자 의료비 지원을 위한 서울대학교병원 징검다리 사업 운영 취약계층 외국인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한 의료비 지원사업 운영 ※치료비 지원 신청 시, 경제적 상황을 증빙하는 서류제출이 필요합니다. ※지원여부는 지원기관의 심사 후 결정됩니다. 심사에 평균 3~5일 이상 시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신청자가 지원기준을 초과하는 소득 및 재산을 보유하고 있거나 후원처 지원예산이 소진된 경우에는 지원신청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퇴원계획 상담 퇴원 후 예상되는 심리사회적 문제를 평가하고 계획을 수립하여 관련 기관을 연결합니다(정신건강증진센터, 사회복귀시설, 지역사회복지관 등). ■지역사회 자원연결 상담 치료과정에서 필요한 지역사회자원이 있는지 조사하고, 자원을 연결하거나 정보를 제공합니다(공공기관 및 지역사회복지관 자원 연결, 정부지원제도 안내, 사회복지제도 안내 등) 재활치료에 필요한 환자의 주변환경, 심리사회적인 측면, 경제적상황을 평가하고, 환자의 치료동기 향상 및 보호자의 질적인 돌봄을 위한 교육을 실시합니다. 장애관련정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등의 사회복지정보를 제공하고, 퇴원계획 수행에 필요한 지역사회자원을 찾고 연결합니다. (※ 집단상담 및 집단교육 메뉴 참고) 주요 협진 업무 임상 협진 내용 장기이식센터 장기이식센터와 협력하여 간‧신장이식 환자 및 기증자를 위한 상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는 2000년 2월 9일에 시행된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생체 이식의 경우 수술 전에 장기기증자와 수혜자를 상담합니다. 상담을 통해 장기매매와 인간의 존엄성 상실 등의 문제를 방지하며, 기증자와 수혜자가 수술 준비과정 및 수술 후 적응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리․사회․경제적 어려움을 사전에 예상하고 해결하도록 돕습니다. 완화의료 • 임상윤리센터 사회복지사는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다학제팀의 구성원으로 환자의 전인적 돌봄을 위해 암케어병동 입원환자의 초기상담 및 팀회의 활동에 참여합니다. 또한 2017년 8월부터 시행된 자문형 호스피스 완화의료 활동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정신건강영역의 전문가로 보건복지부에서 발급하는 별도의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는 정신과 치료팀의 일원으로 환자와 가족을 돕고 있습니다. 환자를 둘러싼 가장 중요한 환경인 가족을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평가하고, 도움이 필요한 가족을 대상으로 상담을 진행합니다. 또한 환자가 퇴원 후 지역사회에서 잘 적응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환자의 욕구에 맞는 지역사회자원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가정/기관 방문을 나가기도 합니다. 그 외에 정기적인 협진 회의에 참석하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 치료팀의 일원으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재활의학과 사회복지사는 상담을 통해 환자가 원활한 재활치료를 받고 치료 후 일상에 돌아가 적응할 수 있도록 재활치료와 관련된 환자의 주변 환경, 심리사회적인 측면, 경제적 상황을 평가합니다. 만약 환자의 치료동기가 약화되어 있거나 보호자가 환자를 돌보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해 상담하고 문제해결방법을 함께 찾습니다. 또한 환자와 가족에게 필요한 사회복지제도를 안내하고, 지역사회기관을 연계합니다. 그 외에 정기적으로 치료팀 회의에 참석하여 치료팀의 일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소아청소년과: 내분비분과 내분비계 질환은 만성질환이 대부분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소아환자의 경우 성장에 따라 환경이 변화하면서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사회복지사는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 비만, 저신장증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기간 중 발생하는 심리․사회․경제적 문제를 상담하고, 개인 및 집단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또한 소아내분비팀 협진 업무를 수행하고, 소아청소년 당뇨병 캠프 개최 시 스텝역할을 담당합니다. 소아청소년과: 신장분과 신장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투석, 이식 등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사회복지사는 환자가 오랜 기간 치료를 받는 중에 발생하는 심리․사회․경제적 문제를 상담합니다. 또한 매주 협진 회의에 참석하여 신장질환 환자의 전인적 치료를 위한 활동을 하며, 소아신장질환캠프, 이식캠프 등 환자와 가족을 위한 캠프개최 시 스텝역할을 담당합니다. 소아청소년과: 혈액종양분과 오랜 치료기간 동안 고액의 치료비가 발생하는 소아암 환자는 장기적인 치료계획과 치료비 지원이 필요합니다. 사회복지사는 국가지원사업 및 외부재단 자원을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환자의 치료비를 지원합니다. 더불어 질병으로 인해 환자 및 가족이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인 상담을 제공하고 사회적 자원을 연결하여 안정적인 치료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재택의료클리닉 사회복지사는 상담을 통해 재택의료클리닉 기본등록 및 재가환경 점검, 향후 돌봄계획 수립, 의사결정지원을 도모합니다. 심리 사회적인 측면, 경제적 상황, 사회복지 및 퇴원계획 등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제공하고 보호자가 환자를 돌보는데 어려움이 있을 시 돌봄 자원을 안내합니다. 그 외에 주 1회 재택의료클리닉 협진회의를 통해 치료팀의 일원으로 역할을 합니다. 소아청소년과: 이비인후과 소아환자가 난청을 진단받으면 빠른 시일 내에 보청기나 인공와우 수술을 시행하여 청각중추의 발달 지연을 막아야 합니다. 그러나 보청기 비용과 고액의 인공와우 수술비는 가족들에게 부담을 주기도 하며, 수술 후에도 장기간 언어치료를 지속해야 하는 등 환자 및 가족들의 총체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난청 진단으로 보청기 착용, 인공와우를 고려하고 있는 가족들과 상담을 진행하여 심리적 부담감을 완화시키고, 지속적인 재활치료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입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집단상담 및 집단교육 환자 및 보호자 교육 내용 암병원 암환자와 가족의 대화기술 암환자와 가족 간 의사소통 방식 점검 및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술 교육 암환자의 생활관리와 사회복지정보 암환자 및 보호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관련 국가지원제도, 경제적 지원, 사회적 자원 활용 등의 정보 제공 정신건강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병동 프로그램 사회기술 증진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감정 탐색 및 표현을 위한 집단치료, 연극적 매체를 활용하여 자기표현력을 향상하기 위한 연극요법 등 소아청소년과 :내분비분과 소아비만 및 대사증후군 예방 교육 소아비만과 가족, 비만 아동의 심리사회적 어려움, 가족의 협조, 행동수정치료 교육 ※ 소아내분비팀에서 진행하는 외래 교육입니다. 소아당뇨환아 입원 프로그램 당뇨관리와 생활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과 그에 대한 해소 방법을 서로 공유하며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고 당뇨관리에 대한 자신감과 희망을 갖도록 하는 소그룹 상담 프로그램 ※ 소아내분비팀에서 진행하는 입원 프로그램입니다. 수련 및 실습 임상연수사회복지사 수련 교육 교육 목적 임상연수사회복지사 과정을 통해 이론적 지식과 임상적 실천 능력을 갖춘 2급 정신건강사회복지사 또는 의료사회복지사를 양성한다. 교육 내용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의료사회복지사 수련교육: 이론교육, 임상실습, 학술활동 등 응시자격 사회복지사1급 소지자 모집 및 수련기간 연1회 모집 / 해당 연도 업무 시작일로부터 1년 (주 5일) ※자세한 사항은 모집기간에 홈페이지 모집공고 참고 사회복지전공 실습 교육 교육 목적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인다. -의료사회복지 실천을 통해 의료사회사업 실무를 익힌다. -질환별 환자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방법을 실습한다. 응시자격 -사회복지학과 학부과정 또는 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의료사회복지(사업)론 또는 정신보건복지론을 이수하였거나 이수 중인 자 모집 및 실습기간 연 1~2회 방학 중 모집 / 학부생 4주 / 대학원생 6주 (주 5일) ※자세한 사항은 모집기간에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및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사협회’ 홈페이지 모집공고 참고 ※기관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12% 2024.06.04
임상약리학과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약리학과는 “끊임없는 도전 및 혁신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임상약리학 연구, 교육, 진료 활동을 통하여, 개인별 최적 맞춤약물요법(personalized optimal pharmacotherapy)에 필요한 융합적 정보 및 지식을 창출, 적용, 전파하고 약물요법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데 앞장서며, 궁극적으로 인류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에 기여한다”는 미션을 바탕으로 임상약리학 및 임상시험, 적정약물요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교육, 진료 및 진료지원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1988년 6월 약사위원회 산하 “임상약리학 전담반”으로 발족된 이래, 1994년 6월 병원 제2진료부문 정식기구인 “임상약리실”로 조직화되었으며, 맞춤약물요법 및 치료적약물모니터링(Therapeutic Drug Monitoring, TDM) 자문 업무를 담당해왔으며 1996년 신설된 임상시험센터의 주요 구성원으로서 초기임상시험 수행, 신약 임상개발 및 임상약물연구 설계 자문, 약동학/약력학 분석 및 임상시험 시뮬레이션, 임상시험 전문인력 교육수련, 보건복지부 지역임상시험센터 및 글로벌임상시험센터 선정 및 운영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역할이 점차 확대되었다. 의약품 임상시험 및 맞춤약물요법 전문가로서의 임상약리 전공자의 병원 내 역할 및 중요성이 점차 증가되면서, 2007년 12월 “임상약리학과”로 승격되었다. 또한 의과대학에서는 2012년 3월 "임상약리학교실"이 신설되었다. 현재 매년 40여건 이상의 맞춤약물요법 관련 임상시험 프로젝트를 단독 또는 타 진료과와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약 1만 건의 TDM 자문, 7백건 이상의 맞춤약물요법 자문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임상약리학과는 기초의학 분야(임상약동학/약력학, 유전학, 약리학 및 생화학, 생물통계학, 분석화학, 약물유전체학, 대사체학 등)와 임상의학 분야(적정약물요법의 임상적용)를 포괄하여 translational research & practice에 중점을 둔 진료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약동학/약력학/질병상태/약물상호작용/유전적 다양성 등 다양한 환자별 특성에 따른 약물요법자문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진료활동에 대한 근거를 생성하기 위한 임상시험, 약동/약력학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등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임상약리학 인정의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우수한 인력을 발굴하고 교육함으로써 미래의 신약개발 및 맞춤약물요법 전문가 양성을 위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임상시험(Clinical Trial)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시험센터와 연계하여, 적정약물요법 자문 및 신약개발을 위한 전반적인 임상시험 설계, 수행, 보고 및 자문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개발 신약의 초기 임상시험을 다수 수행하는 등 국내 초기임상시험 분야를 선도하고 있으며, 국내 제약기업뿐 아니라 다국적 제약기업의 초기 임상시험 프로젝트 및 전체 임상개발과정에 대한 자문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하고 있다. 적정약물요법 자문(Pharmacotherapy Consultation) 임상약리학과에서는 다양한 맞춤약물요법 자문을 수행하고 있으며, 자문 분야는 치료적약물농도모니터링(TDM), 특수 약물 검사(농도 분석 등), 집단 약동/약력학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새로운 약물에 대한 TDM 필요성 검토 및 약동학 분석법 개발, 약물상호작용, 약물유해반응, 용량용법조정, 약물유전학, 의약품정보에 대한 내용을 포괄한다. 약물 대사효소인 CYP2C19 유전형에 기반한 voriconazole의 적정용량용법 확립과 소아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id leukemia, CML) 환자에서 busulfan의 치료역을 결정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근거한 적정약물용법 자문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약물유전체학과 약물대사체학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다양한 약물의 효용성과 부작용에 관한 통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용량용법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환자 진료 및 맞춤약물요법(optimal pharmacotherapy)에 응용하고 있다. 치료적 약물 모니터링(TDM)이란, 개별 환자의 적정 약물요법을 위해 지속적으로 약물반응을 관찰하면서 피드백을 제공하는 일련의 활동을 의미한다. 좁은 의미로는 주로 약물농도 추이를 모니터링하여 유효혈중농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약물유해반응의 발현을 최소화함으로써 환자 개인별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이용된다. 주요한 서비스 대상이 되는 약물은 치료농도범위가 잘 알려진 몇몇 항생제와 항간질제, 강심제 등이 있으며, 연간 약 1만 건을 실시하고 있다. 적정약물요법을 위한 치료적 약물농도 모니터링은 치료혈장농도범위(therapeutic range of plasma concentration)가 잘 알려져 있는 약물의 투여 시 측정된 약물농도 데이터를 근거로 약물용법을 조정함으로써 약동학적 개인차를 고려한 약물치료가 가능하다. 최근 체액 내 약물 및 이의 대사체를 측정하는 분석화학의 발전과, 임상약물동태학(Clinical pharmacokinetics)의 도입 등으로 임상적으로 개개 환자에서의 TDM이 이미 보편화되고 이러한 새로운 의료분야의 연구 및 임상응용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약물유해반응 자문(Adverse Drug Reaction(ADR) Consultation) 임상약리학과에서는 약물안전센터와 협력하여 약물유해반응 감시 및 관리에 참여하고 있다. 특히 치료적약물모니터링 중 관찰되는 약물유해반응에 대해 능동적 감시 및 관리를 수행하고, 전자의무기록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 등의 빅데이터로부터 약물유해반응의 시그널을 찾는 등의 활동을 통해 환자, 더 나아가 전국민에게 보다 안전한 약물요법을 제공하는데 기여한다. 교육(Education) 임상약리학과에서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임상의학에 약리학적 개념을 접목하여 효율적인 약물요법, 개인별 맞춤치료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체계적이고 독자적인 임상약리학 연구방법을 종합하여 관련된 첨단 기초 및 응용과학을 융합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여 translational medicine 측면에서 21세기 의과학을 이끌어갈 창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능력을 지닌 전문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A. 임상약리학 인정의 수련 프로그램(Clinical pharmacology specialist training) 우리나라에서 임상약리 전공의사 양성을 위한 수련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갖추어진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로서 서울대학교병원에서는 1998년부터 임상약리 전공 연수의사를 선발하여 임상약리학 인정의 수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수련 과정에서 임상약리학 전반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맞춤약물요법을 환자 진료에 적용하는 능력을 키우고, 또한 약물반응의 다양성의 원인에 대한 임상약리학적 연구방법을 숙지하여 의학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2007년부터는 매년 2명의 연수의사를 모집하였고, 2011년부터는 3명씩 모집하고 있다. 주요 수련내용은 다음과 같다. - 임상약동/약력학,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 신약 개발 임상시험 (임상약물연구 설계, 수행, 자문,자료분석) - 치료적 약물 모니터링(TDM) 및 적정약물요법 - 약물유전체학, 약물대사체학 - 약물상호작용 - 특수집단에서의 약물요법(신기능장애, 간기능장애, 노인, 소아 등) - 약물유해반응(ADR) B. 학부 학생교육(Education program for undergraduate students) 임상약리학과에서는 의과대학 학부 과정의 1학년 ‘약리학’ 강의 및 약물의 선택과 처방(P-drug workshop) 같은 실습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4학년 임상특과의 ‘임상약리학’ 강의를 담당하고 있으며, 2013년부터 4학년 선택실습 과정으로 임상약리학 실습교육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본과 2학년 ‘의학연구2’ 과목을 통해 학부 학생들이 실제 임상약리학과에서 이루어지는 업무와 연구과정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 여름, 겨울방학에는 의과대학, 약학대학 등의 학생들에게 임상약리학을 접해 볼 수 있도록 인턴십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그 외 여러 임상과와 간호부의 임상약리학 및 치료학 교육에도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 약물반응의 개인차, 약물유전학 - 신약개발과 임상시험 - 적정약물요법과 약동학, 약력학 개념 - 치료적 약물농도 모니터링(TDM) - 약물상호작용 - 약물이상반응 - 연구계획서 및 임상약물연구 참여동의서, IRB - 특수환자집단의 적정 약물요법 - 약물규제 - 의약품정보 C. 대학원 과정(Graduate course) 임상약리학 대학원과정에서는 임상약리학적 방법을 진료 및 연구에 응용할 수 있는 학자 양성을 목표로 한다. 임상약리학 방법을 이용하여 약물유전체 및 대사체학, 약동학-약력학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하여 의학 이론을 심화시키고 다른 이들에게 확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주요 교육주제는 다음과 같다. - 제약의학 (Pharmaceutical Medicine) - 약물이상반응과 과민반응 (Adverse Drug Reactions and Hypersensitivity) - 임상약물상호작용 (Clinical Aspects of Drug Interaction) - 신약 평가, 허가 및 관리 제도 (Regulatory Aspects related to New Drug Development) - 임상약력학 및 임상평가법 (Clinical Pharmacodynamics and Evaluation Methods) - 특수환자집단의 적정약물요법 (Optimal Therapy in Special Patients) - 임상약물유전학 (Clinical Pharmacogenetics) - 약동학/약력학 모델링 특론 (Advanced Methods in PK/PK modeling) - 분자약물유전학 (Molecular Pharmacogenetics) - 임상시험 세미나 (Seminar in Clinical Trials)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5% 2024.02.06
암조직은행

암조직은행은 인체조직 자원의 수집, 보관, 품질관리, 임상정보 관리 및 보관 조직의 분양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중앙화된 기구의 필요성에 의해 2009년 설립되었다. 2013년 2월부터 개정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원칙에 의거하여 생체시료 중 진단에 사용하고 남은 시료를 적절하게 보관 및 관리한다. 기관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연구과제에 한하여 암조직은행 규정에 따른 심의를 거쳐 윤리적이고 공정하게 자원을 분양함으로써 임상 및 기초의학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한다. 또한 고품질 인체자원의 대규모 수집은 인체자원의 R&D 연구 활성화와 첨단 의료산업 육성 등의 결과를 창출하여 국민 보건과 삶의 질 향상을 가지고 올 것으로 기대된다. - 은행장: 병리과 이혜승 교수 - 정보관리 및 보안담당 책임자: 병리과 곽윤진 교수 - 운영위원회 및 장기별 소위원회 - 인체유래물등의 관리를 위한 연구자 연혁 연혁 2005 년 서울대 학 교병원 유전자은행 개설 허가 2008 년 설립을 위 한 운영위원장 선출 및 운영위원회 구성 2009 년 암조직은행 설립 및 검체 수집 시작 2010 년 질병관리본부 인체자원단위은행 지원사업 채택 2011 년 암병원과 협력하여 암 협력 네트워크 구축 2 013 년 암조직은행 신규 개설 허가 생명윤리법 개정에 따라 동의서 양식 변경 및 전자동의서 시스템 구축 SOP 전면개정 서울대병원 IRB 승인 2016 년 전산관리시스템 도입 2019 년 은행장 및 정보보안책임자 변경 2021 년 은행장 변경 업무개요 업무개요 자원 수집 수집대상: 조직 인체유래물등의 기증동의서 (법정서식 41호) 구득 자원 보관 고유식별번호 부여 (익명화) 검체 등록 및 위치 관리 검체 폐기 관리 보관 방법: Liquid Nitrogen -196 ℃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관리 임상, 역학 정보 수집 및 관리 품질 관리 DNA, RNA purity 및 Integrity확인 조직 morphology 확 인 자원 분양 장기별 소위원회 개최하여 연구심사 진행 제공 후 관리 (IRB 보고, 연구결과 관리) 분양 절차: 1) 분양신청서, 연구계획서, IRB통보서,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제출 2) 장기별 소 위원회 심의 3) 분양 (수납 및 물질이송양해각서, 인체자원수령기록서 작성) 4) 연구결과 발표 후 인체자원 활용결과등록서 제출 수집 자원 종류 Breast Colon and Rectum Endocrine system Thyroid, Adrenal gland Female genitals organs Uterus, Ovary Gastrointestinal tract Stomach, Esophagus, Small intestine Head and Neck Oral cavity, Larynx, Pharynx, Tonsil, Salivary gland Hepatobiliary Liver, Pancreas, AoV, Bile duct, Gallbladder Male genital organs Prostate, Testis Nervous system Brain Skin and Soft tissue Urinary tracts Kidney, Ureter, Bladder, Urethra Other Lung, Thymus, Lymph node, Aortic valve, Spleen, Tendon, Placenta 문의 전화 : 02-2072-2192 이메일 : ctb@snuh.org 홈페이지 : http://biobank.snuh.org (서울대학교병원의생명연구원-BIOBANK–암조직은행)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31% 2023.04.26
이용안내 (3)

부서소개 의료사회복지팀 연 혁 의료사회복지 서비스 안내 주요 협진 업무 집단상담 및 집단교육 수련 및 실습 부서소개 서울대학교병원 의료사회복지팀의 의료사회복지사는 보건복지부에서 발급하는 사회복지사1급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며, 별도로 의료사회복지사 자격증 또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습니다. 의료사회복지사는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려운 상황에 환자와 가족이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전문가로서 환자와 가족의 개별상담을 진행하고 집단상담 및 집단교육을 진행할 뿐 아니라 타전문가 및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자원을 연결합니다. 의료사회복지 서비스는 서울대학교병원의 입원 및 외래 환자가 아래와 같은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합니다. - 질병, 치료 및 회복 과정에 대처하기 - 치료비 마련의 어려움 - 만성질환 관리 - 정신건강과 약물 남용 - 임종준비와 사별 - 대인관계, 양육 및 가족관계의 어려움 - 직업 또는 학업과 관련된 어려움 - 학대, 방임 그리고 폭력 의료사회복지사는 누구와 함께 일하나요? 환자와 가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병원의 의료진과 협력하며, 특히 정신건강의학과, 재활의학과, 장기이식센터, 소아청소년과(신장, 내분비, 소아암), 호스피스완화의료팀, 재택의료클리닉에서 다학제협력팀의 일원으로 활동합니다. 의료사회복지 서비스 이용 시 비밀보장은 되나요? 의료사회복지사는 ‘환자의 권리’와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에 따라 환자의 비밀보장에 대한 권리를 존중합니다. 단, 후원기관, 지역사회기관 등과 협력할 경우에는 사전 동의 후 상담내용이 공유될 수 있습니다. 의료사회복지 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용이 발생 하나요? 서울대학교병원 의료사회복지팀이 제공하는 상담 서비스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단, 정신건강의학과 상담 및 프로그램, 재활의학과 상담, 장기이식상담의 경우 일부 상담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의료사회복지팀은 언제, 어떻게 방문하면 되나요? 상담을 원하는 경우, 의료진(담당 의사 또는 담당간호사)에게 의료사회복지팀 타과의뢰를 요청하십시오. 타과의뢰가 접수되면 담당 사회복지사와 사전 약속 후 상담할 수 있습니다. 주중(월~금)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방문이 가능합니다. ※ 공휴일과 주중 점심시간(오후 12시~1시) 제외 의료사회복지팀은 어디에 있나요?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1층에 위치하고 있습니다(하단 약도 참고). 의료사회복지팀 연혁 1960년대 1960~1965 -서울대학교 문리대학 사회사업과 하상락 교수가 미국 ‘유니테리안봉사회(U.S.C)’로부터 인건비 및 보조비를 지원받아 전문사회복지사 1명과 보조원 1명을 두고 상담지도 및 물자와 금품 급여 제공 1970년대 1978 -제2진료부문 의료사회사업실 개설 1980년대 1980 -사회복지사 채용으로 헌혈업무 지원(~1982)과 자원봉사활동 시작 -제1회 자원봉사자 교육 실시 1982 -상담업무 시작 1985 -어린이병원 개원으로 소아 상담업무 시작 1986 -제1회 경인지역 소아당뇨여름캠프 지원업무와 소아당뇨병클리닉 부모교육 시작 1987 -보건직으로 직종 변경 1989 -의료사업사업계 설치 -신경과 뇌졸중 교육 시작 1990년대 1990 -신경정신과 낮병동 사이코드라마 시작 1991 -제1회 백혈병 어린이 후원회의 백혈병 여름가족캠프 지원 -말기암 환자와 가족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시작 -제1회 자원봉사자 친목 및 단합대회 1992 -‘함춘후원회’ 발족에 따른 업무 지원 시작 1993 -제1회 함춘후원회 바자회 개최 지원 1995 -중고생자원봉사 시작 -롯데월드 공연팀 어린이병원 위문공연 시작(2010년 소아진료기획팀 이관) 1998 -말기신부전환자 교육 시작 -소아성형외과 부모 교육, 상담 및 후원업무 시작 -학대아동보호팀 간사활동 시작 -인공와우이식환자 지원 업무 시작 1999 -정신보건사회복지사 2급 수련제도 시작 -의료사회사업실 사무실 확장 이전 2000년대 2000 -장기이식 순수성평가 상담 시작 -소아정신과 사회기술훈련 시작 2001 -의료사회복지사 임상실습사제도 시작 2005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가족평가 및 가족치료 시작 2006 -‘어린이병원후원회’ 운영위원 활동 시작 -제1회 인터넷중독 청소년 가족캠프 실시 -소아성형외과 구순구개열 및 얼굴기형 가족캠프에서 부모상담 실시 -미숙아 환자 상담 시작 -‘함춘후원회’ 사무실 개소 2007 -124완화병동 운영위원회 참석 -인공신장실 부모 교육 -신생아중환자실 퇴원환자 부모교육 실시 2009 -공공보건의료사업단 의료사회복지팀으로 개편 -본원과 어린이병원 사무실 통합 -성인당뇨환자 입원패키지 시작 -소아대사증후군 예방클리닉 시작 -서울대학교암병원 개원 기념: 암환자 가발 패션쇼 개최 -IRB 윤리위원회 활동 -자원봉사자실 이전 -퇴임자원봉사자 감사 행사 2010 -안내자원봉사 질향상활동(QA) -암병원개원준비단 간사 활동 2011 -의료사회복지팀 종합정보시스템 개발 완료 2013 -서울시 저소득환자 무료진료사업 시작 -취약계층환자의 의료사회복지서비스 접근성 증진 활동(QA) -전체 자원봉사자 대상 교육매체 제작을 위한 학습조직활동 -인턴 및 신입전공의 교육 시작 -제1기 WOW 대학생봉사단 발족 -제1회 공공의료와 사회복지 심포지엄 개최 2014 -진료지원실 의료사회복지팀으로 개편 2016 -의료사회복지팀 사무실 이전 -임상연수사회복지사 수련제도 시작 2017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교직원이 반드시 알아야할 5가지 교육콘텐츠 개발 (SNUH-developer 학습활동 경진대회) 2019 -공공보건의료사업단 의료사회복지팀으로 개편 2020 -공공진료센터 의료사회복지팀으로 개편 전화: 02-2072-0301, 팩스: 02-764-4736 의료사회복지 서비스 안내 의뢰절차 상담을 원하는 경우, 의료진(담당 의사 또는 담당간호사)에게 의료사회복지팀 타과의뢰를 요청하십시오. 타과의뢰가 접수되면 담당 사회복지사와 상담을 할 수 있습니다. 타과의뢰 (담당의사) ➜ 접수 및 상담 ➜ 문제평가 ➜ 문제해결을 위한 계획 수립 ➜ 서비스 제공 ➜ 종결 ■심리사회적 상담 상담을 통해 환자가 처한 현재의 문제를 평가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개입계획을 수립합니다. 평가된 문제에 따라 개별상담, 집단상담 및 집단교육을 진행합니다. -치료과정에서 겪는 환자 및 가족의 심리적 어려움 상담 -정신과 가족평가 및 가족상담 -장기기증 상담 평가 -임종을 앞둔 환자 및 가족 상담 ■치료비 지원 상담 경제적 문제를 평가하고, 해당 연도 보건복지부의 중위소득 및 자산기준을 근거로 지원기준 충족여부(저소득층 해당여부)를 판단합니다. 치료비는 환자의 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부지원사업 또는 원내외 민간재단의 자원을 연결하여 지원합니다. (2023년 12월 기준/변동 가능성 있음) 입원환자 -입원 치료비 지원 -유료간병인 서비스 비용 지원(저소득층이며, 간병할 보호자가 없을 시) 외래환자 -암진단을 위한 검사비 -암환자의 항암치료비 -암환자의 방사선치료비 -안과 녹내장, 백내장 수술 전 검사비 -정형외과 MRI 검사비(의료급여 수급자에 한함, 일부 질환 제외) -정신건강의학과 비급여 검사 및 치료비 -어린이병원 환자의 외래진료비 -어린이병원 환자의 의료소모품비 및 보장구 구입비 기 타 -헌혈증 지원 -건강안전망 지원활동: 취약환자 의료비 지원을 위한 서울대학교병원 징검다리 사업 운영 취약계층 외국인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한 의료비 지원사업 운영 ※치료비 지원 신청 시, 경제적 상황을 증빙하는 서류제출이 필요합니다. ※지원여부는 지원기관의 심사 후 결정됩니다. 심사에 평균 3~5일 이상 시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신청자가 지원기준을 초과하는 소득 및 재산을 보유하고 있거나 후원처 지원예산이 소진된 경우에는 지원신청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퇴원계획 상담 퇴원 후 예상되는 심리사회적 문제를 평가하고 계획을 수립하여 관련 기관을 연결합니다(정신건강증진센터, 사회복귀시설, 지역사회복지관 등). ■지역사회 자원연결 상담 치료과정에서 필요한 지역사회자원이 있는지 조사하고, 자원을 연결하거나 정보를 제공합니다(공공기관 및 지역사회복지관 자원 연결, 정부지원제도 안내, 사회복지제도 안내 등) 재활치료에 필요한 환자의 주변환경, 심리사회적인 측면, 경제적상황을 평가하고, 환자의 치료동기 향상 및 보호자의 질적인 돌봄을 위한 교육을 실시합니다. 장애관련정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등의 사회복지정보를 제공하고, 퇴원계획 수행에 필요한 지역사회자원을 찾고 연결합니다. (※ 집단상담 및 집단교육 메뉴 참고) 주요 협진 업무 임상 협진 내용 장기이식센터 장기이식센터와 협력하여 간‧신장이식 환자 및 기증자를 위한 상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는 2000년 2월 9일에 시행된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생체 이식의 경우 수술 전에 장기기증자와 수혜자를 상담합니다. 상담을 통해 장기매매와 인간의 존엄성 상실 등의 문제를 방지하며, 기증자와 수혜자가 수술 준비과정 및 수술 후 적응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심리․사회․경제적 어려움을 사전에 예상하고 해결하도록 돕습니다. 완화의료 • 임상윤리센터 사회복지사는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다학제팀의 구성원으로 환자의 전인적 돌봄을 위해 암케어병동 입원환자의 초기상담 및 팀회의 활동에 참여합니다. 또한 2017년 8월부터 시행된 자문형 호스피스 완화의료 활동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정신건강영역의 전문가로 보건복지부에서 발급하는 별도의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정신건강사회복지사는 정신과 치료팀의 일원으로 환자와 가족을 돕고 있습니다. 환자를 둘러싼 가장 중요한 환경인 가족을 심리사회적인 측면에서 평가하고, 도움이 필요한 가족을 대상으로 상담을 진행합니다. 또한 환자가 퇴원 후 지역사회에서 잘 적응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환자의 욕구에 맞는 지역사회자원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가정/기관 방문을 나가기도 합니다. 그 외에 정기적인 협진 회의에 참석하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 치료팀의 일원으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재활의학과 사회복지사는 상담을 통해 환자가 원활한 재활치료를 받고 치료 후 일상에 돌아가 적응할 수 있도록 재활치료와 관련된 환자의 주변 환경, 심리사회적인 측면, 경제적 상황을 평가합니다. 만약 환자의 치료동기가 약화되어 있거나 보호자가 환자를 돌보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해 상담하고 문제해결방법을 함께 찾습니다. 또한 환자와 가족에게 필요한 사회복지제도를 안내하고, 지역사회기관을 연계합니다. 그 외에 정기적으로 치료팀 회의에 참석하여 치료팀의 일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소아청소년과: 내분비분과 내분비계 질환은 만성질환이 대부분으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소아환자의 경우 성장에 따라 환경이 변화하면서 다양한 심리적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사회복지사는 제1형 및 제2형 당뇨병, 비만, 저신장증 소아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기간 중 발생하는 심리․사회․경제적 문제를 상담하고, 개인 및 집단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또한 소아내분비팀 협진 업무를 수행하고, 소아청소년 당뇨병 캠프 개최 시 스텝역할을 담당합니다. 소아청소년과: 신장분과 신장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투석, 이식 등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사회복지사는 환자가 오랜 기간 치료를 받는 중에 발생하는 심리․사회․경제적 문제를 상담합니다. 또한 매주 협진 회의에 참석하여 신장질환 환자의 전인적 치료를 위한 활동을 하며, 소아신장질환캠프, 이식캠프 등 환자와 가족을 위한 캠프개최 시 스텝역할을 담당합니다. 소아청소년과: 혈액종양분과 오랜 치료기간 동안 고액의 치료비가 발생하는 소아암 환자는 장기적인 치료계획과 치료비 지원이 필요합니다. 사회복지사는 국가지원사업 및 외부재단 자원을 효과적으로 연계하여 환자의 치료비를 지원합니다. 더불어 질병으로 인해 환자 및 가족이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인 상담을 제공하고 사회적 자원을 연결하여 안정적인 치료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재택의료클리닉 사회복지사는 상담을 통해 재택의료클리닉 기본등록 및 재가환경 점검, 향후 돌봄계획 수립, 의사결정지원을 도모합니다. 심리 사회적인 측면, 경제적 상황, 사회복지 및 퇴원계획 등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제공하고 보호자가 환자를 돌보는데 어려움이 있을 시 돌봄 자원을 안내합니다. 그 외에 주 1회 재택의료클리닉 협진회의를 통해 치료팀의 일원으로 역할을 합니다. 소아청소년과: 이비인후과 소아환자가 난청을 진단받으면 빠른 시일 내에 보청기나 인공와우 수술을 시행하여 청각중추의 발달 지연을 막아야 합니다. 그러나 보청기 비용과 고액의 인공와우 수술비는 가족들에게 부담을 주기도 하며, 수술 후에도 장기간 언어치료를 지속해야 하는 등 환자 및 가족들의 총체적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난청 진단으로 보청기 착용, 인공와우를 고려하고 있는 가족들과 상담을 진행하여 심리적 부담감을 완화시키고, 지속적인 재활치료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개입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집단상담 및 집단교육 환자 및 보호자 교육 내용 암병원 암환자와 가족의 대화기술 암환자와 가족 간 의사소통 방식 점검 및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술 교육 암환자의 생활관리와 사회복지정보 암환자 및 보호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관련 국가지원제도, 경제적 지원, 사회적 자원 활용 등의 정보 제공 정신건강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병동 프로그램 사회기술 증진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감정 탐색 및 표현을 위한 집단치료, 연극적 매체를 활용하여 자기표현력을 향상하기 위한 연극요법 등 소아청소년과 :내분비분과 소아비만 및 대사증후군 예방 교육 소아비만과 가족, 비만 아동의 심리사회적 어려움, 가족의 협조, 행동수정치료 교육 ※ 소아내분비팀에서 진행하는 외래 교육입니다. 소아당뇨환아 입원 프로그램 당뇨관리와 생활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과 그에 대한 해소 방법을 서로 공유하며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고 당뇨관리에 대한 자신감과 희망을 갖도록 하는 소그룹 상담 프로그램 ※ 소아내분비팀에서 진행하는 입원 프로그램입니다. 수련 및 실습 임상연수사회복지사 수련 교육 교육 목적 임상연수사회복지사 과정을 통해 이론적 지식과 임상적 실천 능력을 갖춘 2급 정신건강사회복지사 또는 의료사회복지사를 양성한다. 교육 내용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의료사회복지사 수련교육: 이론교육, 임상실습, 학술활동 등 응시자격 사회복지사1급 소지자 모집 및 수련기간 연1회 모집 / 해당 연도 업무 시작일로부터 1년 (주 5일) ※자세한 사항은 모집기간에 홈페이지 모집공고 참고 사회복지전공 실습 교육 교육 목적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인다. -의료사회복지 실천을 통해 의료사회사업 실무를 익힌다. -질환별 환자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방법을 실습한다. 응시자격 -사회복지학과 학부과정 또는 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의료사회복지(사업)론 또는 정신보건복지론을 이수하였거나 이수 중인 자 모집 및 실습기간 연 1~2회 방학 중 모집 / 학부생 4주 / 대학원생 6주 (주 5일) ※자세한 사항은 모집기간에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 및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사협회’ 홈페이지 모집공고 참고 ※기관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어린이병원 > 진료안내 > 진료지원부서
정확도 : 98% 2024.06.04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약리학과는 “끊임없는 도전 및 혁신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임상약리학 연구, 교육, 진료 활동을 통하여, 개인별 최적 맞춤약물요법(personalized optimal pharmacotherapy)에 필요한 융합적 정보 및 지식을 창출, 적용, 전파하고 약물요법의 효용을 극대화하는 데 앞장서며, 궁극적으로 인류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에 기여한다”는 미션을 바탕으로 임상약리학 및 임상시험, 적정약물요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교육, 진료 및 진료지원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1988년 6월 약사위원회 산하 “임상약리학 전담반”으로 발족된 이래, 1994년 6월 병원 제2진료부문 정식기구인 “임상약리실”로 조직화되었으며, 맞춤약물요법 및 치료적약물모니터링(Therapeutic Drug Monitoring, TDM) 자문 업무를 담당해왔으며 1996년 신설된 임상시험센터의 주요 구성원으로서 초기임상시험 수행, 신약 임상개발 및 임상약물연구 설계 자문, 약동학/약력학 분석 및 임상시험 시뮬레이션, 임상시험 전문인력 교육수련, 보건복지부 지역임상시험센터 및 글로벌임상시험센터 선정 및 운영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역할이 점차 확대되었다. 의약품 임상시험 및 맞춤약물요법 전문가로서의 임상약리 전공자의 병원 내 역할 및 중요성이 점차 증가되면서, 2007년 12월 “임상약리학과”로 승격되었다. 또한 의과대학에서는 2012년 3월 "임상약리학교실"이 신설되었다. 현재 매년 40여건 이상의 맞춤약물요법 관련 임상시험 프로젝트를 단독 또는 타 진료과와 공동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약 1만 건의 TDM 자문, 7백건 이상의 맞춤약물요법 자문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임상약리학과는 기초의학 분야(임상약동학/약력학, 유전학, 약리학 및 생화학, 생물통계학, 분석화학, 약물유전체학, 대사체학 등)와 임상의학 분야(적정약물요법의 임상적용)를 포괄하여 translational research & practice에 중점을 둔 진료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약동학/약력학/질병상태/약물상호작용/유전적 다양성 등 다양한 환자별 특성에 따른 약물요법자문 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진료활동에 대한 근거를 생성하기 위한 임상시험, 약동/약력학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등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임상약리학 인정의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우수한 인력을 발굴하고 교육함으로써 미래의 신약개발 및 맞춤약물요법 전문가 양성을 위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임상시험(Clinical Trial)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시험센터와 연계하여, 적정약물요법 자문 및 신약개발을 위한 전반적인 임상시험 설계, 수행, 보고 및 자문업무 등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개발 신약의 초기 임상시험을 다수 수행하는 등 국내 초기임상시험 분야를 선도하고 있으며, 국내 제약기업뿐 아니라 다국적 제약기업의 초기 임상시험 프로젝트 및 전체 임상개발과정에 대한 자문 프로젝트를 다수 수행하고 있다. 적정약물요법 자문(Pharmacotherapy Consultation) 임상약리학과에서는 다양한 맞춤약물요법 자문을 수행하고 있으며, 자문 분야는 치료적약물농도모니터링(TDM), 특수 약물 검사(농도 분석 등), 집단 약동/약력학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새로운 약물에 대한 TDM 필요성 검토 및 약동학 분석법 개발, 약물상호작용, 약물유해반응, 용량용법조정, 약물유전학, 의약품정보에 대한 내용을 포괄한다. 약물 대사효소인 CYP2C19 유전형에 기반한 voriconazole의 적정용량용법 확립과 소아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id leukemia, CML) 환자에서 busulfan의 치료역을 결정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근거한 적정약물용법 자문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또한 약물유전체학과 약물대사체학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다양한 약물의 효용성과 부작용에 관한 통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용량용법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환자 진료 및 맞춤약물요법(optimal pharmacotherapy)에 응용하고 있다. 치료적 약물 모니터링(TDM)이란, 개별 환자의 적정 약물요법을 위해 지속적으로 약물반응을 관찰하면서 피드백을 제공하는 일련의 활동을 의미한다. 좁은 의미로는 주로 약물농도 추이를 모니터링하여 유효혈중농도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약물유해반응의 발현을 최소화함으로써 환자 개인별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이용된다. 주요한 서비스 대상이 되는 약물은 치료농도범위가 잘 알려진 몇몇 항생제와 항간질제, 강심제 등이 있으며, 연간 약 1만 건을 실시하고 있다. 적정약물요법을 위한 치료적 약물농도 모니터링은 치료혈장농도범위(therapeutic range of plasma concentration)가 잘 알려져 있는 약물의 투여 시 측정된 약물농도 데이터를 근거로 약물용법을 조정함으로써 약동학적 개인차를 고려한 약물치료가 가능하다. 최근 체액 내 약물 및 이의 대사체를 측정하는 분석화학의 발전과, 임상약물동태학(Clinical pharmacokinetics)의 도입 등으로 임상적으로 개개 환자에서의 TDM이 이미 보편화되고 이러한 새로운 의료분야의 연구 및 임상응용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약물유해반응 자문(Adverse Drug Reaction(ADR) Consultation) 임상약리학과에서는 약물안전센터와 협력하여 약물유해반응 감시 및 관리에 참여하고 있다. 특히 치료적약물모니터링 중 관찰되는 약물유해반응에 대해 능동적 감시 및 관리를 수행하고, 전자의무기록과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 등의 빅데이터로부터 약물유해반응의 시그널을 찾는 등의 활동을 통해 환자, 더 나아가 전국민에게 보다 안전한 약물요법을 제공하는데 기여한다. 교육(Education) 임상약리학과에서는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임상의학에 약리학적 개념을 접목하여 효율적인 약물요법, 개인별 맞춤치료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체계적이고 독자적인 임상약리학 연구방법을 종합하여 관련된 첨단 기초 및 응용과학을 융합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하여 translational medicine 측면에서 21세기 의과학을 이끌어갈 창조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능력을 지닌 전문인력을 배출하고 있다. A. 임상약리학 인정의 수련 프로그램(Clinical pharmacology specialist training) 우리나라에서 임상약리 전공의사 양성을 위한 수련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갖추어진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로서 서울대학교병원에서는 1998년부터 임상약리 전공 연수의사를 선발하여 임상약리학 인정의 수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수련 과정에서 임상약리학 전반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여 맞춤약물요법을 환자 진료에 적용하는 능력을 키우고, 또한 약물반응의 다양성의 원인에 대한 임상약리학적 연구방법을 숙지하여 의학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한다. 2007년부터는 매년 2명의 연수의사를 모집하였고, 2011년부터는 3명씩 모집하고 있다. 주요 수련내용은 다음과 같다. - 임상약동/약력학,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 신약 개발 임상시험 (임상약물연구 설계, 수행, 자문,자료분석) - 치료적 약물 모니터링(TDM) 및 적정약물요법 - 약물유전체학, 약물대사체학 - 약물상호작용 - 특수집단에서의 약물요법(신기능장애, 간기능장애, 노인, 소아 등) - 약물유해반응(ADR) B. 학부 학생교육(Education program for undergraduate students) 임상약리학과에서는 의과대학 학부 과정의 1학년 ‘약리학’ 강의 및 약물의 선택과 처방(P-drug workshop) 같은 실습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4학년 임상특과의 ‘임상약리학’ 강의를 담당하고 있으며, 2013년부터 4학년 선택실습 과정으로 임상약리학 실습교육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본과 2학년 ‘의학연구2’ 과목을 통해 학부 학생들이 실제 임상약리학과에서 이루어지는 업무와 연구과정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또, 여름, 겨울방학에는 의과대학, 약학대학 등의 학생들에게 임상약리학을 접해 볼 수 있도록 인턴십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그 외 여러 임상과와 간호부의 임상약리학 및 치료학 교육에도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 약물반응의 개인차, 약물유전학 - 신약개발과 임상시험 - 적정약물요법과 약동학, 약력학 개념 - 치료적 약물농도 모니터링(TDM) - 약물상호작용 - 약물이상반응 - 연구계획서 및 임상약물연구 참여동의서, IRB - 특수환자집단의 적정 약물요법 - 약물규제 - 의약품정보 C. 대학원 과정(Graduate course) 임상약리학 대학원과정에서는 임상약리학적 방법을 진료 및 연구에 응용할 수 있는 학자 양성을 목표로 한다. 임상약리학 방법을 이용하여 약물유전체 및 대사체학, 약동학-약력학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연구를 수행하여 의학 이론을 심화시키고 다른 이들에게 확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주요 교육주제는 다음과 같다. - 제약의학 (Pharmaceutical Medicine) - 약물이상반응과 과민반응 (Adverse Drug Reactions and Hypersensitivity) - 임상약물상호작용 (Clinical Aspects of Drug Interaction) - 신약 평가, 허가 및 관리 제도 (Regulatory Aspects related to New Drug Development) - 임상약력학 및 임상평가법 (Clinical Pharmacodynamics and Evaluation Methods) - 특수환자집단의 적정약물요법 (Optimal Therapy in Special Patients) - 임상약물유전학 (Clinical Pharmacogenetics) - 약동학/약력학 모델링 특론 (Advanced Methods in PK/PK modeling) - 분자약물유전학 (Molecular Pharmacogenetics) - 임상시험 세미나 (Seminar in Clinical Trials)

어린이병원 > 진료안내 > 진료지원부서
정확도 : 99% 2024.02.06

암조직은행은 인체조직 자원의 수집, 보관, 품질관리, 임상정보 관리 및 보관 조직의 분양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중앙화된 기구의 필요성에 의해 2009년 설립되었다. 2013년 2월부터 개정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원칙에 의거하여 생체시료 중 진단에 사용하고 남은 시료를 적절하게 보관 및 관리한다. 기관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연구과제에 한하여 암조직은행 규정에 따른 심의를 거쳐 윤리적이고 공정하게 자원을 분양함으로써 임상 및 기초의학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한다. 또한 고품질 인체자원의 대규모 수집은 인체자원의 R&D 연구 활성화와 첨단 의료산업 육성 등의 결과를 창출하여 국민 보건과 삶의 질 향상을 가지고 올 것으로 기대된다. - 은행장: 병리과 이혜승 교수 - 정보관리 및 보안담당 책임자: 병리과 곽윤진 교수 - 운영위원회 및 장기별 소위원회 - 인체유래물등의 관리를 위한 연구자 연혁 연혁 2005 년 서울대 학 교병원 유전자은행 개설 허가 2008 년 설립을 위 한 운영위원장 선출 및 운영위원회 구성 2009 년 암조직은행 설립 및 검체 수집 시작 2010 년 질병관리본부 인체자원단위은행 지원사업 채택 2011 년 암병원과 협력하여 암 협력 네트워크 구축 2 013 년 암조직은행 신규 개설 허가 생명윤리법 개정에 따라 동의서 양식 변경 및 전자동의서 시스템 구축 SOP 전면개정 서울대병원 IRB 승인 2016 년 전산관리시스템 도입 2019 년 은행장 및 정보보안책임자 변경 2021 년 은행장 변경 업무개요 업무개요 자원 수집 수집대상: 조직 인체유래물등의 기증동의서 (법정서식 41호) 구득 자원 보관 고유식별번호 부여 (익명화) 검체 등록 및 위치 관리 검체 폐기 관리 보관 방법: Liquid Nitrogen -196 ℃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관리 임상, 역학 정보 수집 및 관리 품질 관리 DNA, RNA purity 및 Integrity확인 조직 morphology 확 인 자원 분양 장기별 소위원회 개최하여 연구심사 진행 제공 후 관리 (IRB 보고, 연구결과 관리) 분양 절차: 1) 분양신청서, 연구계획서, IRB통보서,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제출 2) 장기별 소 위원회 심의 3) 분양 (수납 및 물질이송양해각서, 인체자원수령기록서 작성) 4) 연구결과 발표 후 인체자원 활용결과등록서 제출 수집 자원 종류 Breast Colon and Rectum Endocrine system Thyroid, Adrenal gland Female genitals organs Uterus, Ovary Gastrointestinal tract Stomach, Esophagus, Small intestine Head and Neck Oral cavity, Larynx, Pharynx, Tonsil, Salivary gland Hepatobiliary Liver, Pancreas, AoV, Bile duct, Gallbladder Male genital organs Prostate, Testis Nervous system Brain Skin and Soft tissue Urinary tracts Kidney, Ureter, Bladder, Urethra Other Lung, Thymus, Lymph node, Aortic valve, Spleen, Tendon, Placenta 문의 전화 : 02-2072-2192 이메일 : ctb@snuh.org 홈페이지 : http://biobank.snuh.org (서울대학교병원의생명연구원-BIOBANK–암조직은행)

어린이병원 > 진료안내 > 진료지원부서
정확도 : 99% 2023.04.26
고객참여 (3)

1. 채용기관명 : 서울대병원 신경과 임상연구 보조연구원 (파트타임) 2. 모집부문 및 업무내용 : - 교수님 개인연구원 (서울대학교 병원 소속이 아닌, 신경과 교수님 개인 소속 연구원입니다) - 주업무: 문서작업 - 임상연구 관련 데이터 정리, IRB, 설문지 (대면 및 전화) 등 - 워드/엑셀 사용 가능한 자 3. 모집인원 : 1 명 4. 지원자격 : 종사자교육 이수자 (임상연구원 경력 필수 아님) 5. 근무지 : 서울대병원 뇌전증 집중치료센터 6. 근무조건 - 근무형태 : 계약직 - 급여 : 월 110만원 (세전) - 퇴직금 별도 지급 여부 : 없음 - 근무요일/시간 : 월~금 13:00-17:00 (협의가능) - 식사/식대 제공 여부 : 없음 - 근무환경 (사무용품 등) : 개인책상 컴퓨터 지급 - 업무시작일 : ASAP 7. 복리후생 : - 4대보험 해당없음 - 퇴직금/퇴직연금 해당없음 8. 전형절차 : 서류 및 간단한 면접이 있을 수 있습니다. 9. 지원방법 : awindydayy@gmail.com 으로 보내주세요. 10. 제출서류 : 이력서, 자기소개서 1부씩 교수님 개인 연구원으로, 편안하게 별도 연구실에 책상과 컴퓨터가 제공되며, 임상 경험이 있으시면 더 좋지만 임상 경험이 없어도 충분히 하실 수 있는 업무일 것입니다. 질문 있으신 분도 메일로 편하게 해주시면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많은 지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99% 2019.07.05

1. 채용분야 및 응시자격 채용직종 · 부서 채용 인원 월 최대 근로시간 계약 기간 지원 자격 직무 설명 촉탁보건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1명 통상 약 6개월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휴직대 체근로자 ) 임상병리사 자격증 소지자 첨부 파일 참고 촉탁보건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이비인후과) 1명 통상 약 6개월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휴직대 체근로자 ) 청각사 자격증 소지자 촉탁 운영기능직 약제부 1명 통상 약 3개월 (휴직대 체근로자 ) 촉탁간호직 진료행정팀 (외과) 1명 통상 약 3개월 (휴직대체근로자) 간호사 자격증 소지자 촉탁보건직 임상연구윤리센터 1명 통상 약 6개월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휴직대 체근로자 ) [필수] GCP 등 법규에 대한 지식 [우대] IRB 행정간사 업무 경험자 임상시험 관련 업무 경험자 영어 및 IT 능통자 ▷남자는 병역필 또는 면제자에 한함 ▷공고일 기준 정년퇴직 기준연령(만60세)에 도달한 자는 지원할 수 없음 ▷면허(자격) 을 요하는 분야는 공고일 기준 해당 면허 ( 자격 ) 증 소지자에 한함 ※ 본 채용은 블라인드 공개채용으로 자기소개서 등에 본인의 출신지역 , 가족관계 , 출신학교 등을 직 · 간접적으로 표현하거나 이를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을 기재하는 경우에는 불합격 처리되오니 ,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첨부파일의 채용분야 직무소개서 , 입사지원서 작성요령 및 주의사항을 반드시 확인 후 입사지원서를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 휴직대체 등 대체근로자( 간호직 / 보건직 / 약무직 / 사무직 / 기술직 / 의공직) 어학성적 (TOEIC, TEPS 중 1 개 ) 제출 시 우대 ( 응시마감일기준 2 년 이내 공인어학성적만 인정 ) ※ 재활의학과 단시간 보건직은 근로복지공단 인천병원 파견 근무 예정입니다. ※ 채용공고 내 타부서 및 타직종에 대한 중복지원이 불가합니다. 2. 공고 및 원서접수 가 . 접수기간 : 공고게시일로부터 2019 년 1 월 16 일 오전 9 시까지 나 . 접수방법 : 이메일접수 ○ E-mail 접수처 : snuhinsa@snuh.org 다 . 제출서류 : 입사지원서 및 자기소개서 ( 본원 소정양식 ) 1 부 . ( 엑셀파일 ) ※ 메일 제목을 반드시 하단과 같이 작성할 것 , 채용 이력서 양식 변경금지 - 지원부서 _ 지원직종 _ 성 명 - 예 ) 의무기록팀 _촉탁 보건직 _ 김서울 3. 전형방법 가 . 1 차전형 : 서류전형 나 . 2 차전형 : 실무면접 다 . 3 차전형 : 신체검사 ※ 각 전형 합격 시 차기 차수 전형 기회 부여 ※ 휴직대체의 경우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하여 별도안내 4. 서류제출 안내 ① 학부 및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또는 졸업예정증명서(재학증명서) 1부 ② 학부 및 최종학교 전학년 성적증명서 1부 ☞ 편입자는 편입 전 학교 포함 ③ 병적사항이 기재된 주민등록초본(남자에 한함) 1부 ④ 외부 직업교육 수료증(해당자에 한함) 1부 ⑤ 면허증 및 자격증 사본(해당자에 한함) 1부 ⑥ 유효기간 내 공인 어학성적표 사본(해당자에 한함) 1부 ⑦ 경력증명서(해당자에 한함) 1부 ⑧ 취업보호대상자 및 장애인 증명서(해당자에 한함) 1부 ※ 서류는 2 차 전형 합격자에 한해 추후 제출하며 ( 제출방법 등 2 차 전형 합격자 발표 시 안내 ), 입력사항이 제출서류와 다를 시에는 합격이 취소됨 ※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 일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및 성적증명서 등 제출서류는 입사지원서에 입력한 학교교육사항의 이수 여부 확인 등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되며 , 학교명 등의 정보는 면접전형 및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5. 특 전 ▷ 국가유공자예우등에 관한 법률 적용대상자 , 등록 장애인 및 ( 준 ) 고령자는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우대합니다 . ▷ 등록 장애인 지원자는 서류전형 등에서 가점을 부여하며 , 병원 기준에 의거 일정 인원 우선 선발될 수 있습니다 .( 단 , 채용분야 직무수행에 지장이 없는 자에 한함 ) 6. 유의사항 ▷ 응시원서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를 경우 ( 허위기재 , 증명서 미제출 등 ) 에는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 됨 ▷ 국가공무원법 제 33 조와 본원 인사규정의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됨 제19조 (결격사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직원으로서 채용될 수 없다. 1. 피성년후견인,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특정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7. 병역의무자로서 병역기피를 한 자 8. 징계처분에 의하여 해임된 자로서 5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제82조에 따른 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자 ▷ 우리병원에서 수탁 운영하는 의료기관에서도 근무할 수 있음 ▷ 동종 직무를 수행하는 다른 부서에서도 근무할 수 있음 ▷ 보수는 본원 규정에 의거 지급 ▷ 응시인원이 모집인원과 같거나 미달하더라도 적격자가 없는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음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인사팀 (02-2072-2715) 으로 문의바람 2019. 1. 10. 서울대학교병원장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99% 2019.02.28
병원소개 (16)

- 제 13회 의료기기의 날 기념행사에서 수상 - 국내 의료기기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 인정받아 그림 1 서울대병원 의공학과 김희찬 교수 서울대병원 의공학과 김희찬 교수는 지난 주 열린 제 13회 의료기기의 날 기념행사에서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의료기기의 날 행사는 의료기기 안전 관리와 산업발전에 힘쓴 의료기기인의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개최된다. 김희찬 교수는 1991년 서울대병원 의공학과 교수로 임용돼, 젊은 의료인과 의공학도를 양성하는데 힘썼다. 서울대병원 의공학과장, IRB 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활발한 의료기기 임상연구를 지원했다. 특히, 2006년부터 다양한 식약처 과제에 자문위원으로 참여하며 국내 의료기기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뿐만 아니라,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 서울바이오허브 지식공동체 전문위원, 심평원 의료기기 정책자문위원단 등 의료기기 분야 이외 다방면에서 활동 중이다. 김 교수는 오랜 시간 국내 의료기기 분야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왔고 이렇게 의미 있는 수상을 하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국내 의료기기 경쟁력 강화에 힘닿는 데까지 노력 하겠다고 밝혔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4% 2020.12.11

임상시험자원자 모집 전용 웹사이트 국내 최초 오픈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시험센터(센터장 방영주)가 2월 2일 별도의 도메인을 가진 임상시험자원자 모집 웹사이트( snuhclinicaltrials.com )를 국내 최초로 오픈했다.이 웹사이트는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윤리심의위원회(IRB)의 승인을 통해 피험자의 권리와 안전을 확보했다.임상시험 희망자라면 누구나 이 웹사이트에서 서울대병원에서 진행되는 임상시험의 참여에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성별, 나이, 기간, 비만도(BMI), 흡연여부 등을 입력하면, 자신의 조건에 맞는 임상시험을 별도로 검색할 수 있다.사이트는 한국어와 영어는 물론 중국어, 일본어로도 이용이 가능해 외국인 자원자들의 접근성을 크게 높였다.지난 2012년 보건복지부로부터 국내 첫 임상시험글로벌선도센터로 지정받은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시험센터는 최근 3년간(12~14년) 식품의약품안전처 승인 기준 최다 임상시험 실시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국내 임상시험을 주도하고 있다.이번 사이트 개설은 임상시험센터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 향후 국내를 넘어 다양한 인종을 대상으로 하는 다국적 임상시험을 보다 활발히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방영주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장(임상시험센터장 겸임)은 “이 웹사이트는 환자의 알 권리를 확대하는 측면에서 구축되었으며 앞으로 이러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것” 라고 말했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4% 2015.02.12

- 서울대학교암병원 암정보교육센터 2012년 운영성과 발표 - 월 평균 상담 건수 540여 건으로 전년 대비 80% 증가 - 암정보 콘텐츠 강화 및 전달 매체 개선, 자원봉사활동 체계화·활성화 위한 매뉴얼 개발 - 환자 및 의료진의 암정보 관련 요구 연구 및 미국 대형병원의 환자 교육 분석 서울대학교암병원 암정보교육센터가 12월 13일 오후 5시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11층 가든뷰에서 연말워크숍을 열어, 2012년 운영성과를 발표하고 센터 운영에 기여한 자원봉사자들의 노고에 감사를 표했다. 사진 : 암정보교육센터 연말워크샵 단체사진 의료진과 교육프로그램 강사, 자원봉사자, 기부자, 타병원 암센터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 행사는 개인별 맞춤형을 기반으로 하는 상담서비스, 암정보 콘텐츠, 교육프로그램, 문화행사, 자원봉사활동 등 암정보교육센터의 사업 내용을 소개하고 2012년 운영보고, 기록영상 상영의 순서로 열렸다. 또한 센터 운영에 기여한 자원봉사자들에 대한 감사패 및 감사장 수여와 교육프로그램 참여 환우, 자원봉사자들의 소감 발표가 포함된 간담회가 이어졌다. 2012년 1월부터 11월까지 암정보교육센터 운영보고에 따르면 월 평균 상담 건수는 540여 건으로, 2011년 월 평균 300여 건에 비해 80%나 증가했다. 참여형 및 강의형 교육프로그램의 경우, 월 평균 참여자 수가 690여 명으로 2011년의 월 평균 610여 명보다 약 13% 늘어났으며 만족도 조사에서 응답자의 90% 이상이 아주 만족 또는 만족한다고 답했다. 한편, 2011년 4월 암정보교육센터 개소 이래 총 누적 상담 건수는 8700여 명, 총 교육 참여자는 1만 309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암정보 콘텐츠와 관련해서는 기존 콘텐츠 업데이트 및 추가 개발, 외국인 환자를 위한 영문 리플릿 제작, 검사 및 치료 동영상 콘텐츠의 질환별 매핑 작업 등과 함께 암정보 콘텐츠에 대해 저작권 등록을 진행하였다. 이렇게 강화된 암정보 콘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리플릿, QR코드, '내게 맞는 암정보' 애플리케이션, 암정보교육센터 홈페이지, 스마트도우미 등의 콘텐츠 제공 매체 역시 개선하였다. 또한 암정보교육센터는 센터 운영에 있어 전문연주자로 이뤄진 문화자원봉사자, 의대생 등 전문자원봉사자, 대학생, 환우, 강사 등 다양한 자원봉사자들의 참여와 활동이 중요하다는 점에 착안하여, 자원봉사자들이 보다 체계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돕고 궁극적으로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기 위해 매뉴얼을 제작하였다. 뿐만 아니라 향후 암환자와 가족, 의료진 등의 요구가 보다 정확히 반영한 맞춤형 암정보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서울대학교병원 IRB의 승인을 받아 연구를 수행했으며 미국 연수를 바탕으로 MD 앤더슨 암센터, 존스홉킨스병원, 메모리얼 슬로언-케터링 암센터 등 7개의 주요 대형병원과 서울대학교암병원의 환자 교육 및 지원 사업을 비교하는 등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암정보 및 교육 제공을 위한 활동을 펼쳤다. 한편 암정보교육센터는 운영보고에 이어 한 해 동안 센터 운영에 큰 도움을 준 자원봉사자들에게 감사패 및 감사장을 전달하고 교육프로그램 참여 환자 및 자원봉사자들의 소감을 나누는 간담회를 가졌다. 노동영 서울대학교암병원장은 “암 치료뿐 아니라 암환자 교육, 관리 그리고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서울대학교암병원은 개원과 함께 암정보교육센터를 운영하며 이러한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왔다.”며 “올해에도 많은 분들의 관심과 성원, 참여 덕분에 암정보교육센터가 암환자와 가족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칠 수 있었던 것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암병원 > 병원소개 > 공지사항 > 공지사항
정확도 : 94% 2012.12.17
홈페이지 (5)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보라매병원 강남센터 의국원소개 박경수 (1992-현재) 1984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1992년 발령 받았다. 1995년-1997년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내분비대사내과에서 research fellow로 연수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분과장, 당뇨 및 내분비질환 유전체연구센터장, 의생명원구원 중개의학연구소장, 의생명연구원장 및 정밀의료센터장을 역임하였다. The 1st symposium on Genetics of Diabetes Mellitus를 시작으로 2005, 2006, 2008, 2011, 2015년 Seoul Symposium on Obesity and Diabetes, 2018년 Keystone Symposia 등 여러 국제학회를 주최하였다. 주요 학회 보직으로는 대한내분비학회 총무이사, 연구이사, 부회장, 대한당뇨병학회 학술이사, 연구이사, 간행이사, 이사장,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학술이사, 이사장, 한국유전체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또한 대한당뇨병학회 설원학술상, 대한내분비학회 남곡학술상, 보건산업기술대상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함춘동아학술상, 서울대학교 연구력 향상 교수 공로상, 분쉬의학상 본상, 과학기술훈장 혁신장 등을 수상하였다. 대한민국 의학한림원과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박도준 (1998-현재) 1985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수련을 마친 후 1989년-1994년 미국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연구원 및 1995년 미국 Joslin Diabetes Center 연구원으로 연수하였다. 이후 한국에 돌아와 1996년-1997년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수련을 받고, 1998년 발령받았다. 2001년-2002년 미국 National Institute of Health의 special consultant로서 역할을 하였다. 1999년-2003년 조보연 교수와 함께 서울 갑상선 심포지엄을 주관하여 개최한 바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갑상선센터장, 내분비대사내과 분과장을 역임하였고, 2016년 국립보건연구원장으로 임명되어 3년간 재직 후 2019년 서울대학교병원으로 복귀하였다. 2020년부터는 대한갑상선학회 부회장으로 활동중이다. 신찬수 (1995-현재) 1987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1995년 발령받았다. 1998년-2000년 미국 Washington University in St.Louis에서 연수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의료혁신 실장, 정보화실장, 뇌하수체센터장, 내분비 대사내과 분과장, 강남센터 헬스케어연구소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무부학장을 역임하였고, 2010년 강남센터 부원장, 2016년 서울대학교병원 진료부원장, 2018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장으로 임명되었다. 학회 활동으로는 대한내분비학회 총무이사, 연구이사, 대한골대사학회 학술이사, 역학위원장, 전시위원장, 국제협력이사를 역임하였고, 2012년 대한내분비학회 남곡학술상을 수상하였다. 박영주 (2001-현재) 1994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01년 보라매병원에 발령받았다. 2004년 분당병원으로 이동하였고, 2011 년부터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재직 중이다. 2005년-2006년 미국 Baylor College of Medicine in Texas Medical Center에서 연수하였다. 2016년부터 서울대학교병원 갑상선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며, 대한내분비학회 홍보이사, 대한갑상선학회 총무이사를 역임하였고, 대한내분비학회 간행위원회 부편집장, 대한갑상선학회 학술이사로 활동 중이다. 2018년 대한암학회 광동 암학술상과 대한내분비학회 남곡학술상을 수상하였다. 조영민 (2003-현재) 1996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03년 서울대병원에 발령받았다. 2009년-2010년 캐나다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에서 연수하였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비전추진단장, 대외협력실장, 연건학생생활관장, 서울대학교병원 대외협력실장, 배곧서울대병원 설립추진단장, 한국건강관리협회 이사, 대한내분비학회 기획이사, 대한당뇨병학회 총무이사, 재무이사 등을 역임하였다. 2020년부터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분과장을 맡고 있다. 2014년 대한당뇨병학회 젊은연구자상, 2018년 아시아당뇨병학회(AASD) Masato Kasuga Award 등을 수상하였다. 정혜승 (2008-현재) 1999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05년부터 3년 간 삼성서울병원에서 임상강사로 근무 후 2008년 서울대 병원에 발령받았다. 2016년-2018년 미국 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연수하였다. 대한내분비학회와 대한당뇨병학회에서 평의원, 연구위원, 학술위원, 간행 전문심사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조선욱 (2015-현재) 2002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09년-2010년, 2012년-2013년, 2015년부터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재직 중이다. 2010년-2012년 미국 Michigan State University University 치과대학 연구교수, 2013년-2015년 국립중앙의료원 내과 갑상선센터장을 역임한 바 있다. 대한골대사학회 연구 위원장을 역임하였고, 대한내분비학회 연구위원회 간사로 활동 중이다. 곽수헌 (2011-현재) 2002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11년 서울대학교병원에 발령받았다. 대한당뇨병학회 부총무, 대한내분비학회 기획위원회 간사로 활동 중이다. 김정희 (2012-현재) 2006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12년 서울대학교병원 진료교수, 2016년 임상조교수, 2020년부터는 임상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9년 9월부터 서울대학교병원 뇌하수체센터장을 맡고 있으며 현재 대한내분비학회 부총무, 간행위원, 학술위원, 보험위원, 부신연구회/신경내분비연구회/대사성골질환연구회/희귀질환연구회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대한내분비학회 향설연구자상, EnM 연구상, EnM 학술상, 서울대학교병원 젊은연구자상, 대한내과학회 청람연구상을 수상하였다. 의국원소개 장학철 (2003-현재) 1983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 임의 과정을 거쳐, 1990년 삼성제일병원 내과 진료과장으로 발령 받았다. 1994년-1995년 Northwester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hicago에서 연수하였다. 성균관의대 삼성 제일병원 조교수, 부교수로서 재직하였고 2002년-2003년에는 삼성제일병원 의학연구소장 을 역임하였다. 2003년 분당서울대병원이 개원하면서 내분비대사내과에 부임하여 창립 멤버 로서 병원의 기반을 쌓고 발전시키는데 기여하였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교육연구실 의학자 료정보센터장, 교육연구실장 및 의학연구소장, 내분비대사내과 분과장, 내과 과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무부학장보 를 역임하였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입원전담진료센터장, IRB 대표위원장, 교수협의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학회 활동 으로는 대한내분비학회 고시이사, 대한당뇨병학회 식품영양이사, 무임소이사,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임상연구 이사, 대한노인병학회 총무이사, 학술이사, 정책이사, 부회장, 이사장, 대한근감소증학회 부회장을 역임하였고, 대한근감소 증학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수상으로는 대한당뇨병학회 설원학술상, 대한내분비학회 남곡학술상 등이 있다. 임 수 (2005-현재) 1996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05년 분당병원에 발령받았다. 2011년-2012년 미국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방문교수로 연수하였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의료정보센터 실무담당, 기획 조정실 기획담당보를 역임하였다. 주요 학회 활동으로는 대한노인병학회 총무이사, 대한비만학회 편집이사,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무임소이사, 심장대사연구회 국제협력이사로 활동 중이며, 함춘학술상, 대한내분비학회 남곡학술상 등을 수상하였다. 최성희 (2004-현재) 1997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연구강사 과정을 마치고, 2003년 일산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분과장을 역임한 후, 2004년 분당병원에 발령받았다. 2009년-2011년 미국 Columbia University 방문교수로 연수하였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소 간사(융복합연구실장)를 역임하였고, 대한당뇨병학회 국제협 력이사, 부총무, 간행위원, 대한내분비학회 기획위원, 연구위원회 간사,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총무이사 등으로 활동하였으며, 2009년 서울대학교 우수연구교수상, 2015년 대한내분비학회 연구본상을 수상하였다. 문재훈 (2012-현재) 2001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12년 분당병원에 발령받았다. 2017년-2018년 미국 Scripps Research Translational Institute, San Diego에서 연수하였다. 대한내분비학회 국제협력위원 및 대한갑상선학회 간행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오태정 (2015-현재) 2007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15년 분당병원에 발령받았다. 대한당뇨병학회 진료지침위원회, 환자관리위원회, 간행위원회, 대한당뇨병학회 신경병증 연구회, 대한비만학회 진료지침위원회, 비만대사외과학회 교육연수위원회, 심장대사증후군학회 간행위원회의 위원 및 대한당뇨병학회 임싱성당뇨병 연구회 간사로 활동 중이다. 안창호 (2019-현재) 2009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16년-2018년 서울대학교병원 진료교수로 근무하였다. 2019년 부터 분당병원에 재직 중이다 공성혜 (2021-현재) 2012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18년-2021년 서울대학교병원 진료교수로 근무하였다. 2021년 부터 분당병원에 임상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가희 (2011-현재) 1987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1994년 한국원자력의학원 내분비내과 과장으로 발령받았다. 2000 년-2002년 일본 National Cancer Center Research Institute에서 연수하였다. 2011년부터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내분비대사내과에 재직하면서 갑상선센터장과 내분비대사내과 분과 장을 역임하였다. 학회 활동으로는 대한갑상선학회 총무이사, 국제협력이사, 진료지침제정이사를 역임하였고, 2017년부터 대한내분비학회 부회장 및 대한갑상선학회 이사장으로 활동 중 이다. 2014년 대한갑상선학회 소헌학술상을 수상하였다. 김상완 (2004-현재) 1994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04년 보라매병원에 발령받았다. 2008년-2009년 미국 Harvard University/MGH Endocrine Unit에서 연수하였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무부학장보, 보라매병원 갑상선센터장, 대한골대사학회 학술이사, 대한내분비학회 연구이사를 역임하였고 보라매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분과장 및 대한내분비학회 간행위원회 부편집장, 대한골대사학회 심화과정이사로 활동 중이다. 문민경 (2003-현재) 1996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03년 보라매병원에 발령받았다. 주요 학회활동으로 대한당뇨병학회 및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진료지침위원회 위원,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간행위원회 간사, 대한당뇨병학회 수련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구보경 (2009-현재) 2001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07년 서울을지병원에 발령받았다. 2009년부터 보라매병원에서 재직 중이다. 2017년-2018년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에서 연수하였다. 의국원소개 윤지완 (2011-현재) 2003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10년 분당병원, 2011년 강남센터에 발령받아 재직 중이다. 김민주 (2018-현재) 2005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12년부터 4년간 원자력병원에서 근무하였다. 2016년-2018년 서울대학교병원 진료교수로 근무하였고, 2018년부터 강남센터에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 소개 > 의국원 소개
정확도 : 99% 2021.03.29

서울대학교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보라매병원 강남센터 의국원소개 박경수 (1992-현재) 1984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 의 과정을 마치고, 1992년 발령 받았다. 1995년-1997년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내분비대사내과에서 research fellow로 연수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분과장, 당뇨 및 내분비질환 유전체연구센터장, 의생명원구원 중개의학연구소장을 역임하였 고, 2017년 의생명원구원장으로 임명되었다. The 1st symposium on Genetics of Diabetes Mellitus를 시작으로 2005, 2006, 2008, 2011, 2015년 Seoul Symposium on Obesity and Diabetes, 2018년 Keystone Symposia 등 여러 국제학회를 주최하였다. 주요 학회 보직으로 는 대한내분비학회 총무이사, 연구이사, 부회장, 대한당뇨병학회 학술이사, 연구이사, 간행이사, 한국지질동맥경화학 회 학술이사, 이사장, 한국유전체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고 2018년부터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으로 활동 중이다. 또 한 대한당뇨병학회 설원학술상, 대한내분비학회 남곡학술상, 보건산업기술대상 보건복지부장관 표창, 함춘동아학술 상, 서울대학교 연구력 향상 교수 공로상, 분쉬의학상 본상, 과학기술훈장 혁신장 등을 수상하였다. 대한민국 의학한림 원과 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박도준 (1998-현재) 1985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수련을 마친 후 1989 년-1994년 미국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연구원 및 1995년 미국 Joslin Diabetes Center 연구원으로 연수하였다. 이후 한국에 돌아와 1997년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 과 전임의 수련을 받고, 1998년 발령받았다. 2001년 미국 National Institute of Health의 special consultant로서 역할을 하였다. 1999년-2003년 조보연 교수와 함께 서울 갑상선 심 포지엄을 주관하여 개최한 바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갑상선센터장, 내분비대사내과 분과장을 역임하였고, 2016년 국립보건연구원장으로 임명되었다. 신찬수 (1995-현재) 1987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 의 과정을 마치고, 1995년 발령받았다. 1998년-2000년 미국 Washington University in St.Louis에서 연수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의료혁신 실장, 정보화실장, 뇌하수체센터장, 내분비 대사내과 분과장, 강남센터 헬스케어연구소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무부학장을 역임하였고, 2010년 강남센터 부원장, 2016년 서울대학교병원 진료부원장, 2018년 서울대학교 의과대 학 학장으로 임명되었다. 학회 활동으로는 대한내분비학회 총무이사, 연구이사, 대한골대사학 회 학술이사, 역학위원장, 전시위원장, 국제협력이사를 역임하였고, 2012년 대한내분비학회 남곡학술상을 수상하였다. 박영주 (2001-현재) 1994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 의 과정을 마치고, 2001년 보라매병원에 발령받았다. 2004년 분당병원으로 이동하였고, 2011 년부터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재직 중이다. 2005년-2006년 미국 Baylor College of Medicine in Texas Medical Center에서 연수하였다. 2016년부터 서울대학교병원 갑상선센터장, 내분 비대사내과 분과장으로 재직 중이며, 대한내분비학회 홍보이사를 역임하였고, 대한내분비학 회 간행위원회 부편집장, 대한갑상선학회 총무이사로 활동 중이다. 2018년 대한암학회 광동 암학술상과 대한내분비학회 남곡학술상을 수상하였다. 조영민 (2003-현재) 1996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 의 과정을 마치고, 2003년 서울대병원에 발령받았다. 2009년-2010년 캐나다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에서 연수하였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비전추진단장을 역임하였고, 연건학 생생활관장, 서울대학교병원 대외협력실장, 한국건강관리협회 이사, 대한내분비학회 기획이사, 대한당뇨병학회 총무이사로 활동 중이다. 2018년 AASD Masato Kasuga Award를 수상 하였다. 정혜승 (2008-현재) 1999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 의 과정을 마치고, 2005년부터 3년 간 삼성서울병원에서 임상강사로 근무 후 2008년 서울대 병원에 발령받았다. 2016년-2018년 미국 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연수하였다. 대한 내분비학회와 대한당뇨병학회에서 간행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조선욱 (2015-현재) 2002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 임의 과정을 마치고, 2009년-2010년, 2012년-2013년, 2015년부터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재직 중이다. 2010년-2012년 미국 Michigan State University University 치과대학 연구교수, 2013년-2015년 국립중앙의료원 내과 갑상선센터장을 역임한 바 있다. 대한골대사학회 연구 위원장을 역임하였고, 대한내분비학회 연구위원회 간사로 활동 중이다. 곽수헌 (2011-현재) 2002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 의 과정을 마치고, 2011년 서울대학교병원에 발령받았다. 대한당뇨병학회 부총무, 대한내분비학회 기획위원회 간사로 활동 중이다. 김정희 (2012-현재) 2012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 의 과정을 마치고, 2018년부터 서울대학교병원 진료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성혜 (2018-현재) 2006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 의 과정을 마치고, 2012년 서울대학교병원에 발령받았다. 대한내분비학회 수련위원회 간사, 대한골대사학회 역학위원회 간사로 활동 중이다. 의국원소개 장학철 (2003-현재) 1983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 임의 과정을 거쳐, 1990년 삼성제일병원 내과 진료과장으로 발령 받았다. 1994년-1995년 Northwester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hicago에서 연수하였다. 성균관의대 삼성 제일병원 조교수, 부교수로서 재직하였고 2002년-2003년에는 삼성제일병원 의학연구소장 을 역임하였다. 2003년 분당서울대병원이 개원하면서 내분비대사내과에 부임하여 창립 멤버 로서 병원의 기반을 쌓고 발전시키는데 기여하였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교육연구실 의학자 료정보센터장, 교육연구실장 및 의학연구소장, 내분비대사내과 분과장, 내과 과장,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무부학장보 를 역임하였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입원전담진료센터장, IRB 대표위원장, 교수협의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학회 활동 으로는 대한내분비학회 고시이사, 대한당뇨병학회 식품영양이사, 무임소이사,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임상연구 이사, 대한노인병학회 총무이사, 학술이사, 정책이사, 부회장, 이사장, 대한근감소증학회 부회장을 역임하였고, 대한근감소 증학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주요 수상으로는 대한당뇨병학회 설원학술상, 대한내분비학회 남곡학술상 등이 있다. 임 수 (2005-현재) 1996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 임의 과정을 마치고, 2005년 분당병원에 발령받았다. 2011년-2012년 미국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방문교수로 연수하였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의료정보센터 실무담당, 기획 조정실 기획담당보를 역임하였고, 2016년 이후 내분비대사내과 분과장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학회 활동으로는 대한노인병학회 총무이사, 대한비만학회 편집이사, 한국지질동맥경화학 회 무임소이사, 심장대사연구회 국제협력이사로 활동 중이며, 함춘학술상, 대한내분비학회 남 곡학술상 등을 수상하였다. 최성희 (2004-현재) 1997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 내과 연구강사 과정을 마치고, 2003년 일산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분과장을 역임한 후, 2004년 분당병원에 발령받았다. 2009년-2011년 미국 Columbia University 방문교수로 연수하였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소 간사(융복합연구실장)를 역임하였고, 대한당뇨병학회 국제협 력이사, 부총무, 간행위원, 대한내분비학회 기획위원, 연구위원회 간사, 한국지질동맥경화학 회 총무이사 등으로 활동하였으며, 2009년 서울대학교 우수연구교수상, 2015년 대한내분비 학회 연구본상을 수상하였다. 문재훈 (2012-현재) 2001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 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12년 분당병원에 발령받았다. 2017년-2018년 미국 Scripps Research Translational Institute, San Diego에서 연수하였다. 대한내분비학회 국제협력위 원 및 대한갑상선학회 간행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오태정 (2015-현재) 2007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 의 과정을 마치고, 2015년 분당병원에 발령받았다. 대한비만대사외과학회 교육연수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안창호 (2019-현재) 2009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 의 과정을 마치고, 2016년-2018년 서울대학교병원 진료교수로 근무하였다. 2019년 부터 분당병원에 재직 중이다 의국원소개 이가희 (2011-현재) 1987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 임의 과정을 마치고, 1994년 한국원자력의학원 내분비내과 과장으로 발령받았다. 2000 년-2002년 일본 National Cancer Center Research Institute에서 연수하였다. 2011년부터 서울대학교 보라매병원 내분비대사내과에 재직하면서 갑상선센터장과 내분비대사내과 분과 장을 역임하였다. 학회 활동으로는 대한갑상선학회 총무이사, 국제협력이사, 진료지침제정이 사를 역임하였고, 2017년부터 대한내분비학회 부회장 및 대한갑상선학회 이사장으로 활동 중 이다. 2014년 대한갑상선학회 소헌학술상을 수상하였다. 김상완 (2004-현재) 1994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 임의 과정을 마치고, 2004년 보라매병원에 발령받았다. 2008년-2009년 미국 Harvard University/MGH Endocrine Unit에서 연수하였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무부학장보, 보 라매병원 갑상선센터장을 역임하였고, 보라매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분과장 및 대한골대사학회 학술이사, 대한내분비학회 연구이사로 활동 중이다. 문민경 (2003-현재) 1996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 의 과정을 마치고, 2003년 보라매병원에 발령받았다. 주요 학회활동으로 대한당뇨병학회 및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진료지침위원회 위원, 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 간행위원회 간사, 대한당 뇨병학회 수련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구보경 (2009-현재) 2001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 의 과정을 마치고, 2007년 서울을지병원에 발령받았다. 2009년부터 보라매병원에서 재직 중 이다. 2017년-2018년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에서 연수하였다. 의국원소개 윤지완 (2011-현재) 2003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의 과정을 마치고, 2010년 분당병원, 2011년 강남센터에 발령받아 재직 중이다. 김민주 (2018-현재) 2005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병원 내과 전공의, 내분비대사내과 전임 의 과정을 마치고, 2012년부터 4년간 원자력병원에서 근무하였다. 2016년-2018년 서울대학 교병원 진료교수로 근무하였고, 2018년부터 강남센터에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병원 내분비대사내과 > 게시판_콘텐츠_백업 > 소개-의국원소개
정확도 : 99% 2020.10.28

1. 채용기관명 : 서울대병원 신경과 임상연구 보조연구원 (파트타임) 2. 모집부문 및 업무내용 : - 교수님 개인연구원 (서울대학교 병원 소속이 아닌, 신경과 교수님 개인 소속 연구원입니다) - 주업무: 문서작업 - 임상연구 관련 데이터 정리, IRB, 설문지 (대면 및 전화) 등 - 워드/엑셀 사용 가능한 자 3. 모집인원 : 1 명 4. 지원자격 : 종사자교육 이수자 (임상연구원 경력 필수 아님) 5. 근무지 : 서울대병원 뇌전증 집중치료센터 6. 근무조건 - 근무형태 : 계약직 - 급여 : 월 110만원 (세전) - 퇴직금 별도 지급 여부 : 없음 - 근무요일/시간 : 월~금 13:00-17:00 (협의가능) - 식사/식대 제공 여부 : 없음 - 근무환경 (사무용품 등) : 개인책상 컴퓨터 지급 - 업무시작일 : ASAP 7. 복리후생 : - 4대보험 해당없음 - 퇴직금/퇴직연금 해당없음 8. 전형절차 : 서류 및 간단한 면접이 있을 수 있습니다. 9. 지원방법 : awindydayy@gmail.com 으로 보내주세요. 10. 제출서류 : 이력서, 자기소개서 1부씩 교수님 개인 연구원으로, 편안하게 별도 연구실에 책상과 컴퓨터가 제공되며, 임상 경험이 있으시면 더 좋지만 임상 경험이 없어도 충분히 하실 수 있는 업무일 것입니다. 질문 있으신 분도 메일로 편하게 해주시면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많은 지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채용사이트 > 입사지원 > 채용공고/입사지원
정확도 : 99% 2019.07.05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