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male"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4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진료과/센터/클리닉 (1)
암조직은행

암조직은행은 인체조직 자원의 수집, 보관, 품질관리, 임상정보 관리 및 보관 조직의 분양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중앙화된 기구의 필요성에 의해 2009년 설립되었다. 2013년 2월부터 개정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원칙에 의거하여 생체시료 중 진단에 사용하고 남은 시료를 적절하게 보관 및 관리한다. 기관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연구과제에 한하여 암조직은행 규정에 따른 심의를 거쳐 윤리적이고 공정하게 자원을 분양함으로써 임상 및 기초의학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한다. 또한 고품질 인체자원의 대규모 수집은 인체자원의 R&D 연구 활성화와 첨단 의료산업 육성 등의 결과를 창출하여 국민 보건과 삶의 질 향상을 가지고 올 것으로 기대된다. - 은행장: 병리과 이혜승 교수 - 정보관리 및 보안담당 책임자: 병리과 곽윤진 교수 - 운영위원회 및 장기별 소위원회 - 인체유래물등의 관리를 위한 연구자 연혁 연혁 2005 년 서울대 학 교병원 유전자은행 개설 허가 2008 년 설립을 위 한 운영위원장 선출 및 운영위원회 구성 2009 년 암조직은행 설립 및 검체 수집 시작 2010 년 질병관리본부 인체자원단위은행 지원사업 채택 2011 년 암병원과 협력하여 암 협력 네트워크 구축 2 013 년 암조직은행 신규 개설 허가 생명윤리법 개정에 따라 동의서 양식 변경 및 전자동의서 시스템 구축 SOP 전면개정 서울대병원 IRB 승인 2016 년 전산관리시스템 도입 2019 년 은행장 및 정보보안책임자 변경 2021 년 은행장 변경 업무개요 업무개요 자원 수집 수집대상: 조직 인체유래물등의 기증동의서 (법정서식 41호) 구득 자원 보관 고유식별번호 부여 (익명화) 검체 등록 및 위치 관리 검체 폐기 관리 보관 방법: Liquid Nitrogen -196 ℃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관리 임상, 역학 정보 수집 및 관리 품질 관리 DNA, RNA purity 및 Integrity확인 조직 morphology 확 인 자원 분양 장기별 소위원회 개최하여 연구심사 진행 제공 후 관리 (IRB 보고, 연구결과 관리) 분양 절차: 1) 분양신청서, 연구계획서, IRB통보서,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제출 2) 장기별 소 위원회 심의 3) 분양 (수납 및 물질이송양해각서, 인체자원수령기록서 작성) 4) 연구결과 발표 후 인체자원 활용결과등록서 제출 수집 자원 종류 Breast Colon and Rectum Endocrine system Thyroid, Adrenal gland Female genitals organs Uterus, Ovary Gastrointestinal tract Stomach, Esophagus, Small intestine Head and Neck Oral cavity, Larynx, Pharynx, Tonsil, Salivary gland Hepatobiliary Liver, Pancreas, AoV, Bile duct, Gallbladder Male genital organs Prostate, Testis Nervous system Brain Skin and Soft tissue Urinary tracts Kidney, Ureter, Bladder, Urethra Other Lung, Thymus, Lymph node, Aortic valve, Spleen, Tendon, Placenta 문의 전화 : 02-2072-2192 이메일 : ctb@snuh.org 홈페이지 : http://biobank.snuh.org (서울대학교병원의생명연구원-BIOBANK–암조직은행)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18% 2023.04.26
이용안내 (1)

암조직은행은 인체조직 자원의 수집, 보관, 품질관리, 임상정보 관리 및 보관 조직의 분양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중앙화된 기구의 필요성에 의해 2009년 설립되었다. 2013년 2월부터 개정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원칙에 의거하여 생체시료 중 진단에 사용하고 남은 시료를 적절하게 보관 및 관리한다. 기관연구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연구과제에 한하여 암조직은행 규정에 따른 심의를 거쳐 윤리적이고 공정하게 자원을 분양함으로써 임상 및 기초의학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한다. 또한 고품질 인체자원의 대규모 수집은 인체자원의 R&D 연구 활성화와 첨단 의료산업 육성 등의 결과를 창출하여 국민 보건과 삶의 질 향상을 가지고 올 것으로 기대된다. - 은행장: 병리과 이혜승 교수 - 정보관리 및 보안담당 책임자: 병리과 곽윤진 교수 - 운영위원회 및 장기별 소위원회 - 인체유래물등의 관리를 위한 연구자 연혁 연혁 2005 년 서울대 학 교병원 유전자은행 개설 허가 2008 년 설립을 위 한 운영위원장 선출 및 운영위원회 구성 2009 년 암조직은행 설립 및 검체 수집 시작 2010 년 질병관리본부 인체자원단위은행 지원사업 채택 2011 년 암병원과 협력하여 암 협력 네트워크 구축 2 013 년 암조직은행 신규 개설 허가 생명윤리법 개정에 따라 동의서 양식 변경 및 전자동의서 시스템 구축 SOP 전면개정 서울대병원 IRB 승인 2016 년 전산관리시스템 도입 2019 년 은행장 및 정보보안책임자 변경 2021 년 은행장 변경 업무개요 업무개요 자원 수집 수집대상: 조직 인체유래물등의 기증동의서 (법정서식 41호) 구득 자원 보관 고유식별번호 부여 (익명화) 검체 등록 및 위치 관리 검체 폐기 관리 보관 방법: Liquid Nitrogen -196 ℃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 관리 임상, 역학 정보 수집 및 관리 품질 관리 DNA, RNA purity 및 Integrity확인 조직 morphology 확 인 자원 분양 장기별 소위원회 개최하여 연구심사 진행 제공 후 관리 (IRB 보고, 연구결과 관리) 분양 절차: 1) 분양신청서, 연구계획서, IRB통보서,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서 제출 2) 장기별 소 위원회 심의 3) 분양 (수납 및 물질이송양해각서, 인체자원수령기록서 작성) 4) 연구결과 발표 후 인체자원 활용결과등록서 제출 수집 자원 종류 Breast Colon and Rectum Endocrine system Thyroid, Adrenal gland Female genitals organs Uterus, Ovary Gastrointestinal tract Stomach, Esophagus, Small intestine Head and Neck Oral cavity, Larynx, Pharynx, Tonsil, Salivary gland Hepatobiliary Liver, Pancreas, AoV, Bile duct, Gallbladder Male genital organs Prostate, Testis Nervous system Brain Skin and Soft tissue Urinary tracts Kidney, Ureter, Bladder, Urethra Other Lung, Thymus, Lymph node, Aortic valve, Spleen, Tendon, Placenta 문의 전화 : 02-2072-2192 이메일 : ctb@snuh.org 홈페이지 : http://biobank.snuh.org (서울대학교병원의생명연구원-BIOBANK–암조직은행)

어린이병원 > 진료안내 > 진료지원부서
정확도 : 99% 2023.04.26
홈페이지 (2)

Dexamethasone 투약 후 발생한 딸꾹질 사례 표 정보 남/67세 기저질환 비소세포성 폐암 과거력 약물과 관련된 과거 이상반응 없었음 약물이상반응 병력 요약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로 덱사메타손 경구투여하였고, 이틀 후 딸꾹질이 지속되어 보고되었다. 투약력 2019-11-12 항암치료 후 퇴원약으로 덱사메타손 1일 2회 3일간 투약하도록 처방되었다. 조치 및 경과 바클로펜 1정씩 하루 3번 7일간 투약하도록 처방되었다. 이후 딸꾹질의 지속 여부에 관한 기록은 없었다. 평가의견 약제에 의한 이상반응일 가능성 높음. 덱사메타손 투약 후 딸꾹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해당 증상의 발생이 약물 투여 시점과 관련이 높아 약제에 의한 이상반응일 가능성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상반응 정보 딸꾹질은 횡격막 및 호흡작용에 관련된 근육이 갑자기 수축하며 성대가 갑자기 닫히며 특징적인 소리를 내는 증상이다. 딸꾹질은 그 자체로는 해롭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자연히 소실되나 증상이 지속될 경우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딸꾹질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약제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약제에 의해 딸꾹질이 발생하는 기전은 명확하지 않으나, 딸꾹질 반사궁의 원심신경계에 위치하는 스테로이드 수용체를 자극하여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덱사메타손은 혈액뇌장벽에서의 통과가 저해되지만, 항암제 유발 오심, 구토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 덱사메타손이 고용량으로 투여될 경우 혈액뇌장벽를 통과하여 해마와 시상하부의 수용체에 결합해 딸꾹질을 유발할 수 있다. 증례 연구와 후향성 연구, 무작위배정 교차연구 등에서 항암요법 중 덱사메타손에 의한 딸꾹질히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덱사메타손과 메틸프레드니솔론을 투약하였을 때 메틸프레드니솔론을 투여한 군에서 구토의 증가 없이 딸꾹질의 발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덱사메타손에 의해 딸꾹질이 발생하였을 경우, 메틸프레드니솔론으로의 약제 변경을 조심스럽게 고려해 볼 수 있겠다. 딸꾹질 증상은 자연스럽게 소실되나, 지속될 경우 비약물요법으로 물을 조금씩 마시거나 숨을 참는 등의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약물요법이 필요한 경우 바클로펜, 메토클로프라미드, 클로프로마진 등을 투약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1. Thompson DF, et al. Drug-induced hiccups. The Annals of pharmacotherapy, 1997. 2 . L iaw CC, et al. Cisplatin-related hiccups: male predominance, induction by dexamethasone, and protection against nausea and vomiting. Journal of Pain Symptom Management, 2005. 3 . Kang JH, et al. Corticosteroid rotation to alleviate dexamethasone-induced hiccup: a case series at a single institution. Journal of Pain Symptom Management, 2012. 4 . L ee GW, et al. Treatment of dexamethasone-induced hiccup in chemotherapy patients by methylprednisolone rotation. Oncologist, 2013. 5 . Go S, et al. Antiemetic Corticosteroid Rotation from Dexamethasone to Methylprednisolone to Prevent Dexamethasone-Induced Hiccup in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A Randomized, Single-Blind, Crossover Phase III Trial. Oncologist, 2017. 6 . Cersosimo RJ, et al. Hiccups with high dose dexamethasone administration: a case report. Cancer, 1998.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안전센터 > 약물이상반응 > 약물이상사례
정확도 : 99% 2022.07.31

Dexamethasone 투약 후 발생한 딸꾹질 사례 [증례 #13] 정보 남/67 세 기저질환 비소세포성폐암 과거력 약물관련 부작용 없음 약물유해반응 병력 요약 NSCLC 환자로 Adjuvant NP #1 시행하였고, 이틀 후 딸꾹질이 지속되어 외래에 내원하였다. 투약력 2019-11-12 NP#1 08:57 Vinorelbine 36 mg MIV 09:04 Netupitant/Palonosetron 300/0.5 mg PO 10:45 Dexamethasone 12 mg IVS 11:00 Cisplatin 114 mg IVS 퇴원약: Dexamethasone 4 mg PO bid X3 days Famotidine 20 mg PO bid X4 days Metoclopramide PO tid X5 days 조치 Baclofen 1 tab PO tid X7 일 처방하였다. 경과 이후 외래 방문 시 딸꾹질의 지속여부에 관한 기록은 없었다. 평가의견 Dexamethasone 투약 후 딸꾹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해당 증상의 발생이 약물 투여 시점과 관련이 높아 Probable로 평가되었다. 유해반응 정보 딸꾹질은 횡격막 및 호흡작용에 관련된 근육이 갑자기 수축하며 성대가 갑자기 닫히며 특징적인 소리를 내는 증상이다. 딸꾹질은 그 자체로는 해롭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자연히 소실되나 증상이 지속될 경우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딸꾹질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약제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약제에 의해 딸꾹질이 발생하는 기전은 명확하지 않으나, 딸꾹질 반사궁의 원심신경계에 위치하는 스테로이드 수용체를 자극하여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Dexamethasone은 MDR1a P-glycoprotein에 의해 BBB에서의 통과가 저해되지만, 항암제 유발 오심, 구토 증상을 예방하기 위해 dexamethasone이 고용량으로 투여될 경우 BBB를 통과하여 해마와 시상하부의 수용체에 결합해 딸꾹질을 유발할 수 있다. [2] 증례연구와 후향성 연구, 무작위배정 교차연구 등에서 항암요법 중 dexamethasone에 의한 딸꾹질히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dexamethasone과 methylprednisolone을 투약하였을 때 methylprednisolone을 투여한 군에서 구토의 증가 없이 딸꾹질의 발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3-5] Dexamethasone에 의해 딸꾹질이 발생하였을 경우, methylprednisolone으로의 약제 변경을 조심스럽게 고려해 볼 수 있겠다. 딸꾹질 증상은 자연스럽게 소실되나, 지속될 경우 비약물요법으로 물을 조금씩 마시거나 숨을 참는 등의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약물요법이 필요한 경우 baclofen, metoclopramide, chlorpromazine 등을 투약해 볼 수 있다. [6] 참고문헌 1. Thompson, D.F. and J.P. Landry, Drug-induced hiccups. The Annals of pharmacotherapy, 1997. 31 (3): p. 367-369. 2. Liaw, C.C., et al., Cisplatin-related hiccups: male predominance, induction by dexamethasone, and protection against nausea and vomiting. J Pain Symptom Manage, 2005. 30 (4): p. 359-66. 3. Kang, J.H., et al., Corticosteroid rotation to alleviate dexamethasone-induced hiccup: a case series at a single institution. J Pain Symptom Manage, 2012. 43 (3): p. 625-30. 4. Lee, G.W., et al., Treatment of dexamethasone-induced hiccup in chemotherapy patients by methylprednisolone rotation. Oncologist, 2013. 18 (11): p. 1229-34. 5. Go, S.-I., et al., Antiemetic Corticosteroid Rotation from Dexamethasone to Methylprednisolone to Prevent Dexamethasone-Induced Hiccup in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hemotherapy: A Randomized, Single-Blind, Crossover Phase III Trial. The oncologist, 2017. 22 (11): p. 1354-1361. 6. Cersosimo, R.J. and M.T. Brophy, Hiccups with high dose dexamethasone administration: a case report. Cancer, 1998. 82 (2): p. 412-4.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안전센터 > 알림마당 > 약물이상반응 소개
정확도 : 99% 2022.07.26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