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22c3"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47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건강정보 (2)

1. 암은 식생활 개선을 통하여 예방할 수 있습니까? 예.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암발생 원인 중 식사 및 영양과 관련된 요인이 1/3 정도 된다고 보고하고 있으므로 식생활을 통하여 암은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녹색 채소가 가장 영양성분이 풍부하고 항암효과가 뛰어난가요? 아닙니다. 암 예방 및 건강을 위해서는 다양한 색깔의 채소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녹색 채소만을 섭취할 경우 특정 영양소만을 편중적으로 섭취하게 되어 오히려 영양의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신선초, 샐러리, 비트, 돌미나리, 케일 등 채소는 녹즙으로 먹었을 때만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나요? 아닙니다. 채소는 가능한 신선한 채소 형태로 섭취하시기 바랍니다. 치아가 부실하여 충분한 양의 채소를 섭취할 수 없는 경우라면 녹즙이 아니라 야채 주스 형태로 섭취하실 수는 있습니다. 녹즙의 형태로 먹는 것은 간에 부담을 주거나 불필요한 성분을 과량 섭취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4. 과일은 많이 먹을수록 좋나요? 아닙니다. 과일에는 암 예방의 효과가 있는 항산화 비타민 및 식물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며, 단맛과 관련이 있는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순당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과일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할 경우 당을 과잉 섭취하게 되어 체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건강을 위해서는 간식으로 하루 2번 정도의 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당뇨병이 있는 경우에는 과일 섭취량과 관련하여 임상영양사와 상의하십시오. 5. 채소와 과일은 갈아 먹는 것이 더 좋은가요? 채소와 과일을 갈아 먹는 것은 씹거나 삼키는데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겐 채소와 과일을 섭취하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갈아 먹으면 일부 영양성분이 몸에 잘 흡수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채소나 과일을 가는 과정에서 일부 영양소가 파괴되기도 하므로 씹거나 삼키는 데 문제가 없다면 가능한 씹어서 드시는 것이 더 좋습니다. 또한 과일쥬스는 많은 양을 마시게 되면 당분 섭취가 많아져 열량을 더 섭취하게 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채소나 과일을 가는 과정에서 미생물에 오염이 되기 쉬우므로 항암화학요법 중인 암환자와 같이 면역이 저하된 환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6. 채소와 과일이 신선한 것과 냉동된 것, 통조림에 따라 영양성분이 달라지나요? 네. 일반적으로는 신선한 채소와 과일이 가장 영양성분이 잘 보존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최상의 상태일 때 수확해서 빠르게 얼린 냉동식품이 수확 후 소비자가 구입할 때까지의 시간동안 영양소가 파괴되어지는 신선 식품에 비해서 더 영양이 풍부하게 남아 있을 수도 있습니다. 통조림은 생산과정에서 고온처리가 필수적이므로 열에 민감하고 수용성인 영양성분은 감소하기도 합니다. 일부 과일은 시럽에 담그기도 하고, 일부 채소 통조림은 나트륨을 많이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채소와 과일의 다양한 형태 중 적절한 것을 잘 선택해야 합니다. 7. 마늘은 생것으로 먹었을 때만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나요? 아닙니다. 마늘의 알리신 성분이 암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마늘을 익혀서 먹을 때 알리신 성분이 약간 줄어들 수는 있지만 그 효과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알리신의 톡 쏘는 매운 맛을 과량 섭취시 소화기 궤양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마늘의 항암 효과를 얻기 위해 생마늘을 한 번에 많이 드시는 것은 권하지 않습니다. 8. 아주 매운 고추 같은 음식을 먹는 것은 암예방에 효과적입니까? 아닙니다. 고추의 매운 성분인 캡사이신이 일부 암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보고가 있지만, 최근의 연구에서는 아주 매운 고추같은 음식은는 암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발표되고 있으므로 아주 매운 음식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9. 암 환자는 식사할 때 콩으로 만들어진 음식을 함께 먹어야 하나요? 콩은 단백질 급원 식품으로 육류의 좋은 대체식품이 됩니다. 콩은 여러 이소플라본과 같은 생리활성물질(phytochemical)을 함유하고 있고, 그 중 일부는 약한 에스트로겐 효과를 나타내어, 동물연구에서는 호르몬 의존성 암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콩류 식품이 암을 예방하는지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는 아직 불확실합니다. 유방암 환자들이 전통적인 식사에 포함되는 정도로 콩류를 섭취하는 것은 권장할만하나, 콩가루를 다량 섭취하거나 농축된 형태의 콩 보충제를 섭취하는 유방암 환자들은 고농도의 콩이나 콩가루 같이 농축된 형태의 콩 보충제 섭취는 피해야 합니다. 10. 암 예방을 위해 흰쌀을 전혀 넣지 않은 순수한 잡곡밥을 먹어야 하나요? 아닙니다. 잡곡을 섭취하는 것이 암예방을 위해서 좋지만 100% 잡곡밥을 섭취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100% 잡곡은 소화가 잘 안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한식 식단은 잡곡에 포함된 다양한 유익한 영양소와 생리활성 물질을 골고루 가지고 있으므로 반찬을 잘 갖추어 드신다면 잡곡은 개인의 소화능력에 따라 섞어서 이용하십시오. 11. 육류(쇠고기, 돼지고기 등)섭취가 암 발생의 원인인가요? 붉은 고기와 가공육류를 많이 섭취하면 대장/직장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역학연구가 있으며, 미국 암협회 가이드라인에서는 붉은 고기와 가공육류를 과량 섭취를 제한하라고 권고합니다. 또한 육류나 가공육을 고온에서 가열조리하는 경우 다환방향족 탄화수소 (PAH,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가 생성되기 쉬우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12. 육류(쇠고기, 돼지고기 등)는 섭취하면 안 되나요? 아닙니다. 육류를 전혀 섭취하지 않는 것 보다는 지방이 적은 살코기 위주의 적당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왜냐하면 육류의 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을 고루 함유하고 있어 단백질 합성의 중요한 공급원일 뿐 아니라 철분이나 비타민 B12의 좋은 급원이기도 합니다. 13. 숯불 구이를 자주 먹으면 암에 잘 걸리나요? 숯불구이를 하는 동안 발암물질인 다환방향족 탄화수소(PAH,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가 생성되어 위암이나 대장, 직장암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14. 음식을 짜게 먹는 경우 암에 걸리기 쉽습니까? 예. 짜게 먹는 식습관은 위점막의 손상을 유도하고 손상된 세포에 발암 물질의 작용을 쉽게 이루어지게 하기 때문에 암에 대한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15. 커피는 암을 증가시키는 식품인가요? 아닙니다. 커피가 암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건강을 위해서 커피는 하루 2~3잔 내외로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16. 설탕을 먹으면 암이 더 잘자라나요? 아닙니다. 설탕섭취가 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설탕(꿀, 흑설탕, 고과당 옥수수 시럽, 당밀 포함)이 많이 포함된 음식이나 음료수(탄산음료, 과일쥬스 등)를 자주 섭취하는 것은 체중을 증가시켜 암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므로 이들 음식의 섭취를 제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7. 술을 마시는 것이 암을 더 잘 생기게 하나요? 네. 음주는 구강암, 인두암, 후두암, 식도암, 간암, 유방암 및 대장암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킨다는 많은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이미 암진단을 받은 사람이 술을 마시면 다른 새로운 암의 발생 위험이 증가될 수 있습니다. 18. 항산화 비타민제(비타민 C, E, 카로티노이드 등)를 먹으면 치료에 도움이 되나요? 아닙니다. 식사 섭취가 부족할 때는 영양권장량의 100% 이내로 함유된 표준적인 복합 비타민과 미네랄 보충제를 섭취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영양보충제를 통하여 항산화비타민과 무기질을 다량 섭취할 경우 오히려 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영양보충제보다는 식사를 통해 항산화비타민과 무기질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9. 항산화 비타민(비타민 C, E, 카로티노이드 등)이나 무기질 보충제는 암을 예방하기 위해 보충제 형태로 섭취해도 되나요? 아닙니다. 식사 섭취가 부족할 때는 영양권장량의 100% 이내로 함유된 표준적인 복합 비타민과 미네랄 보충제를 섭취하는 것이 필요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영양보충제를 통하여 항산화비타민과 무기질을 다량 섭취할 경우 오히려 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영양보충제보다는 식사를 통해 항산화비타민과 무기질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0. 항산화제는 암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정상 조직이 산화적 손상을 지속적으로 받게 되면 암으로 발전할 수도 있기 때문에 조직에 산화적 손상을 입히는 유해산소를 제거하는 항산화제는 암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여겨져 왔습니다. 항산화제(비타민C, 비타민E, 카로티노이드 등)가 많이 함유된 야채와 과일을 많이 먹는 사람은 일부 암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암 완치자들은 이차암 발생의 위험이 증가되기 때문에 항산화제가 풍부하게 함유된 다양한 음식을 매일 먹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항산화 비타민이나 미네랄 보충제가 암발생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증명하는 연구결과는 아직 없는 상태이며 일부 항산화제는 오히려 암의 발생을 증가시키기도 한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따라서 항산화제는 보충제 형태보다는 음식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21. 암 환자들은 유기농 식품만 먹어야 하나요? 아닙니다. '유기농 식품이 농약에 덜 노출되었기 때문에 건강에 더 좋을 것이다, 또한 영양성분도 일반적인 식품에 비해 좋을 것이다' 라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지만, 유기농 식품의 섭취가 건강에 더 유익한지는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유기농 식품이 암발생, 재발, 예후에서 비슷한 다른 식품에 비해 효과적인지 입증하는 인간 대상의 역학적 연구도 아직 없으며, 일반 식품들도 충분히 씻는 등의 전처리 과정만 잘 지키면 해로운 것은 아닙니다. 22. 농약을 뿌린 식품은 먹으면 안 되나요? 아닙니다. 대부분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채소는 잔류 농약 여부가 정부에 의해 관리되고 있습니다. 물론 미량의 농약 성분이 식품에 남아 있을 수는 있지만, 현재까지 식품에 존재하는 미량의 농약성분이 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결과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잔류 농약이라도 세척을 통해 상당부분 제거할 수 있고, 위생적인 식품처리를 위해서라도 채소나 과일 같은 농산물을 깨끗이 씻은 후 섭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3. 암 치료를 받는 중에 특별히 주의해야할 음식이 있나요? 암 치료를 받는 동안(특히 항암화학요법시)에는 치료의 부작용 등의 이유로 백혈구 감소증이나 면역억제의 소견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환자들은 세균이나 미생물에 감염되기 쉬우므로, 식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야채와 과일을 철저히 씻으며, 고기, 생선 및 기타 해산물, 계란, 두부와 같은 음식은 충분히 가열하여 섭취해야 합니다. 24. 물은 얼마나 많이 먹어야 하나요? 수분 섭취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탈수로 인한 가벼운 두통, 오심 등의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충분한 수분 섭취는 방광암의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양의 수분을 섭취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하루에 수분을 섭취해야 하는가 하는 것은 개개인의 체격이나 생활 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별한 의학적 제한이 없다면 하루에 적어도 8컵 내외의 물을 마시는 것이 일반적인 권장량입니다. 이 양은 음료수 섭취량도 포함한 양이지만, 가능하면 물이나 단맛이 나지 않는 음료 형태로 마시는 것을 권합니다.

암병원 > 암정보·교육 > 생활관리 정보 > 영양정보
정확도 : 50% 2021.03.12
[건강 TV][132편]간암은 왜 생기나요?

안녕하십니까 서울대학교병원 팟캐스트 건강톡톡 교수 김민선입니다. 우리 몸에서 가장 크고 무거운 장기, 간이죠. 흔히 침묵의 장기라고 하는데요 우리나라에서 많은 분이 간에 생기는 암으로 인해서 고통을 받고 계십니다. 앞으로 세 시간에 걸쳐서 국내 암 발생 6위를 차지하는 간암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도움 말씀을 위해서 우리 병원 간담췌외과 이광웅 교수님께서 자리해주셨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교수님께서는 간이식 분야에서 손꼽히는 명의이신 데요 특히 해외 여러 나라에 간이식 기법을 전하고 계신다고 들었습니다. 카자흐스탄에서는 거의 교수님 없이는 간이식 논의를 전혀 못 한다 이런 얘기를 들었었는데 바쁘신데 이렇게 함께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초대해주셔서. 간암에 관한 얘기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요 간에 대한 것을 좀 알아보면 좋을 거 같은데요 저희가 워낙 특정 약품 광고를 많이 봐서인지 간 하면 피로가 떠오르는데 간과 피로가 정말 관련이 있는 건가요? 네. 연관이 좀 있죠. 여러분이 잘 아시다시피 간은 우리 몸의 공장이라고 할 만큼 많은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섭취한 모든 것들을 장을 통해서 흡수되고 간을 거친 이후에 혈액 속에 퍼지게 되는데요 간은 우리 몸에 들어온 물질의 대사를 담당하고 해로운 물질을 해독하여 배출하는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간 건강이 좋지 않거나 간 대사 능력을 벗어나는 정도의 과량 음주를 하시는 경우에 여러 가지 이유로 피로감이 들 수 있는데요, 특히 B형, C형 간염 그리고 알코올성 간경변 환자들은 지속해서 간에 염증이 유발되기 때문에 피로감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피로감은 다른 이유, 예를 들어서 과도한 운동이라든지 결핵 같은 만성질환, 그리고 암과 같은 다른 원인이 오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그래서 피로의 주원인이 간은 아니다. 이렇게 말씀드리고 싶네요. 피로하다고 해서 간을 해결한다고 다 되는 건 아니다.^^ 의사 선생님들이 워낙 한약이나 건강보조식품 좀 주의해서 먹으라는 얘기들 많이 하시는데요 선생님 설명을 듣고 보니 간이 워낙 그런 해독작용을 하는 데라서 그런 것들을 많이 먹었을 때 어려울 수 있겠다 이렇게 생각하면 될까요? 맞습니다. 아까 말씀드렸듯이 입으로 섭취하는 모든 것들이 간을 통해서 지나가기 때문에 간에 부담이 되는 여러 가지 약들, 그리고 성분을 알 수 없는 한약재 같은 것들의 경우는 간염이 생길 수 있고, 제가 간이식을 하고 있는데 간이식 환자 중에 간에 좋다고 하는 약들을 먹어서 간이식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가 약간 농담으로 간 절제를 받거나 간이식 환자들한테 간에 좋다고 하는 약만 먹지 말라고 할 정도로...(그것만은 피하셔야 한다.) 특별히 약을 비타민이나 상식적인 약들은 괜찮습니다만 간에 특별히 좋은 여러 가지 것들은 오히려 해가 되는 경우가 있으니까 피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건강하시려고 어떠한 것들을 드셨는데 오히려 그것 때문에 간이 많이 손상되는 경우들이 종종 있는 거군요.(그렇습니다.) 저희가 시작할 때 간이 침묵의 장기 이렇게 별명이 있다고 말씀을 드렸는데요 침묵의 장기라는 별명이 붙은 이유가 뭘까요? 간에는 신경세포가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종양이 생기더라도 특별한 증상이 대부분 없고요. 진행이 심하게 되어서 주변 혈관을 침범하거나 또 담도를 눌러서 황달이 생기거나 이럴 때까지 증상이 없습니다. 또 간이 재생 기능이 좀 좋은 편이기 때문에 간이 일정 부분 손상이 돼도 간이 재생하는 과정을 계속 반복적으로 하면서 자각 증상은 거의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이미 뭔가 자각 증상이 느껴졌다, 뭐 통증이 있다든지 피로감을 호소한다고 했을 때는 이미 상당히 진행이 돼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최근 발표된 국가 암 등록 통계를 보면요. 간암의 5년 상대 생존율이 33.6%더라고요. 전체 평균이 70.7%인데 절반도 못 미치는 수준이에요. 그게 그런 특징들과 좀 관련이 있을까요? 관련이 있습니다. 그래도 10년 전에는 25% 정도였는데 지금 많이 오른 건데요, 기본적으로 다른 암에 비교해서 생존율이 낮은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첫 번째는 침묵의 장기, 병이 진행되어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이유가 있고요. 두 번째는 간세포 암이 생기는 기전을 살펴 보면 간염에서 간경변 또는 간경화라고 하는 그런 과정을 거치고 간경화에서 간암이 생깁니다. 그래서 기본적으로 간암도 간암이지만 배경이 되는 간 자체가 기능이 안 좋아서 예를 들어서 피를 토한다든지 정맥류 출혈이라든지 아니면 간성 혼수가 빠진다든지 아니면 복막에 염증이 생기는 자발성 공막염 같은 그런 간 기능이 떨어져 생기는 합병증으로 사망하시는 경우가 상당히 많고요, 또 하나는 암 측면에서 간암은 보통 다른 암들은 5년이면 완치가 됐다고 하지 않습니까? 그런데 간암은 거꾸로입니다. 아무리 첫 암을 잘 치료가 돼서 근치적으로 잘 치료가 됐다 하더라도 3년이 지나면 배경이 되는 간에서 또 생깁니다. 새롭게 또 생길 확률이 3년에 50% 정도로 굉장히 높은 편이지요. 그래서 암이 계속 재발하는 게 간암의 특징이 되겠습니다. 이런 세 가지 정도의 이유로 간암의 생존율이 굉장히 낮다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네. 아까 간세포암 잠깐 말씀해주셨었는데요 저희가 흔히는 갑상선암, 폐암 이런 식으로 생기는 장기 뒤에 암을 붙여서 이름을 얘기를 하긴 하지만 간에 생기는 암이라고 하더라도 종류가 여러 가지일 거 같은데요 간암은 어떤가요? 네. 맞습니다. 간암 그러면 간에 생기는 암이라는 뜻인데요. 크게 간 자체에서 생긴 원발성 암이 있고 전이성 암이 있습니다. 전이성 암의 대표적인 것은 대장암에서 전이가 되는 경우이고요 원발성 암을 살펴보면 크게 두 가지로 나뉘는데요. 간세포암과 간내담관암, 그러니까 담도 세포에서 생긴 암이죠. 간내담관암이 있습니다. 간세포암이 한 70% 정도 되고요. 10명이라 그러면 한 7명은 간세포암이고 한 두세 명 정도가 간내담관암이 되겠습니다. 약간 전이되는 패턴도 다르고 예후도 좀 다른데요. 대부분 간세포암은 혈관을 따라서, 이렇게 간 문맥을 따라서 옆으로 퍼지는 대신 임파선으로는 잘 안 가거든요. 그런데 간내담관암은 혈관을 따라서 가는 것보다는 신경이나 임파선을 따라서 전이가 이루어지고요. 림프절 전이도 적지 않게 보고 있습니다. 예후는 간세포암이 조금 더 좋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간내담관암이라는게 이름이 조금 어려워서요. 간 내 담관이란 것이 어떻게 위치하고 있는 것인지 조금 더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네. 간내담관암이라고 하는데 결국엔 담도 세포는 간 안에도 있고 그것들이 모여서 간 밖에도 배출이 돼서 담낭에 저장이 됐다가 십이지장 쪽으로 흘러 들어가는 계통인데요. 담도 계통에서 어디든지 암은 생길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 간 안에 있는 담도, 대부분이 조금 가늘겠죠? 간 밖에 있는 담도보다는... 간 안에 있는 담도 세포에서 생긴 암인데 그것도 한 가지 종류가 아니고 모양 적으로는 한 세 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일반 간세포암처럼 큰 혹을 이루는 경우, 그다음에 하나는 담도 세포 담도 길을 따라서 한곳에서 쭉 따라가면서 생기는 경우 그러면서 주변으로 침범이 있는 경우. 그리고 하나는 폴립(용종)처럼 간담도 안에 폴립처럼 생겨서 그 안에 점액질을 분비하는 타입이 있는데요 이 세 가지 다 간내담관암이긴 한데 제일 안 좋은 건 두 번째 말씀드린 담도 벽에서 길을 따라서 쭉 진행하는 타입이 제일 예후가 안 좋고 혹을 형성하는 형태가 두 번째로 좋고요. 폴립형태로 자라는 것은 상당히 예후가 좋습니다. 그래서 같은 간내담관암이라 하더라도 예후가 조금 다릅니다. 생기는 양상에 따라서도 예후가 조금 달라지네요. (그렇습니다) 간내담관암의 특징들을 설명해주셨는데 간암은 전체적으로 성장하는 속도는 어떤 편인가요? 정말 다양한데요, 저희가 보통 일반적으로 암 그러면 암 크기 가지고 초기냐 아니면 말기냐 이런 거를 판단하는데 간암에서도 그런 기준이 있습니다. 영상에서 작으면 작을수록 우리가 초기로 보고 크면 클수록 좀 진행이 됐다고 보는데 사실 작은 암 중에서도 혈관 침범이 많이 되어서 굉장히 빨리 자라고 굉장히 진행이 빠른 암도 있고요. 또 크다 하더라도 병리학적인 기준이 있는데요. 스테이징 시스템이 있는데 그거는 아무리 커도 주변에 혈관 침범이 없는 경우가 상당히 좀 있거든요. 그런 경우는 예후가 굉장히 좋습니다. 그래서 (그냥 떼어내면 되는 거죠?) 그렇죠. 크기가 크더라도 주변의 혈관 침범이 없는 경우는 우리가 1기라고 칩니다. 그래서 간암은 상당히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크기와 개수도 중요하지만 그게 다는 아니라고 해서 지금 특히 최근에 나와 있는 거는 AFP하고 PIVKA라고 피에서 간암일 때 올라가는 수치가 있습니다. 한 절반 정도에서는 올라가 있고 또 절반 정도는 간암이어도 안 올라가 있는 경우인데요. 대부분 안 올라가 있는 경우보다 AFP, PIVKA 특히 PIVKA 많이 올라가 있는 경우는 조금 예후가 안 좋죠. 같은 크기의 3cm짜리 별로 크지 않은 암이어도 PIVKA나 AFP가 굉장히 많이 올라가 있는 거는 상대적으로 예후가 안 좋을 가능성이 큽니다. 같은 암이라고 해도, 똑같이 간암이라고 하더라도 종류에 따라서 또 말씀해주신 여러 가지, 혈관이 침범했느냐 여러 상황에 따라서 예후가 굉장히 달라지니까 의사 선생님 말씀을 잘 들어야 되겠네요? 설명을? 특히 또 하나 추가로 말씀을 드리는 거는 간암의 진단을 요새는 영상의학적으로 합니다. 다른 암들은 조직검사를 해서 확진이 되어야지 암보험도 되는데 간암은 조직검사를 하지 않는 암입니다. 그러니까 특징적인 소견이 있으면 간암으로 진단하고 보험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조직검사를 하게 되면 우리가 거기에서 조직의 타입이라든지 분화도 같은 걸 볼 수 있으므로 좀 더 예측이 가능한데, 대부분 간암은 그런 조직검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치료의 예후를 조직검사를 한 경우보다는 잘 예측을 할 수는 없습니다. 대신 그 외에 다른 여러 가지 수단들,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수단들을 쓰는데 아까 말씀드린 AFP, PIVKA가 높으냐 안 높으냐, 그다음에 한번 첫 치료로서 색전술을 했을 때 잘 반응을 보이는지 아닌지 이런 것들을 가지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바이오마커라고 해서 혈액 내에서 여러 가지 지표들을 가지고 예후를 판단하는 연구들이 활성화되고 있는데요 임상적으로 유용한 수단은 아직 없습니다. 그게 어떻게 생각하면 그냥 조직검사 해서 보면 좀 더쉬울 거 같은데 하지 않는 이유는 혹시 무얼까요? 조직검사 자체가 출혈을 유발하거나 시딩이라고 해서 암세포가 주변에 퍼지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꺼내는 과정에서?) 그런 부작용이랑 진단의 정확성 이런 거를 따져보면 CT나 MR 영상을 가지고 진단을 해도 거의 99% 이상 틀릴 일이 없으므로 굳이 진단을 위해서 조직 검사를 하지 않습니다. 네.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또 많은 분이 결국은 어떤 질병, 암 이런 거 얘기할 때 제일 많이 궁금해하시는 게 그 병에 왜 걸리나 아까 잠깐 말씀해주셨었는데요. 간에 염증이 생기고 그게 간경변이 되고 암이 된다 이런 얘기 해주셨었는데 그런 게 생기는 주요 위험인자가 뭐가 있을까요? 우리나라는 확실하게 한가지입니다. 제일 주요 원인이 B형 간염입니다. 간암 환자들 한 100명이 있다고 한다면 한 75명, 75% 정도는 B형 간염과 관련된 거고요, 한 10~20% 정도가 C형 간염과 관련이 되어있는 경우고 그 외에 알코올성 또는 비만과 관련된 지방간하고 연관되어 있는 겁니다. 최근에는 B형 의료 백신에이션?을 우리나라에서 시작한 게 80년대 후반이거든요. 87년부터 시작을 했는데 그 이후에 급격히 수직감염 그게 줄어들어서 지금 한 40대 중반 이하 중반의 세대에서는 B형 간염 보균자의 비율이 굉장히 낮습니다. 40대 이후, 또 50대 이상이 되는 경우는 상당히 아직도 좀 있는 편이라 B형 간염의 유병률이 줄어듦으로써 간암도 줄어들는 추세긴 합니다. 그러면 B형 간염 보균자가 아니면 일단은 그 100명 중의 75명은 안 들어갈 가능성이 높은 거죠?(네. 그렇습니다.) 저희가 보통 건강 얘기할 때 비만이나 당뇨가 항상 위험인자에 들어가는데요 간암에도 그런 게 혹시 들어가나요? 특히 당뇨는 좀 정확한 건 아닌데요. 비만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있고요. 특히 한국 데이터를 최근에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에서 논문을 내셨는데요. 여러 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좀 이용해서 실제 비만이 우리나라 간암을 발생하는데 굉장히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좋은 논문 저널에 내셨습니다. 자마 온콜로지(JAMA Oncology) 라고 굉장히 좋은 논문에 내셨죠. 거기에 의하면 BMI, 체질량 지수라고 하는 게 약간 30 이상이 되는 분, 그런 분들은 정상 체중보다 남성에서는 한 22% 정도, 여성에서는 더 높게 한 46% 정도 정상 BMI보다 높게 간암이 발생한다고 보고하셨고요 특히 여자인 경우는 같은 BMI에서도 남자에 비교해서 근육보다는 지방이 좀 더 많기 때문에 더 높게 나온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가족력도 항상 암에서는 빠지지 않는데요 간암도 가족력이 중요할까요? 가족력 중요한데 우리나라는 아까 말씀드린 대로 B형 간염이 주로 있으므로 B형 간염의 수직감염, 대부분 B형 간염 보균자. 간암 환자는 한 75%가 B형 간염 보균자였고요. 보균자의 형제, 자매 그리고 부모들, 부모들의 한 분 정도는 다 B형 보균자입니다. 그래서 가족력이라고 말씀드리기는 조금 그런데 정확지는 않지만 B형 간염을 보유하고 있는 가족들에서 주로 생기고 같은 B형 간염 보균자의 가족들은 약간 비슷한 형태의 암이 발생합니다. 어떤 분은 조용하게, 심하지 않은, 예후가 나쁘지 않은 암이 생기는 가족들이 있고요. 어떤 분들은 조금 더 aggressive 하게, 심하게 예후가 안 좋은 암들이 생기는 가족들도 있고... 그런 거는 있습니다. 아까 10% 미만 알코올성이 또 굉장히 중요한 요인이라고 말씀해주셨는데요 국가 암 등록 통계를 보면 간암 발생률이 남자가 훨씬 많으시더라고요 한 두 배 가까이 이상 되시는데요 남성이 간암에 많이 걸리는 게 음주랑 관련이 있다고 봐야 될까요? 지금은 간이식 환자들을 보더라도 과거에는 대부분 B형 간염 환자였거든요. B형 간염이 간이식 받는 거에 대부분 한 80% B형 간염이었는데 지금은 상대적으로 B형 간염 환자가 좀 줄면서 알코올성 간경변으로 인한 간이식 환자가 상대적으로 늘었습니다. 한 10%가 넘고요, 한 20% 가까이 되는데 그만큼 알코올성 간경변, 그에 따르는 간암이라는 게 사회적으로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고 앞으로는 더 중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B형 간염이 있는 환자, 특히 남자들이 술을 거기에서 더 먹게 되면 굉장히 시너지 효과를 내게 되면서 간을 더 손상하기 때문에 지금 우리나라의 음주문화, 우리나라의 회식 문화가 남자에서 유병률을 높이는 원인 중의 하나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까 암도 항상 국가별로 지역별로 좀 빈도 차이가 많이 나잖아요. 위암은 아무래도 동아시아에서 높고 전립선암은 선진국에서 높고, 이런 얘기들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간암 비율이 높은 것은 아까 말씀해주신 B형 간염 때문이라고 생각해야 될까요? 그렇습니다. B형 간염 유병률이 아직도 40대 후반 이상 되는 연령대에서는 좀 높고요. 그게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간암 자체가 좀 줄어들고 있습니다. B형간염 유병률이 좀 떨어지기 때문에 그런 건데 상대적으로 일본은 B형 간염 보균자의 비율이 높지 않습니다. 그래서 간암 자체가 우리나라보다 적고요. 대부분 원인도 C형 간염이 대부분이고요. 다른 서양, 미국이나 유럽 같은데도 대부분 B형 간염이 많지 않기 때문에 간암 자체의 발생률이 적고 최근에는 백신에이션을 시작은 했지만 좀 늦게 시작한 동남아시아라든지 몽골에서는 B형 간염 유병률도 높고 따라서 간암 유병률도 높은 나라입니다. 병을 예방하려면 아무래도 원인이나 위험인자를 피하는 게 굉장히 중요할 것 같은데요 앞에서 말씀해주신 여러 가지 간암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 효과적인 예방법들 정리해서 말씀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본인이 B형 간염 보균자인지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또는 C형 간염 보균자인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므로 적어도 한 번 정도는 젊은 나이에 B형 간염 보균자인지 C형 간염 보균자인지 이런 것들을 확인해보실 필요가 있고요, 그게 가장 중요하고 최근에 여러 논문에서 활동성 B형 간염, 그래서 뭐 DNA, 바이러스가 피 속을 다니는 이런 상황일 때 항바이러스 제제를 쓰면 여러 가지 간경변으로 진행하는 것도 좀 막고 간암 발생률도 줄인다는 보고들이 있습니다. 과거에는 B형 간염 치료제, 항바이러스제가 뮤테이션(mutation),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았거든요. 그래서 필요할 때만 쓰자 이런 식이었는데 최근에는 좋은 약들이 많이 나왔습니다. 강력하고 돌연변이가 안 일어나는 약들도 많아서 지금은 적용 범위가 좀 넓어졌고요. 대신 한번 먹게 되면 평생을 먹어야 되는 단점은 있습니다. 먹다가 중단하고 그러면 상당히 내성이 생길 가능성을 높이는 거죠. 마찬가지로 C형도 과거에는 인터페론하고 리바비린이라 해서 굉장히 간접적인 치료였습니다. 면역을 증강해서 C형 바이러스를 없애는 치료인데 그 치료 반응률이 한 50% 정도밖에 안 됐고 대신 열이 나거나 몸이 힘든 부작용이 매우 많았는데 최근 3~4년 전부터는 직접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약들이 개발됐고 굉장히 고가였는데 그 약들이 한 2년 전부터는 보험이 되기 시작하면서 지금은 완치율이 90% 이상입니다. 치료를 시작하면 부작용도 없고 완치가 됩니다. 그래서 일단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서 본인이 B형 간염 환자인지 C형 간염 보균자는 아닌지 확인해보는 게 제일 중요하고요 그다음에 필요할 때는 치료를 좀 시작하시면 좋고 알코올성 간염이나 지방간과 관련된 지방간염을 가진 분들은 보통 단순한 간 기능 검사에서 GOT, GPT 라고 하는 거, 또는 다른 말로 말하면 AST, ALT인데요, AST, ALT가 좀 올라가 있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뭔가 있는 겁니다. 다시 말해서 지방간이 있고 AST, ALT가 안 올라가 있는 분들은 조금 괜찮거든요. 그냥 단순 지방간인데 AST, ALT가 올라가 있는 분들은 지방간 때문에 염증까지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그런 분들은 간암으로 갈 가능성이 AST, ALT가 안 올라가 있는 경우보다 좀 높다고 판단이 됩니다. 그래서 그런 분들은 굉장히 금주, 다이어트 같은 것들에 신경을 많이 쓰셔야 되죠. 네. 굉장히 중요한 말씀 해주셨는데 건강검진 때 지방간 있다. 이렇게 나오시는 분이 되게 많으실 거 같고 AST, ALT 좀 올라가 있는 분들 꽤 있으시잖아요. 그런 분들이 두 가지가 같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주의하셔야 한다는 거죠. 특히 알코올, 술 많이 드시는 분이 AST, ALT는 괜찮은데 감마지티라고 요새는 워낙 많이 아시는 GGT 또는 감마지티 이렇게 표현되는 감마지티가 올라가 있는 경우는 반드시 술을 끊으셔야 합니다. 그런 분들은. 이거는 100% 술 때문에 생기는 일이기 때문에, 술 때문에 간이 상당히 괴롭힘을 당하고 있다는 뜻이 됩니다. 지금 간이 너무 괴롭다는 얘기를 하고 있는 거군요. 네. 말씀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간이란 어떤 장기인지 간암의 위험인자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간암의 증상과 진단, 치료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 팟캐스트 지금까지 진행에 김민선, 도움 말씀에 우리병원 간담췌외과 이광웅 교수님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 건강정보 > 건강TV
정확도 : 18% 2018.10.11
고객참여 (2)

서울대학교병원 블라인드 직원채용 ( 대체근로자 ) 공고 ( 장애인 특별우대 ) 1. 채용분야 및 응시자격 채용직종 · 부서 채용 인원 월 최대 근로시간 계약기간 지원자격 직무 설명 촉탁 보건직 소아 진단검사의학과 1 명 통상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임상병리사 첨부 파일 참고 보라매병원 ( 소아청소년과 ) 1 명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임상심리전문가 강남센터 ( 헬스팀 ) 2 명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방사선사 강남센터 ( 헬스팀 ) 1 명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임상병리사 강남센터 ( 케어팀 ) 1 명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영양사 , 임상영양사 촉탁 간호직 조직은행 1 명 약 3 개월 ‧ 간호사 촉탁 약무직 약제부 4 명 약 6 개월 ‧ 약사 촉탁 운영기능직 소아 진단검사의학과 1 명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외래원무과 1 명 약 5 개월 촉탁 환경유지 지원직 설비과 1 명 약 6 개월 ‧ 기계 관련 기능사 이상 단시간 보건직 응급의학과 (S M I C U) 1 명 단시간 170h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1 급 응급구조사 , 1 종 보통 이상 운전면허 ▷ 공고일 기준 정년퇴직 기준연령 ( 만 60 세 ) 에 도달한 자는 지원할 수 없음 ▷ 남자는 병역필 또는 면제자에 한함 ▷ 면허 ( 자격 ) 을 요하는 분야는 공고일 기준 해당 면허 ( 자격 ) 증 소지자에 한함 ※ 본 채용은 블라인드 공개채용으로 자기소개서 등에 본인의 출신지역 , 가족관계 , 출신학교 등을 직 · 간접적으로 표현하거나 이를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을 기재하는 경우에는 불이익이 있을 수 있으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첨부파일의 채용분야 직무소개서 , 입사지원서 작성요령 및 주의사항을 반드시 확인 후 입사지원서를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 어학성적 (TOEIC, TEPS 중 1 개 ) 제출 시 우대합니다 . (2018.12.28. 이후 공인어학성적만 인정 , 단 사전 접수 기간에 제출한 성적도 인정 ) ※ 채용공고 내 타부서 및 타직종 중복지원 불가합니다 . 2. 전형방법 가 . 1 차전형 : 서류전형 나 . 2 차전형 : 실무면접 다 . 3 차전형 : 신체검사 ※ 각 전형 합격 시 차기 차수 전형 기회 부여 3. 전형일정 가 . 원서접수 ( 온라인접수 ) : 2020.12.4.( 금 ) ∼ 2020.12.11.( 금 ) 10:00 ※ 마지막 날은 접속이 어려울 수 있으니 , 반드시 사전접수 해 주시기 바랍니다 . 나 . 1 차 서류전형 합격자 및 실무면접 대상자 발표 : 2020.12.17.( 목 ) 예정 다 . 2 차 실무면접 : 2020.12.22.( 화 ) 예정 라 . 2 차 실무면접 합격자 발표 : 2020.12.28.( 월 ) 예정 마 . 3 차 신체검사 : 2020.12.29.( 화 ) 예정 ※ 상기 일정은 진행과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 최종 확정된 일정은 각 전형단계별 합격자 발표 공고문을 반드시 확인할 것 4. 서류제출 안내 ① 학부 및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1 부 ② 학부 및 최종학교 전학년 성적증명서 1 부 ☞ 편입자는 편입 전 학교 포함 , 운영기능직은 고등학교 졸업 · 성적증명서 각 1 부 ③ 병적사항이 기재된 주민등록초본 ( 남자에 한함 ) 1 부 ④ 외부 직업교육 수료증 ( 해당자에 한함 ) 1 부 ⑤ 면허증 및 자격증 사본 ( 해당자에 한함 ) 1 부 ⑥ 공인 어학성적표 사본 ( 해당자에 한함 ) 1 부 ☞ 사전 접수 기간에 제출한 성적에 대한 증빙서류도 오프라인 제출 필요 ⑦ 경력증명서 ( 해당자에 한함 ) 1 부 ⑧ 취업보호대상자 및 장애인 증명서 ( 해당자에 한함 ) 1 부 ※ 서류는 1 차 전형 합격자에 한해 추후 제출하며 ( 제출방법 등 1 차 전형 합격자 발표 시 안내 ), 입력사항이 제출서류와 다를 시에는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 일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및 성적증명서 등 제출서류는 입사지원서에 입력한 학교교육사항의 이수 여부 확인 등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되며 , 학교명 등의 정보는 면접전형 및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5. 특 전 ▷ 국가유공자예우등에 관한 법률 등 취업지원 적용대상자 , 등록 장애인은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우대합니다 . ▷ 등록 장애인 지원자는 서류전형 등에서 가점을 부여하며 , 병원 기준에 의거 일정 인원 우선 선발될 수 있습니다 . ( 단 , 채용분야 직무수행에 지장이 없는 자에 한함 ) 6. 유의사항 ▷ 응시원서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를 경우 ( 허위기재 , 증명서 미제출 등 ) 에는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 될 수 있음 ▷ 국가공무원법 제 33 조와 본원 인사규정의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됨 인사규정 제 19 조 ( 결격사유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직원으로서 채용될 수 없다 . 1. 피성년후견인 ,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특정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7. 병역의무자로서 병역기피를 한 자 8. 징계처분에 의하여 해임된 자로서 5 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 「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 제 82 조에 따른 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자 10. 채용 관련 부정합격자로서 면직 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5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 우리병원에서 수탁 운영하는 의료기관에서도 근무할 수 있음 ▷ 동종 직무를 수행하는 다른 부서에서도 근무할 수 있음 ▷ 타 기관과의 겸직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음 ▷ 보수는 본원 규정에 의거 지급 ▷ 응시인원이 모집인원과 같거나 미달하더라도 적격자가 없는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음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인사팀 (02-2072-2715) 으로 문의바람 2020. 12. 4. 서울대학교병원장 .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0% 2020.12.17

2020년도 하반기 블라인드 직원채용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및 2차 필기시험 일정공고 서울대학교병원 2020년도 하반기 직원채용 1차 서류전형 합격자 및 2차 필기시험 일정을 다음과 같이 공지합니다. 1. 1차 서류전형 합격자 합격자 조회 2. 2차 필기시험 집결일시 및 장소 • 집결일시 : 2020. 8. 30.(일) 구분 입실시간 고사실 입실통제 A 타임 09:00~09:30 09:40 B 타임 12:00~12:30 12:40 C 타임 15:00~15:30 15:40 ※ 입실통제 시간 이후에는 고사실 입실이 절대 불가합니다 . • 필기시험 장소 구분 고사장 제1고사장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글로벌공학교육센터(38동) 제2고사장 서 울 대 학 교 관 악 캠 퍼 스 농 업 생 명 과 학 대 학 ( 2 0 1 동 , 7 5 - 1 동 ) ※ 세부 고사실은 아래의 ‘지원부서 및 시험과목별 고사장 안내’ 참고 ※ 제2고사장 고사실은 200동이 아닌, 201동(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관), 75-1동(복지관)에 위치해 있습니다. • 교통편 안내 - 서울대학교 정문에서 고사장 ( 농업생명과학대학 및 글로벌공학교육센터 ) 까지 도보 이동시 약 20~30 분 ( 약 1~1.5km) 소요되므로 이동시간을 고려하여 입실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서울대학교 홈페이지 https://www.snu.ac.kr/about/gwanak/map (바로가기) 참조 - 코로나 19 관련 시험 당일 (8 월 30 일 ) 서울대학교에서 서울대학교 정문의 차량 출입을 통제하오니 ,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응시자는 서울대학교 정문에 내려서 병원에서 운영하는 셔틀버스를 이용하거나 도보로 이동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단 , 택시 등을 이용하는 경우 후문을 통해 출입할 수 있습니다 . ※ 5511번, 5513번, 5516번 버스 서울대학교정문에서 회차함 - 셔틀버스 운행 안내 1) 운행노선 : 서울대학교 정문 → 농업생명과학대학 → 글로벌공학교육센터 2) 운행방향 : 고사장 방향만 운행 ( 시험 종료 후 정문 이동 탑승 불가 ) 3) 운행시간 구분 운행 시간 비고 A타임 08:00 09:30(입실시간) 수시출발 - 09:30 11:00 30분 간격 출 발 B타임 11:00 12 :30(입실시간) 수 시 출 발 - 12:30 14:00 30분 간격 출 발 C타임 14:00 15 :30(입실시간) 수 시 출 발 ※ 교통편 지연에 따른 책임은 응시자에게 있습니다 . 이동시간 및 대기시간 등을 감안하여 지정된 고사실로 정해진 시간 내에 반드시 입실하시기 바랍니다 . ※ 병원 운영 셔틀버스 탑승여부와 상관없이 정해진 시간 내에 고사실에 입실해야 하며 입실 통제시간 이후에는 입실이 불가하오니 유념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지원부서 및 시험과목별 고사장 안내 구 분 필기시험과목 고사장 고사실 타임 사무직 경영전략 총무일반 인적자원관리 재무회계 경영학 ( 수험번호 1001~1152) 제 2 고사장 101 호 (201 동 ) A 타임 경영학 ( 수험번호 1158~1283) 제 2 고사장 203 호 (75-1 동 ) A 타임 경영학 ( 수험번호 1285~1439) 제 2 고사장 204 호 (75-1 동 ) A 타임 경영학 ( 수험번호 1442~1625) 제 1 고사장 520 호 A 타임 경영학 ( 수험번호 1634~1847) 제 1 고사장 513 호 A 타임 경영학 ( 수험번호 1851~1992) 제 1 고사장 517 호 A 타임 경영학 ( 수험번호 1996~2091) 제 1 고사장 515 호 A 타임 경영학 ( 수험번호 2092~2123) 제 1 고사장 516 호 A 타임 경제학 ( 수험번호 2707~2857) 제 2 고사장 101 호 (201 동 ) B 타임 경제학 ( 수험번호 2861~2978) 제 2 고사장 203 호 (75-1 동 ) B 타임 경제학 ( 수험번호 2981~3088) 제 2 고사장 204 호 (75-1 동 ) B 타임 행정학 제 1 고사장 513 호 B 타임 회계학 제 1 고사장 519 호 A 타임 의학연구협력센터 통계학원론 ( 수험번호 4301~4310) 제 2 고사장 101 호 (201 동 ) C 타임 통계학원론 ( 수험번호 4311~4321) 제 2 고사장 203 호 (75-1 동 ) C 타임 정밀의료센터 전산학 제 1 고사장 517 호 B 타임 데이터 사이언스 연구부 빅데이터 인프라 지원실 전산학 ( 수험번호 4401~4421) 제 1 고사장 520 호 B 타임 전산학 ( 수험번호 4422~4432) 제 1 고사장 517 호 B 타임 데이터엔 지니어링실 전산학 제 1 고사장 520 호 B 타임 AI 지원실 전산학 제 1 고사장 520 호 B 타임 보건직 내과 임상생리학 제 1 고사장 522 호 C 타임 정형외과 물리치료학 제 2 고사장 204 호 (75-1 동 ) B 타임 산부인과 발생생물학 제 1 고사장 519 호 A 타임 안과 임상생리학 ( 수험번호 5401~5407) 제 1 고사장 522 호 C 타임 임상생리학 ( 수험번호 5408~5418) 제 1 고사장 422 호 C 타임 응급의학과 전문심장소생술 제 2 고사장 101 호 (201 동 ) C 타임 응급의학과 ( 중환자이송 ) 전문심장소생술 제 2 고사장 101 호 (201 동 ) C 타임 재활의학과 임상병리 임상생리학 제 1 고사장 422 호 C 타임 작업치료 작업치료학 제 1 고사장 522 호 A 타임 영상의학과 방사선기술학 ( 수험번호 6004~6128) 제 1 고사장 520 호 C 타임 방사선기술학 ( 수험번호 6129~6216) 제 1 고사장 513 호 C 타임 방사선기술학 ( 수험번호 6220~6284) 제 1 고사장 517 호 C 타임 방사선기술학 ( 수험번호 6287~6324) 제 1 고사장 515 호 C 타임 방사선기술학 ( 수험번호 6325~6352) 제 1 고사장 516 호 C 타임 방사선종양학과 방사선치료학 제 2 고사장 203 호 (75-1 동 ) C 타임 진단검사의학과 임상병리학 ( 수험번호 6713~6800) 제 1 고사장 517 호 B 타임 임상병리학 ( 수험번호 6812~6886) 제 1 고사장 515 호 B 타임 병리과 임상병리학 ( 수험번호 7005~7011) 제 1 고사장 515 호 B 타임 임상병리학 ( 수험번호 7012~7047) 제 1 고사장 516 호 B 타임 급식영양과 임상영양학 제 1 고사장 422 호 A 타임 완화의료임상윤리 센터 의료사회복지론 제 1 고사장 522 호 A 타임 중입자가속기사업단 의학물리학 제 1 고사장 513 호 B 타임 소아정신과 아동 ‧ 청소년 정신병리학 제 2 고사장 101 호 (201 동 ) C 타임 의무기록팀 의무기록관리학 제 2 고사장 204 호 (75-1 동 ) C 타임 연구실험부 임상병리학 제 1 고사장 516 호 B 타임 융합연구협력부 분자생물학 제 2 고사장 203 호 (75-1 동 ) C 타임 첨단세포유전자치료센터 의약품규제과학 제 1 고사장 516 호 C 타임 의학연구협력센터 의학통계학 제 1 고사장 516 호 A 타임 혁신의료기기연구부 방사선기술학 제 1 고사장 516 호 C 타임 기술직 기계 냉동 및 공기조화설비 제 2 고사장 204 호 (75-1 동 ) C 타임 건축 건축구조학 ( 수험번호 8301~8338) 제1고사장 522호 B 타임 건축구조학 ( 수험번호 8342~8408) 제1고사장 422호 B 타임 소방 소방원론 제 1 고사장 519 호 A 타임 의공직 혁신의료기기연구부 의공학 기초 제 2 고사장 204 호 (75-1 동 ) C 타임 ※ 시험유형은 객관식 50문항, 시험시간 50분 ※ 2고사장의 경우 203호, 204호는 75-1동, 101호는 201동에 있음 ※ 세무사(사무직), 운영기능직 및 환경유지지원직 지원자는 필기시험 대상이 아니며, 실무면접에 관하여 2020.9.4.(금) 게시하는 공고문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준 비 물 가. 수험표(합격자 조회화면에서 출력), 신분증(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나. 컴퓨터용 사인펜, 필기도구 다. 통계학원론, 의학통계학, 회계학 과목 응시자는 전자계산기 지참(공학용계산기 불가) 4.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 2020. 9. 4.(금) 18:00 병원 홈페이지 ※ 필기시험 합격자에 한해 인성검사 및 실무면접 응시 자격을 부여합니다. 세무사(사무직), 운영기능직 및 환경유지지원직 지원자는 서류전형 합격자 전원에 대하여 인성검사 및 실무면접 응시자격 부여합니다. 5. 이후 진행일정 - 3차 실무면접 및 인성검사 : 2020. 9. 8.(화) ~ 9.11.(금) 예정 ※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시 세부내용 공지 - 4차 최종면접 : 2020. 9. 22.(화) ~ 9. 25.(금) 예정 ※ 실무면접 합격자 발표 시 세부내용 공지 6. 코로나19 관련 안내 사항 - 코로나 19 감염 예방을 위한 행동수칙 ( 손씻기 , 기침예절 등 ) 을 준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 - 모든 응시자 반드시 개인별 마스크 착용 하여야 하며 , 시험장 출입 전 체온측정 및 손소독제 사용 후 입실이 가능합니다 . - 시험실 입실 전 발열체크와 손 소독 등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 비교적 여유있게 시험 장소 도착해주시기 바랍니다 . - 기침 · 발열 등 의심징후가 있는 수험자는 별도 문진 후 별도 시험실에서 응시하거나 응시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 - 기침 ·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 ( 기침 등 ) 등 특이사항이 있는 경우 반드시 방역담당관에게 알 려주시기 바랍니다 . - 시험장 환기를 위해 시험 중 창문 등을 상시 개방할 수 있으며 , 이로 인한 소음 등이 발생 할 수 있으나 코로나 19 감염예방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인 점을 고려하여 양해 바랍니다 . - 퇴실 시 수험생 밀집으로 인한 감염예방을 위해 ,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퇴실할 예정이오니 수험생들은 해당 시험실에서 감독관 통제 하에 질서 있게 대기해 주시기 바랍니다 . -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응시가 제한됩니다 . · 시험일 기준 14 일 이내 해외 방문자 · 환자의 접촉자 중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 ( 기침 , 호흡곤란 등 ) 이 있는 경우 · 코로나 19 확진환자 , 의사환자* 및 감염병의심자 등 현재 자가격리통지서를 받아 격리 중인자 · 코로나 19 검사 후 검사결과가 시험시작 전까지 나오지 않은 경우 * 의사환자 : 확진환자의 증상발생 기간 중 확진환자와 접촉한 후 14 일 이내에 발열 (37.5 ℃ 이상 ) 또는 호흡기증상 ( 기침 , 호흡곤란 등 ) 이 나타난 자 ※ 위 해당자가 그 사실을 숨기고 시험에 응시하여 추후 적발되는 경우 , 합격 취소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음 - 시험 전 사회적거리두기 단계가 현 2단계에서 3단계로 격상되거나, 코로나19 진행 상황에 따라 필기시험 연기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필기시험을 연기할 수 있사오니, 모든 응시자는 2020.8.28.(금) 병원 채용 홈페이지에서 필기시험 최종 시행 여부를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7. 문의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인사팀(02-2072-3211, 2715)으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2020. 8. 25. 서울대학교병원장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1% 2020.08.29
병원소개 (20)

2002~현재 국내외 유기적인 네트워크로 혁신적인 의료 패러다임을 구축 전체보기 1978~2001 특수법인 서울대학교병원, 대한민국의 의료를 세계로 전체보기 1945~197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대한민국 의료의 발전을 선도하다 전체보기 1910~1945 일제의 한국 강점과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원, 경성의학전문학교 부속의원 전체보기 1885~1910 조선 정부의 근대화 모색과 제중원, 대한의원 전체보기 2002 ~ 현재 유기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첨단 의료를 이끌다. 서울대학교병원은 다양한 전문분야 특성을 살리고 최적의 치료가 가능하도록 국내외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공공의료에 대한 열정과 중증 희귀난치질환 분야의 경쟁력이 결집된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최첨단 진료시스템과 끊임없는 연구로 암 정복을 앞당기는 서울대학교암병원을 비롯해, 저마다 특화된 의료영역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춰 나가며 혁신적인 성과를 이루고 있습니다. 나아가, 글로벌 협업을 통해 획기적인 의료기술을 실용화하며, 세계 곳곳에 앞선 병원운영 모델과 의료 시스템을 전파함으로써 세계인의 건강을 책임지는 미래의료의 허브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2002년 5.22. 어린이병원 증축 기공 6.1. 전자행정시스템(그룹웨어) 가동 7.1. 인터넷 진료예약 시행 10.5. 무인 약처방발행기 가동 10.25. 일본 동경대병원 벤치마킹 위해 방문 10.28. 가정간호팀 신설 11.18. 공공부문 혁신대회 기획예산처장관상 수상 12.4. 분당서울대병원 준공식 2003년 1.2. 지방거주자, 노인, 장애인 등 대상 당일진료 시작 5.5. 어린이 안전 원년 선포식 5.10.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본격적인 진료 시작 5.13. 의료용 스마트카드 '헬스원카드' 발급 시작 8.1. 외래에 고객상담실 개설 9.3. 간호부 고객사랑간호 선포식 10.14.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개원 12.10. 세계 최초 장기생산용 돼지 · 광우병 저항소 탄생에 주도적으로 참여 2004년 1.13. 국내 최대 항암치료시설 갖춘 암센터 개설 2. 세계 최초 복제 인간배아줄기세포 확립 연구에 주도적으로 참여 3.2. 유방센터 개소 4.28. 서울권역응급의료센터 확장 개소 5.16. 북한 조선의학협회와 의료기술협력 협약 체결 5.31. 제13,14대 성상철 원장 취임 6.23. 의료정보윤리헌장 선포식 및 심포지엄 7.7. 전국 28개병원과 동시 협력병원 협약 체결 9.27. 엄마젖 사랑 실천병원 선포식 및 심포지엄 10.15.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 본격 가동 10.29. 디지털 병원 선포 및 기념 심포지엄 11.1. 전화번호 국번이 760, 708 국에서 2072 국으로 변경 12.29. 지진해일 피해입은 스리랑카에 의료진 20명 급파 2005년 1.27. 응급의료센터 확장 개소 3.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5년 연속 1위 4.1. 콜센터(1588-5700) 운영 4.13. 보건복지부 최우수 응급의료센터로 선정 4.14. 보건복지부 의료기관평가 1위 5.24. 핵의학과, 전세계 유일 국제원자력기구(IAEA) 핵의학 협력센터 지정 개소식 5.25. 국내 최초 이상운동센터 개설 기념식 7.1. 대한의원 100주년 · 제중원 122주년 기념사업추진단 발족 10.15. 어린이병원 개원 20주년 10.19. 세계줄기세포허브 개소 10.27. 평양의료협력센터 준공식 2006년 2.6. 당뇨·갑상선·내분비센터 개소 3.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6년 연속 1위 3.15. 대한의원 99주년 심포지엄 개최 3.17. 장기이식센터 심포지엄(1969년 첫 신장이식 후 1,000례 돌파) 7.13. 고객만족캠페인 'I-First'실시 7.14. 보건복지부 지정 뇌졸중 임상연구센터 개소 7. 신생아중환자실 국내최대규모로 확장 10.12. 6시그마경영 1차 프로젝트 발대식 개최 12.6. 농협과 농촌지역 순회의료봉사 협약 12.13. 뉴비전 'BREAKTHRU 21' 선포 2007년 2.8. 보건복지부 지정 혁신형 세포치료 연구중심병원 사업단 개소 2.21. 임상시험센터 개소 10주년 3.15. 대한의원 100주년 제중원 122주년 기념식 3. 위암수술 2만례 돌파 4.12. 의료취약계층 위한 의료봉사단 출범 6.22. 국제실험동물관리평가인증협회 완전 승인 획득 7.1. 병원역사문화센터 신설 10.15. 전자사보 e-함춘시계탑 창간 11.8. 몽골 국립병원과 의료교류협약 체결 2008년 2.4. 문경시와 연수원 건립 양해각서 체결 2.14. 신경정신건강센터 개소 5.15. 임상의학연구소 개소 10주년 5.26. 로봇수술센터 개소 6.6. 홈페이지 회원 대상 웹진 창간 6.18. 보라매병원 새 병원 개원 7.22. 심장사 간 이식 국내 첫 성공 8.4. 어린이병원 새단장 10.1. 암센터 기공 2009년 1.14. 국가 참조 표준 데이터센터 선정 2. 보건복지가족부 공모 유방암 중개연구센터 선정 3.2. 임상의학연구관리시스템 'NEW-CRIS' 가동 4.27. 법무부와 교정시설 수용자 원격화상진료 업무협약체결 5.7. 한국장기기증원 개소 6. 약물유해반응관리센터 개소 6.29.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정보보호관리 국제인증(ISO27001) 7.3. 보건복지가족부 지정 영장류 연구센터 개소 7.3.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기준 확정 8.17. 건강증진센터 확장개소 12.21. 주한 미육군 의무부대와 진료협력 MOU체결 2010년 2.11.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관 증축 기공식 3.8.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0년 연속 1위 3.9. 의료정보센터 신축 이전 4.6. 본관 로비 확장 증축 5.31. 제15대 정희원 원장 취임 6.24. 모바일 예약홈페이지 오픈 7.9. 영장류센터, AAALAC FULL ACCREDITATION 획득 7.15. 이종욱-서울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과 협약 체결 8.30.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1위 9.20. 국제진료센터(IHC) 확장 이전 개소식 개최 10.6. 프라임사이트로 선정(퀸타일즈社) 10.11. 중국 연길시 및 연길중의병원과 건강검진센터 건립 양해각서 체결 10.20. 보라매병원 희망관 리모델링 완공 11.1. 라오스 국립의대와 장기지원 MOU체결 2011년 1.27. 보건복지부 의료기관 인증 최초 획득 2.11. 신장이식 1,500례 달성 3.8.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1년 연속 1위 3.25. 암병원 개원 4.1. '남녀고용평등 우수기업' 선정 국무총리표창 수상 4.11. 의생명연구원 현판제막식 5. 환자중심 첨단로비로 새단장 6.1. 중증외상센터 개소 6.23. SNUH 월드클래스센터 발굴 인증 7.20. 간이식 1,000례 돌파 8.4. SNUH, 첫 통합 HI 선포 8.29.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1위 10. SK텔레콤과 공동 국내최초 헬스케어 융합기술 연구 개발 합작사 설립 MOU 10.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내게 맞는 암정보'제공 11. 암병원 전용 수술실 4개 추가 12.13. 유방갑상선센터 개소 12.21. 아부다비보건청 첫 송출환자 진료 12. 갑상선 수술 1만례, 로봇갑상선수술 1천례 달성 2012년 1.3. 의생명연구원, 국내 최초 '우수동물실험시설' 지정 1.17. 스마트 모바일헬스 지향 '헬스커넥트' 출범 1. 뇌종양 수술 1만례 달성 2.28. 미국 뉴욕 오피스 개소 3.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2년 연속 1위 4. 중앙 119구조단과 응급의료체계 구축 협약체결 5.16. 심장뇌혈관병원 기공 6. 포춘코리아, '2012 월드클래스 브랜드'병원부문 선정 7. 보건복지부 공모 희귀질환연구센터에 선정 8.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3년 연속 1위 8.14. 권역응급의료센터 6년 연속 최우수평가 9. 병원보 함춘시계탑 400호 발행 9.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전 분야 최고등급 9.2. 정밀방사선치료(HPRT)센터 개소 10.4. 교양도서관 '함춘서재' 확장 개관 10.10. 연수원, '메디컬HRD센터' 기공 10. 잡지사보 VOM창간 11.16. 임상시험센터, '초기임상시험 글로벌선도센터' 선정 12.20. 보행로봇재활치료센터 개소 12. 피보험자보호프로그램(AAHRPP) 국제인증 획득 2013년 1.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결과 2년연속 '우수기관'선정 1.18. '2012 BEST ACLS(KALS) TRAINING SITE AWARD' 1. 암병원, 미국 국립암연구원과 상호 연구 협력을 위한 MOU체결 2.21. 차세대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으로 스마트한 모바일 진료 환경 완비 3.4.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3년 연속 1위 3.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기관 평가 결과 ‘서울대병원 9년 연속 최상위 등급’ 4. 보건복지부 선정 ‘연구중심병원’으로 지정 4.10. '2013 메디칼 코리아' 대통령 표창 수상 5.2. 입원 환아 위한 '어린이 도서관' 개관 5.31. 제16대 오병희 원장 취임 8.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4년 연속 1위 9.11. 소아응급센터 이전 확장 개소 12. 대한민국 교육기부대상에서 교육부장관상 수상 2014년 3. 소통강화 프로젝트 SNUH공감+가동 3.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4년 연속 1위 6. 아랍에미리트(UAE) 왕립 셰이크 칼리파 전문병원(SKSH) 위탁운영 프로젝트 수주 성공 6. 사우디아라비아에 7백억원 규모 병원정보시스템 수출계약 체결 7. (성인)응급의료센터 업그레이드 7. 팟캐스트 SNUH건강톡톡 제작 8.13. UAE 왕립병원 운영 본계약 체결 9.25. 인재원개원 9. 생체간이식 1천례 달성 9. 보건복지부 '연구중심병원 육성 연구개발 지원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 12. 의료기관 2주기 재인증 획득 2015년 2.18. 병원 위탁운영 UAE 왕립병원 개원 3.10.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5년 연속 1위 3.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4년 연속 최고 등급 3. 신장이식 2천례 달성 4.14. 암맞춤치료센터 개소 4.29. 꿈틀꽃씨 쉼터 개소 4.30. 제중원 130주년 기념식 개최 6. 희망진료센터 개소 3주년 기념식 개최 7.16. 의학연구혁신센터(CMI) 개소 7.17. 중국 악양시와 국제병원 설립 추진 MOU 체결 10. 어린이병원 개원 30주년 기념식 개최 11. 뇌은행 개소 12. 첨단외래센터 기공 2016년 3.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6년 연속 1위 4.1. 제중원 개원 131주년 기념 학술강좌 개최 4. 연구중심병원 재지정 4.30. 제중원 131주년 기념식 개최 5.31. 제17대 서창석 원장 취임 8.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종합병원 부문 1위 9. UAE 셰이크 칼리파 전문병원과 원격의료자문 협약 체결 2017년 2.1.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운영 3.16.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7년 연속 1위 8.13. 아랍에미리트(UAE) 왕립 셰이크 칼리파 전문병원(SKSH) 위탁계약 3주년 8.16. 심층진료사업 시행 8.22. 의사직업윤리위원회 발족 8.28. 한국생산성본부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1위 9.21. 중입자가속기사업 추진 MOU 체결 9. 권역응급의료센터 리모델링, 응급실 전담교수제 시행 9. 내과계중환자실 1인 격리병실로 리모델링 10.20. 평창동계올림픽, 동계패럴림픽 의료지원 MOU 체결 10.24. 병원 홈페이지 리뉴얼 11.1. 인권센터 개소 11.14. 정밀의료센터 개소 12.14. 병원 대표전화(1588-5700) 일원화 2018년 1.29. 암 정밀의료 플랫폼 '사이앱스' 도입 2.9. 평창동계올림픽 의료지원 2.18. 아랍에미리트(UAE) 왕립 셰이크 칼리파 전문병원(SKSH) 개원 3주년 3.11. 성인 폐 소아에 이식 국내 첫 성공 3.22.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8년 연속 1위 7.13. 암 정밀의료 플랫폼 '사이앱스' 본격 운영 8.27.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1위 12.13.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암센터 전 병상 무균실화 2019년 2.25. 대한외래 진료 개시 3.22.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9년 연속 1위 4.3. 대한외래 개원기념식 5.10. 과기정통부 등과 중입자치료센터 구축 협약 5.31. 제18대 김연수 원장 취임 7.1. UAE 셰이크칼리파전문병원 재계약, 2기 출범 7.18. 어린이병원학교 20주년 기념식 8.13. 의료발전위원회 위촉 8.27. 미래위원회 위촉 10.1. 국립교통재활병원 위탁 운영 10.24.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적정수가 연구 업무 협약 11.1. 파견·용역 비정규직, 국립대병원 최초로 정규직 전환 11.25. 입원전담전문의 채용 확대 2020년 3.4. 인재원, 경북·대구 생활치료센터로 운영 3.9.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시험 착수 3.31.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20년 연속 1위 5.1. 외래통합안내도 발간 6.4. 코로나19 백신 국내 첫 임상시험 시작 6.30.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 착수 8.1. 융합의학기술원 융합의학과 개소 8.22. 노원·성남 생활치료센터 운영 8.31. 도시바 컨소시엄과 중입자가속기 계약 체결 9.14.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5년 연속 1위 9.17. '어린이병원 비전 2035' 선포식 11.19. 외과혁신 포럼 개최 12.18. 의료질지표 보고서 'Outcomes Book' 발간 2021년 1.5. 부패방지 시책평가 1위 달성 2.1. 야마가타 대학 MOU 2.4. 국내 최대 규모 멀티-시네마월 영상작품 공모 2.17. 종합지원시설동 기공식 2.26. 발달장애 중앙지원단-한국장애인개발원-서울특별시 발달장애인 지원센터 업무협약 3.4. 코로나백신 접종 시작 3.25.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21년 연속 1위 4.30. 배곧서울대병원 예비타당성조사 최종 통과 5.3. 소아급성백혈병 CAR-T 치료제 연구 시작 5.3. 서울대 암연구 경쟁력 세계 14위 등극 6.4. 한국수력원자력과 공동연구 업무협약식 개최 6.14. 건강보험공단과 분석협력센터 설치 운영 협약 체결 6.30. 인바이츠바이오코아-헬스커넥트와 3자 MOU 개최 7.22. 병원 의료기술을 우즈벡 의료진에 전수 8.6. 국립정신건강센터와 MOU 체결 9.13.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6년 연속 1위 11.11. 산부인과 여성센터 개소 11.22. 라오스 첫 국립대병원 건립에 도움 12.9. 소아백혈병 CAR-T 치료제, 국내 최초로 병원 생산 2022년 3.2. 서울대병원-카카오, 코로나19 자가진단 챗봇 구축 3.4. 안전경영 선포식 개최 3.7. 대웅제약-아피셀테라퓨틱스과 재생의료 첨단바이오의약품 MOU 체결 3.11. 넥슨어린이통합케어센터 기공식 3.25.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22년 연속 1위 4.5. 국내 최초 병원 생산 CAR-T 치료 성공 5.10. 카카오헬스케어와 정밀의료 지식은행 구축 맞손 5.11. 어린이병원, 어린이날 100주년 기념 캠페인 5.13. 차세대 그룹웨어 BESTWorks 1.0 정식 오픈 5.19. 국내 의료기관 최초 소프트웨어 품목군 의료기기 GMP 인증 획득 6.20. 국립소방병원 위탁 운영 결정 7.20. 라오스 국립대병원 설립 프로젝트 워크숍 9.1. 2년 4개월간의 기록 코로나19 백서 발간 9.6.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7년 연속 1위 12.23.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최우수 등급 획득 2023년 2.23. 정밀의료 지식은행 기반 차세대 진료 시스템 구축 3.24.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23년 연속 1위 5.3. 하버드-MIT 공동 설립 HST와 의사과학자 양성 협약 5.12. 서울권역책임의료기관 원외대표협의체 개최 5.26. 어린이병원-우즈베키스탄 국립아동병원 Joint 심포지엄 개최 6.19. 국립중앙의료원과 중앙감염병원 설립 및 운영 협력 MOU 체결 7.25. 서울가정법원-서울시와 학대 피해아동 치료기관 수탁 MOU 체결 8.3. 분산형 임상시험 신기술 개발 연구 개시 10.13. 병원 '그룹·미션·비전' 선포 10.20.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8년 연속 1위 11.1. 넥슨어린이통합케어센터 개소 12.19.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최우수 기관 선정 12.19.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첨단바이오 연구 활성화 및 발전 MOU 체결 12.21. 중증환자 전담간호사 양성 표준 교육프로그램 개발 2024년 1.9. 국내1호 디지털치료기기 첫 정식 처방 1.29. 대한민국 1호 국가전략기술 특화연구소 지정 2.7. 부산 기장 중입자치료센터 증축 및 리모델링 공사 착공 3.14. 상급종합병원 최초 AI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제조인증 획득 3.27.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24년 연속 1위 레이어 닫기 1978 ~ 현재 특수법인 서울대병원 설립 1978년 서울의대 부속병원은 자율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대한민국 의료를 세계 수준으로 높이고자 특수법인 서울대학교병원으로 거듭났다. 이때 제정된 서울대학교병원 설치법 제1조의 내용은 '서울대학교병원을 설치하여 의학 및 치의학 등에 관한 교육, 연구와 진료를 통하여 의학발전을 도모하고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이다. 이는 곧 서울대학교병원이 법률적으로도 국가의료의 중심으로 공인되었음을 의미한다. 법인화와 때를 같이 하여 서울대학교병원의 숙원이던 신축 병원이 완공되었다. 새 병원은 지하 1층, 지상 13층에 1,056병상의 입원 진료시설과 2천여 명의 외래환자 수용능력을 보유해 당시로서는 동양 최대 규모의 병원이었다. 이로써 서울대학교병원은 대한민국의 대표 병원이자 의학 연구의 중심으로서의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토대를 갖추었다. 그 후 서울대학교병원은 1985년 어린이병원 개원, 1987년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당시 영등포병원) 위탁 운영, 2003년에는 노인 및 성인 질환을 전문 진료하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과 건강검진을 전문으로 하는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를 개원하였고, 2011년에는 암정복을 글로벌리더가 되기 위해 암병원을 성공적으로 개원하여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의학 및 의술분야에서는 국내 최초로 시험관아기의 탄생과 간이식,세계 최소형(最小型)의 인공심장을 개발, 부분 간이식 및 심장사 간이식, 세계 최초로 C형 간염 바이러스 혈청분리 성공, 간암 새 검사법을 개발, 세계최초 단일기관 위암수술 2만례 달성, 갑상선수술 1만례 돌파 등 대한민국의료의 새 길을 열어가고 있다. 의학연구 면에서도 서울대의대와 서울대학교병원은 연구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어 2005년 처음으로 SCI 논문 1,000편 시대를 열었으며 2010년에는 1,620편의 SCI 논문을 발표해 첨단의학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아울러 서울대학교병원은 2006년부터 공공보건의료사업단을 구성해 국내외 의료취약계층에 대한 의료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처럼 서울대학교병원은 대한민국의 국가중앙병원이라는 명성에 걸맞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의료를 세계로 견인해 나가고 있다. 1978년 1.11. 서울대학교병원 설치위원회 설치 6.21. 서울대학교병원 설치법 시행령 제정 공포 7.14. 특수법인 김홍기 초대원장 취임 7.15. 특수법인 서울대학교병원 발족 7.17.~18. 개원기념 국제학술대회 개최 1979년 2.5. 신축병동 외래 진료 시작, 외래 예약제도 실시 4.1. 병원보 창간 5.28. 제2대 권이혁 원장 취임 6.1. 병원업무 전산화 돌입 11.1. 의뢰진료제도 실시 11.20. 주보(현 주간소식) 창간 1980년 2.22. 국내 최초 인공췌장 개발(의공학과) 5.30. 부설 병원연구소 설치(구본관) 8.5. 제3대 홍창의 원장 취임 11.20. 국문 홍보용 안내책자 발간 1981년 2.1. 외래 수납업무 전산화 8.22. 관리동 개관식 9.15. 국내 최초 가정의학과 외래 설치 11.18. 신경정신과 낮병원 개설 1982년 2.15. 간호사 기숙사 개관 6.1. 제4,5대 이영균 원장 취임 8.9. 개업의 단기 연수과정 개설 11.4. 의학박물관 개관 준비위원회 발족 12.17. 어린이병원 기공식 1983년 3.9. 시청각교육실 설치 7.1. 외래안내전담반 운영 10.11. 한일 양국 정부간 어린이병원 OECF 차관 협정 체결 1984년 4.4. 임상병리동 준공 9.3. 영어회화 시청각 교육 실시 11.7. 세계보건기구(WHO) 병원관리분야 협력센터 지정 현판식 1985년 8.31. 새 인공 고관절 개발(정형외과) 10.12. 국내 최초 시험관 아기 탄생(산부인과) 10.16. 어린이병원 개원 기념식 12.15. 핵의학 검사동 준공 1986년 4.9. 언어청각장애진료실 진료 시작 5.28. 제6,7대 한용철 원장 취임 6.9. 안은행 정식 출범 7.1. 정맥주사 혼합업무 실시 8.30. 여성불임 복원수술 5백례 10.14. 간연구소 개설 1987년 2.3. 개심술 5천례 돌파 5. 대장암 세포주 첫 미국 공인 획득(외과) 5.9. 직원연수교육 시작 7.31. 노동조합 창립 총회 9.24. 국내 첫 여섯 쌍둥이 출산(GIFT방식으로 세계 최다산) 9.26. 시립 영등포병원 위탁운영 계약 체결 10.26. 송촌 지석영 선생 동상 제막 12.9. 시립 영등포병원 개보수공사 완료 개원 12.21. 주보 복간 1988년 1.13. 인공심장 미국특허 획득(의공학과) 2.3. 신장이식 2백례 돌파 3.17. 국내 최초 간이식 성공(외과) 5.9. MRI 설치 11.18. 인공내이 이식술 성공(이비인후과) 1989년 2.1. 제1진료부원장 산하에 의학박물관 설치 4.27. 소아진료부 증축건물 완공 8.23. 임상교수요원제도 신설 12.13. 설비시설 개보수공사 착공 1990년 5.28. 제8대 노관택 원장취임 7.14. 강원도 낙산해수욕장에 첫 하계휴양지 설치 11.1. 전화번호 국번이 7601 국에서 760 국으로 변경 11.20. 국내 최초 태아수혈 성공(산부인과) 1991년 1.28. 대한의학협회로부터 의사연수교육 시범기관으로 지정 3.5. 국내 최초 이식연구회 발족(신장, 간, 심장 등 8개팀 구성) 5.20. 부설 임상의학연구소 신설 6.16. 국내 최초 감염관리실 설치 7.1. 조직 및 인력진단 실시 11.18. 신축 보라매병원 진료 시작 1992년 1. 컴퓨터 도입, 사무자동화 본격 시작 1.25. 대학로 문(동문) 개통 4.6. 의학박물관 개관 5.18. 국내 최연소 신장이식 성공(외과) 7.11. 국내 최초 부분 간이식 성공(외과) 7.21. 장기이식위원회 발족 12.1. 불우환자돕기 함춘후원회 창립 총회 12.11. 지하주차장 착공식 1993년 1.11. 미국 펜실베니아의대 및 의료원과 협약 체결 3.30. 전공의진료편람 발간 기념식 5.13. 서울대학교병원사 출판 기념식 5.18. 신축 치과병원 준공 5.30. 제9대 한만청 원장 취임 6.10. 병원건물 내 전역 금연구역 선포 7.1. 환자편의향상위원회 발족 12.23. 국내 최초 뇌세포이식 수술 성공(신경과, 신경외과) 1994년 3.30. 국내 최초 원거리 심장이식 성공(흉부외과) 5.7. 국내 최초 폐이식진료실 개설 6.15. 국내 최초 양전자단층촬영기(PET) 설치 6.17. 본관 병동 개보수공사 완료 7.1. 본관 7층에 장기이식병동 개설 7.4. 뇌정위수술시스템 개발, 시술 성공(치료방사선과) 8.1. 수면다원검사실 본격 운영 8.22. 분당병원건립추진본부 발족 9. 국내 최초 간질집중치료센터 개설 9.1. 남성의학클리닉 개설 10.14. 소아 암 및 벽혈병 전문병동 개설 10.17. 지하주차장 준공 10.19. 세계 최초 사람심장크기 인공심장 양에 이식 성공(흉부외과, 의공학과) 1995년 1.6. 외래진료공간 확충위해 원장실 등 시계탑건물로 이전 1.10. 환자 보호자 위한 교양도서실 개설 4.21. 임상의학연구소 임상시험센터 기공식 5.1. 건강증진센터 개설 3.1. 전문직위제 도입, 전문간호사 6명 임명 3.2. 어린이집 운영 3.21. 암 체외수술 최초 성공(비뇨기과, 외과) 5.31. 제10대 이영우 원장 취임 6.24. 마을버스 운행 7.1. 원무분야 전산화 본격 시행 10. 말기암 환자에 유전자요법 시행(종양내과) 1996년 1.25. 인터넷 홈페이지 개설 3.21. 제1회 QA경진대회 개최 3.27. 분당병원 기공식 9.24. 원격치매센터 개통 11.20. 보라매병원과 원격진단시스템 가동 12.1. 지방환자위한 지역채혈제도 시행 1997년 8.4. 마취과 외래 개설 10.26. 심장 · 폐 동시이식 성공(흉부외과) 11.17. 암정복연구동 기공 12.6. 감마나이프센터 개설 1998년 5.15. 국내 최대 규모의 임상의학연구소 준공 5.27. 본관 2층에 안, 이비인후과센터 개설 5.31. 제11,12대 박용현 원장 취임 9. 세계 최초 호지킨병 원인 규명(병리과) 10. 세계 최초 간종양 새 검사법 개발(진단방사선과) 10.14. 내과계외래 개보수공사 완공 10.21. 대국민 건강강좌 개최 11.1. 의료계 최초 가정폭력피해자보호팀(아동팀) 발족 11.5. 국내 최초 간분할 이식 성공(외과) 1999년 1. 세계 최초 뇌성마비 주 원인 규명(산부인과) 1.29. 'VISION 21' 선포 4. 세계 최초 알레르기 원인 물질 규명(알레르기내과) 4.2. 의학박물관 확장 재개관 6.17. 장례식장 확장 증축 7.15. 국내 최초 어린이병원학교 개교 10.14. 종합의료정보시스템 구축 11.17. 세계 최초 C형 간염 바이러스 분리 성공(소화기내과) 11.22. 한국능률협회 경영혁신 병원부문 대상 수상 12.27. 과기부 등 주최 20세기 한국의 100대 기술에 종합의료정보시스템 선정 2000년 1.1. 2000년 진료서비스 안전(Y2K 문제 해결) 선언 2. 자동 시력검사시스템 개발(안과) 5. 세계 최초 난치성 류마티스관절염 치료법 개발(류마티스내과) 10.14. 환자위한 휴식처 '함춘쉼터' 준공 2001년 2. 에이즈 바이러스(HIV-1) 새로운 아형 발견(감염내과) 2.21. 호스피스실 개소 3. 5. 환자 간 일부 떼어내고 공여자 간 일부 붙이는 새로운 간 이식 성공(외과) 3.21.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위 4.4. 서비스 리더 발대식 7.1. 순수 국내 기술 개발 PACS(의료영상전송시스템) 가동 8.27. 당뇨 및 내분비질환 유전체센터 개소 레이어 닫기 1945 ~ 197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대한민국 의료의 발전을 선도하다. 해방 이듬해인 1946년 서울대학교가 창설되었다. 이때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와 경성의학전문학교가 통합되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이 발족되었고,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원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이 되었다. 서울의대와 그 부속병원은 해방 직후 정치적, 이념적 혼란기에 의학 연구와 교육 및 진료에 심혈을 기울였다. 6.25전쟁 중에는 부산에서 ‘전시연합대학(戰時聯合大學)’을 운영해 의학교육의 맥을 이어갔으며, 제주도와 부산에서 구호병원을 운영해 지역 주민과 피난민 진료에 혼신의 힘을 다했다. 1954~1961년에는 ‘미네소타 프로젝트’를 통해 시설을 복구하고 교수진의 미국 연수를 통해 최신 의학과 의학교육방법을 도입했다. 그 결과 흉부외과, 신경외과, 마취과, 임상병리과 등이 발전 기반을 확보하게 되었고, 인턴 레지던트제도가 정착되었다. 1963년 국내 최초로 인공심폐기를 사용한 개심술을 성공시켰고, 1970년대에는 세계 최초로 B형간염 바이러스 항원을 분리하는 데 성공하고, 백신을 개발해 실용화했다 결국 서울의대 부속병원은 남북분단, 전쟁, 경제적 곤궁 등 열악한 사회 여건 아래서도 대한민국 의학과 의료를 주도하면서 인술을 통해 국민생활과 사회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선진의학 도입과 확산의 중심 거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체계적인 수련으로 많은 의학자들을 배출해 국내 각 의과대학의 의료진이 되게 함으로써 국가중앙병원으로서 제 몫을 다했다. 1945년 10.17. 미군정이 경성제국대학을 경성대학, 경성제대 의학부 부속의원을 경성대학 의학부 부속의원으로 개칭 1946년 8.22. 국립서울대학교 설치령에 따라 경성대학 의학부와 경성의전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으로 통합 8.22. 경성대학 부속의원(연건동)을 서울대 의대 제1부속병원으로, 경성의전 부속의원(소격동)을 서울대 의대 제2부속병원으로 개편 10.22.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 제1병원장에는 명주완(明柱完), 제2병원장에는 윤치왕(尹致旺) 교수 취임 1948년 5.1.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 제1병원장에 김두종(金斗種) 교수 취임 11.1.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 제2병원장에 이선근(李善根) 교수 취임 1949년 11.7. 서울대 의대 제1병원장에 김동익(金東益) 교수 취임 12.31. 대한민국 교육법 공포에 따라 국립서울대학교가 서울대학교로 개칭 1950년 한국전쟁 발발로 이갑수(李甲洙) 의대 학장을 비롯한 상당수의 교수들이 납북됨 1951년 부산에서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을 36육군병원으로 개편 2.23.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이 제주도 한림에 구호병원(救護病院) 개설 7. 구호병원이 제주도에서 철수해 부산 피난팀 합류하여 신창동에 피난병원(避難病院) 개설 1952년 1.20.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장에 진병호(秦柄鎬) 교수 취임 1953년 8. 서울 환도, 약대 교사 및 치과 교사 일부에 의료기구 등 분산 수용 10.20. 병원관사에 임시진료서 개설 1954년 3.30.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에 주둔 중이던 미군측으로부터 병원을 인계받고 정식 개원 9. 시계탑건물 수리 9.28. 미네소타 협조계획 확정(교수 교환, 시설 설비 개선 등 기술원조 협정 체결) 1956년 9.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장에 김동익 교수 재취임 12. 서1병동(산부인과), 서2병동(소아과) 증축공사 완료 1957년 외과를 일반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로 분리 운영 1958년 1. 외과에서 마취과 분리 수련의 제도 실시 1959년 3. 최초의 인턴 수료자 18명 배출 8.7. 국내 최초 개심술 시행 (흉부외과) 1960년 5.30. 국내 최초 '방사성동위원소진료실‘ 설치 10.2.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장에 김성환(金星煥) 교수 취임 1963년 1.4. 서울대 의대 제2부속병원이 국방부 관할로 개편됨(현재의 국군지구병원) 1964년 1. 특진제도 시작(일반과 특정진료로 구분) 10.1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장에 한심석(韓沈錫) 교수 취임 1966년 1.1. 특별회계제도 채택, 독립채산제 도입 7.22. 특실병동 준공 11. 신축병원 설계 착수(설계전문가 화이팅 내한) 1967년 12. 신축병원 기초공사 착수 1968년 3.16. 서울대학교병원 신축 기공식 4. 일반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가 정식교실로 분리 독립 9.4. 병원장에 김홍기(金弘基) 교수 취임 1972년 12.20. 정신신경과를 정신과와 신경과로 분리 1973년 1.25. 외래진료소 화재 4.30. 외래진료소 복구 7.23. 외과에서 성형외과 분리 독립 1977년 12.31. 서울대학교병원 설치법 제정(법률 제 3056호) B형 간염 바이러스 분리 추출 성공(김정룡 교수팀) 레이어 닫기 1910 ~ 1945 일제의 한국 강점과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원, 경성의학전문학교 부속의원 1910년 단행된 ‘한일합방’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부문에서 우리 민족사의 커다란 비극이 되었는데, 의료분야 역시 예외일 수는 없었다. 일제의 강점으로 말미암아 우리 손으로 근대의학의 기틀을 세우려는 움직임은 좌절되고 말았다. ‘한일합방’ 직후 대한의원은 중앙의원을 거쳐 조선총독부의원으로 개편되었다. 대한의원 부속의학교 역시 조선총독부의원 부속의학강습소로 개편되었다. 운영, 조직, 인력 등 병원과 의학교육을 구성하는 모든 분야가 일본인 위주의 체계로 전환되었다. 소수의 한국인을 제외하면 병원장, 의사, 교수, 약제사, 조수, 사무관, 통역생 등 병원과 학교의 주요 직원들이 모두 일본인으로 대체되었다 1916년 전문학교령이 공포되면서 조선총독부의원 부속의학강습소는 경성의학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 조선총독부의원 원장이 교장을, 의관 및 의원들이 교수를 겸직했고, 조선총독부의원은 경성의학전문학교의 실습병원 역할을 담당했다. 1926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가 출범한 후, 1928년 조선총독부의원은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원으로 개편되었고, 경성의학전문학교는 서울시 종로구 소격동에 별도로 부속의원을 마련했다. 종전보다 한국인 의사와 의학자의 수가 다소 증가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일본인 주도하에 모든 업무가 이루어져 한국인이 부속병원 의사나 학교의 교수요원이 되기는 그야말로 하늘의 별따기 만큼이나 어려웠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열악한 환경과 조건 속에서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경성의학전문학교, 그리고 두 부속의원의 한국인 의학생과 의사들은 선진의학을 열심히 익히고 유능한 전문인력으로 성장해 해방 후 한국 의학계를 주도했다. 1910년 9.2. 대한의원을 중앙의원으로 개칭 9.30. 중앙의원을 조선총독부의원, 중앙의원 부속의학교를 조선총독부의원 부속 의학강습소로 개칭 1911년 3. 총독부의원 부속 의학강습소 제1회 졸업식(졸업생 27명) 3. 조선총독부의원이 치과 신설 조선총독부의원 본관(시계탑건물) 양측 좌우 날개 증축 1913년 4. 조선총독부의원이 정신병과 개설 1916년 4. 조선총독부의원 부속 의학강습소가 경성의학전문학교로 승격 4. 조선총독부의원이 전염병 및 지방병연구과 개설 1917년 5. 조선총독부의원이 외과를 분리해 정형외과 신설 1920년 9. 조선총독부의원이 내과를 제1, 제2내과로 분리 1921년 조선총독부의원 외래진료소 신축 착공 1923년 조선총독부의원 시료 외래진료소 완공 1924년 조선총독부의원 보통 외래진료소 완공 5.2. 경성제국대학 설립(경성제국대학 예과 개설) 1928년 4. 조선총독부의원 정신병동 신축 5.28. 경성의전 부속의원 설치를 위한 관제 공포 5.28. 총독부의원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원으로 개편 6.21. 경성제대 부속의원 개원식 11.29. 경성의전 부속의원 개원식(서울시 종로구 소격동 종친부 터) 1929년 4. 경성제대 부속의원 임상연구동 1차 준공 5.9. 경성의전 부속 간호부양성소 설치 12. 경성제대 부속의원 임상연구동 2차 준공 1930년 3.1. 경성제국대학의학부 제1회 졸업식 1931년 12. 경성제대 부속의원 전염병실 준공 1935년 경성제대 부속의원 내과, 소아과 병동 개축 1939년 경성제대 부속의원 안과, 피부과 병동 개축 1940년 경성제대 부속의원 이비인후과, 외과, 피부과 병동 개축 부수(副手)제도 시행 레이어 닫기 1885 ~ 1910 조선 정부의 근대화 모색과 제중원, 대한의원 고종과 조선 정부는 1876년 문호개방 이후 국가 차원의 개화 프로젝트를 세우고 그 실천에 나섰는데, 이때 의료분야의 근대화에도 주목했다. 이에 1881년 일본에 파견한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을 통해 서양식 의료를 탐색하고, 1884년 정부 기관지《한성순보》를 통해 백성들에게 서양의학 교육이 필요함을 알렸다. 미국감리회 선교사 매클레이(Robert S. Maclay)가 우리나라에 들어와 서양식 병원 설립을 제안했을 때는 이를 윤허했다. 그러던 중 갑신정변이 발생했는데, 이때 미국인 의료선교사 알렌(Horace N. Allen)이 자객의 칼에 맞아 죽어가던 고위관료 민영익의 목숨을 구한 사건은 서양식 국립병원 개원의 촉매로 작용했다. 마침내 1885년 4월 고종과 조선 정부는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지금의 외교통상부) 산하에 제중원(濟衆院)을 설립했다. 부지와 건물, 시설, 행정인력과 운영비 일체를 제공했고, 미국인 의사들을 고용해 환자 진료를 맡겼다. 제중원의 전반적인 운영과 감독은 당연히 정부 관리들 몫이었다. 이에 따라 당시의 선교사들도 각종 보고서에 제중원을 ‘정부병원(the government hospital)’으로 표기했다. 결국 제중원은 조선 정부가 설립하고 운영한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국립병원이었다. 고종과 조선 정부는 국립병원 제중원에 특별히 두 가지 사명을 부여했다. 하나는 총명한 젊은이들에게 서양의학을 가르쳐 유능한 의료인으로 키우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가난한 환자들을 무료로 치료하는 것이었다. 제중원 당시에 이미 국립병원의 사회적 책무는 의학의 선진화와 공공의료로 설정되어 있었던 것이다. 1897년 대한제국 수립 이후에도 정부는 의료의 선진화와 공공의료의 제공이라는 국가 보건의료정책의 기본 목표를 그대로 유지했다. 1899년 의학교(醫學校,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를 설립해 의사 양성에 힘썼고, 새 국립병원으로 광제원(廣濟院)을 개원해 빈민층 환자 진료와 종두 보급에 심혈을 기울였다. 1907년 대한제국은 의학교와 그 부속병원, 광제원, 황실에서 운영하던 대한국적십자병원을 통합해 대한의원을 설립했다. 대한의원은 교육, 연구, 진료 삼위일체의 종합 의료기관이자 공공의료기관의 역할도 수행했다. 국가 보건의료사업 전반을 거느리는 권한까지 행사했다. 1910년 대한제국이 일제에 강제 병합됨으로써 우리나라의 의료 근대화 사업은 일단 좌절되었지만, 제중원에서 대한의원으로 이어진 의학 근대화 경험은 한국 의료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1885년 4.14.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관할로 광혜원(廣惠院) 설치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병원, 위치는 홍영식 자택으로 현재의 헌법재판소 자리) 4.26. 광혜원의 명칭을 제중원(濟衆院)으로 개칭 1894년 9.26 정부가 제중원을 미국 북장로교회 선교부에 위탁 경영 1899년 3.24. 관립의학교(醫學校) 관제 반포(학부 관할의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의학 교육기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 위치는 김홍집의 자택으로 현재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3.28. 관립의학교 교장에 지석영(池錫永) 취임 4.24. 내부병원(內部病院) 설립(초기 의료진은 모두 한의(漢醫), 위치는 경복궁 건춘문 건너편 사간원 자리) 4.26. 내부병원 초대 원장에 내부 위생국장 최훈주(崔勳主) 부임 7.14. 관립의학교 첫 학생 모집 10.2. 관립의학교 개교식 1900년 1.15. 내부병원 제2대 병원장 이준규(李峻奎) 부임 6.30. 내부병원을 내부 보시원(普施院)으로 개칭 7.9. 내부 보시원을 광제원(廣濟院)으로 개칭(위치도 서울시 종로구 재동으로 이전) 1901년 2.28. 광제원장에 염홍대(廉洪大) 부임 1902년 6.12. 광제원과 별도로 관립의학교 부속병원 개원(위치는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1903년 1.9. 의학교 제 1회 졸업식 (졸업색 19명) 1905년 4.10. 정부가 미국 북장로회 선교부로부터 제중원 환수(제중원 반환에 관한 합의서 체결) 7.11. 정부가 제중원 환수대금 1천 7백원 지불 8. 광제원 산하에 한약소(漢藥所), 양약소(洋藥所), 종두소(種痘所) 설치 광제원 부속병원으로 피병원(避病院) 설치 1906년 6.1. 광제원이 이비인후과 진료를 시작으로 내과, 외과, 안과, 이비인후과가 정식 분리 8.11. 광제원이 부인과(婦人科) 개설 8. 대한의원 본관 기공식 1907년 3.10. 대한의원 관제 제정(3월 15일 시행, 대한제국 정부가 광제원, 의학교와 그 부속병원, 대한국적십자병원을 통합하여 대한의원 설립, 교육, 연구, 진료 등 종합의료기관, 위치는 함춘원으로 현재의 서울시 종로구 연건동) 3.28. 대한의원 초대 원장에 내부대신 이지용(李址鎔) 취임 5.30. 대한의원 제2대 원장에 신임 내부대신 임선준(任善準) 취임 7.18. 대한의원 교육부 제1회 졸업생(13명) 배출 11. 대한의원 준공 12.27. 대한의원 교육부를 대한의원 의육부(意育部)로 개칭 1908년 10.25. 대한의원 개원식 1909년 2.1. 대한의원 의육부를 대한의원 부속의학교로 개칭 6.1. 대한의원 부속의학교가 교사(校舍)를 신축(현재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자리)해 이전 11.30. 대한의원 분과규정(分科規程) 발표(서양식 종합병원 체제로 전환) 대한의원이 소아과, 피부과 개설 레이어 닫기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병원역사>연혁
정확도 : 2% 2024.06.13
[병원뉴스]특정 초음파 소견 보이는 미세갑상선유두암, 진행 가능성 높아

- 서울대병원, 적극적 관찰 실시하는 미세갑상선유두암 환자 699명 분석 결과 발표- 미만성 갑상선질환+종양내 혈류 증가 초음파 소견 보이면 종양 진행 위험 3.5배 [사진] 갑상선 초음파 비교 (왼쪽부터 정상 갑상선, 미세갑상선유두암, 미만성 갑상선질환 동반된 미세갑상선유두암) 종양이 1cm보다 작은 미세갑상선유두암은 예후가 좋아서 수술 대신 적극적인 추적 관찰만 시행하기도 한다. 하지만 초음파에서 특정 소견이 보이면 암 진행 위험이 높을 수 있다는 사실이 최근 국내 연구진에 의해 확인됐다.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김지훈이지예 교수와 내분비대사내과 박영주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국립암센터 다기관 전향 코호트(MAeSTro)에 등록된 미세갑상선유두암 환자를 대상으로 초음파 소견과 종양 진행 위험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갑상선암은 2020년 국내 암 발생률 1위를 차지한 흔한 암종이다. 80~90%는 암세포 분화도가 높은 갑상선유두암에 속하는데, 그중 종양이 1cm보다 작은 미세갑상선유두암은 진행 속도가 느리고 사망률이 매우 낮다. 따라서 국내외 갑상선학회는 수술 대신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한 적극적 관찰을 고려할 수 있다고 규정했으며, 실제로 이를 선택하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적극적 관찰이 환자에게 적합한지 평가하려면 종양의 장기 예후 및 진행 속도를 예측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제껏 미세갑상선유두암의 위험인자는 명확히 밝혀진 바 없었다. 연구팀은 적극적 관찰의 일환으로 2회 이상 초음파 검사를 받은 미세갑상선유두암 환자 699명을 중앙값 41개월간 추적 관찰해 초음파 소견과 종양 진행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종양 진행은 종양 크기 증가, 갑상선외 조직 침범, 림프절 전이 여부로 평가했다. 그 결과, 미만성 갑상선질환, 종양내 혈류 증가 2가지 초음파 소견이 종양 진행과 독립적으로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만성 갑상선질환은 초음파상 갑상선 실질이 불균일하게 보이거나 혈류가 전반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추적 관찰 4년 차, 2가지 초음파 소견이 동시에 보인 환자의 종양 진행률은 21%(48명 중 10명)이었다. 반면, 이 소견이 없는 환자의 종양 진행률은 6%(418명 중 25명)에 그쳤다. [그래프] 미세갑상선유두암 환자에서 시간에 따른 종양 진행 누적 발생률 Kaplan-Meier 곡선. 1가지 소견만 보인 그룹은 소견이 모두 없는 그룹에 비해 종양 진행 위험이 2.2배 높았다. 2가지 소견이 동시에 보인 그룹은 종양 진행 위험이 3.5배까지 높았다. 즉, 초음파 소견을 기반으로 분류한 하위그룹은 종양 진행 위험을 정확하게 계층화했다. 위험 분석 결과, 미만성 갑상선질환 및 종양내 혈류 증가 소견이 없는 환자에 비해 1가지 소견만 보인 환자는 종양 진행 위험이 2.2배 높았다. 반면 2가지 소견이 동시에 보인 환자는 종양 진행 위험이 3.5배까지 높았다. 특히 미만성 갑상선질환 소견이 있으면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종양 크기 증가 위험이 2.7배 높았고, 종양내 혈류 증가 소견이 있으면 림프절 전이 위험이 약 5배 높았다. [사진] 혈류가 증가된 미세 갑상선유두암, 림프절 전이 발생한 증례. 컬러 도플러 이미지(B)에서 혈관 증가가 관찰되고 림프절(C 화살표) 크기 작고 양성. 12개월 추적관찰 결과(D) 미세 갑상선유두암의 림프절 전이 발생함. [사진] 미만성 갑상선질환 동반된 미세 갑상선유두암, 크기 증가 진행. 실질이 균일하지 않고 거칠며(A,B 화살촉), 컬러 도플러 이미지(C)에서 결절 내부에 혈관 증가가 관찰됨. 18개월 추적관찰 결과(D,E) 최대 직경 4mm였던 미세 갑상선유두암 크기가 8mm까지 확대됨 연구팀은 미세갑상선유두암 종양 진행과 연관된 초음파 소견을 고려함으로써 적극적 관찰의 적합성과 진행 가능성 평가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 밖에 30세 미만의 젊은 나이, 남성, 갑상선자극호르몬(TSH) 증가 등의 임상 특성도 미세갑상선유두암의 빠른 진행과 연관된 것으로 나타났다. 영상의학과 김지훈 교수는 미세갑상선유두암에 대해 적극적 관찰을 실시할 때, 환자의 임상적 특성이나 초음파 소견을 함께 평가한다면 맞춤형 종양 진행 감시가 가능할 것이라며 추가적으로 장기적인 추적 자료를 통한 결과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영상의학 분야 권위지 Radiology(북미방사선학회지, IF:19.7)에 게재됐다. [사진 왼쪽부터] 영상의학과 김지훈이지예 교수, 내분비대사내과 박영주 교수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0% 2023.11.23
홈페이지 (23)

1. 직원명단 직명 직급명 성명 과 장 교수 강건욱 교 수 교수 정준기 이동수 정재민 강건욱 천기정 이재성 명예교수 이명철 임상교수 윤혜원 팽진철 임상조교수 최홍윤(09.10) 연구교수 이윤상 황도원 이혜경 연구부교수 김미정 강혜진 최유리 송명근 임상강사 강서영 서민석(연구) 전공의(4년차) 김지현 김현주 이리리 이환희 전공의(3년차) 김지영 서훈녕 유현지 전공의(2년차) 배성우 위원석 전공의(1년차) 오동규 일반직(사무직 J3) 최정희 일반직(간호직 S1) 강신후 김연희 이미정 한현미 김봉선(06.25) 일반직(약무직 J1) 김호영 기사장 일반직(보건직 M1) 노경운 수석기사 일반직(보건직 S2) 이홍재 조성욱 문일상 일반직(보건직 S1) 유태민 일반직(보건직 M1) 김진의 일반직(보건직 S2) 홍미경 일반직(보건직 S1) 임정진 조용현 황길동 일반직(보건직 J3) 김대운 김병진 김재일 도용호 신선영 성용준 윤태석 일반직(보건직 J2) 김승정 김종필 김하균 권형진 박찬록 서효열 신병호 신희정 이용석 이재영 이재형 이한나 인우진 오세문 임소희 윤석환 윤창식 전재환 최성희 최진욱 하동혁 현준호 일반직(보건직 J1) 류화진 박민호 조현수 하태환 운영기능직(C3) 유영주 운영기능직(C2) 신은영 남은주 운영기능직(C1) 문영실 오은영 최윤정 운영기능직(A2) 이혜은 2. 주요활동사항 가. 핵의학과 소개 핵의학과는 방사성동위원소와 추적자원리를 이용한 진단 및 치료를 추구하며, 핵의학 영상검사, 검체검사, 방사성동위원소 치료 등을 주 진료 분야로 한다. 감마카메라, SPECT/CT, PET/CT, PET/MRI 등의 영상장비, 자동분주기와 감마측정기 등의 검체검사장비, 차폐치료병실 등의 핵의학치료 시설, 사이클로트론과 방사성의약품 생산조제 시설 등 여러 시설 및 장비를 보유하고 이를 활용하여 진료와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2005년 국제원자력기구로부터 지정된 핵의학분자영상 협력센터를 지속 운영하며 개발도상국의 핵의학 인재를 교육하는 중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국제/국내 학술, 교육 활동에 기여하고 있다. 나. 주요활동사항 2018년은 전년도의 공간 변화 이후 과가 안정화되는 한 해였다. 의생명연구원 6층의 행정실 및 체외검사실, 본원 1층의 체내검사실, 암병원 지하 2층의 종양영상센터에서 안정적으로 진료를 수행하였다. 과장/의무장과 직원들 간의 간담회를 정례화하여 의견수렴을 확대하고자 하였고, 보직자들이 참여하는 과 발전기획워크숍을 가졌으며, 예년과 마찬가지로 5월 26-27일 1박 2일간 파주홍원연수원에서 제 26차 과 워크숍을 가지며 화합을 다졌다. 한편, 정준기 교수의 퇴임 등의 큰 인사변화가 있었다. 진료 측면에서 진료량은 전체적으로 약간의 성장세를 유지하였다. 감마카메라영상은 32,853건으로 전년 대비 7.9% 증가, PET 영상은 14,162건으로 전년 대비 -5.2%, 검체검사는 698,004건으로 전년대비 2.0% 증가, 치료는 520건으로 전년대비 동일한 수치를 보였다. 체내검사실에 CZT 기반의 감마카메라인 D-SPECT가 3월 도입, 운용되기 시작하여 심근관류검사에 큰 변화가 생겼다. 종양핵의학검사실에서는 1월 신의료기술로 고시된 F-18 choline PET을 시작하였고, N-13 암모니아와 F-18 NaF에 대한 품목허가 갱신을 진행하였다. 체외검사실에서는 검체검사의 예약검사화에 따라 검사횟수를 늘려 환자편의를 도모하였고, KOLAS 내부심사를 수검하였다. 대한외래 개원에 맞추어 방사성의약품치료 확대를 위한 “(가칭)테라노스틱스센터”를 추진하였으나 성사되지는 못하였다. 교육 측면에서는 본원 핵의학과의 아침 학술집담회를 외부에 개방하여 타 대학이나 병원에 교육 기회로 제공하는 정책을 지속 및 확대하였다. 의과대학 교육과정 개편으로 핵의학이 4학년 과목으로 이관되어 2018년에는 핵의학 학생실습이 없었다. 전공의 해외파견 수련도 지속되어 4년차 전공의 김현주가 이탈리아 볼로냐대학에서 1개월간 연수를 하였다. 외국인 펠로우 교육도 이어져 말레이시아의 Wong Teck Huat이 고창순 펠로우십 프로그램으로 1년간 연수기회를 가졌고 예멘의 Shagera Qaid Ahmed는 학위과정을 거쳐 2019년 2월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김의신 교수는 전년에 이어 2018년에도 3월, 9월에 각 3개월씩 내한하여 전공의와 외국인 펠로우 교육을 수행하였다. 연구 측면에서는 연구중심병원 과제를 비롯하여 교실차원의 다양한 연구과제 신규수주 및 수행이 지속되었다. 한편 김의신 Distinguished Lecture 프로그램을 통하여 Wolfgang Weber 교수가 10월 24일 병원을 방문하여 “Monitoring cancer therapy with molecular imaging”을 주제로 특강을 하였다. 이재성 교수는 지적재산권을 활용하여 벤처사 Brightonix를 창업하였다. 인사 측면에서는, 정준기 교수의 정년퇴임을 맞아 이를 기념하기 위해 8월 17일 핵의학과 및 갑상선센터가 공동 주관하여 “갑상선핵의학의 발전과 미래 전망”을 주제로 국제심포지움을 개최하였고, 일본의 Nagara Tamaki, Shunichi Yamashita, 필리핀의 Emerita Barrenchea 교수 등이 초청강의를 하였다. 정준기 교수의 퇴임에 따라 천기정 교수가 겸직교수로 발령받았고, 최홍윤 교수가 신임 임상조교수로 발령받았다. 이외에 이병철, 이윤상 교수가 겸임교수로, 하승균 교수가 의생명연구원 연구조교수로 발령 받았다. 강서영, 서민석 임상강사는 재임용되었고, 신규 전문의가 된 강연구, 이현종은 공보의로, 이정민은 개원가로 진출하였다. 전국적인 핵의학의 어려움에 따라 2019년 신입전공의는 선발하지 못하였다. 직원인사로는 노경운, 장현영, 임정진, 신희정 직원이 승진하였고, 임정진, 신선영 직원이 신규 보직 자격심사를 통과하였다. 김의신 교수는 3월 27일 서울의대 함춘대상을 수상하였다. 다. 인사사항 직급 성명 인사내용 일자 보건직(J1) 박주선 SKSH에서 본원으로 전보발령 2018. 01. 01 보건직(S2) 이홍재 소아핵의학검사실 수석기사로 보직변경 2018. 01. 01 보건직(S2) 문일상 종양핵의학검사실 수석기사로 전보발령 2018. 01. 01 보건직(J1) 박주선 본원에서 보라매병원으로 전보발령 2018. 01. 08 보건직(J2) 최진욱 보라매병원에서 본원으로 전보발령 2018. 01. 08 운영기능직(A2) 이혜은 육아휴직 2018. 01. 24 보건직(J2) 김승정 복직 2018. 02. 14 보건직(J2) 임소희 육아휴직 2018. 03. 02 보건직(J2) 신희정 육아휴직 2018. 04. 15 교수직 최홍윤 진료조교수로 신규임용 2018. 05. 01 보건직(M1) 노경운 M1으로 승진 2018. 05. 01 보건직(S2) 장현영 S2로 승격 2018. 05. 01 보건직(S1) 임정진 S1으로 승격 2018. 05. 01 보건직(J2) 박민호 J2로 승격 2018. 05. 01 보건직(J2) 이재영 육아휴직 2018. 05. 08 보건직(J2) 김하균 육아휴직 2018. 06. 19 간호직(S1) 한현미 내과외래로 전보발령 2018. 06. 25 간호직(S1) 김봉선 핵의학과로 전보발령 2018. 06. 25 보건직(J3) 도용호 보라매병원으로 전보발령 2018. 07. 01 보건직(J2) 권형진 본원으로 전보발령 2018. 07. 01 보건직(J2) 최성희 육아휴직 2018. 07. 01 약무직(J1) 김호영 정규직 발령 2018. 07. 01 보건직(J1) 류화진 정규직 발령 2018. 07. 01 교수직 강건욱 과장 재임용 2018. 07. 16 교수직 팽진철 의무장 재임용 2018. 07. 26 교수직 정준기 정년퇴임 2018. 07. 31 보건직(J3) 도용호 직원단기연수(독일 뮌헨) 2018. 08. 04 교수직 천기정 겸직교수 발령 2018. 09. 01 교수직 최홍윤 임상교수요원(임상조교수) 발령 2018. 09. 10 보건직(S1) 임정진 신규보직자격심사 합격 2018. 09. 18 보건직(J3) 신선영 신규보직자격심사 합격 2018. 09. 18 보건직(J3) 윤태석 새마을금고 이사 선임 2018. 11. 10 교수직 강건욱 책임지도전문의 2018. 11. 12 라. 해외연수 구분 성명 직위 연구 기간 연수국 활동내용 장기연수 윤혜원 교수 2018.01.01. - 2018.12.31 한국 포항공대 단기연수 정재민 교수 2018.05.01 – 2018.06.30 한국/미국 동남원자력의학원/ Emory Univ. 단기연수 김현주 전공의 2018.05.01 – 2018.05.31 이탈리아 Bologna Univ. 단기연수 도용호 보건직 2018.08.04. - 2018.08.31 독일 Klinikum rechts der Isar 마. 수상내역 1) 보건복지부장관상(김진의)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이홍재) 3) 개원직원 모범직원(강신후) 4) 2018년 학습조직활동(SNUH-Developer) 경진대회 동상(문일상 수석기사 등) 5) 2018년 CS 최종보고회 환자경험 우수부서 수상(체내검사실) 6) 2018년 의무기록정리 우수전공의(오동규) 7) 암 예방 캠페인 문구 공모전 우수상(문일상) 8) 5월 칭찬직원(한현미, 이미정) 9) 2018년도 함춘대상 (김의신교수) 바. 주요일지 제 목 기 간 장 소 제 26차 핵의학과 워크숍 2018.05.26. ∼ 05.27. 홍원연수원(파주) KOICA/TEIN*CC Workshop –Nuclear Medicine Workshop :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in Cancer Treatment 2018.07.09(월) ~ 07. 13(금) 서울대학교 암연구동 2층 대회의실 정준기교수 정년퇴임 기념 국제학술대회 : Development and Future Perspective of Nuclear Medicine for Thyroid Diseases. 2018. 8. 17.(금) 의생명연구원 1층 대강당 The 8th Prof. Euishin Edmund Kim Distinguished Lecture 제목 : Monitoring Cancer Therapy with Molecular Imaging 연자 : Prof. Wolfgang A. Weber 2018. 10. 24(수) 서울대학교 의생명연구원 1층 대강당 3. 주요 화보 가. 제 26차 핵의학과 워크숍 일시 : 2018. 5. 26 ∼ 5. 27 장소 : 홍원연수원(파주) 나. 정준기교수 정년퇴임기념 국제심포지움 일시 : 2018. 8. 17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1층 대강당 4. 교육 현황 가. 학생교육 핵의학 실습이 4학년으로 이관되어, 2018학년도에는 핵의학 학생실습을 시행하지 않았다. 나. 대학원 1) 박사 : 이 름 논 문 제 목 일 자 지도교수 Arun Gupta Voxel-based dosimetry of iron oxide nanoparticles based 177Lu-labeled folate conjugates targeted SPECT/CT imaging of mice 2018. 8 이동수 윤혜전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활성 대식세포 표적 18F-FEDAC PET을 이용한 관절염 평가 2018. 8 천기정 Vinay Kumar Banka Studies of Lipophilic Complexes of Mangan Family (VIIB) Radionuclides 2019. 2 천기정 손정환 Time-of-flight PET based on high-quantum-efficiency multianode PMTs 2019. 2 이재성 이지연 Development of a multimodal imaging agent for sentinel lymph node mapping using 99mTc-labeled mannosylated human serum albumin and dye conjugates 2019. 2 정재민 이효상 Direct measurement of glomerular filtration rate using18F-fluoride dynamic PET/CT: A single-tissue-compartmental tracer kinetic modeling approach 2019. 2 이원우 정석진 Role of 18F-FEDAC PET as a TSPO-target imaging of activated macrophages in animal model of rheumatoid arthritis 2019. 2 천기정 권현우 Radiation-Induced Somatic Mutations by Whole Genome Sequencing from Normal Organoids 2019. 2 이동수 2) 석사 : 이 름 논 문 제 목 일 자 지도교수 유현지 Deep learning-based interpretation of crebrovascular reserve on basal/acetazolamide stress brain perfusion SPECT 2018. 8 이동수 Qaid Ahmed Shagera An additive prognostic value of metabolic tumor volume on baseline F-18 FDG-PET/CT to NCCN-IPI in patients with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Further stratification of the high-risk group in NCCN-IPI 2019. 2 천기정 박준영 Measurement of Glomerular Filtration Rate using Quantitative SPECT/CT and Deep-learning-based Kidney Segmentation 2019. 2 이재성 장혜정 Imaging of secreted protein acidic and rich in cysteine (SPARC) expressing glioblastoma using indocyanine green-human serum albumin complex 2019. 2 이동수 정다이 Activated glial cells stimulated by breast cancer-derived exosomes enhance proliferation of brain metastatic breast cancer cells 2019. 2 이동수 다. 전공의 수련현황 1) 전공의 배치현황 2018년 핵의학 전공의는 4년차 4명(김지현, 김현주, 이리리, 이환희), 3년차 3명(김지영, 서훈녕, 유현지), 2년차 2명(배성우, 위원석), 1년차 1명(오동규)이 수련하였으며, 또 다른 1년차 1명(김시현)은 5월 사직하였다. 지도전문의 4인(정준기, 강건욱, 천기정, 팽진철) 외에 여러 핵의학전문의 교수(김의신, 이동수)와 핵과학자 교수(정재민, 이재성, 윤혜원, 이윤상, 황도원, 강혜진, 김미정, 이혜경, 최유리) 등이 전공의를 지도하였다. 2)전공의 수련현황 1년차에 내과와 영상의학과 각 2개월의 파견 수련이 있으며 2년차에는 영상의학과 2개월, 내과 1개월, 선택 1개월의 파견 수련 일정을 두었다. 2-3년차 중 검사실 수행 1개월의 일정이 2015년에 이어 지속되었다. 시간 월 화 수 목 금 07:00 ~ 08:00 폐암 집담회(3) 심혈관 집담회(4) 08:00 ~ 09:00 과내 집담회 과내 집담회 과내 집담회 과내 집담회 09:00 ~ 12:00 과내 lab meeting 정규판독 정규판독 정규판독 정규판독 정규판독 12:00 ~ 13:00 Book Reading 임상연구미팅 13:00 ~ 17:00 정규판독 소아HMO집담회(3) 정규판독 정규판독 정규판독 소아URO 집담회(4) 정규판독 17:00 ~ 18:00 갑상선 집담회(4) 비뇨기암 집담회 폐암 Board 뇌종양집담회 위암 집담회 두경부암 Board 집담회 구성표 시간 화 수 목 금 1주 임상중점교육 미니 심포지움 세미나 세미나/연구미팅 2주 임상중점교육 미니 심포지움 세미나 세미나/연구미팅 3주 흥미영상 집담회 미니 심포지움 세미나 세미나/연구미팅 4주 임상중점교육 미니 심포지움 세미나 세미나/연구미팅 5. 연구현황 물리ㆍ화학ㆍ종양ㆍ생물학ㆍ인지과학 등 기초-임상 연구 모임과 과내 및 타과와의 집담회를 열었다. 또한 모닝컨퍼런스 120회를 시행하였으며 요일별 문헌초독회, 흥미영상 등의 연구 모임을 열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보건복지부등의 여러 기관들의 연구과제를 수행하였고 연구 결과 38편의 국제학술지 논문과 7편의 국내학술지 논문을 발표하였다. 가. 국내학술지 주 연구논문 1. Application of Quantitative Indexes of FDG PET to Treatment Response Evaluation in Indolent Lymphoma. Kim HJ, Lee R, Choi H, Paeng JC, Cheon GJ, Lee DS, Chung JK, Kang KW. Nucl Med Mol Imaging. 2018 Oct;52(5):342-349. PMID: 30344782 2. Recurrence of Melanoma After Initial Treatment: Diagnostic Performance of FDG PET in Posttreatment Surveillance. Lee HH, Paeng JC, Cheon GJ, Lee DS, Chung JK, Kang KW. Nucl Med Mol Imaging. 2018 Oct;52(5):327-333. PMID: 30344780 3. Measurement of 68Ga-DOTATOC Uptake in the Thoracic Aorta and Its Correlation with Cardiovascular Risk. Lee R, Kim J, Paeng JC, Byun JW, Cheon GJ, Lee DS, Chung JK, Kang KW. Nucl Med Mol Imaging. 2018 Aug;52(4):279-286. PMID: 30100940 4. Correlation of FDG PET/CT Findings with Long-Term Growth and Clinical Course of Abdominal Aortic Aneurysm. Lee H, Paeng JC, Kim KH, Cheon GJ, Lee DS, Chung JK, Kang KW. Nucl Med Mol Imaging. 2018 Feb;52(1):46-52. PMID: 29391912 5. Sodium Iodide Symporter (NIS)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Thyroid Carcinoma. Chung JK, Kim HW, Youn H, Cheon GJ. Nucl Med Mol Imaging. 2018 Oct;52(5):325-326. PMID: 30344779 6. Brain Theranostics and Radiotheranostics: Exosomes and Graphenes In Vivo as Novel Brain Theranostics. Suh M, Lee DS. Nucl Med Mol Imaging. 2018 Dec;52(6):407-419. PMID: 30538772 7. Development of tau PET Imaging Ligands and their Utility in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Choi Y, Ha S, Lee YS, Kim YK, Lee DS, Kim DJ. Nucl Med Mol Imaging. 2018 Feb;52(1):24-30. PMID: 29391909 나. 국내학술지 부 연구논문 다. 국제학술지 주 연구논문 1. Neuroendocrine differentiation of prostate cancer leads to PSMA suppression. Bakht MK, Derecichei I, Li Y, Ferraiuolo RM, Dunning M, Oh SW, Hussein A, Youn H, Stringer KF, Jeong CW, Cheon GJ, Kwak C, Kang KW, Lamb AD, Wang Y, Dong X, Porter LA. Endocr Relat Cancer. 2018 Nov 23;26(2):131-146. PMID: 30400059 2. In vivo imaging of activated macrophages by 18F-FEDAC, a TSPO targeting PET ligand, in the use of biologic disease-modifying anti-rheumatic drugs (bDMARDs). Chung SJ, Youn H, Jeong EJ, Park CR, Kim MJ, Kang KW, Zhang MR, Cheon GJ.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8 Nov 17;506(1):216-222. PMID: 30343885 3. Relation of EGFR Mutation Status to Metabolic Activity in Localized Lung Adenocarcinoma and Its Influence on the Use of FDG PET/CT Parameters in Prognosis. Kim YI, Paeng JC, Park YS, Cheon GJ, Lee DS, Chung JK, Kang KW. AJR Am J Roentgenol. 2018 Jun;210(6):1346-1351. PMID: 29547059 4. Dual-time point 18F-FDG PET/CT for the staging of oesophageal cancer: the best diagnostic performance by retention index for N-staging in non-calcified lymph nodes. Park S, Paeng JC, Kang CH, Cheon GJ, Kang KW, Chung JK, Lee DS.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8 Jul;45(8):1317-1328. PMID: 29502309 5. 18F-FEDAC as a Targeting Agent for Activated Macrophages in DBA/1 Mice with Collagen-Induced Arthritis: Comparison with 18F-FDG. Chung SJ, Yoon HJ, Youn H, Kim MJ, Lee YS, Jeong JM, Chung JK, Kang KW, Xie L, Zhang MR, Cheon GJ. J Nucl Med. 2018 May;59(5):839-845. PMID: 29326355 6. Prognostic value of simultaneous 18F-FDG PET/MRI using a combination of metabolo-volumetric parameters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in treated head and neck cancer. Kim YI, Cheon GJ, Kang SY, Paeng JC, Kang KW, Lee DS, Chung JK. EJNMMI Res. 2018 Jan 10;8(1):2. PMID: 29322269 7. Whole-Body Voxel-Based Personalized Dosimetry: The Multiple Voxel S-Value Approach for Heterogeneous Media with Nonuniform Activity Distributions. Lee MS, Kim JH, Paeng JC, Kang KW, Jeong JM, Lee DS, Lee JS. J Nucl Med. 2018 Jul;59(7):1133-1139. PMID: 29242397 8. The association between somatic and psychological discomf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elderly and non-elderly. Lee HS, Lee S, Park S, Baek Y, Youn JH, Cho DB, Jin JH, Shin A, Park SK, Kang KW, Lim YK, Kang CH, Yoo KY, Ko KP. Qual Life Res. 2018 Mar;27(3):673-681. PMID: 29027086 9. Graphene-oxide quenching-based molecular beacon imaging of exosome-mediated transfer of neurogenic miR-193a on microfluidic platform. Oh HJ, Kim J, Park H, Chung S, Hwang DW, Lee DS. Biosens Bioelectron. 2018 Nov 20;126:647-656. PMID: 30529896 10. ABNORMAL HOLE DETECTION IN BRAIN CONNECTIVITY BY KERNEL DENSITY OF PERSISTENCE DIAGRAM AND HODGE LAPLACIAN. Lee H, Chung MK, Kang H, Choi H, Kim YK, Lee DS. Proc IEEE Int Symp Biomed Imaging. 2018 Apr;2018:20-23. PMID: 30319734 11. Predicting Aging of Brain Metabolic Topography Using Variational Autoencoder. Choi H, Kang H, Lee DS; Alzheimer's Disease Neuroimaging Initiative. Front Aging Neurosci. 2018 Jul 12;10:212. PMID: 30050430 12. Adaptive template generation for amyloid PET using a deep learning approach. Kang SK, Seo S, Shin SA, Byun MS, Lee DY, Kim YK, Lee DS, Lee JS. Hum Brain Mapp. 2018 May 11. PMID: 29752765 13. Development of a Ga-68 labeled PET tracer with short linker for prostate-specific membrane antigen (PSMA) targeting. Moon SH, Hong MK, Kim YJ, Lee YS, Lee DS, Chung JK, Jeong JM. Bioorg Med Chem. 2018 May 15;26(9):2501-2507. PMID: 29655611 14. Disrupted Resting State Network of Fibromyalgia in Theta frequency. Choe MK, Lim M, Kim JS, Lee DS, Chung CK. Sci Rep. 2018 Feb 1;8(1):2064. PMID: 29391478 15. Achieving reliable coincidence resolving time measurement of PET detectors using multichannel waveform digitizer based on DRS4 chip. Park H, Lee S, Ko GB, Lee JS. Phys Med Biol. 2018 Dec 10;63(24):24NT02. PMID: 30524000 16. Highly Integrated FPGA-Only Signal Digitization Method Using Single-Ended Memory Interface Input Receivers for Time-of-Flight PET Detectors Won JY, Lee JS. IEEE Trans Biomed Circuits Syst. 2018 Dec;12(6):1401-1409. PMID: 30113901 17. Computed tomography super-resolution using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Park J, Hwang D, Kim KY, Kang SK, Kim YK, Lee JS. Phys Med Biol. 2018 Jul 16;63(14):145011. PMID: 29923839 18. The relationship between dopamine receptor blockade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schizophrenia: a [11C]-raclopride PET study with aripiprazole. Shin S, Kim S, Seo S, Lee JS, Howes OD, Kim E, Kwon JS. Transl Psychiatry. 2018 Apr 24;8(1):87. PMID: 29686254 19. Systematic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interdetector scatter recovery in small-animal PET. Lee S, Lee MS, Kim KY, Lee JS. Med Phys. 2018 Aug;45(8):3551-3562 PMID: 29851131 20. Novel inter-crystal scattering event identification method for PET detectors. Lee MS, Kang SK, Lee JS. Phys Med Biol. 2018 Jun 7;63(11):115015. PMID: 29658493 21. Performance of a new accelerating-electrode-equipped fast-time-response PMT coupled with fast LGSO. Lee S, Lee MS, Won JY, Lee JS. Phys Med Biol. 2018 Mar 2;63(5):05NT03 PMID: 29405124 22. Naphthol Blue Black and 99mTc-Labeled Mannosylated Human Serum Albumin (99mTc-MSA) Conjugate as a Multimodal Lymph Node Mapping Nanocarrier. Lee JY, Kim HY, Lee YS, Jeong JM. Sci Rep. 2018 Sep 11;8(1):13636. PMID: 30206287 23. Loss of toll-like receptor 3 aggravates hepatic inflammation but ameliorates steatosis in mice. Lee YS, Kim DY, Kim TJ, Kim SY, Jeong JM, Jeong WI, Jung JK, Choi JK, Yi HS, Byun J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8 Mar 18;497(4):957-962. PMID: 29410095 24. One-pot radiosynthesis of O-[18F]fluoromethyl-D-tyrosine via intra-molecular nucleophilic 18F-fluorination with 1,2,3-triazolium triflate salt precursor. Kim HY, Park C, Lee JY, Chi DY, Lee YS, Jeong JM. Appl Radiat Isot. 2018 Feb;132:105-109. PMID: 29197276 25. Prognostic value of lymph node-to-primary tumor standardized uptake value ratio in endometrioid endometrial carcinoma. Chung HH, Cheon GJ, Kim JW, Park NH, Song YS.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8 Jan;45(1):47-55. PMID: 28828510 26. Preoperative [18F]FDG PET/CT tumour heterogeneity index in patients with uterine leiomyosarcoma: a multicentre retrospective study. Lee JW, Park JY, Lee HJ, Lee JJ, Moon SH, Kang SY, Cheon GJ, Chung HH.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8 Jul;45(8):1309-1316. PMID: 29492644 27. Effects of Maternal Iodine Statu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on Maternal Thyroid Function and Offspring Growth and Development: A Prospective Study Protocol for the Ideal Breast Milk Cohort. Lee YA, Cho SW, Sung HK, Kim K, Song YS, Moon SJ, Oh JW, Ju DL, Choi S, Song SH, Cheon GJ, Park YJ, Shin CH, Park SK, Jun JK, Chung JK. Endocrinol Metab (Seoul). 2018 Sep;33(3):395-402. PMID: 30229579 28. Prostate-Specific Membrane Antigen PET Imaging in Prostate Cancer: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h SW, Cheon GJ. Korean J Radiol. 2018 Sep-Oct;19(5):819-831. PMID: 30174470 29. Prognostic importance of peritoneal lesion-to-primary tumour standardized uptake value ratio in advanced serous epithelial ovarian cancer. Chung HH, Kim JW, Park NH, Song YS, Cheon GJ. Eur Radiol. 2018 May;28(5):2107-2114. PMID: 29260365 30. Integrated 18F-FDG PET/MRI in breast cancer: early prediction of response to neoadjuvant chemotherapy. Cho N, Im SA, Cheon GJ, Park IA, Lee KH, Kim TY, Kim YS, Kwon BR, Lee JM, Suh HY, Suh KJ.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8 Mar;45(3):328-339. PMID: 29101445 31. Virtual reality-assisted localization and three-dimensional printing-enhanced multidisciplinary decision to treat radiologically occult superficial endobronchial lung cancer. Yoon SH, Goo JM, Lee CH, Cho JY, Kim DW, Kim HJ, Paeng JC, Kim YT. Thorac Cancer. 2018 Nov;9(11):1525-1527. PMID: 30253072 32. Infliximab biosimilar CT-P13 therapy in patients with Takayasu arteritis with low dose of glucocorticoids: a prospective single-arm study. Park EH, Lee EY, Lee YJ, Ha YJ, Yoo WH, Choi BY, Paeng JC, Suh HY, Song YW. Rheumatol Int. 2018 Dec;38(12):2233-2242. PMID: 30229280 33. Prognostic Value of Baseline 18F-Fluorodeoxyglucose PET/CT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A Multicenter Cohort Study. Moon SH, Choi WH, Yoo IR, Lee SJ, Paeng JC, Jeong SY, Lee SW, Kim K, Choi JY. Korean J Radiol. 2018 May-Jun;19(3):481-488. PMID: 29713226 34. Imaging Evaluation Following 90Y Radioembolization of Liver Tumors: What Radiologists Should Know. Joo I, Kim HC, Kim GM, Paeng JC. Korean J Radiol. 2018 Mar-Apr;19(2):209-222. PMID: 29520178 35. Radiofrequency ablation for treatment of locally recurrent thyroid cancer presenting as a metastatic lymph node with dense macrocalcification: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Yoo RE, Kim JH, Paeng JC, Park YJ. Medicine (Baltimore). 2018 Mar;97(9):e0003. PMID: 29489641 36. Monitoring tumor response to the vascular disrupting agent CKD-516 in a rabbit VX2 intramuscular tumor model using PET/MRI: Simultaneous evaluation of vascular and metabolic parameters. Ahn SY, Goo JM, Lee KH, Ha S, Paeng JC. PLoS One. 2018 Feb 13;13(2):e0192706. PMID: 29438381 37. Intratumoral heterogeneity characterized by pretreatment PET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predicts progression-free survival on EGFR tyrosine kinase inhibitor. Park S, Ha S, Lee SH, Paeng JC, Keam B, Kim TM, Kim DW, Heo DS. PLoS One. 2018 Jan 31;13(1):e0189766. PMID: 29385152 38. Yttrium-90 Radioembolization of the Right Inferior Phrenic Artery in 20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Kim HC, Kim YJ, Paeng JC, Chung JW. J Vasc Interv Radiol. 2018 Apr;29(4):556-563. PMID: 29373246 라. 국제학술지 부 연구논문 마. 단행본 발간 없음 6. 진료현황 가. 외래 환자수 신환 40명, 초진 485명, 재진 1,532명 합계 2,057명 나. 입원환자수 연인원 627명, 실인원 312명 다. 검사실적(자체통계) 검 사 명 검 사 건 수 감 마 영 상 검 사 32,853 P E T 영 상 검 사 14,162 검 체 검 사 698,004 방 사 성 핵 종 치 료 520 계(Total) 745,539 7. 진료장비 및 시설 가. 주요 진료장비(시설) 번호 장비(시설)명 규격 및 모델 수량 1 PET-MRI Siemens Biograph mMR 1 2 PET-CT Siemens Biograph40, mCT40, mCT64 3 3 SPECT-CT GE Discovery NM/CT 670 2 4 Cyclotron GE Pet trace 10 1 5 Gamma camera Trionix, TRIAD XLT9 1 6 Gamma Camera Philips CardioMD, Skylight 2 7 Gamma Camera Siemens E-CAM 5 8 Gamma Camera D-SPECT 1 9 Gamma Counter Packard Cobra, Dream Gamma 10 4 10 자동방사면역측정기 Gamma pro 1 11 Auto sampler Tecan Freedom, Messia 2 12 F-18 FDG 생산시설 암병원 지하2층 종양핵의학검사실 13 방사성옥소치료병실 갑상선센터 별관병동 3331(1인실), 3332(1인실), 3333(2인실)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핵의학과 소개 > 연혁 > 역사
정확도 : 1% 2024.12.24

1. 직원명단 직명 직급명 성명 과 장 교수 강건욱 교수 정준기 이동수 정재민 강건욱 천기정 이재성 윤혜원 명예교수 이명철 임상교수 팽진철 겸임교원 연구부교수 이윤상 황도원 연구조교수 김미정 강혜진 이혜경 최유리 송명근 임상강사 강서영 서민석 연구) 전공의(4년차) 강연구 이정민 이현종 전공의(3년차) 김지현 김현주 이리리 이환희 전공의(2년차) 김지영 서훈녕 유현지 전공의(1년차) 배성우 위원석 일반직(사무직J3) 최정희 일반직(간호직S1) 강신후 김연희 이미정 한현미 일반직약무직 (J3) 이보은(~2017.07.18.), 김호영(2017.07.19.~현재) 촉탁 기사장 일반직보건직 (M1) 김진의(~2017.04.14.),노경운(2017.04.15.~현재) 수석기사 일반직보건직 (S2) 이홍재 조성욱 문 일상 일반직보건직 (S1) 유태민(2017.12.04.~현재) 일반직보건직 (M1) 김진의 일반직보건직 (S2) 홍미경 일반직보건직 (S1) 조용현 황길동 일반직보건직 (J3) 김대운 김병진 김재일 도용호 신선영 성용준 윤태석 임정진 일반직보건직 (J2) 김종필 김태엽 김하균 박찬록 서효열 신병호 신희정 승종만 이용석 이재영 이재형 오세문 임소희 윤석환 윤창식 전재환 최성희 하동혁 현준호 일반직보건직 (J1) 박민호 이한나 인우진 조현수 하태환 운영기능직(C3) 유영주 운영기능직(C2) 신은영 남은주 운영기능직(C1) 문영실 오은영 최윤정 운영기능직(A2) 이혜은 2. 주요활동사항 가. 핵의학과 소개 핵의학과는 방사성동위원소와 추적자원리를 이용한 진단 및 치료를 추구하며, 핵의학 영상검사, 검체검사, 방사성동위원소 치료 등을 주 진료 분야로 한다. 감마카메라, SPECT/CT, PET/CT, PET/MRI 등의 영상장비, 자동분주기와 감마측정기 등의 검체검사장비, 차폐치료병실 등의 핵의학치료 시설, 사이클로트론과 방사성의약품 생산조제 시설 등 여러 시설 및 장비를 보유하고 이를 활용하여 진료와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2005년 국제원자력기구로부터 지정된 핵의학분자영상 협력센터를 지속 운영하며 개발도상국의 핵의학 인재를 교육하는 중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국제/국내 학술, 교육 활동에 기여하고 있다. 나. 주요활동사항 2017년은 핵의학과의 시설과 공간 측면에서 여러 변화가 있었다. 준비작업과 공사를 거쳐 교수실, 행정실, 체외검사실이 병원 본관 2층에서 의생명연구원 6층으로 10월에 이전을 완료하였다. 1층 핵의학과는 단계적 리모델링 공사를 거쳐 11월에 판독실, 영상분석실, 탈의실 등을 재배치하는 변경이 있었다. 오랜 준비와 투자를 거쳐 2017년 11월 16일 방사성의약품 GMP 적합 판정을 득하기도 하였다. 예년과 마찬가지로 4월 22-23일 좋은아침연수원에서 제25차 과 워크숍을 가지며 화합을 다졌다. 5월 26일에는 10여 년 이상 사용되어 온 핵의학과의 홈페이지가 전면 개편되기도 하였다. 진료 측면에서 진료량은 전체적으로 약간의 성장세를 유지하였다. 감마카메라영상은 43,835건으로 전년 대비 5.1%, PET 영상은 13,912건으로 전년 대비 5.9% 성장하였으나, 검체검사는 684,040건으로 전년대비 –2.9%, 치료는 520건으로 전년대비 –21.3%의 변화를 보였다. 2017년 7월 1일 제2차 상대가치 개편에 의해 영상검사와 검체검사 모두 수가가 인하되었으나, 검체검사는 질관리가산이 신설되어 검사 질관리의 중요성이 더해지기도 하였다. 한편 F-18 FET PET이 신의료기술로 등재되었다. 교육 측면에서는 본원 핵의학과의 아침 학술집담회를 외부에 개방하여 본원-분당병원-국립암센터-보라매병원 등 전공의교육 모자 관계 병원과 타 대학이나 병원에 교육 기회로 제공하는 정책을 지속하였다. 2015년 개편된 의과대학 3학년 실습일정도 지속되어, 학생들이 주말을 활용해 증례발표를 준비하고 이를 통해 핵의학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전공의 교육과정 중 해외의 다양한 의료 환경을 경험하고 새로운 의료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전공의 해외파견 수련도 지속되어 4년차 전공의 이현종이 일본 Osaka University에서 1개월간 해외연수 기회를 가졌다. 외국인 펠로우 교육도 이어져 필리핀의 Deverly Tumapon이 고창순 펠로우십 프로그램으로 1년간 연수기회를 가졌고 예멘의 Shagera Qaid Ahmed와 몽골의 Bolorrmaa Ganbaatar는 학위과정을 거쳤다. 김의신 교수는 작년에 이어 2017년에도 3월, 9월에 각 3개월씩 내한하여 전공의와 외국인 펠로우 교육을 수행하였다. 연구 측면에서는 연구중심병원 과제를 비롯하여 교실차원의 다양한 연구과제 신규수주 및 수행이 지속되었다. 한편 김의신 Lectureship을 통하여 미국핵의학회 회장인 UCLA의 Johannes Czernin이 11월 2일 병원을 방문하여 “Theranostics: The future of nuclear medicine”을 주제로 특강을 하였다. 인사 측면에서는, 정재민 교수가 2017년 5월 1일 Society of Radiopharmaceutical Sciences에 회장으로 취임하였다. 이윤상 교수와 이혜경 교수는 의생명연구원 연구교수로 임용되었고, 이재성 교수는 IEEE NPSS Nuclear Medicine and Imaging Sciences Council Chair로 선임되었다. 전공의 과정을 수료한 강서영은 본원 임상강사로 임용되었으며 박소현은 국립암센터, 방지인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전임의로 이직하였다. 서민석은 본원 연구임상강사로 임용되었다. 배성우, 위원석, 2명의 전공의가 새로 입국하였다. 다. 인사사항 직급 성명 인사내용 일자 교수직 강건욱 대한나노의학회장 취임 2017. 01. 01 교수직 정준기 Journal of Nuclear Medicine(JNM) 국제편집부 위원장 위촉 2017. 01. 01 보건직(J2) 김하균 본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7. 01. 01 보건직(J2) 임현진 보라매병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7. 01. 01 보건직(J2) 김승정 육아휴직 2017. 02. 14 보건직(J2) 승종민 육아휴직 2017. 02. 19 전임의 강서영 임상강사 발령 2017. 03. 01 전임의 서민석 연구임상강사(B트랙) 발령 2017. 04. 01 보건직(S3) 김진의 M1 1년차 승진 2017. 04. 01 보건직(S3) 노경운 기사장 발령 2017. 04. 15 보건직(S1) 유태민 체외검사실 수석기사 직무대행 발령 2017. 04. 15 교수직 정재민 Society of Radiopharmaceutical Sciences 회장 취임 2017. 05 .01 보건직(J2) 박희원 J3 1년차 승격 2017. 05. 01 보건직(J2) 성용준 J3 1년차 승격 2017. 05. 01 보건직(J1) 윤창식 J2 2년차 신규발령 2017. 06. 19 보건직(J2) 승종민 복직 2017. 06. 19 보건직(J2) 김하균 육아휴직 2017. 06. 19 약무직 김호영 촉탁 약무직 J1급 8년차 발령 2017. 06. 27 보건직(J2) 서효열 본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7. 07. 01 보건직(J2) 박희원 보라매병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7. 07. 01 약무직 이보은 사직 2017. 07. 18 보건직(J1) 이재영 J2 1년차 승격 2017. 08. 01 교수직 팽진철 임상교수로 승진 2017. 09. 01 보건직(J2) 오세문 본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7. 10. 10 보건직(J2) 김 현 보라매병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7. 10. 10 보건직(S1) 유태민 수석기사 임용 2017. 12. 04 보건직(J2) 승종민 UAE SKSH 파견 2017. 12. 18 보건직(J2) 김하균 육아휴직 2017. 12. 19 보건직(J1) 이한나 정규직 발령 2017. 12. 31 >보건직(J1) 인우진 정규직 발령 2017. 12. 31 보건직(J1) 박민호 정규직 발령 2017. 12. 31 보건직(S1) 홍미경 S2 1년차로 승격 2017. 12. 31 보건직(J2) 임현진 J3 1년차로 승격 2017. 12. 31 라. 해외연수 구분 성명 직위 연구 기간 연수국 활동내용 장기연수 천기정 교수 2016.12.15. - 2017.05.15 한국 한국원자력연구원 단기연수 이현종 전공의 4년차 2017.11.01 – 2017.11.30 일본 오사카병원 단기연수 김지현 전공의 3년차 2017.08.28. - 2017.09.22 스위스 University Hospital of Zurich 마. 수상내역 1) 미래창조과학부장관상(강건욱)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노경운) 3) 2017년도 올해의 직원 우수상(조용현) 4) GMP 적합판정 공적 모범직원상(이홍재, 김호영, 조용현, 박희원, 이재형, 이용석, 윤창식, 인우진, 박종범) 5) 2017년도 의무기록 작성 우수과 선정 6) 2017년 의무기록정리 우수전공의(배성우) 7) 개원직원 모범직원(김병진) 8) 2017년 감염성 질환환자 sign 공모전 최우수상(임정진, 김하균, 김종필) 9) 6월 병원보 함춘시계탑 ‘직원칭찬릴레이’ 주인공 선정(김종필) 10) 8월 병원보 함춘시계탑 ‘직원칭찬릴레이’ 주인공 선정(임정진, 이혜은) 11) 11월 대한의용생체공학회 특별공로상(이재성) 바. 주요일지 제 목 기 간 장 소 The 7th Prof. Euishin Edmund Kim Distinguished Lecture 제목 : Theranostics : The Future of Nuclear Medicine 연자 : Prof. Johannes Czernin 2017. 11. 2(목) 서울대학교암병원 서성환홀 교실 Special Lecture 제목 : Comparison of Guidelines of the Management of Thyroid Cancer 연자 : Dr. Savvas Frangos 2017. 11. 2.(목) 의생명연구원 6층 회의실 제 25차 핵의학과 워크숍 2017.04.22. ∼ 04.23. 좋은아침연수원 (가평) 3. 주요 화보 가. 방사성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적합 판정 일시 : 2017년 11월 16일 나. 제 25차 핵의학과 워크숍 일시 : 2017. 4. 22 ∼ 4. 23 장소 : 좋은아침연수원(가평) 4. 교육 현황 가. 학생교육 의과대학 3학년에 핵의학에 대하여 8시간의 집중강의 교육을 시행하였고 실습은 가정의학과 실습교육에서 8시간, 영상의학과 실습교육에서 8시간을 배당받아 핵의학 진료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을 실시하였다. 핵의학 실습교육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요 일 시 간 실 습 내 용 금 09:00 - 17:00 신경핵의학총론, 방사면역측정법, 핵의학 영상획득 및 정량분석, 증례토의, 영상기기 견학 월 09:00 - 17:00 핵의학부하검사 총론, 핵의학 응용전략 및 방사선안전, 핵의학 치료법, 방사성의약품 소개 및 견학, 융합 PET 영상장비 소개 및 견학 나. 대학원 박사: 이 름 논 문 제 목 일 자 지도교수 하승균 ADHD brain network during development: animal 18F-FDG PET and human fMRI study 2018. 2 이동수 이민선 Enhancement of 3-dimensional positioning accuracy in PET detector for high resolution PET system 2018. 2 이재성 2) 석사 : 이 름 논 문 제 목 일 자 지도교수 조정환 Secreted Protein acidic and Rich in cysteine (SPARC) mediated fluorescence labled human serum albumin uptake in glioblastoma 2017. 8 강건욱 Ganbaata Bolomaa Borjigon Additive Roles of F-18 FDG PET/CT for the Prediction of Silent Brain Metastasis in Patients with T1 and T2 Adenocarcinoma of Lung 2018. 2 천기정 김지현 Utility of Simultaneous Respiratory Gated 18F-FDG PET/CT Acquisition with Continuous Bed Flow Technology in Lung Cancer and Non-Lung Cancer Lesions 2018. 2 강건욱 이리리 Feasibility of 68Ga-DOTATOC PET/CT for the assessment of vulnerable plaque: A correlation study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2018. 2 강건욱 이은지 Protective effect of extraccellular vesicles released from the neural stem cells on 6-hydroxydopamine induced neurotoxicity 2018. 2 이동수 다. 전공의 수련현황 1) 전공의 배치현황 2017년 핵의학 전공의는 4년차 3명(강연구, 이정민, 이현종), 3년차 4명(김지현, 김현주, 이리리, 이환희), 2년차 3명(김지영, 서훈녕, 유현지), 1년차 2명(배성우, 위원석)이 수련하였으며, 지도전문의 4인(정준기, 강건욱, 천기정, 팽진철) 외에 여러 핵의학전문의 교수(김의신, 이동수)와 핵과학자 교수(정재민, 이재성, 윤혜원, 이윤상, 황도원, 강혜진, 김미정, 이혜경, 최유리) 등이 전공의를 지도하였다. 2) 전공의 수련현황 1년차에 내과와 영상의학과 각 2개월의 파견 수련이 있으며 2년차에는 영상의학과 2개월, 내과 1개월, 선택 1개월의 파견 수련 일정을 두었다. 2-3년차 중 검사실 수행 1개월의 일정이 2015년에 이어 지속되었다. 시간 월 화 수 목 금 07:00 ~ 08:00 폐암 집담회(3) 심혈관 집담회(4) 08:00 ~ 09:00 과내 집담회 과내 집담회 과내 집담회 과내 집담회 09:00 ~ 12:00 과내 lab meeting 정규판독 정규판독 정규판독 정규판독 정규판독 12:00 ~ 13:00 Book Reading 임상연구미팅 13:00 ~ 17:00 정규판독 소아HMO집담회(3) 정규판독 정규판독 정규판독 소아URO 집담회(4) 정규판독 17:00 ~ 18:00 갑상선 집담회(4) 비뇨기암 집담회 폐암 Board 뇌종양집담회 위암 집담회 두경부암 Board 집담회 구성표 시간 화 수 목 금 1주 임상중점교육 미니 심포지움 세미나 세미나/연구미팅 2주 임상중점교육 미니 심포지움 세미나 세미나/연구미팅 3주 흥미영상 집담회 미니 심포지움 세미나 세미나/연구미팅 4주 임상중점교육 미니 심포지움 세미나 세미나/연구미팅 5. 연구현황 물리ㆍ화학ㆍ종양ㆍ생물학ㆍ인지과학 등 기초-임상 연구 모임과 과내 및 타과와의 집담회를 열었다. 또한 모닝컨퍼런스 129회를 시행하였으며 요일별 문헌초독회, 흥미영상 등의 연구 모임을 열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보건복지부등의 여러 기관들의 연구과제를 수행하였고 연구 결과 51편의 국제학술지 논문과 8편의 국내학술지 논문을 발표하였다. 가. 국내학술지 주 연구논문 1. Clinical Significance of Pretreatment FDG PET/CT in MIBG-Avid Pediatric Neuroblastoma. Kang SY, Rahim MK, Kim YI, Cheon GJ, Kang HJ, Shin HY, Kang KW, Chung JK, Kim EE, Lee DS. Nucl Med Mol Imaging. 2017 Jun;51(2):154-160. PMID: 28559940 2. Comparison of Quantitative Methods on FDG PET/CT for Treatment Response Evaluation of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Bang JI, Lim Y, Paeng JC, Han SW, Park S, Lee JM, Kim HJ, Cheon GJ, Lee DS, Chung JK, Kim TY, Kang KW. Nucl Med Mol Imaging. 2017 Jun;51(2):147-153. PMID: 28559939 3. Influence of Androgen Deprivation Therapy on the Uptake of PSMA-Targeted Agents: Emerging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Bakht MK, Oh SW, Youn H, Cheon GJ, Kwak C, Kang KW. Nucl Med Mol Imaging. 2017 Sep;51(3):202-211. PMID: 28878845 4. Comparison of Two Different Segmentation Methods on Planar Lung Perfusion Scan with Reference to Quantitative Value on SPECT/CT. Suh M, Kang YK, Ha S, Kim YI, Paeng JC, Cheon GJ, Park S, Kim YT, Lee DS, Kim EE, Chung JK. Nucl Med Mol Imaging. 2017 Jun;51(2):161-168. PMID: 28559941 5. Bilateral Renal Metastasis of Hürthle Cell Thyroid Cancer with Discordant Uptake Between I-131 Sodium Iodide and F-18 FDG. Claimon A, Suh M, Cheon GJ, Lee DS, Kim EE, Chung JK. Nucl Med Mol Imaging. 2017 Sep;51(3):256-260. PMID: 28878853 6. Message from the Editor-in-Chief. Lee DS. Nucl Med Mol Imaging. 2017 Sep;51(3):199-201. PMID: 28878844 7. Message from the Editor-in-Chief 2017. Lee DS. Nucl Med Mol Imaging. 2017 Mar;51(1):1-2. PMID: 28250851 나. 국내학술지 부 연구논문 1. FDG Whole-Body PET/MRI in Oncology: a Systematic Review. Kwon HW, Becker AK, Goo JM, Cheon GJ. Nucl Med Mol Imaging. 2017 Mar;51(1):22-31. PMID: 28250855 다. 국제학술지 주 연구논문 1. Simultaneous Detection of EGFR and VEGF in Colorectal Cancer using Fluorescence-Raman Endoscopy. Kim YI, Jeong S, Jung KO, Song MG, Lee CH, Chung SJ, Park JY, Cha MG, Lee SG, Jun BH, Lee YS, Hwang DW, Youn H, Kang KW, Lee YS, Jeong DH, Lee DS . Sci Rep. 2017 Apr 21;7(1):1035. PMID: 28432289 2. Discrepancy Between Tumor Antigen Distribution and Radiolabeled Antibody Binding in a Nude Mouse Xenograft Model of Human Melanoma. Kim YI, Paeng JC, Cheon GJ, Kang KW, Lee DS, Chung JK . Cancer Biother Radiopharm. 2017 Apr;32(3):83-89. PMID: 28380302 3. Comparative characteristics of quantitative indexes for 18F-FDG uptake and metabolic volume in sequentially obtained PET/MRI and PET/CT. Lee SJ, Paeng JC , Goo JM, Lee JM, Cheon GJ, Lee DS, Chung JK, Kang KW. Nucl Med Commun. 2017 Apr;38(4):333-339. PMID: 28252525 4. Visualization of exosome-mediated miR-210 transfer from hypoxic tumor cells. Jung KO, Youn H , Lee CH, Kang KW, Chung JK . Oncotarget. 2017 Feb 7;8(6):9899-9910. PMID: 28038441 5. Image-Based Analysis of Tumor Localization After Intra-Arterial Delivery of Technetium-99m-Labeled SPIO Using SPECT/CT and MRI. Lee IJ, Park JY, Kim YI, Lee YS , Jeong JM, Kim J, Kim EE, Kang KW, Lee DS, Jeong S, Kim EJ, Kim YI, Chung JW . Mol Imaging. 2017 Jan 1;16:1-9. PMID: 28654377 6. Heterogeneity index evaluated by slope of linear regression on 18F-FDG PET/CT as a prognostic marker for predicting tumor recurrence in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Kim YI, Kim YJ, Paeng JC, Cheon GJ, Lee DS, Chung JK, Kang KW .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7 Nov;44(12):1995-2003. PMID: 28634684 7. Prediction of breast cancer recurrence using lymph node metabolic and volumetric parameters from 18F-FDG PET/CT in operable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Kim YI, Kim YJ, Paeng JC, Cheon GJ, Lee DS, Chung JK, Kang KW .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7 Oct;44(11):1787-1795. PMID: 28616695 8. Erratum to: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algorithms for parametric mapping of the novel myocardial PET imaging agent 18F-FPTP. Kim JW, Seo S, Kim HS, Kim DY, Lee HY, Kang KW, Lee DS, Bom HS, Min JJ, Lee JS . Ann Nucl Med. 2017 Jul;31(6):480. PMID: 28497430 9.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algorithms for parametric mapping of the novel myocardial PET imaging agent 18F-FPTP. Kim JW, Seo S, Kim HS, Kim DY, Lee HY, Kang KW, Lee DS, Bom HS, Min JJ, Lee JS . Ann Nucl Med. 2017 Jul;31(6):469-479. PMID: 28444503 10. The Potential Roles of Radionanomedicine and Radioexosomics in Prostate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Bakht MK, Oh SW, Hwang DW, Lee YS, Youn H, Porter LA, Cheon GJ , Kwak C, Lee DS, Kang KW. Curr Pharm Des. 2017;23(20):2976-2990. PMID: 28215159 11. Thyroid-Related Protein Expression in the Human Thymus. Kim MJ, Oh SW, Youn H, Na J, Kang KW, Park DJ, Park YJ, Jang JJ, Lee KE , Jung KC, Chung JK . Int J Endocrinol. 2017;2017:8159892. PMID: 28386277 12. Convective exosome-tracing microfluidics for analysis of cell-non-autonomous neurogenesis. Oh HJ, Shin Y, Chung S, Hwang DW, Lee DS . Biomaterials. 2017 Jan;112:82-94. PMID: 27750100 13. Preclinical anaylses of [18F]cEFQ as a PET tracer for imaging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 type 1 (mGluR1). Lee B, Kim YK , Lee JY, Kim YJ, Lee YS, Lee DS, Chung JK, Jeong JM . J Cereb Blood Flow Metab. 2017 Jun;37(6):2283-2293. PMID: 27501957 14. Highly robust and optimized conjugation of antibodies to nanoparticles using quantitatively validated protocols. Jeong S, Park JY, Cha MG, Chang H, Kim YI, Kim HM, Jun BH, Lee DS, Lee YS, Jeong JM, Lee YS, Jeong DH . Nanoscale. 2017 Feb 16;9(7):2548-2555. PMID: 28150822 15. In vivo visualization of endogenous miR-21 using hyaluronic acid-coated graphene oxide for targeted cancer therapy. Hwang DW, Kim HY, Li F, Park JY, Kim D, Park JH, Han HS, Byun JW, Lee YS, Jeong JM, Char K, Lee DS . Biomaterials. 2017 Mar;121:144-154. PMID: 28088076 16. [11C]-(R)-PK11195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patients with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A pilot study. Jeon SY, Seo S, Lee JS, Choi SH, Lee DH, Jung YH, Song MK, Lee KJ, Kim YC, Kwon HW, Im HJ, Lee DS, Cheon GJ, Kang DH. Medicine (Baltimore). 2017 Jan;96(1):e5735. PMID: 28072713 17. Refining diagnosis of Parkinson's disease with deep learning-based interpretation of dopamine transporter imaging. Choi H, Ha S, Im HJ, Paek SH, Lee DS . Neuroimage Clin. 2017 Sep 10;16:586-594. PMID: 28971009 18. Neuron-Specific Fluorescence Reporter-Based Live Cell Tracing for Transdifferenti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into Neurons by Chemical Compound. Hwang DW, Kwon HW, Jang J, Jung HJ, Kim KR, Lee DS . Stem Cells Int. 2017;2017:8452830. PMID: 2880844 19. Relationship Between Ktrans and K1 with Simultaneous Versus Separate MR/PET in Rabbits with VX2 Tumors. Lee KH, Kang SK, Goo JM, Lee JS , Cheon GJ, Seo S, Hwang EJ. Anticancer Res. 2017 Mar;37(3):1139-1148. PMID: 28314275 20. Noninvasive Imaging of Myocardial Inflammation in Myocarditis using 68Ga-tagged Mannosylated Human Serum Albumi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Lee SP, Im HJ, Kang S, Chung SJ, Cho YS, Kang H, Park HS, Hwang DW, Park JB, Paeng JC, Cheon GJ, Lee YS, Jeong JM, Kim YJ. Theranostics. 2017 Jan 1;7(2):413-424. PMID: 28042344 21. One-pot radiosynthesis of O-[18F]fluoromethyl-D-tyrosine via intra-molecular nucleophilic 18F-fluorination with 1,2,3-triazolium triflate salt precursor. Kim HY, Park C, Lee JY, Chi DY , Lee YS, Jeong JM . Appl Radiat Isot. 2017 Nov 21;132:105-109. PMID: 29197276 22. Relationship Between Ktrans and K1 with Simultaneous Versus Separate MR/PET in Rabbits with VX2 Tumors. Lee KH, Kang SK, Goo JM, Lee JS , Cheon GJ, Seo S, Hwang EJ. Anticancer Res. 2017 Mar;37(3):1139-1148. PMID: 28314275 23. Sex difference in cardiac metabolism in nonischemic heart failure: Insight for prognostic value of altered cardiac metabolism. Im HJ, Cheon GJ . J Nucl Cardiol. 2017 Aug;24(4):1236-1238. PMID: 27052811 24. Extensive brain infarction involving deep structures during an acetazolamide-challenged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can in a patient with moyamoya disease. Chong S, Park JD, Chae JH, Cheon JE, Kim SK, Phi JH, Lee JY, Paeng JC, Wang KC . Childs Nerv Syst. 2017 Nov;33(11):2029-2033. PMID: 28689345 25. Total lesion glycolysis (TLG) as an imaging biomarker in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regorafenib. Lim Y, Bang JI, Han SW, Paeng JC , Lee KH, Kim JH, Kang GH, Jeong SY, Park KJ, Kim TY.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7 May;44(5):757-764. PMID: 27888325 라. 국제학술지 부 연구논문 1. Superior Treatment Response and In-field Tumor Control i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mutant Genotype of Stage III Nonsquamous Non-Small cell Lung Cancer Undergoing Definitive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Lim YJ, Chang JH, Kim HJ, Keam B, Kim TM, Kim DW, Paeng JC, Kang KW, Chung JK, Jeon YK, Chung DH, Wu HG . Clin Lung Cancer. 2017 May;18(3):e169-e178. PMID: 28131636 2 Feasibility of sentinel lymph node dissection using Tc-99m phytate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aek SH, Yi KH, Kim SJ, Choi JY, Lee KE , Park YJ, Park DJ, Kang KW, Chung JK. Ann Surg Treat Res. 2017 Nov;93(5):240-245. PMID: 29184876 3. Perceived needs for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based personalized health management program, and its association with information provisi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nd decisional conflict in cancer patients. Sim JA, Chang YJ, Shin A, Noh DY, Han W, Yang HK, Kim YW, Kim YT, Jeong SY, Yoon JH, Kim YJ, Heo D, Kim TY, Oh DY, Wu HG, Kim HJ, Chie EK, Kang KW, Kim JH, Yun YH. Psychooncology. 2017 Nov;26(11):1810-1817. PMID: 28054737 4. Toward redesigning the PEG surface of nanocarriers for tumor targeting: impact of inner functionalities on size, charge, multivalent binding, and biodistribution. Heo JY, Kang SH, Kim YH, You S, Jin KS, Kim SW, Jung HY, Jung KO, Lee CH, Kim MJ, Sung SE, Kim B, Choi IS, Youn H, Chung JK, Kim SK, Kim Y. Chem Sci. 2017 Jul 1;8(7):5186-5195. PMID: 28970905 5. Radiolabeled pertuzumab for imaging of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 expression in ovarian cancer. Jiang D, Im HJ, Sun H, Valdovinos HF, England CG, Ehlerding EB, Nickles RJ, Lee DS, Cho SY, Huang P, Cai W .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7 Aug;44(8):1296-1305. PMID: 28265738 6. Consensus nomenclature rules for radiopharmaceutical chemistry - Setting the record straight. Coenen HH, Gee AD , Adam M, Antoni G, Cutler CS, Fujibayashi Y, Jeong JM, Mach RH, Mindt TL, Pike VW, Windhorst AD. Nucl Med Biol. 2017 Dec;55:v-xi. PMID: 29074076 7. Neural correlates of the popular music phenomenon: evidence from functional MRI and PET imaging. Chen Q, Zhang Y, Hou H, Du F, Wu S, Chen L, Shen Y, Chao F, Chung JK, Zhang H, Tian M .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7 Jun;44(6):1033-1041. PMID: 28083689 8. The effect of biological heterogeneity on R-CHOP treatment outcome in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across five international regions. Carr R, Ozdag H, Tekin N, Morris T, Conget P, Bruna F, Timar B, Gagyi E, Basak R, Naik O, Auewarakul C, Srithana N, Dimamay MP, Natividad F, Chung JK, Belder N, Kuzu I, Omidvar N, Paez D, Padua RA. Leuk Lymphoma. 2017 May;58(5):1178-1183. PMID: 27724056 9. Prospective Evaluation of Changes in Tumor Size and Tumor Metabolism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Association and Clinical Implication. Park S, Ha S, Kwon HW, Kim WH, Kim TY, Oh DY, Cheon GJ, Bang YJ. J Nucl Med. 2017 Jun;58(6):899-904. PMID: 28572288 10. Prognostic significance of preoperative ¹⁸F-FDG PET/CT in uterine leiomyosarcoma. Park JY, Lee JW, Lee HJ, Lee JJ, Moon SH, Kang SY, Cheon GJ, Chung HH . J Gynecol Oncol. 2017 May;28(3):e28. PMID: 28382795 11. Diagnostic Performance of Resting and Hyperemic Invasive Physiological Indices to Define Myocardial Ischemia: Validation With 13N-Ammonia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Hwang D, Jeon KH, Lee JM, Park J, Kim CH, Tong Y, Zhang J, Bang JI, Suh M, Paeng JC, Na SH, Cheon GJ, Cook CM, Davies JE, Koo BK. JACC Cardiovasc Interv. 2017 Apr 24;10(8):751-760. PMID: 28365268 12. Identification of Metabolic Biomarkers Using Serial 18F-FDG PET/CT for Prediction of Recurrence in Advanced Epithelial Ovarian Cancer. Kim TH, Kim J, Kang YK, Lee M, Kim HS, Cheon GJ, Chung HH . Transl Oncol. 2017 Jun;10(3):297-303. PMID: 28314183 13. Prediction of Recurrence by Preoperative Intratumoral FDG Uptake Heterogeneity in Endometrioid Endometrial Cancer. Kang SY, Cheon GJ, Lee M, Kim HS, Kim JW, Park NH, Song YS, Chung HH . Transl Oncol. 2017 Apr;10(2):178-183. PMID: 28167243 14. Impaired phagocytosis of apoptotic cells causes accumulation of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in aged mice. Kim OH, Kim H, Kang J, Yang D, Kang YH, Lee DH, Cheon GJ, Park SC, Oh BC . BMB Rep. 2017 Jan;50(1):43-48. PMID: 27866511 15. Exploring Coronary Circulatory Response to Stenosis and Its Association With Invasive Physiologic Indexes Using Absolute Myocardial Blood Flow and Coronary Pressure. Lee JM, Hwang D, Park J, Zhang J, Tong Y, Kim CH, Bang JI, Suh M, Paeng JC, Cheon GJ, Koo BK. Circulation. 2017 Nov 7;136(19):1798-1808. PMID: 28851731 16. Prognostic implication of the metastatic lesion-to-ovarian cancer standardised uptake value ratio in advanced serous epithelial ovarian cancer. Chung HH , Lee M, Kim HS, Kim JW, Park NH, Song YS, Cheon GJ. Eur Radiol. 2017 Nov;27(11):4510-4515. PMID: 28593431 17. Prognostic importance of lymph node-to-primary tumor standardized uptake value ratio in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uterine cervix. Chung HH , Cheon GJ, Kim JW, Park NH, Song YS.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7 Oct;44(11):1862-1869. PMID: 28534183 18. Prospective Evaluation of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Tumor Metabolism and Chemotherapy-Related Changes in Advanced Biliary Tract Cancer. Jo J, Kwon HW, Park S, Oh DY , Cheon GJ, Bang YJ. J Nucl Med. 2017 Aug;58(8):1255-1261. PMID: 28254865 19. Diagnostic value of integrated PET/MRI for detection and localization of prostate cancer: Comparative study of multiparametric MRI and PET/CT. Lee MS, Cho JY , Kim SY, Cheon GJ, Moon MH, Oh S, Lee J, Lee S, Woo S, Kim SH. J Magn Reson Imaging. 2017 Feb;45(2):597-609. PMID: 27586519 20. Prognostic value of preoperative intratumoral FDG uptake heterogeneity in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Lee M, Lee H, Cheon GJ, Kim HS, Chung HH , Kim JW, Park NH, Song YS. Eur Radiol. 2017 Jan;27(1):16-23. PMID: 27121932 21. Nuclear Cardiology Practices and Radiation Exposure in the Oceania Region: Results From the IAEA Nuclear Cardiology Protocols Study (INCAPS). Biswas S, Better N, Pascual TN, Mercuri M, Vitola JV, Karthikeyan G, Westcott J, Alexánderson E, Allam AH, Al-Mallah MH, Bom HH, Bouyoucef SE, Flotats A, Jerome S, Kaufman PA, Lele V, Luxenburg O, Mahmarian JJ, Shaw LJ, Underwood SR, Rehani M, Kashyap R, Dondi M, Paez D, Einstein AJ; INCAPS Investigators Group. Heart Lung Circ. 2017 Jan;26(1):25-34. PMID: 27425184 22. Nuclear Cardiology Practice in Asia: Analysis of Radiation Exposure and Best Practice for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 Results From the IAEA Nuclear Cardiology Protocols Cross-Sectional Study (INCAPS). Pascual TN, Mercuri M, El-Haj N, Bom HH, Lele V, Al-Mallah MH, Luxenburg O, Karthikeyan G, Vitola J, Mahmarian JJ, Better N, Shaw LJ, Rehani MM, Kashyap R, Paez D, Dondi M, Einstein AJ; INCAPS Investigators Group. Circ J. 2017 Mar 24;81(4):501-510. PMID: 28179594 23.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on current nuclear cardiology practices and radiation exposure in Latin America: Findings from the 65-country IAEA Nuclear Cardiology Protocols cross-sectional Study (INCAPS). Vitola JV, Mut F, Alexánderson E, Pascual TNB, Mercuri M, Karthikeyan G, Better N, Rehani MM, Kashyap R, Dondi M, Paez D, Einstein AJ; INCAPS Investigators Group. J Nucl Cardiol. 2017 Jun;24(3):851-859. PMID: 26902484 24. Temporal bone chondroblastoma: Imaging characteristics with pathologic correlation. Park SW, Kim JH , Park JH, Moon KC, Paeng JC, Choi BS, Lee Y, Kim JH, Yoo RE, Kang KM, Kim SC, Choi SH, Yun TJ, Sohn CH. Head Neck. 2017 Nov;39(11):2171-2179. PMID: 28736834 25. Prophylactic Temporary Occlusion of the Cystic Artery Using a Fibered Detachable Coil During 90Y Radioembolization. Choi JW, Yoo MY, Kim HC , Paeng JC, Kim YJ, Chung JW. Cardiovasc Intervent Radiol. 2017 Oct;40(10):1624-1630. PMID: 28500460 26. Coronary flow reserve and relative flow reserve measured by N-13 ammonia PET for characterization of coronary artery disease. Cho SG, Park KS, Kim J, Kang SR, Song HC, Kim JH, Cho JY, Hong YJ, Jabin Z, Park HJ, Jeong GC, Kwon SY, Paeng JC, Kim HS, Min JJ, Garcia EV, Bom HH . Ann Nucl Med. 2017 Feb;31(2):144-152. PMID: 27848160 마. 단행본 발간 없음 6. 진료현황 신환 40명, 초진 485명, 재진 1,532명 합계 2,057명 나. 입원환자수 연인원 627명, 실인원 312명 다. 검사실적(자체통계) 검 사 명 검 사 건 수 감 마 영 상 검 사 43,835 P E T 영 상 검 사 13,192 검 체 검 사 684,040 방 사 성 핵 종 치 료 520 계(Total) 742,307 7. 진료장비 및 시설 가. 주요 진료장비(시설) 번호 장비시설)명 규격 및 모델 수량 1 PET-MRI Siemens Biograph mMR 1 2 PET-CT Siemens Biograph40, mCT40, mCT64 3 3 SPECT-CT GE Discovery NM/CT 670 2 4 Cyclotron GE Pet trace 10 1 5 Gamma camera Trionix, TRIAD XLT9 1 6 Gamma Camera Philips CardioMD, Skylight 2 7 Gamma Camera Siemens E-CAM 5 8 Gamma Camera Philips Forte 1 9 Gamma Camera Siemens Lem Plus 1 10 Gamma Counter Packard Cobra, Dream Gamma 10 4 11 자동방사면역측정기 Gamma pro 1 12 Auto sampler Tecan Freedom, Messia 2 13 F-18 FDG 생산시설 암병원 1층 종양핵의학검사실 14 방사성옥소치료병실 갑상선센터 별관병동 3331(1인실), 3332(1인실), 3333(2인실)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핵의학과 소개 > 연혁 > 역사
정확도 : 2% 2024.12.24

1. 직원명단 직명 직급명 성명 과 장 교수 강건욱 교수 정준기 이동수 정재민 강건욱 천기정 이재성 윤혜원 명예교수 이명철 임상부교수 팽진철 겸임교원 연구부교수 이윤상, 황도원 연구조교수 김미정, 강혜진, 이혜경 임상강사 유민영 전공의(4년차) 강서영 박소현 방지인 서민석 전공의(3년차) 강연구 이정민 이현종 전공의(2년차) 김민영 김지현 김현주 이리리 이환희 전공의(1년차) 김지영 서훈녕 유현지 일반직(사무직 J3) 최정희 일반직(간호직 S1) 강신후 김연희 이미정 한현미 일반직(약무직 J3) 이보은 기사장 일반직(보건직 S3) 김진의 수석기사 일반직(보건직 S3) 노경운 일반직(보건직 S2) 이홍재 조성욱 문일상 일반직(보건직 S1) 유태민 황길동 홍미경 조용현 일반직(보건직 J3) 김대운 김병진 김재일 도용호 신선영 윤태석 임정진 일반직(보건직 J2) 김종필 김태엽 김 현 박찬록 박희원 성용준 신병호 신희정 이용석 이재형 임현진 임소희 윤석환 전재환 하동혁 현준호 일반직(보건직 J1) 이재영 하태환 조현수 운영기능직(C3) 유영주 운영기능직(C2) 신은영 남은주 운영기능직(C1) 문영실 오은영 최윤정 운영기능직(A2) 이혜은 2. 주요활동사항 가. 핵의학과 소개 핵의학과는 방사성동위원소와 추적자원리를 이용한 진단 및 치료를 추구하며, 핵의학 영상검사, 검체검사, 방사성동위원소 치료 등을 주 진료 분야로 한다. 감마카메라, SPECT/CT, PET/CT, PET/MRI 등의 영상장비, 자동분주기와 감마측정기 등의 검체검사장비, 차폐치료병실 등의 핵의학치료 시설, 사이클로트론과 방사성의약품 생산조제 시설 등 여러 시설 및 장비를 보유하고 이를 활용하여 진료와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2005년 국제원자력기구로부터 지정된 핵의학분자영상 협력센터를 지속 운영하며 개발도상국의 핵의학 인재를 교육하는 중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국제/국내 학술, 교육 활동에 기여하고 있다. 나. 주요활동사항 2016년은 전체적으로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는 다양한 기획과 시도가 진행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핵의학과 차원의 일부 손실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병원의 발전 계획에 적극 협력하는 결정도 있었다. 먼저, 수술장 확충에 대한 병원발전계획에 협력하여 본관 2층 핵의학과 공간을 의생명연구원 6층으로 이전하는 안을 기획하였고, 45평 가량 되는 어린이병원 핵의학검사실을 본관 1층으로 통합 이전하여 어린이병원의 공간 부족 해소를 추진하는 계획에도 협력하였다. 이러한 이전은 2017년 중 시설공사를 거쳐 완료될 예정이다. 이 외에도 하반기부터 홈페이지 개편 작업을 시작하였으며, 11월에 개통된 차세대 HIS 제작 작업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2017년까지 완료하여야 하는 방사성의약품 GMP 생산시설을 구축하기 위하여 연중 지속적으로 준비를 하였으며 12월에 시설공사를 시작하였다. 한편 워크숍도 새로운 형식을 시도하여, 4월 1일 저녁 원내 워크숍을 가지고 2일 오전 남산 둘레길을 함께 걸으며 화합을 다지기도 하였다. 진료 측면에서 진료량은 2015년의 감소영향이 지속되었으나 반등의 시작 움직임도 같이 보였다. PET은 2014년 13,896건에서 2015년 10,562건으로 감소 후 2016년 10,618건을 시행하였고, 갑상선암 치료는 2014년 267건에서 2015년 203건으로 감소 후 2016년 241건으로 회복세를 보였다. 영상검사에서 Ga-68 DOTATOC PET 검사가 건강보험 급여 항목으로 등재되었으며, F-18 florbetaben과 flutemetamol PET은 비급여로 고시되었다. 이와 동시에 원내 방사성의약품 생산 기반이 확충되어 10월 10일부터 F-18 FDOPA를 외부 의료기관에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장비 개선 노력도 지속하여 10월에 새로운 감마카운터가 검체검사실에 설치되었으며 새로운 CZT SPECT 장비를 2017년에 도입할 수 있도록 승인받았다. 방사성동위원소 진료재료 중 체내 영사검사 관련품에 대한 관리가 약사위원회로 이관되어 차년도 계약분부터 약사위원회 산하 방사성의약품소위원회에서 담당하게 되었다. 교육 측면에서는 본원 핵의학과의 아침 학술집담회를 외부에 개방하여 본원-분당병원-국립암센터-보라매병원 등 전공의교육 모자 관계 병원과 타 대학이나 병원에 교육 기회로 제공하는 정책을 지속하였다. 2015년 개편된 의과대학 3학년 실습일정도 지속되어, 학생들이 주말을 활용해 증례발표를 준비하고 이를 통해 핵의학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전공의 교육과정 중 해외의 다양한 의료 환경을 경험하고 새로운 의료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전공의 해외파견 수련도 지속되어 4년차 전공의 서민석이 미국 Emory University에서 1개월간 해외연수 기회를 가졌다. 3월에 전공의 학습목표를 개편, 배포하여 전공의들이 자체 수련에 도움을 받도록 하였다. 외국인 펠로우 교육도 이어져 인도네시아의 Ivana Dewi와 예멘의 Shagera Qaid Ahmed가 고창순 펠로우십 프로그램으로 1년간 연수기회를 가졌다. 김의신 교수는 작년에 이어 2016년에도 3월, 9월에 각 3개월씩 내한하여 겸임교수직을 수행하였다. 연구 측면에서는 연구중심병원 과제를 비롯하여 교실차원의 다양한 연구과제 신규수주 및 수행이 지속되었다. 한편 김의신 Lectureship을 통하여 유럽핵의학회 회장인 이탈리아 Humanitas University의 Arturo Chiti가 322일 병원을 방문하여 특강을 하였다. 인사 측면에서는, 이동수 교수가 2016년 10월 17일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핵의학생물학회장 선거에서 미국과 캐나다의 출마자를 누르고 학회장으로 당선되었다. 강건욱 교수는 차기 대한나노의학회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정준기 교수는 Journal of Nuclear Medicine의 국제편집부위원장으로 선임되었다. 최유리 교수가 의생명연구원 연구교수로 임용되었다. 전공의 과정을 수료한 유민영은 본원 전임의로 임용되었으며 이인기는 미국 Wisconsin University의 research fellow로 이직하였다. 김지영, 서훈녕, 유현지 등 3명이 신입전공의로 입국하였다. 아랍에미리트의 Shake Kalifa Special Hospital (SKSH) 핵의학과에도 3명의 직원이 파견되어 근무하였다. 다. 인사사항 직급 성명 인사내용 일자 보건직(J3) 임정진 본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5. 1. 1 보건직(J3) 정규일 보라매병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5. 1. 1 간호직(S1) 김연희 121병동 특실에서 핵의학과로 전보 2015. 2. 2 보건직(J3) 김정수 사직 2015. 2. 28 교수직 이동수 서울대학교 생명공학공동연구원장 임용 2015. 3. 1 전임의 권현우 신규발령 2015. 3. 1 연구전임의 하승균 신규발령 2015. 3. 1 전공의 김민정 신규발령, 1년차 2015. 3. 1 전공의 김지현 신규발령, 1년차 2015. 3. 1 전공의 김현주 신규발령, 1년차 2015. 3. 1 전공의 이리리 신규발령, 1년차 2015. 3. 1 전공의 이환희 신규발령, 1년차 2015. 3. 1 보건직(J2) 김 현 신규발령 2015. 3. 9 보건직(J2) 김승정 본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5. 4. 1 보건직(J2) 송호준 보라매병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5. 4. 1 보건직(S3) 노경운 원자력안전법방사선안전관리 팀장(겸임) 2015. 4. 1 보건직(S3) 김진의 핵의학과 기사장 보직임용 2015. 4. 15 보건직(S3) 이홍재 종양핵의학검사실 수석기사 보직임용 2015. 4. 15 보건직(S3) 조성욱 체내검사실 수석기사 보직임용 2015. 4. 15 보건직(S3) 문일상 소아핵의학검사실 수석기사 보직임용 2015. 4. 15 교수직 강건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주임교수 임용 2015. 7. 16 교수직 정재민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방사선의학연구소장 임용 2015. 7. 16 보건직(J1) 이재영 신규발령 2015. 8. 17 보건직(J1) 하태환 신규발령 2015. 8. 17 보건직(J2) 도용호 서울대학교병원 개원기념 모범직원 2015. 10. 15 보건직(S1) 김태훈 당연면직(사망) 2015. 12. 17 보건직(S2) 이홍재 서울대학교병원 모범직원 2015. 12. 31 라. 해외연수 구분 성명 직위 연구 기간 연수국 활동내용 장기연수 이재성 교수 2015.01.01.-2015.12.31 미국 Stanford University, USA 단기연수 이인기 전공의 4년차 2015.06.01.-2015.06.30 독일 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단기연수 유민영 전공의 4년차 2015.07.01–2015.07.31 미국 UCLA 마. 수상내역 1) 11월 서울의대 윤혜원교수 : 대한핵의학회 제 5회 최우수논문상 수상 2) 11월 서울대병원 김용일 전임의 : AOFNMB 젊은연구자상 수상 3) 11월 서울대병원 이현종 전공의 : 대한핵의학회 구연상 수상 4) 12월 서울의대 이동수교수 : 2015년도 서울대학교병원 학술상 수상(심호섭 의학상) 바. 주요일지 제 목 기 간 장 소 The 5rd Prof. Euishin Edmund Kim Distinguished Lecture 2015. 4. 23 서울대학교병원 B강당 제 8차 전국전공의 워크샵 2015. 12. 19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릴리홀 3. 주요 화보 가. The 5rd Prof. Euishin Edmund Kim Distinguished Lecture 연자 : Peter Herscovitch, MD, National Insititues of Health Clinical Center 제목 : PET in Drug Development and Translation 일시: 2014. 11. 10 장소: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1층 대강당 참석자: 해외 1명 초청, 원내 및 외부교수, 연구원, 대학원생, 교직원 등 총 98명 참석 나. 제 8차 전국전공의 워크샵 일시 : 2015. 12. 19 장소 :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릴리홀 주제 : ‘from Research to Development’ in Nuclear Medicine 4. 교육 현황 가. 학생교육 의과대학 3학년 2학기에 핵의학에 대하여 8시간의 집중강의 교육을 시행하였고 실습은 가정의학과 실습교육에서 8시간, 영상의학과 실습교육에서 8시간을 배당받아 핵의학 진료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을 실시하였다. 핵의학 실습교육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요 일 시 간 실 습 내 용 월 09:00 - 17:00 핵의학부하검사 총론, 핵의학 응용정략 및 방사선안전, 핵의학 치료법, 방사성의약품 소개 및 견학, 융합 PET 영상장비 소개 및 견학 금 09:00 - 17:00 신경핵의학총론, 방사면역측정법, 핵의학 영상획득 및 정량분석, 증례토의, 영상기기 견학 나. 대학원 1) 박사 이 름 논 문 제 목 일 자 지도교수 김은경 Bimodal and multivariate analysis linking FDG uptake to BOLD signal at rest: a simultaneous hybrid PET/MR study 2016. 2. 이동수 정태문 Evaluation of the Therapeutic Effect of Cytosine Deaminase-Expressing Mesenchymal Stem Cells and 5-Fluorocytosine on Glioma using Molecular Imaging 2016. 2. 정준기 김용일 Multiplex Molecular Target Detection in a Colorectal Cancer Xenograft Model Utilizing Simultaneous Fluorescence-Raman Endoscopic System 2016. 2. 이동수 서성호 Noninvasive Bi-graphical Analysis for Parametric Imaging of Slowly Reversible Neuroreceptor Binding with Dynamic Brain PET 2016. 2. 이재성 오현정 Cell-non-autonomous neurogenesis by exosome-mediated transfer of neurogenic miRNA in microfluidic system 2016. 2. 오현정 2) 석사 이 름 논 문 제 목 일 자 지도교수 박초롱 The study for characterization and integrin αvβ3 targeting of 64Cu-cRGdyK-HSA 2016. 2 강건욱 배성우 S/G2/M synchronization observed by fluorescence imaging in HeLa-FUCCI after ioniziong radiation 2016. 2 정준기 이영은 Different 18F-FDG uptake according to glucose-6- phosphatase expression in cancer cells and macrophages 2016. 2 천기정 다. 전공의 수련현황 1) 주간행사표 시간/요일 월 화 수 목 금 토 07:30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08:00 교수회의 (정보도서실) 문헌초독회 흥미영상 (회의실) 수요미니 심포지움 (회의실) Structured course staff lecture (회의실) 화학/물리 임상연구모임 08:30 수석기사회의 (정보도서실) 09:00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10:00 외래 강건욱/외래 이명철 외래 정준기 학생 실습교육 (회의실) 판 독 11:00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영상협의체모임 (회의실) 판 독 13:00 학생 실습교육 판 독 학생 실습교육 (회의실) 판 독 14:00 판 독 판 독 판 독 간질집담회 (회의실) 판 독 15:00 외래 팽진철 소아신장집담회 (소아방사선과) 16:00 판 독 17:00 종양PET 집담회 (회의실:격주) 핵의학 기술학모임 (회의실) 18:00 2) 전공의 배치현황 1, 2년차가 핵의학임상에서 연차별 4개월을 영상의학과와 내과에 각 2개월씩 파견수련 받았다. 월 3, 4 5. 6, 7, 8 9, 10 11. 12, 1, 2 1 년차 내 과 핵의학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2 년차 핵의학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핵의학과 3 년차 핵의학과 핵의학과 연 구 핵의학과 4 년차 핵의학과 핵의학과 핵의학과 5. 연구현황 물리ㆍ화학ㆍ종양ㆍ생물학ㆍ인지과학 등 기초-임상 연구 모임과 과내 및 타과와의 집담회를 열었다. 또한 모닝컨퍼런스 117회를 시행하였으며 요일별 문헌초독회, 흥미영상 등의 연구 모임을 열었다. 미래창조과학부 및 보건복지부, 교육과학기술부등의 여러 기관들의 연구과제를 수행하였고 연구 결과 47편의 국제학술지 논문과 8편의 국내학술지 논문을 발표하였다. 가. 국내학술지 주 연구논문 1. Prognostic Value of Metabolic Tumor Volume on (11)C-Methionine PET in Predicting Progression-Free Survival in High-Grade Glioma. Yoo MY, Paeng JC, Cheon GJ, Lee DS, Chung JK, Kim EE, Kang KW. Nucl Med Mol Imaging. 2015 Dec;49(4):291-7. PMID: 26550048 2. Comparison of Diagnostic Sensitivity and Quantitative Indices Between (68)Ga-DOTATOC PET/CT and (111)In-Pentetreotide SPECT/CT in Neuroendocrine Tumors: a Preliminary Report. Lee I, Paeng JC, Lee SJ, Shin CS, Jang JY, Cheon GJ, Lee DS, Chung JK, Kang KW. Nucl Med Mol Imaging. 2015 Dec;49(4):284-90. PMID: 26550047 3. Usefulness of (131)I-SPECT/CT and (18)F-FDG PET/CT in Evaluating Successful (131)I and Retinoic Acid Combined Therapy in a Patient with Metastatic Struma Ovarii. Seo HJ, Ryu YH, Lee I, Min HS, Kang KW, Lee DS, Lee DH, Chung JK. Nucl Med Mol Imaging. 2015 Mar;49(1):52-6. PMID: 25774238 4. Autoclustering of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Subtypes on (18)F-FDG PET Using Texture Analysis: A Preliminary Result. Ha S, Choi H, Cheon GJ, Kang KW, Chung JK, Kim EE, Lee DS. Nucl Med Mol Imaging. 2014 Dec;48(4):278-86. PMID: 26396632 5. Message from the Editor-in-Chief. Lee DS. Nucl Med Mol Imaging. 2016 Mar;50(1):1-2. PMID: 26941853 6. Innovative Physics and Engineering Research in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A Message from the Associate Editor. Lee JS. Nucl Med Mol Imaging. 2015 Dec;49(4):249-50. PMID: 26550042 7. The Importance of Radiopharmaceutical Chemistry for the Development of Nuclear Medicine: a Message from the Associate Editor. Jeong JM. Nucl Med Mol Imaging. 2015 Sep;49(3):169. PMID: 26279688 8. Relations Between Pathological Markers and Radioiodine Scan and (18)F-FDG PET/CT Findings in Papillary Thyroid Cancer Patients With Recurrent Cervical Nodal Metastases. Lee JW, Min HS, Lee SM, Kwon HW, Chung JK. Nucl Med Mol Imaging. 2015 Jun;49(2):127-34. PMID: 26085858 나. 국내학술지 부 연구논문 다. 국제학술지 주 연구논문 1. Glycosylation of Sodium/Iodide Symporter (NIS) Regulates Its Membrane Translocation and Radioiodine Uptake Chung T, Youn H, Yeom CJ, Kang KW, Chung JK PLoS One. 2015 Nov 23;10(11):e0142984. PMID: 26599396 2. Hemodynamic Significance of Internal Carotid or Middle Cerebral Artery Stenosis Detected on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Seo HJ, Pagsisihan JR, Paeng JC, Choi SH, Cheon GJ, Chung JK, Lee DS, Kang KW. Yonsei Med J. 2015 Nov;56(6):1686-93. PMID: 26446655. 3. Total Lesion Glycolysis i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Can Predict Gefitinib Outcomes in Non-Small-Cell Lung Cancer with Activating EGFR Mutation. Keam B, Lee SJ, Kim TM, Paeng JC, Lee SH, Kim DW, Jeon YK, Chung DH, Kang KW, Chung JK, Heo DS. J Thorac Oncol. 2015 Aug;10(8):1189-94. PMID: 26200273 4. PET/CT-Based Dosimetry in 90Y-Microsphere Selective Internal Radiation Therapy: Single Cohort Comparison With Pretreatment Planning on (99m)Tc-MAA Imaging and Correlation With Treatment Efficacy. Song YS, Paeng JC, Kim HC, Chung JW, Cheon GJ, Chung JK, Lee DS, Kang KW. Medicine (Baltimore). 2015 Jun;94(23):e945. PMID: 26061323 5. Clinical Performance of Whole-Body 18F-FDG PET/Dixon-VIBE, T1-Weighted, and T2-Weighted MRI Protocol in Colorectal Cancer. Lee SJ, Seo HJ, Kang KW, Jeong SY, Yi NJ, Lee JM, Chung JK, Edmund Kim E, Paeng JC, Cheon GJ, Lee DS. Clin Nucl Med. 2015 Aug;40(8):e392-8. PMID: 26018689 6. Fluorescence-Raman dual modal endoscopic system for multiplexed molecular diagnostics. Jeong S, Kim YI, Kang H, Kim G, Cha MG, Chang H, Jung KO, Kim YH, Jun BH, Hwang do W, Lee YS, Youn H, Lee YS, Kang KW, Lee DS, Jeong DH. Sci Rep. 2015 Mar 30;5:9455. PMID: 25820115 7. Usefulness of MRI-assisted metabolic volumetric parameters provided by simultaneous (18)F-fluorocholine PET/MRI for primary prostate cancer characterization. Kim YI, Cheon GJ, Paeng JC, Cho JY, Kwak C, Kang KW, Chung JK, Kim EE, Lee DS.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5 Jul;42(8):1247-56. PMID: 25759164 8. Comparison of SPECT/CT and MRI in Diagnosing Symptomatic Lesions in Ankle and Foot Pain Patients: Diagnostic Performance and Relation to Lesion Type. Ha S, Hong SH, Paeng JC, Lee DY, Cheon GJ, Arya A, Chung JK, Lee DS, Kang KW. PLoS One. 2015 Feb 10;10(2):e0117583. PMID:25668182 9. Codon-optimized human sodium iodide symporter (opt-hNIS) as a sensitive reporter and efficient therapeutic gene. Kim YH, Youn H, Na J, Hong KJ, Kang KW, Lee DS, Chung JK. Theranostics. 2015 Jan 1;5(1):86-96. PMID:25553100 10. Prognostic value of SUVmean in oropharyngeal and hypopharyngeal cancers: comparison with SUVmax and other volumetric parameters of 18F-FDG PET. Pak K, Cheon GJ, Kang KW, Chung JK, Kim EE, Lee DS. Clin Nucl Med. 2015 Jan;40(1):9-13. PMID: 25423344 11. Serum thyroglobulin level after radioiodine therapy (Day 3) to predict successful ablation of thyroid remnant in postoperative thyroid cancer. Kim YI, Im HJ, Paeng JC, Cheon GJ, Kang KW, Lee DS, Joon Park D, Park YJ, Chung JK. Ann Nucl Med. 2015 Feb;29(2):184-9. PMID:25404419 12. 18F-fluorodeoxyglucose and ¹¹C-methionin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relation to methyl-guanine methyltransferase promoter methylation in high-grade gliomas. Choi H, Bang JI, Cheon GJ, Kim YH, Park CK, Park SH, Kang KW, Chung JK, Kim EE, Lee DS. Nucl Med Commun. 2015 Mar;36(3):211-8. PMID: 25340951 13. Prognostic value of volumetric parameters of (18)F-FDG PET in non-small-cell lung cancer: a meta-analysis. Im HJ, Pak K, Cheon GJ, Kang KW, Kim SJ, Kim IJ, Chung JK, Kim EE, Lee DS.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5 Feb;42(2):241-51. PMID: 25193652 14. Diagnostic values of thyroglobulin measurement in fine-needle aspiration of lymph nodes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Pak K, Suh S, Hong H, Cheon GJ, Hahn SK, Kang KW, Kim EE, Lee DS, Chung JK. Endocrine. 2015 May;49(1):70-7. PMID: 25185721 15. Update on nodal staging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with integrate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a meta-analysis. Pak K, Park S, Cheon GJ, Kang KW, Kim IJ, Lee DS, Kim EE, Chung JK. Ann Nucl Med. 2015 Jun;29(5):409-19. PMID: 25655120 16. A Novel hNIS/tdTomato Fusion Reporter for Visua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llular Localization of Sodium Iodide Symporter and Its Iodine Uptake Function Under Heat Shock Treatment. Yeom CJ, Chung T, Youn H, Kang KW, Lee DS, Chung JK. Mol Imaging. 2015;14. PMID: 25773964 17. 18F-FDG PET/CT in anti-LGI1 encephalitis: initial and follow-up findings. Park S, Choi H, Cheon GJ, Wook Kang K, Lee DS. Clin Nucl Med. 2015 Feb;40(2):156-8. PMID: 25140541 18. Lymph node imaging using novel simultaneous PET/MRI and dual-modality imaging agent. Ko GB, Lee JS, Yoon HS, Kim D, Kim KY, Lee MS, Yang BY, Jeong JM, Lee DS, Song IC, Kim SK. EJNMMI Phys. 2015 Dec;2(Suppl 1):A53. PMID: 26956312 19. MRI-Based Attenuation Correction for PET/MRI Using Multiphase Level-Set Method. An HJ, Seo S, Kang H, Choi H, Cheon GJ, Kim HJ, Lee DS, Song IC, Kim YK, Lee JS. J Nucl Med. 2016 Apr;57(4):587-93. PMID: 26697962 20. Performance characterization of high quantum efficiency metal package photomultiplier tubes for time-of-flight and high-resolution PET applications. Ko GB, Lee JS. Med Phys. 2015 Jan;42(1):510-20. PMID: 25563289 21. Clinical Outcome of Remnant Thyroid Ablation with Low Dose Radioiodine in Korean Patients with Low to Intermediate-risk Thyroid Cancer. Ha S, Oh SW, Kim YK, Koo do H, Jung YH, Yi KH, Chung JK. J Korean Med Sci. 2015 Jul;30(7):876-81. PMID: 26130949 22. Modified mRNA as an alternative to plasmid DNA (pDNA) for transcript replacement and vaccination therapy. Youn H, Chung JK. Expert Opin Biol Ther. 2015;15(9):1337-48. PMID: 26125492 23. Targeting BRG1 Chromatin Remodeler via Its Bromodomain for Enhanced Tumor Cell Radiosensitivity In Vitro and In Vivo. Kwon SJ, Lee SK, Na J, Lee SA, Lee HS, Park JH, Chung JK, Youn H, Kwon J. Mol Cancer Ther. 2015 Feb;14(2):597-607. PMID:25504753 24. Nuclear Molecular Imaging for Vulnerable Atherosclerotic Plaques. Lee SJ, Paeng JC. Korean J Radiol. 2015 Sep-Oct;16(5):955-66. PMID: 26357491 라. 국제학술지 부 연구논문 1. Correlation between (18)F-FDG uptake on PET/CT and prognostic factors in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Koo HR, Park JS, Kang KW, Han W, Park IA, Moon WK. Eur Radiol. 2015 Nov;25(11):3314-21. PMID: 25903708 2. The risk of second primary malignancy is increased in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patients with a cumulative (131) I dose over 37 GBq. Khang AR, Cho SW, Choi HS, Ahn HY, Yoo WS, Kim KW, Kang KW, Yi KH, Park do J, Lee DS, Chung JK, Cho BY, Park YJ. Clin Endocrinol (Oxf). 2015 Jul;83(1):117-23. PMID: 25115234 3. Evaluation of the novel near-infrared fluorescence tracers pullulan polymer nanogel and indocyanine green/γ-glutamic acid complex for sentinel lymph node navigation surgery in large animal models. Kong SH, Noh YW, Suh YS, Park HS, Lee HJ, Kang KW, Kim HC, Lim YT, Yang HK. (공저자) Gastric Cancer. 2015 Jan;18(1):55-64. PMID:24481855 4. Association between Information Provision and Decisional Conflict in Cancer Patients. Sim JA, Shin JS, Park SM, Chang YJ, Shin A, Noh DY, Han W, Yang HK, Lee HJ, Kim YW, Kim YT, Jeong SY, Yoon JH, Kim YJ, Heo DS, Kim TY, Oh DY, Wu HG, Kim HJ, Chie EK, Kang KW, Yun YH. Ann Oncol. 2015 Sep;26(9):1974-80. PMID: 26116430 5. A Short Review on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Park HR, Lee JM, Moon HE, Lee DS, Kim BN, Kim J, Kim DG, Paek SH. Exp Neurobiol. 2016 Feb;25(1):1-13. PMID: 26924928 6. Integrated whole body MR/PET: where are we? Yoo HJ, Lee JS, Lee JM. Korean J Radiol. 2015 Jan-Feb;16(1):32-49. PMID: 25598673 7. Gallium-68 neomannosylated human serum albumin-based PET/CT lymphoscintigraphy for sentinel lymph node mapping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Eo JS, Kim HK, Kim S, Lee YS, Jeong JM, Choi YH. Ann Surg Oncol. 2015 Feb;22(2):636-41. PMID:25155392 8. The Presence of Thyroid-Stimulation Blocking Antibody Prevents High Bone Turnover in Untreated Premenopausal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Cho SW, Bae JH, Noh GW, Kim YA, Moon MK, Park KU, Song J, Yi KH, Park DJ, Chung JK, Cho BY, Park YJ. PLoS One. 2015 Dec 9;10(12):e0144599. PMID: 26650844 9. Radioactive Iodine Therapy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Incidence and Recurrence of Subsequent Breast Cancer. Ahn HY, Min HS, Yeo Y, Ma SH, Hwang Y, An JH, Choi HS, Keam B, Im SA, Park do J, Park IA, Noh DY, Youn YK, Chung JK, Cho BY, Park SK, Park YJ. J Clin Endocrinol Metab. 2015 Sep;100(9):3486-93. PMID: 26147607 10. Pediatric patients with multifocal papillary thyroid cancer have higher recurrence rates than adult patient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a large pediatric thyroid cancer cohort over 33 years. Lee YA, Jung HW, Kim HY, Choi H, Kim HY, Hah JH, Park DJ, Chung JK, Yang SW, Shin CH, Park YJ. J Clin Endocrinol Metab. 2015 Apr;100(4):1619-29. PMID: 25632969 11. Interaction of tetraspan(in) TM4SF5 with CD44 promotes self-renewal and circulating capacities of hepatocarcinoma cells. Lee D, Na J, Ryu J, Kim HJ, Nam SH, Kang M, Jung JW, Lee MS, Song HE, Choi J, Lee GH, Kim TY, Chung JK, Park KH, Kim SH, Kim H, Seo H, Kim P, Youn H, Lee JW. Hepatology. 2015 Jun;61(6):1978-97. PMID: 25627085 12. PET/MR Imaging for Chest Diseases: Review of Initial Studies on Pulmonary Nodules and Lung Cancers. Yoon SH, Goo JM, Lee SM, Park CM, Cheon GJ. Magn Reson Imaging Clin N Am. 2015 May;23(2):245-59. PMID: 25952518 13. Prediction of microvascular invas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using gadoxetic acid-enhanced MR and (18)F-FDG PET/CT. Ahn SY, Lee JM, Joo I, Lee ES, Lee SJ, Cheon GJ, Han JK, Choi BI. Abdom Imaging. 2015 Apr;40(4):843-51. PMID: 25253426 14. Comparison of 4D CT, Ultrasonography, and 99mTc Sestamibi SPECT/CT in Localizing Single-Gland Primary Hyperparathyroidism. Suh YJ, Choi JY, Kim SJ, Chun IK, Yun TJ, Lee KE, Kim JH, Cheon GJ, Youn YK.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5 Mar;152(3):438-43. PMID: 25518904 15. 11C-Pittsburgh B PET imaging in cardiac amyloidosis. Lee SP, Lee ES, Choi H, Im HJ, Koh Y, Lee MH, Kwon JH, Paeng JC, Kim HK, Cheon GJ, Kim YJ, Kim I, Yoon SS, Seo JW, Sohn DW. JACC Cardiovasc Imaging. 2015 Jan;8(1):50-9. PMID: 25499132 16. Correlation of Asymmetry Indices Measured by Arterial Spin-Labeling MR Imaging and SPECT in Patients with Crossed Cerebellar Diaschisis. Kang KM, Sohn CH, Kim BS, Kim YI, Choi SH, Yun TJ, Kim JH, Park SW, Cheon GJ, Han MH. AJNR Am J Neuroradiol. 2015 Sep;36(9):1662-8. PMID: 26228883 17. STAT3-mediated IGF-2 secretion in the tumour microenvironment elicits innate resistance to anti-IGF-1R antibody. Lee JS, Kang JH, Boo HJ, Hwang SJ, Hong S, Lee SC, Park YJ, Chung TM, Youn H, Lee SM, Kim BJ, Chung JK, Chung Y, William WN Jr, Shin YK, Lee HJ, Oh SH, Lee HY. Nat Commun. 2015 Oct 14;6:8499. PMID: 26465273 18. Subdominant H60 antigen-specific CD8 T-cell response precedes dominant H4 antigen-specific response during the initial phase of allogenic skin graft rejection. Yoo KI, Jeon JY, Ryu SJ, Nam G, Youn H, Choi EY. Exp Mol Med. 2015 Feb 13;47:e140. PMID: 25676063 19. Thyroid disruption by triphenyl phosphate, an organophosphate flame retardant, in zebrafish (Danio rerio) embryos/larvae, and in GH3 and FRTL-5 cell lines. Kim S, Jung J, Lee I, Jung D, Youn H, Choi K. Aquat Toxicol. 2015 Mar;160:188-96. PMID: 25646720 20. Clinical Implication of Anti-Angiogenic Effect of Regorafenib in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Lim Y, Han SW, Yoon JH, Lee JM, Lee JM, Paeng JC, Won JK, Kang GH, Jeong SY, Park KJ, Lee KH, Kim JH, Kim TY. PLoS One. 2015 Dec 15;10(12):e0145004. PMID: 26671465 21. Comparison of perfusion and thickening between vein and right internal thoracic artery composite grafts from a randomized trial substudy. Hwang HY, Paeng JC, Oh HC, Kim YH, Kim KB. J Thorac Cardiovasc Surg. 2015 Nov;150(5):1187-94. PMID: 26383005 22. Pulmonary Nodule Detection in Patients with a Primary Malignancy Using Hybrid PET/MRI: Is There Value in Adding Contrast-Enhanced MR Imaging? Lee KH, Park CM, Lee SM, Lee JM, Cho JY, Paeng JC, Ahn SY, Goo JM. PLoS One. 2015 Jun 11;10(6):e0129660. PMID: 26065695 23. The role of molecular imaging in the evaluation of myocardial and peripheral angiogenesis. Stacy MR, Paeng JC, Sinusas AJ. Ann Nucl Med. 2015 Apr;29(3):217-23. PMID: 25750124 마. 단행본 발간 없음 6. 진료현황 가. 외래 환자수 신환 10명, 초진 417명, 재진 1,815명 합계 2,242명 나. 입원환자수 연인원 400명, 실인원 205명 다. 검사실적(자체통계) 검 사 실 명 검 사 건 수 영 상 검 사 실 27,725 P E T 검 사 실 13,808 검 체 검 사 실 701,584 방 사 성 치 료 실 924 계(Total) 744,041 7. 진료장비 및 시설 가. 주요 진료장비(시설) 번호 장비(시설)명 규격 및 모델 수량 1 PET-MRI Siemens Biograph mMR 1 2 PET-CT Siemens Biograph40, mCT40, mCT64 3 3 SPECT-CT GE Discovery NM/CT 670 2 4 Cyclotron GE Pet trace 10 1 5 Gamma camera Trionix, TRIAD XLT9 1 6 Gamma camera Philips CardioMD, Skylight 2 7 Gamma camera Siemens E-CAM 5 8 Gamma camera Philips Forte 1 9 Gamma camera Siemens Lem Plus 1 10 Gamma Counter Packard Cobra, Wallac 1470 4 11 자동방사면역측정기 Hoil, RIA-mat 280 1 12 Autosampler Hamilton Microlab, Tecan Freedom 2 13 F-18 FDG 생산시설 암병원 1층 종양핵의학검사실 14 방사성옥소치료병실 갑상선센터 별관병동 3331(1인실), 3332(1인실), 3333(2인실)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핵의학과 소개 > 연혁 > 역사
정확도 : 1% 2024.12.24

1. 직원명단 직명 직급명 성명 과 장 교수 이동수(2014. 1. 1 - 7. 15) 교수 강건욱(2014. 7. 16 - 현재) 교수 정준기, 정재민, 강건욱, 천기정, 이재성 부교수 윤혜원, 팽진철 겸임교원 연구부교수 이윤상, 황도원 연구조교수 김미정, 강혜진, 이혜경 전공의 전공의(4년차) 이수진 최홍윤 하승균 전공의(3년차) 유민영, 이인기 전공의(2년차) 강서영, 박소현, 방지인, 서민석 전공의(1년차) 강연구, 소민경, 이정민, 이현종 간호직 간호직(4급) 강신후, 석은미, 한현미, 홍승연 약무직 약무직(4급) 이보은 보건직 보건직(3급) 기사장 김진의 보건직(3급) 수석기사 노경운, 이홍재, 조성욱, 문일상 보건직(4급) 김재일, 김정수, 신선영, 유태민, 윤태석, 이형진, 장현영, 조용현, 정규일, 황길동, 홍미경 보건직(5급) 김계환, 김종필, 도용호, 박찬록, 박희원, 성용준, 송호준, 승종민, 신병호, 이용석, 이재형, 임소희, 임현진, 윤석환, 전재환, 정용훈, 최성희, 최현준, 하동혁 사무직 사무직(4급) 최정희 운영기능직 운영기능직(2급) 유영주, 신은영, 남은주 운영기능직(3급) 문영실, 최윤정 운영기능직(5급) 이혜은 간호운영기능직 간호운영기능직(3급) 오은영 2. 주요활동사항 가. 핵의학과 소개 핵의학과는 방사성동위원소와 추적자원리를 이용한 진단 및 치료를 중심으로 활발한 진료, 교육, 연구활동을 진행 중이며, 감마카메라, SPECT/CT, PET/CT, PET/MRI 등의 임상영상장비, 다양한 검체검사장비, 핵의학치료 시설, 사이클로트론 등 임상장비/시설과 동물용 분자영상시설 등 연구시설을 갖추고 있다. 2005년 국제원자력기구로부터 지정된 세계유일의 핵의학분자영상 협력센터를 지속 운영 중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국제/국내 학술, 교육 활동에 기여하고 있다. 나. 주요활동사항 진료 측면에서는 기존에 수행 중이던 감마카메라영상, PET/CT, PET/MRI 등의 영상검사가 지속적으로 성장하였다. 특히 새로운 영상기술을 임상 실용화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서, Ga-68 DOTATOC PET을 신의료기술로 신청하여 허가 받았고 F-18 FMISO PET도 신의료기술로 신청하여 심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해당 방사성의약품들을 조제실제제 등록은 물론, 외부 공급이 가능하도록 품목허가를 받고자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방사성의약품에 대한 GMP 시설 설치가 의무화된 법령이 통과되어 이를 위한 대비책도 추진 중이다. 핵의학 검체검사도 비교적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방사성동위원소치료 분야는 갑상선암에 대한 과다검진 및 치료라는 사회적 논의로 인하여 전체적인 진료량이 감소하였다. 4월에 발생한 세월호 사고라는 국가적 사건에 대응하여 환자안전 TFT를 조직하고 안전사고 사례수집, 환자안전 문제점검, 사고요인 예방 등의 활동을 벌여 가을 워크숍에서 발표하였다. 교육 측면에서는 본원 핵의학과의 아침 학술집담회를 외부에 개방하여 우수한 교육자원으로 공급하는 정책을 지속 추진하여, 본원-분당병원-국립암센터-보라매병원 등 전공의교육 모자병원 관계의 연계 병원 이외에도 자체 학술집담회를 개최하지 못하는 타 대학이나 병원에서 비디오컨퍼런스 형태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을 지속 시행하여 교육병원으로서의 사회적 의무를 다하고자 노력하였다. 의과대학 3학년 학생실습은 2일에 걸쳐 모든 학생이 본원과 분당병원에서 각 1일씩 실습하는 방식이 지속되었다. 그러나 차기년도부터는, 주말을 전후해 연속된 금요일과 월요일에 각 병원에서 실습을 진행함으로써 주말을 학생들의 자기주도형 학습과 증례준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편안을 의과대학 및 관련 타과의 양해를 얻어 시행하기로 하였다. 전공의 교육을 강화하여 교실 내에서 진행하는 다학제간 대학원 수업에 참여하여 임상교육 이외에도 다양한 학문 분야를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공의 교육과정 중 해외의 다양한 의료 환경을 경험하고 새로운 의료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전공의 해외파견 수련도 지속되어 4년차 전공의 이수진이 이탈리아 Bologna의 Policinico S. Srsola-Malpighi, 최홍윤이 미국 Boston의 MIT, 하승균이 미국 Houston의 MD Anderson Cancer Center 등에 각각 6, 7, 8월, 1개월간 해외연수 기회를 가졌다. 외국인 펠로우 교육도 이어져 파키스탄 Nishtar Medical College and Hospital의 핵의학과 전문의인 Muhammad Kashif Rahim이 1년간의 연수를 마쳤고, 필리핀의 Jamilla Cecilia Llanes Gomez, 미얀마의 Su Thet Oo, 방글라데시의 Azmal Kabir Sarker 등 3명이 3월부터 연수를 시작하였다. 연구 측면에서는 이동수 교수의 치매극복 과제 수주, 김상은 교수의 신약개발 바이오이미징 융합기술센터 수주 등 교실차원의 다양한 연구과제 신규수주 및 수행이 지속되었으며 연구성과도 꾸준히 산출하였다. 연구중심병원 과제가 복지부의 대형 연구프로젝트로 새로 시작되어 서울대학교병원이 세브란스병원, 길병원과 함께 첫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강건욱, 팽진철 교수가 참여하였다. 국내, 국제 학술활동도 활발히 진행하여 정재민 교수는 2월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 창립총회에서 초대 회장으로 취임하였고 이어 세계방사성의약품학회(Society of Radiopharmaceutical Sciences, SRS) 차기회장으로 선출되어 2017년부터 회장직을 수행하게 되었다. 한편 김의신 Lectureship 등을 통하여 미국핵의학회장인 Peter Herscovitch, Sally Schwarz 등이 병원을 방문하여 특강을 하였다. 정준기 교수는 핵의학 발전에 대한 생애 공적을 인정받아 추계 대한핵의학회에서 학회 최고 상인 한국핵의학청봉상을 수상하였다. 인사 측면에서는, 7월 16일 부로 이동수 교수가 핵의학교실 주임교수 및 핵의학과 과장직을 마치고 분당병원의 김상은 교수가 신임 주임교수, 강건욱 교수가 신임 과장으로 취임하였다. 김상은 교수는 10월에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으로 겸보 발령되었고 11월에는 대한핵의학회 차기회장으로 선출되었다. 3월 1일자로 이원우, 이재성 교수가 기금교수에서 서울대학교 교수로 승진 임용되었고, 이호영 교수가 기금부교수로 신규임용되었다. 서효정 진료교수가 안양샘병원으로, 전임의 박경준, 김근호가 각각 부산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병원으로 이직하였다. 전공의 과정을 수료한 이은성, 천인국은 각각 국립암센터, 강원대학교병원으로 이직하였고, 강연구, 소민경, 이정민, 이현종 등 4명이 신입전공의로 입국하였다. 아랍에미리트의 Shake Kalifa Special Hospital (SKSH)이 개원준비를 함에 따라 보건직 김계환, 정용훈, 박주선이 파견근무를 시작하였고, 보건직 김대운, 권형진, 서효열, 장현영이 보라매병원으로, 신희정, 김태엽, 이현주, 김태훈은 본원으로 순환하여 근무를 시작하였다. 석은미 간호사가 내과계 외래에서 전보되어 근무를 시작하였다. 보건직 박희원은 모범직원으로 개원기념일 표창을 받았다. 3월에 팽진철 교수가 심장핵의학 분야의 연구를 위한 1년간의 해외연수(미국, Yale University)를 마치고 귀국하였고 김의신 교수는 작년에 이어 2014년에도 3월, 9월에 각 2개월씩 내한하여 겸임교수직을 수행하였다. 다. 인사사항 직급 성명 인사내용 일자 보건직(5급) 최진욱 보라매병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4. 1. 1 보건직(4급) 김태훈 보라매병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4. 1. 1 보건직(5급) 신병호 본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4. 1. 1 보건직(4급) 신선영 본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4. 1. 1 보건사보 김대운 보건사보에서 보건사로 승진 2014. 1. 1 교수 정재민 법인교수 발령 2014. 3. 1 전임의 송요성 신규발령 2014. 3. 1 연구전임의 김우형 신규발령 2014. 3. 1 전공의 강연구 신규발령, 1년차 2014. 3. 1 전공의 소민경 신규발령, 1년차 2014. 3. 1 전공의 이정민 신규발령, 1년차 2014. 3. 1 전공의 이현종 신규발령, 1년차 2014. 3. 1 간호사 석은미 내과계 외래진료지원실에서 핵의학과로 전보 2014. 5. 2 보건직(4급) 김대운 보라매병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4. 6. 3 보건직(5급) 신희정 본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4. 6. 3 보건직(5급) 권형진 보라매병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4. 7. 1 보건직(5급) 김태엽 본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4. 7. 1 보건직(5급) 김계환 UAE SKSH 핵의학과로 해외파견 2014. 9. 1 보건직(5급) 서효열 보라매병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4. 9. 1 보건직(5급) 이현주 본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4. 9. 1 보건직(5급) 박희원 서울대학교병원 개원기념 모범직원 2014. 10. 15 보건직(4급) 장현영 보라매병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4. 11. 1 보건직(4급) 김태훈 본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4. 11. 1 보건직(5급) 정용훈 UAE SKSH 핵의학과로 해외파견 2014. 11. 10 보건직(5급) 박주선 신규발령 2014. 12. 25 운영기능직 이혜은 신규발령 2014. 12. 31 라. 해외연수 구분 성명 직위 연구기간 연수국 활동내용 단기연수 이수진 전공의 4년차 2014.06.01.-2014.06.30 이탈리아 Policinico S. Srsola-Malpighi 실습 단기연수 최홍윤 전공의 4년차 2014.07.01.-2014.07.31 미국 MIT 실습 단기연수 하승균 전공의 4년차 2014.08.01.-2014.08.31 미국 MD Anderson Cancer Center 실습 마. 수상내역 1) 11월 서울의대 정준기교수 : 대한핵의학회 한국핵의학청봉상 수상 2) 11월 서울대병원 김우형 전임의 : 대한핵의학회 젊은연구자상 수상 3) 11월 서울대병원 방지인 전공의 : 대한핵의학회 구연상 수상 4) 11월 서울대병원 천인국 전공의 : 대한핵의학회 포스터상 수상 5) 11월 서울대병원 강승관 전공의 : 대한핵의학회 포스터상 수상 6) 11월 서울대병원 최홍윤 전공의 : 대한핵의학회 포스터상 수상 바. 주요일지 제 목 기 간 장 소 제 22차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워크숍 2014. 9. 27 - 9. 28. 서울대학교병원 인재원 US Regulatory Considerations for SPECT and PET for Clinical Research Production – Sally W. Schwarz, MS,BCNP 2014. 10. 30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1층 대강당 The 4rd Prof. Euishin Edmund Kim Distinguished Lecture 2014. 11. 10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1층 대강당 청봉 이문호교수 추모 10주기 유품도록집 증정식 2014. 12. 05.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박물관(구 대한의원) 3. 주요 화보 가. 제 22차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워크숍 일시 : 2014. 9. 27 – 9. 28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인재원(경북 문경) 나. 교실 특강 연자 : Sally W. Schwarz, MS, BCNP, Professor of Radiology, Co-Director Cyclotron Facility, Washingto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제목 : “US Regulatory considerations for SPECT and PET for Clinical Research Production” 일시 : 2014. 10. 30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1층 대강당 참석 : 해외 1명 초청, 원내 및 외부교수, 연구원, 대학원생, 교직원 등 총 80명 참석 다. The 4rd Prof. Euishin Edmund Kim Distinguished Lecture 연자 : Peter Herscovitch, MD, National Insititues of Health Clinical Center 제목 : PET in Drug Development and Translation 일시: 2014. 11. 10 장소: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1층 대강당 참석자: 해외 1명 초청, 원내 및 외부교수, 연구원, 대학원생, 교직원 등 총 98명 참석 라. 이문호교수 추모 10주기 유품도록집 증정식 일시 : 2014. 12. 5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박물관(구 대한의원) 주관 : 내과학교실/핵의학교실 유품 전시 및 도록집 발간 4. 교육 현황 가. 학생교육 의과대학 3학년 2학기에 핵의학에 대하여 11시간의 집중강의 교육을 시행하였고 실습은 가정의학과 실습교육에서 8시간, 영상의학과 실습교육에서 8시간을 배당받아 핵의학 진료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을 실시하였다. 핵의학 실습교육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요일 시간 실습내용 월 09:00 - 17:00 핵의학과 소개 및 분자영상, 방사면역측정법의 원리, 핵의학, 기기와 안전관리, 학생자원자 영상실습, 뇌관류 SPECT and PET, 심장관류 SPECT의 임상응용, PET 영상증례, 방사성의약품 금 09:00 - 17:00 심근관류 SPECT, 심장부하의 원리와 심장관류 SPECT 증례, 심장부하 실습, 갑상선암의 치료, 방사성옥소 치료환자 증례, 124 병동 증례 발표 나. 대학원 1) 박사 이름 논문제목 일자 지도교수 송명근 In vivo imaging of 64Cu-HSA-aptamer as a targeting agent for HER2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2) expressing cancer cells. 2014. 8 강건욱 최홍윤 Metabotropic glutamate recetpor 5 imaging and metabolic connectivity in pilocarpine-induced epilepsy rat model 2015. 2 이동수 임형준 6-OHDA로 유도된 파킨슨병 마우스 모델에서 신경 줄기 세포 치료에서의 체내 영상 추적 관찰 및 치료 효과의 평과 2015. 2 이동수 윤현석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을 위한 네크워크 기반 고성능 데이터획득 장치 2015. 2 이재성 함자랑 Large-scale functional brain network for attentional regulation of encoding: Oscillatory interactions based on bipartite graph filtration 2015. 2 이동수 2) 석사 이름 논문제목 일자 지도교수 유민영 Monitoring of intravenously injected exosome-mimetic nanovesicles labeled with 99mTc-HMPAO by smallanimal SPECT/CT imaging 2014. 8 이동수 박지용 간 쿠퍼세포의 양전자단층촬영을 위한 나노 마이셀의 개발 2014. 8 정재민 다. 전공의 수련현황 1) 주간행사표 시간/요일 월 화 수 목 금 토 07:30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08:00 교수회의 (정보도서실) 문헌초독회 흥미영상 (회의실) 수요미니 심포지움 (회의실) Structured course staff lecture (회의실) 화학/물리 임상연구모임 판독 08:30 수석기사회의 (정보도서실) 09:00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10:00 외래 강건욱/외래 이명철 외래 정준기 학생 실습교육 (회의실) 판 독 11:00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영상협의체모임 (회의실) 판 독 13:00 학생 실습교육 판 독 학생 실습교육 (회의실) 판 독 14:00 판 독 판 독 판 독 간질집담회 (회의실) 판 독 15:00 외래 팽진철 소아신장집담회 (소아방사선과) 16:00 판 독 17:00 종양PET 집담회 (회의실:격주) 핵의학 기술학모임 (회의실) 18:00 2) 전공의 배치현황 1, 2년차가 핵의학임상에서 연차별 4개월을 영상의학과와 내과에 각 2개월씩 파견 수련 받았다. 월 3, 4 5. 6, 7, 8 9, 10 11. 12, 1, 2 1 년차 내 과 핵의학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2 년차 핵의학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핵의학과 3 년차 핵의학과 핵의학과 연 구 핵의학과 4 년차 핵의학과 핵의학과 핵의학과 5. 연구현황 물리ㆍ화학ㆍ종양ㆍ생물학ㆍ인지과학 등 기초-임상 연구 모임과 과내 및 타과와의 집담회를 열었다. 또한 모닝컨퍼런스 100회를 시행하였으며 요일별 문헌초독회, 흥미영상 등의 연구 모임을 열었다. 미래창조과학부 및 보건복지부, 교육과학기술부등의 여러 기관들의 연구과제를 수행하였고 연구 결과 32편의 국제학술지 논문과 11편의 국내학술지 논문을 발표하였다. 가. 국내학술지 주 연구논문 1. Rahim MK, Kim SE, So H, Kim HJ, Cheon GJ, Lee ES, Kang KW, Lee DS. Recent Trends in PET Image Interpretations Using Volumetric and Texture-based Quantification Methods in Nuclear Oncology. Nucl Med Mol Imaging. 2014 Mar;48(1):1-15. doi: 10.1007/s13139-013-0260-2. Epub 2014 Jan 22. Review. PMID: 24900133 [PubMed] 2. Lee I, Budiawan H, Moon JY, Cheon GJ, Kim YC, Paeng JC, Kang KW, Chung JK, Lee DS. The value of SPECT/CT in localizing pain site and prediction of treatment response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J Korean Med Sci. 2014 Dec;29(12):1711-6. doi: 10.3346/jkms.2014.29.12.1711. Epub 2014 Nov 21.PMID:25469075 3. Chung JK, Kim MJ, Youn H. Lesionalized Therapy beyond Personalized Therapy in Cancer Management. J Korean Med Sci. 2014 Oct;29(10):1331-2. doi: 10.3346/jkms.2014.29.10.1331. No abstract available. PMID:25368484[PubMed - in process] 4. Eo JS, Lee HY, Lee JS, Kim YK, Jeon BS, Lee DS. Automated Analysis of (123)I-beta-CIT SPECT Images with Statistical Probabilistic Anatomical Mapping.Nucl Med Mol Imaging. 2014 Mar;48(1):47-54. doi: 10.1007/s13139-013-0241-5. Epub 2013 Nov 6. PMID: 24900138 [PubMed] 5. Seo HJ, Kang KW, Lee DS, Goo JM, Kim YT, Park YS, Cheon GJ. Evaluation of Azygous Vein Aneurysm Using Integrated PET/MRI. Nucl Med Mol Imaging. 2014 Jun;48(2):161-2. doi: 10.1007/s13139-013-0250-4. Epub 2013 Dec 7. No abstract available. PMID: 24900158 [PubMed] Free PMC Article 6. Kim S, Chung JK, Min HS, Kang JH, Park do J, Jeong JM, Lee DS, Park SH, Cho BY, Lee S, Lee MC. Expression patterns of glucose transporter-1 gene and thyroid specific genes in huma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Nucl Med Mol Imaging. 2014 Jun;48(2):91-7. doi: 10.1007/s13139-013-0249-x. Epub 2014 Jan 25. PMID: 24900148 [PubMed] Free PMC Article 7. Pak K, Cheon GJ, Kang KW, Kim SJ, Kim IJ, Kim EE, Lee DS, Chung JK. The effectiveness of recombinant human thyroid-stimulating hormone versus thyroid hormone withdrawal prior to radioiodine remnant ablation in thyroid cancer: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 Korean Med Sci. 2014 Jun;29(6):811-7. doi: 10.3346/jkms.2014.29.6.811. Epub 2014 May 30.PMID: 24932083 [PubMed - in process] Free PMC Article 8. Lee WW, So Y, Kim KB, Lee DS. Impaired coronary flow reserve is the most important marker of viable myocardium in the myocardial segment-based analysis of dual-isotope gated myocardial perfusion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Korean J Radiol. 2014 Mar-Apr;15(2):277-85. doi: 10.3348/kjr.2014.15.2.277. Epub 2014 Mar 7. PubMed PMID: 24642696; PubMed Central PMCID: PMC3955796. 9. Kim YK, Park EA, Park SJ, Cheon GJ, Lee W, Chung JW, Park JH. Non-ischemic perfusion defects due to delayed arrival of contrast material on stress perfusion cardiac magnetic resonance imaging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Korean J Radiol. 2014 Mar-Apr;15(2):188-94. doi: 10.3348/kjr.2014.15.2.188. Epub 2014 Mar 7. PubMed PMID: 24644408; PubMed Central PMCID: PMC3955784. 10. Rahim MK, Kim SE, So H, Kim HJ, Cheon GJ, Lee ES, Kang KW, Lee DS. Recent Trends in PET Image Interpretations Using Volumetric and Texture-based Quantification Methods in Nuclear Oncology. Nucl Med Mol Imaging. 2014 Mar;48(1):1-15. doi: 10.1007/s13139-013-0260-2. Epub 2014 Jan 22. Review. PMID: 24900133 [PubMed] 11. Lee WW, So Y, Kim KB, Lee DS. Impaired coronary flow reserve is the most important marker of viable myocardium in the myocardial segment-based analysis of dual-isotope gated myocardial perfusion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Korean J Radiol. 2014 Mar-Apr;15(2):277-85. doi: 10.3348/kjr.2014.15.2.277. Epub 2014 Mar 7.PMID: 24642696 [PubMed - indexed for MEDLINE] Free PMC Article 나. 국내학술지 부 연구논문 다. 국제학술지 주 연구논문 1. Pak K, Cheon GJ, Nam HY, Kim SJ, Kang KW, Chung JK, Kim EE, Lee DS. Prognostic Value of Metabolic Tumor Volume and Total Lesion Glycolysis in Head and Neck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Nucl Med. 2014 Apr 21. 21;55(6):884-890. [Epub ahead of print] PubMed PMID: 24752671. 2. Choi H, Paeng JC, Cheon GJ, Park CK, Choi SH, Min HS, Kang KW, Chung JK, Kim EE, Lee DS. Correlation of 11C-methionine PET and diffusion-weighted MRI: is there a complementary diagnostic role for gliomas? Nucl Med Commun. 2014 Jul;35(7):720-6. doi: 10.1097/MNM.0000000000000121. [Epub ahead of print] PubMed PMID: 24709984. 3. Choi H, Kim YK, Oh SW, Im HJ, Hwang do W, Kang H, Lee B, Lee YS, Jeong JM, Kim EE, Chung JK, Lee DS. In vivo imaging of mGluR5 changes during epileptogenesis using [11C]ABP688 PET in pilocarpine-induced epilepsy rat model. PLoS One. 2014 Mar 24;9(3):e92765. doi: 10.1371/journal.pone.0092765. eCollection 2014. PubMed PMID: 24663806; PubMed Central PMCID: PMC3963947. 4. Yoon HJ, Kang KW, Chun IK, Cho N, Im SA, Jeong S, Lee S, Jung KC, Lee YS, Jeong JM, Lee DS, Chung JK, Moon WK. Correlation of breast cancer subtypes, based on estrogen receptor, progesterone receptor, and HER2, with functional imaging parameters from (68)Ga-RGD PET/CT and (18)F-FDG PET/CT.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4 Aug;41(8):1534-43. doi: 10.1007/s00259-014-2744-4. [Epub ahead of print] PubMed PMID: 24652232. 5. Im HJ, Lee IK, Paeng JC, Lee KE, Cheon GJ, Kang KW, Chung JK, Lee DS. Functional evaluation of parathyroid adenoma using 99mTc-MIBI parathyroid SPECT/CT: correlation with functional markers and disease severity. Nucl Med Commun. 2014 Jun;35(6):649-54. doi: 10.1097/MNM.0000000000000102. PubMed PMID: 24614519. 6. Kim YI, Cheon GJ, Paeng JC, Cho JY, Kang KW, Chung JK, Kim EE, Lee DS. Total lesion glycolysis as the best 18F-FDG PET/CT parameter in differentiating intermediate-high risk adrenal incidentaloma. Nucl Med Commun. 2014 Jun;35(6):606-12. doi: 10.1097/MNM.0000000000000101. PubMed PMID: 24598843. 7. Pak K, Cheon GJ, Lee KE, Park YJ, Choi HS, Min HS, Kang KW, Chung JK, Kim EE, Lee DS. Incidental thyroid cancer detected by (18)F-FDG PET: does it have different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Nucl Med Commun. 2014 May;35(5):453-8. doi: 10.1097/MNM.0000000000000076. PubMed PMID: 24419499. 8. Seo HJ, Chung JK, Go H, Cheon GJ, Lee DS. A hepatoid adenocarcinoma of the stomach evaluated with (18)F-FDG PET/CT: intense (18)F-FDG uptake contrary to the previous report. Clin Nucl Med. 2014 May;39(5):442-5. doi: 10.1097/RLU.0000000000000275. PubMed PMID: 24152637. 9. Kim CE, Kim YK, Chung G, Jeong JM, Lee DS, Kim J, Kim SJ. Large-scale plastic changes of brain networks in animal models of neuropathic pain. Neuroimage. 2014 May 2. pii: S1053-8119(14)00343-7. doi: 10.1016/j.neuroimage.2014.04.063. [Epub ahead of print] PubMed PMID: 24799136. 10. Park H, Lee DS, Kang E, Kang H, Hahm J, Kim JS, Chung CK, Jensen O. Blocking of irrelevant memories by posterior alpha activity boosts memory encoding. Hum Brain Mapp. 2014 Aug;35(8):3972-87. doi: 10.1002/hbm.22452. [Epub ahead of print] PubMed PMID: 24522937. 11. Song JJ, Lee HJ, Kang H, Lee DS, Chang SO, Oh SH. Effects of congruent and incongruent visual cues on speech perception and brain activity in cochlear implant users. Brain Struct Funct. 2014 Jan 9. [Epub ahead of print] PMID: 24402676 [PubMed - as supplied by publisher] 12. Lee JY, Jeong JM, Kim YJ, Jeong HJ, Lee YS, Lee DS, Chung JK. Preparation of Ga-68-NOTA as a renal PET agent and feasibility tests in mice. Nucl Med Biol. 2014 Feb;41(2):210-5. doi: 10.1016/j.nucmedbio.2013.11.005. Epub 2013 Dec 1.PMID: 24388044 [PubMed - in process] 13. Eo JS, Paeng JC, Lee DS. Nuclear imaging for functional evaluation and theragnosis in liver malignancy and transplantation. World J Gastroenterol. 2014 May 14;20(18):5375-88. doi: 10.3748/wjg.v20.i18.5375. PMID: 24833867 [PubMed - in process] Free PMC Article 14. Park S, Choi H, Cheon GJ, Wook Kang K, Lee DS. 18F-FDG PET/CT in Anti-LGI1 Encephalitis: Initial and Follow-Up Findings. Clin Nucl Med. 2014 Aug 19. [Epub ahead of print] PMID: 25140541 [PubMed - as supplied by publisher] 15. Kim YI, Phi JH, Paeng JC, Choi H, Kim SK, Lee YS, Kang KW, Lee JY, Jeong JM, Chung JK, Lee DS, Wang KC. In vivo evaluation of angiogenic activity and its correlation with efficacy of indirect revascularization surgery in pediatric moyamoya disease. J Nucl Med. 2014 Sep;55(9):1467-72. doi: 10.2967/jnumed.114.142430. Epub 2014 Jul 24PMID: 25060195 [PubMed - in process] 16. Lee S, Youn H, Chung T, Hwang do W, Oh SW, Kang KW, Chung JK, Lee DS. In vivo bioluminescence imaging of transplanted mesenchymal stem cells as a potential source for pancreatic regeneration. Mol Imaging. 2014 Sep 1;13(0):1-12. PMID: 25249435 [PubMed - in process] Related citations 17. Pak K, Suh S, Hong H, Cheon GJ, Hahn SK, Kang KW, Kim EE, Lee DS, Chung JK. Diagnostic values of thyroglobulin measurement in fine-needle aspiration of lymph nodes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Endocrine. 2014 Sep 4. [Epub ahead of print] PMID: 25185721 [PubMed - as supplied by publisher] Related citations 18. Choi H, Cheon GJ, Kim HJ, Choi SH, Lee JS, Kim YI, Kang KW, Chung JK, Kim EE, Lee DS. Segmentation-Based MR Attenuation Correction Including Bones Also Affects Quantitation in Brain Studies: An Initial Result of 18F-FP-CIT PET/MR for Patients with Parkinsonism. J Nucl Med. 2014 Oct;55(10):1617-22. doi: 10.2967/jnumed.114.138636. Epub 2014 Aug 11. PMID: 25134529 [PubMed - in process] Related citations 19. Song JJ, Lee HJ, Kang H, Lee DS, Chang SO, Oh SH. Effects of congruent and incongruent visual cues on speech perception and brain activity in cochlear implant users. Brain Struct Funct. 2014 Jan 9. [Epub ahead of print] PubMed PMID: 24402676. 20. Kim CE, Kim YK, Chung G, Im HJ, Lee DS, Kim J, Kim SJ. Identifying neuropathic pain using (18)F-FDG micro-PET: a multivariate pattern analysis.Neuroimage. 2014 Feb 1;86:311-6. doi: 10.1016/j.neuroimage.2013.10.001. Epub 2013 Oct 10. PubMed PMID: 24121088. 21. Chung HH, Cheon GJ, Kim HS, Kim JW, Park NH, Song YS. Preoperative PET/CT standardized FDG uptake values of elvic lymph nodes a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4 Sep;41(9):1793-9. [Epub ahead of print] PubMed PMID: 24777491. 22. Lee JS, Kim JH. Recent advances in hybrid molecular imaging systems. Semin Musculoskelet Radiol. 2014 Apr;18(2):103-22. doi: 10.1055/s-0034-1371014. Epub 2014 Apr 8. PubMed PMID: 24715444. 23. Lee DS, Kim SJ, Kang JH, Hong SH, Jeon EK, Kim YK, Yoo IeR, Park JG, Jang HS, Lee HC, Kim YS.J Cancer. Serum Carcinoembryonic Antigen Levels and the Risk of Whole-body Metastatic Potential in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2014 Sep 5;5(8):663-9. doi: 10.7150/jca.9871. eCollection 2014.PMID:25258647 24. Lee DS, Chng WJ, Shimizu K. Plasma cell neoplasms: genetics, pathobiology, and new therapeutic strategies. Biomed Res Int. 2014;2014:941820. doi: 10.1155/2014/941820. Epub 2014 Dec 28. No abstract available. PMID:25610876 라. 국제학술지 부 연구논문 1. Cho SW, Choi HS, Yeom GJ, Lim JA, Moon JH, Park do J, Chung JK, Cho BY, Yi KH, Park YJ. Long-term prognosis of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with lung metastasis in Korea and its prognostic factors. Thyroid. 2014 Feb;24(2):277-86. doi: 10.1089/thy.2012.0654. Epub 2013 Sep 11. PubMed PMID: 23758653; PubMed Central PMCID: PMC3926138. 2. Kong SH, Noh YW, Suh YS, Park HS, Lee HJ, Kang KW, Kim HC, Lim YT, Yang HK. Evaluation of the novel near-infrared fluorescence tracers pullulan polymer nanogel and indocyanine green/γ-glutamic acid complex for sentinel lymph node navigation surgery in large animal models. Gastric Cancer. 2015 Jan;18(1):55-64. doi: 10.1007/s10120-014-0345-3. [Epub ahead of print] PubMed PMID: 24481855. 3. Koo HR, Park JS, Kang KW, Cho N, Chang JM, Bae MS, Kim WH, Lee SH, Kim MY, Kim JY, Seo M, Moon WK. 18F-FDG uptake in breast cancer correlates with immunohistochemically defined subtypes. Eur Radiol. 2014 Mar;24(3):610-8. doi:10.1007/s00330-013-3037-1. Epub 2013 Oct 5. PubMed PMID: 24097303. 4. Oh Y, Lee YS, Quan YH, Choi Y, Jeong JM, Kim BM, Kim HK. Thoracoscopic color and fluorescence imaging system for sentinel lymph node mapping in porcine lung using indocyanine green-neomannosyl human serum albumin: intraoperative image-guided sentinel nodes navigation. Ann Surg Oncol. 2014 Apr;21(4):1182-8. doi: 10.1245/s10434-013-3381-z. Epub 2013 Dec 6. PubMed PMID: 24310791. 5. Park TG, Yu YD, Park BJ, Cheon GJ, Oh SY, Kim DS, Choe JG. Implication of lymph node metastasis detected on 18F-FDG PET/CT for surgical planning in patients with peripheral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Clin Nucl Med. 2014 Jan;39(1):1-7. doi: 10.1097/RLU.0b013e3182867b99. PubMed PMID: 24335565. 6. Yoon SH, Goo JM, Lee SM, Park CM, Seo HJ, Cheon GJ. Positron emission tomography/magnetic resonance imaging evaluation of lung cancer: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J Thorac Imaging. 2014 Jan;29(1):4-16. doi: 10.1097/RTI.0000000000000062. PubMed PMID: 24296699. 7. Moon JH, Kim JH, Im HJ, Lee DS, Park EJ, Song K, Oh HJ, Hyun SB, Kang SC, Kim H, Moon HE, Park HW, Lee HJ, Kim EJ, Kim S, Lee BC, Paek SH. Proposed Motor Scoring System in a Porcine Model of Parkinson's Disease induced by Chronic Subcutaneous Injection of MPTP. Exp Neurobiol. 2014 Sep;23(3):258-65. doi: 10.5607/en.2014.23.3.258. Epub 2014 Sep PMID: 25258574 [PubMed] Free PMC Article Related citations 8. Lee HC, Kim YS, Oh SJ, Lee YH, Lee DS, Song JH, Kang JH, Park JK. The single institutional outcome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n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Radiat Oncol J. 2014 Sep;32(3):147-55. doi: 10.3857/roj.2014.32.3.147. Epub 2014 Sep 30. PMID:25324986 마. 단행본 발간 없음 6. 진료현황 가. 외래 환자수 신환 18명, 초진 446명, 재진 2,195명 합계 2,659명 나. 입원환자수 연인원 251명, 실인원 152명 다. 검사실적(자체통계) 검 사 실 명 검 사 건 수 영 상 검 사 실 26,464 P E T 검 사 실 17,414 검 체 검 사 실 849,086 방 사 성 치 료 실 1,393 계(Total) 894,357 7. 진료장비 및 시설 가. 주요 진료장비(시설) 검 사 실 명 검 사 건 수 검 사 건 수 검 사 건 수 1 PET-MRI Siemens Biograph mMR 1 2 PET-CT Siemens Biograph40, mCT40, mCT64 3 3 SPECT-CT GE Discovery NM/CT 670 2 4 Cyclotron GE Pet trace 10 1 5 Gamma camera Trionix, TRIAD XLT9 1 6 Gamma camera Philips CardioMD, Skylight 2 7 Gamma camera Siemens E-CAM 5 8 Gamma camera Philips Forte 1 9 Gamma camera Siemens Lem Plus 1 10 Gamma Counter Packard Cobra, Wallac 1470 4 11 자동방사면역측정기 Hoil, RIA-mat 280 3 12 Autosampler Hamilton Microlab, Tecan Freedom 2 13 F-18 FDG 생산시설 암병원 1층 종양핵의학검사실 14 방사성옥소치료병실 갑상선센터 별관병동 3331(1인실), 3332(1인실), 3333(1인실)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핵의학과 소개 > 연혁 > 역사
정확도 : 1% 2024.12.24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