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강대희"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45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병원소개 (45)

- 바이오프린팅과 재생의료 연구 대한민국 의료산업 경쟁력 강화 주요 역할 기대 바이오프린팅재생의료연구회(회장 강대희, 이하 바재연)은 오는 24일 서울대학교 융합의학기술원에서 창립기념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20일 밝혔다. 바재연은 바이오프린팅의 기술 연구 임상 분야 전문가들이 모여 결성됐다. 연구회 창립으로 바이오프린팅과 재생의료가 대한민국의 의료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강대희 연구회장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래기술연구단장이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학장을 6년간 역임하였고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회 위원을 역임한 바 있다. 운영위원장으로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교실 권성근 교수가 선정됐다. 이번 심포지엄은 보건복지부의 은성호 국장과 로킷헬스케어의 유석환 대표가 축사를 진행하며,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장 조인호 이화여대 의과대교수의 범부처재생의료사업단의 활동과 방향 ▲서울대 의과대학 이비인후과교실 권성근 교수의 바이오프린팅 임상적 측면 ▲포항공대 장진아 교수의 바이오프린팅의 기술적 측면 ▲로킷헬스케어 류지나 부사장의 바이오프린팅의 산업적 측면의 발표가 준비됐다. 패널토의에는 바이오프린팅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한국바이오기자협회 김길원 부회장, 카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학교실 이종원 명예교수, 로킷헬스케어 CTO 김지희 사장이 패널로 참여한다. 바이오프린팅 기술은 조직과 장기의 복잡한 3차원 구조를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재현하는 기술이다. 실제 세포 및 생물학적 소재를 기반으로 인공 심장, 혈관, 피부 등을 제작이 가능하다. 국내 대학 연구소, 다수 기업 등에서 이를 적용한 조직공학, 재생의료 분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제품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강대희 연구회장은 환자들이 체감할 정도로 획기적인 의료 발전이 이뤄지기 위해선 산업, 교육, 연구, 병원(산학연병)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심포지엄으로 다양한 주체들이 함께하는 자리를 마련하고 바재연을 통해 산학연병의 협업을 이끌어 바이오프린팅과 재생의료가 나아갈 방향을 정립하며, 이를 통한 성과를 만들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지난 2019년 산업통상자원부와 보건복지부는 바이오프린팅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고자 바이오프린팅과 관련한 RD 전략과 중장기 계획을 발표했다. 재생의료에 대해서는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였으며, 지난 2021년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을 설립해 관련 국가 과제의 운영과 기술개발 및 이전을 지원하고 있다.연구회 관계자는 바이오프린팅과 재생의료 기술은 대한민국 의료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암, 당뇨 등 만성질환의 예방∙치료와 인체 노화로 손상되는 장기 치료∙재생 등 건강한 노후를 위한 연구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기술 연구와 발전에 보다 많은 투자와 연구가 필요하고 바이오프린팅과 재생의료가 인구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재연은 이번 창립기념 심포지엄을 통해 재생의료에 있어 바이오프린팅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연구회에 함께할 회원도 모집한다. 심포지엄은 무료로 참여 가능하고 당일 유튜브로 송출해 라이브 방송으로도 시청 가능하다.* 심포지엄 신청 홈페이지 www.bprm.or.kr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9% 2023.03.21

- 세계적 의학과학 글로벌 출판사 스프링거 네이처 출간 - 노동영 서울대 명예교수, 서울대병원 한원식 유방센터장 대표 저자로 참여 서울대병원 유방센터는 지난 10일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윤덕병홀에서 영문 교과서 유방암 중개연구(Translational Research in Breast Cancer) 출판 기념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노동영유근영 서울대 명예교수, 강대희 전 서울의대 학장, 한원식 서울대병원 유방센터장을 비롯한 주요 저자가 참여했다. 행사는 코로나19 방역수칙을 준수해 진행됐다. 책임 저술자인 노동영 서울대 명예교수는 국내 유방암 권위자다. 그의 제자이며 현재 서울대병원 유방센터장인 한원식 교수와 일본 교토의대 마사카즈 토이(Masakazu Toi) 교수가 대표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이번 교과서는 노 교수가 지난 30여 년간 동료 및 제자들과 함께 해온 유방암 중개연구를 집대성했다. 중개연구란 기초연구가 실제 사용단계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연계하는 연구를 의미한다. 실제로 노 교수는 해당분야 선구자로서, 유방암 조기진단 혈액 검사법, 유방암 예후예측 유전자 검사법 상용화에 기여했다. 해당 교과서는 세계적으로 저명한 의학과학 출판사 스프링거 네이처에서 출간됐다. 특히, AEMB(Advances in Experimental Medicine and Biology) 시리즈로서,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이날 행사는 중개연구를 함께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석한 집담회 형식으로 꾸려졌다. 진행 중인 연구와 발전 방향에 대한 활발한 토의와 함께 성황리에 마쳤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9% 2021.07.14

당뇨, 아시아인에게 암 중요 원인 - 서울의대 주도, 아시아인 77만 명 12년간 추적관찰- 암 예방 위한 생활습관 개선, 당뇨환자 선별적 암검사 필요최근 당뇨병이 아시아에서 서양보다 높아지기 시작했는데, 당뇨병이 암으로 인한 사망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서울의대 유근영 교수팀(강대희, 신명희(성균관의대))은 '아시아 코호트 컨소시엄'을 통해 7개국(한국, 일본, 중국, 대만, 인도, 싱가포르, 방글라데시) 77만 명을 2005년부터 12년간 추적 관찰했다.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는 세계 최초이다.연구팀은 제2형 당뇨병을 가지고 있으면 모든 종류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26% 더 높았다고 밝혔다. 질환별로는 ▲자궁내막암 2.7배 ▲간암 2배 이상였고 그 밖에 ▲갑상선암(99%) ▲신장암(84%) ▲유방암(72%) ▲췌장암(53%) ▲담도암(41%) ▲대장직장암(41%) 등의 사망률이 당뇨병으로 인해 높아졌다. * 제2형 당뇨병; 20대 이후 당뇨 진단 환자의 95% 이상. 1형 당뇨가 선천적 인슐린 분비기능이 부족한 것에 비해 후천적으로 발생하는 2형당뇨는 췌장의 인슐린 분비 기능은 정상이지만 비만,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 생활습관의 원인으로 발생 그동안 2형당뇨와 암발생/사망 관련성은 주로 서양인 대상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럼에도 아시아에서 당뇨 유병률이 증가해 암발생이 주요 보건 문제로 대두된 각국에서 당뇨와의 관련성에 관심이 많았다.앞서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이 아시아인이 더 민감하다는 연구가 발표된 바 있어 특히 이번 연구는 서양에서 보고된 당뇨-암발생 연구결과와의 비교를 위한 필요성에 있어 큰 주목을 받았다. 연구진은 소화기계 암이나 유방암에 미치는 당뇨의 정도는 아시아인이나 서양인 모두 비슷하다고 평가했다. 유근영 교수는 “제2형당뇨병은 아시아인에게 중요 암 위험인자라는 사실을 새로 확인했다. 아시아 각국은 최근 급증하는 암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생활습관 개선 등 당뇨병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며 “아울러 당뇨병 환자에 대한 선별적 암검진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아시아의 다양한 인종, 백 만명을 대규모 표본으로 했으면서도 불필요한 교란변수 영향을 모두 보정했다. 또한 과학적으로 가장 신뢰성 높은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서 나온 결과라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된다고 관계자는 전했다.이 연구결과는 국제적인 당뇨병 전문저널 'Diabetologia(IF= 6.206) 3월 7일자에 게재됐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9% 2017.03.23

“마모셋 원숭이를 이용한 질병연구의 새시대”- 서울의대서울대병원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공동주최- 아시아오세아니아 마모셋 연구지부 심포지엄 성료서울대학교 의과대학(학장 강대희)과 서울대학교병원(원장 서창석)은 지난 16~17일 서울대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에서 '제2회 아시아오세아니아 마모셋 원숭이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마모셋 원숭이는 체중이 300~500g 정도 되는 작은 원숭이로, 현재 뇌질환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실험동물로 이용되고 있다. 미국, 유럽, 일본에서는 40년 전부터 이를 통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생소한 동물이다. 한국은 주로 게잡이 원숭이, 붉은털 원숭이가 의약품 안전성 및 효능평가, 뇌 연구, 장기이식, 줄기세포 연구에 사용됐다. 마모셋은 크기가 실험용 설치류인 랫드와 같이 소형이면서 성품이 온순해 관리가 쉽고 번식력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지난 2009년 일본에서는 세계최초 유전자 변형 마모셋이 탄생해 네이처지에 소개됐다. 이를 개발한 일본실험동물중앙연구소 사사키 박사팀은 파킨슨, 알츠하이머, 면역부전 등의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 주제는 'New Era of Preclinical Research for Human Diseases using Marmoset'였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연구진들이 외국의 마모셋연구 선두그룹과 함께 심포지엄을 개최한 것은 국내 영장류연구 분야에 국제적 위상을 보여주는 기회가 됐다. 사사키 박사를 비롯, 미국 텍사스 대학 타리프 박사(재생의학), 호주 제임스본 박사(재생의학), 네덜란드 호르닝 대학의 하트 교수(자가면역질환), 일본 리켄 연구소의 야마모리 박사(뇌질환) 등 전 세계 권위 있는 학자 24명이 발표자로 나셨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에서는 구승엽 교수(산부인과)가 불임증에 대한 영장류 연구결과를, 김정훈 교수(안과)는 황반변성에 대한 원숭이 연구결과를, 강병철 교수(실험동물의학)는 파킨슨병 마모셋 모델에서 세포치료제의 효능연구를 발표하였다. 김현진 교수(영상의학과)도 파킨슨병 마모셋 모델로 뇌 MRS 영상연구결과를 제시했다.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 단장을 맡고 있는 박정규 교수(면역학)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이종장기이식연구 결과를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박경수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장은 “서울대병원 영장류연구센터는 2009년 설립돼 지난 8년간 장기이식, 뇌신경 연구 분야에 훌륭한 성과를 내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을 기회로 국내외 연구진들이 협력융합연구의 여건을 조성하고, 연구 분위기를 활성화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동시에 윤리적인 동물실험을 위해 모든 연구자들이 실험동물의 고귀한 희생을 깊게 새기며, 연구에 매진하기를 당부 한다”고 말했다. 이번 심포지엄을 유치한 서울의대 강병철 교수는 “바이오메디컬 발전과 함께 실험동물을 이용한 연구가 인간 질병극복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영장류 동물실험은 높은 수준의 인프라와 연구 인력이 필요한 분야인 만큼, 서울의대서울대병원이 국내 영장류 전임상연구를 이끌어가는 선두주자 역할을 다 하도록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150여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해, 동물실험 연구에 대한 최신 동향을 발표했다. 행사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한국마모셋연구회가 공동 주관했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9% 2017.03.22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