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tsh"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2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병원소개 (2)
[병원뉴스]특정 초음파 소견 보이는 미세갑상선유두암, 진행 가능성 높아

- 서울대병원, 적극적 관찰 실시하는 미세갑상선유두암 환자 699명 분석 결과 발표- 미만성 갑상선질환+종양내 혈류 증가 초음파 소견 보이면 종양 진행 위험 3.5배 [사진] 갑상선 초음파 비교 (왼쪽부터 정상 갑상선, 미세갑상선유두암, 미만성 갑상선질환 동반된 미세갑상선유두암) 종양이 1cm보다 작은 미세갑상선유두암은 예후가 좋아서 수술 대신 적극적인 추적 관찰만 시행하기도 한다. 하지만 초음파에서 특정 소견이 보이면 암 진행 위험이 높을 수 있다는 사실이 최근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김지훈이지예 교수와 내분비대사내과 박영주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국립암센터 다기관 전향 코호트(MAeSTro)에 등록된 미세갑상선유두암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 소견과 종양 진행 위험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갑상선암은 2020년 국내 암 발생률 1위를 차지한 흔한 암종이다. 80~90%는 암세포 분화도가 높은 갑상선유두암에 속하는데, 그중 종양이 1cm보다 작은 미세갑상선유두암은 진행 속도가 느리고 사망률이 매우 낮다. 따라서 국내외 갑상선학회는 수술 대신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한 적극적 관찰을 고려할 수 있다고 규정했으며, 실제로 이를 선택하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적극적 관찰이 환자에게 적합한지 평가하려면 종양의 장기 예후 및 진행 속도를 예측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제껏 미세갑상선유두암의 위험인자는 명확히 밝혀진 바 없었다. 연구팀은 적극적 관찰의 일환으로 2회 이상 초음파 검사를 받은 미세갑상선유두암 환자 699명을 중앙값 41개월간 추적 관찰해 초음파 소견과 종양 진행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종양 진행은 종양 크기 증가, 갑상선외 조직 침범, 림프절 전이 여부로 평가했다. 그 결과, 미만성 갑상선질환, 종양내 혈류 증가 2가지 초음파 소견이 종양 진행과 독립적으로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만성 갑상선질환은 초음파상 갑상선 실질이 불균일하게 보이거나 혈류가 전반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추적 관찰 4년 차, 2가지 초음파 소견이 동시에 보인 환자의 종양 진행률은 21%(48명 중 10명)이었다. 반면, 이 소견이 없는 환자의 종양 진행률은 6%(418명 중 25명)에 그쳤다. [그래프] 미세갑상선유두암 환자에서 시간에 따른 종양 진행 누적 발생률 Kaplan-Meier 곡선. 1가지 소견만 보인 그룹은 소견이 모두 없는 그룹에 비해 종양 진행 위험이 2.2배 높았다. 2가지 소견이 동시에 보인 그룹은 종양 진행 위험이 3.5배까지 높았다. 즉, 초음파 소견을 기반으로 분류한 하위그룹은 종양 진행 위험을 정확하게 계층화했다. 위험 분석 결과, 미만성 갑상선질환 및 종양내 혈류 증가 소견이 없는 환자에 비해 1가지 소견만 보인 환자는 종양 진행 위험이 2.2배 높았다. 반면 2가지 소견이 동시에 보인 환자는 종양 진행 위험이 3.5배까지 높았다. 특히 미만성 갑상선질환 소견이 있으면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종양 크기 증가 위험이 2.7배 높았고, 종양내 혈류 증가 소견이 있으면 림프절 전이 위험이 약 5배 높았다. [사진] 혈류가 증가된 미세 갑상선유두암, 림프절 전이 발생한 증례. 컬러 도플러 이미지(B)에서 혈관 증가가 관찰되고 림프절(C 화살표) 크기 작고 양성. 12개월 추적관찰 결과(D) 미세 갑상선유두암의 림프절 전이 발생함. [사진] 미만성 갑상선질환 동반된 미세 갑상선유두암, 크기 증가 진행. 실질이 균일하지 않고 거칠며(A,B 화살촉), 컬러 도플러 이미지(C)에서 결절 내부에 혈관 증가가 관찰됨. 18개월 추적관찰 결과(D,E) 최대 직경 4mm였던 미세 갑상선유두암 크기가 8mm까지 확대됨 연구팀은 미세갑상선유두암 종양 진행과 연관된 초음파 소견을 고려함으로써 적극적 관찰의 적합성과 진행 가능성 평가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 밖에 30세 미만의 젊은 나이, 남성, 갑상선자극호르몬(TSH) 증가 등의 임상 특성도 미세갑상선유두암의 빠른 진행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의학과 김지훈 교수는 미세갑상선유두암에 대해 적극적 관찰을 실시할 때, 환자의 임상적 특성이나 초음파 소견을 함께 평가한다면 맞춤형 종양 진행 감시가 가능할 것이라며 추가적으로 장기적인 추적 자료를 통한 결과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영상의학 분야 권위지 Radiology(북미방사선학회지, IF:19.7)에 게재됐다. [사진 왼쪽부터] 영상의학과 김지훈이지예 교수, 내분비대사내과 박영주 교수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9% 2023.11.23

소아진단검사의학과 “국내 최초 모든 일상검사를 24시간 신속검사로 시행” “의료진이 필요로 하는 검사를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게 하자”를 향하여, 서울대병원 어린이병원 소아진단검사의학과에서는 기존 응급검사로 불가능하던 대부분의 일상검사를 24시간 신속검사로 시행합니다. 이는 세계적으로 선도적인 전진입니다. 의료진이 검사에 관한 궁극적인 희망사항 중의 하나는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검사를 언제든지 이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꿈은 기술적으로 여려운 점이 많아, 환자에게 매우 급한 일부 응급검사 종목만 24시간 검사되어 왔습니다. 21세기의 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일상검사를 24시간 검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고, 이러한 기술에 진단검사의학과의 효율적 운용 시스템을 결합하여 이제 환자에게 필요한 일상검사를 24시간 시행하는 첫 문을 열었습니다.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진단검사의학과에서는 2007년부터 진단검사업무 혁신을 위해 365일 24시간 신속검사의 기획을 세우고 여러 준비를 해 왔으며 2008년 9월에 24시간 신속검사에 적합한 최신 장비(Architect TBA-ci16200)를 도입하고, 전산, 행정, 검사실 운용의 개선을 통해 일상검사를 24시간 지원하는 체제를 갖추었고 2009년 4월 27일 국내 최초로 대부분의 일상검사(일차 175항목)를 24시간 신속검사로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지금까지 야간, 토, 일, 공휴일 의료진에 제공하지 못했던 혈청검사(HBsAg, anti-HIV, anti-HCV 등), 장기이식 약물검사(Tacrolimus, Cyclosporine 등), 호르몬 및 종양표지자검사(T3, T4(free), TSH, LH, FSH, Cortisol, Estradiol, AFP, Ferritin 등) 등을 24시간 보고함으로써 당일 외래진료전 검사, 응급 수술전 검사, 주말 및 공휴일 검사, 응급 환자의 확진 검사 등이 대폭 확대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진료의 질을 높이고 환자 재원 일수의 단축, 어린이의 채혈량 감소, 병원 경영에 기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9% 2009.04.23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