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focal"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9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진료과/센터/클리닉 (1)
루게릭병 및 운동신경원질환 클리닉

의료진 성정준 : 월요일 오후 대상질환 루게릭병(Lou Gehrig disease, ALS), 케네디병(Kennedy disease), 진행성 근위축증(progressive muscular atrophy), 일차성측삭경화증(primary lateral sclerosis), 유전 강직성 하지마비(hereditary spastic paraplegia), 양성 국소성근위축증(benign focal amyotrophy), 상완 근위축성 대마비(brachial amyotrophic diplegia) 및 기타 상세불명의 운동신경원 질환(motor neuron disease of known cause) 소개 운동신경원 질환(motor neuron disease)은 난치성신경퇴행성 질환으로써 운동기능에 속하는 팔다리의 움직임, 발음, 삼킴, 호흡 등이 점차적인 약화를 보이는 질환입니다. 그 중 대표적인 질환인 루게릭병(ALS)은 증상 진행이 가장 빠른 치명적인 질환으로 평균 수명이 4-5년 이내로 알려져 있으며, 병이 진행하면서 호흡근육 마비로 인한 호흡부전 및 기타 합병증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아직까지 완치할 수 있는 의학적 치료법은 없으나 증상 진행을 늦추기 위한 약물치료, 재활치료 기타 합병증의 예방 및 관리 등이 환자의 예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밖에 루게릭병과 유사한 초기 증상을 보이는 질환으로 진행성 근위축증(progressive muscular atrophy), 일차성측삭경화증(primary lateral sclerosis) 및 유전자 이상에 의해 발병하는 케네디병(Kennedy disease) 등이 있으며, 전신을 침범하지 않지만 부분적인 증상을 나타내는 운동신경원병으로 양성 국소성근위축증(benign focal amyotrophy), 상완 근위축성 대마비(brachial amyotrophic diplegia)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 증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러한 다양한 운동신경원 질환에 대한 감별이 필수적이며 그 밖에도 근육병(myopathy), 말초신경병증(peripheral neuropathy) 등 다른 신경근육질환과의 감별도 중요합니다. 진단을 위한 검사로는 혈액검사, 근전도검사, 뇌 및 척수 영상검사 등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근육조직검사, 유전자 검사 등을 추가로 시행해야 합니다. 진단 이후 진행상태 및 예후 평가가 이루어지며 병의 진행 단계에 따라 적절한 약물치료, 재활치료 등이 이루어집니다. 본 클리닉은 운동신경원 질환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서 국내 최고의 임상 경험을 갖고 있으며, 운동신경원 질환이 의심되는 증상으로 내원한 환자의 초기 진단 및 약물적 치료를 합니다. 또 운동 및 호흡 재활치료 및 합병증 발생시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타 진료과와 연계진료를 제공합니다. 유전자 검사를 통해 유전성 운동신경원질환의 경우 유전자확진도 가능하며 세계 유수의 클리닉과 함께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므로, 다기관국제임상연구를 참여를 통한 최신 개발 약물의 조기 투여가 가능합니다.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56% 2023.08.09
이용안내 (2)

의료진 성정준 : 월요일 오후 대상질환 루게릭병(Lou Gehrig disease, ALS), 케네디병(Kennedy disease), 진행성 근위축증(progressive muscular atrophy), 일차성측삭경화증(primary lateral sclerosis), 유전 강직성 하지마비(hereditary spastic paraplegia), 양성 국소성근위축증(benign focal amyotrophy), 상완 근위축성 대마비(brachial amyotrophic diplegia) 및 기타 상세불명의 운동신경원 질환(motor neuron disease of known cause) 소개 운동신경원 질환(motor neuron disease)은 난치성신경퇴행성 질환으로써 운동기능에 속하는 팔다리의 움직임, 발음, 삼킴, 호흡 등이 점차적인 약화를 보이는 질환입니다. 그 중 대표적인 질환인 루게릭병(ALS)은 증상 진행이 가장 빠른 치명적인 질환으로 평균 수명이 4-5년 이내로 알려져 있으며, 병이 진행하면서 호흡근육 마비로 인한 호흡부전 및 기타 합병증으로 사망하게 됩니다. 아직까지 완치할 수 있는 의학적 치료법은 없으나 증상 진행을 늦추기 위한 약물치료, 재활치료 기타 합병증의 예방 및 관리 등이 환자의 예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밖에 루게릭병과 유사한 초기 증상을 보이는 질환으로 진행성 근위축증(progressive muscular atrophy), 일차성측삭경화증(primary lateral sclerosis) 및 유전자 이상에 의해 발병하는 케네디병(Kennedy disease) 등이 있으며, 전신을 침범하지 않지만 부분적인 증상을 나타내는 운동신경원병으로 양성 국소성근위축증(benign focal amyotrophy), 상완 근위축성 대마비(brachial amyotrophic diplegia)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 증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이러한 다양한 운동신경원 질환에 대한 감별이 필수적이며 그 밖에도 근육병(myopathy), 말초신경병증(peripheral neuropathy) 등 다른 신경근육질환과의 감별도 중요합니다. 진단을 위한 검사로는 혈액검사, 근전도검사, 뇌 및 척수 영상검사 등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 근육조직검사, 유전자 검사 등을 추가로 시행해야 합니다. 진단 이후 진행상태 및 예후 평가가 이루어지며 병의 진행 단계에 따라 적절한 약물치료, 재활치료 등이 이루어집니다. 본 클리닉은 운동신경원 질환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서 국내 최고의 임상 경험을 갖고 있으며, 운동신경원 질환이 의심되는 증상으로 내원한 환자의 초기 진단 및 약물적 치료를 합니다. 또 운동 및 호흡 재활치료 및 합병증 발생시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타 진료과와 연계진료를 제공합니다. 유전자 검사를 통해 유전성 운동신경원질환의 경우 유전자확진도 가능하며 세계 유수의 클리닉과 함께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므로, 다기관국제임상연구를 참여를 통한 최신 개발 약물의 조기 투여가 가능합니다.

어린이병원 > 진료안내 > 진료지원부서
정확도 : 99% 2023.08.09
병원소개 (4)

소아간질의 수술 전 진단방법 개발 - 소아청소년 뇌신경센터 김승기 피지훈, 핵의학과 팽진철 교수팀 양전자단층촬영 (PET)을 이용한 소아간질의 새로운 진단방법 발표 - 두 가지 핵표지자를 이용한 PET 검사로 국소 피질이형성과 뇌종양의 감별진단이 가능함을 보임 - 고해상도의 MRI로도 구별 어려운 두 질환을 수술 전에 정확하게 감별 뇌의 일부를 절제하는 간질수술은 소아 난치성 간질의 중요한 치료법이다. 간질수술은 항경련제에 듣지 않는 난치성 간질을 가진 소아환자들에게서 적절한 검사를 통해 선별하여 조기에 시행하면 좋은 치료성적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소아간질의 수술 전에 고해상도 MRI로도 구별이 어려운 질환들을 정확하게 감별해내는 방법이 개발됐다. 소아청소년 뇌신경센터 김승기 피지훈, 핵의학과 팽진철 교수팀은 MRI에서 국소적인 병변을 보이는 30명의 소아 난치성 간질 환아에서 수술전 FDG-PET과 MET-PET을 촬영하여 그 결과를 조직학적 진단과 맞추어 분석 하였다. 소아 간질의 원인 중에서 뇌 발달이상인 국소 피질이형성 (focal cortical dysplasia; 이하 FCD)이 가장 흔하며 뇌종양이 두 번째를 차지하고 있다. 뇌종양 중에서는 양성 뇌종양의 일종인 이형성 신경외배엽종양(dysembryoplastic neuroepithelial tumor; 이하 DNT)과 신경교세포종양 (ganglioglioma; 이하 GG)이 가장 흔하다. FCD와 DNT와 GG와 같은 뇌종양은 주로 소아에 나타나며 약으로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간질을 일으키고 MRI에서 국소적인 병변으로 보인다는 공통점이 있다. 전형적인 병변들은 MRI에서 감별진단이 가능하나, 적지 않은 예에서, 특히 측두엽에 병변이 위치한 경우 고해상도 MRI로도 감별진단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FCD와 뇌종양의 수술 전 감별진단은 임상적으로 중요한데, 첫째 FCD의 경우 병변이 자라지 않으나 뇌종양인 DNT와 GG의 경우 점점 자라고 진행하므로 더욱 빠르고 적극적인 수술이 요구된다. 둘째로 FCD는 경계가 불확실하므로 넓은 부위를 절제해야 하며 수술 전 두개강내 전극을 삽입하여 경계를 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나, 뇌종양의 경우 병변만 제거해도 좋은 간질 치료성적을 얻을 수 있어 수술방법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FCD는 수술로 간질이 완치될 가능성이 50%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뇌종양에 의한 간질의 수술치료율은 80%에 달하므로 정확한 수술 전 진단이 가능하다면 수술 결과를 예측하고 수술에 대한 환자 부모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암 검진에 많이 이용하는 FDG를 이용한 PET (FDG-PET)은 조직의 당대사를 비교할 수 있는 핵의학 영상검사로서 간질환자에게 수술전 필수 검사항목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FCD와 뇌종양의 감별진단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비하여 아미노산의 하나인 메티오닌 (methionine)을 이용한 PET (MET-PET)은 세포의 단백질 대사를 영상화한 것으로 뇌종양에 대하여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검사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의 분석 결과, FDG-PET은 FCD와 뇌종양에서 모두 저대사율을 보이며 차이가 없었으나, MET-PET은 두 군간에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뇌의 기형인 FCD는 낮은 메티오닌 흡수율을 보였으나 뇌종양인 DNT와 GG는 병변에서 높은 흡수율을 보여서 MET-PET을 이용하여 FCD와 뇌종양을 감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MET-PET을 이용하여 MRI로 감별이 어려운 소아간질 환아의 수술 전 진단이 가능함을 보여준 것으로서 난치성 간질을 가진 환아들의 수술시기와 적절한 수술방법을 결정하고 예후의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임상적인 적용이 기대된다. 이 연구는 2010년 5월 미국 핵의학 학회지 (Journal of Nuclear Medicine)에 게재되었다.

어린이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정확도 : 99% 2010.06.22

소아간질의 수술 전 진단방법 개발- 소아청소년 뇌신경센터 김승기 피지훈, 핵의학과 팽진철 교수팀 양전자단층촬영 (PET)을 이용한 소아간질의 새로운 진단방법 발표- 두 가지 핵표지자를 이용한 PET 검사로 국소 피질이형성과 뇌종양의 감별진단이 가능함을 보임- 고해상도의 MRI로도 구별 어려운 두 질환을 수술 전에 정확하게 감별뇌의 일부를 절제하는 간질수술은 소아 난치성 간질의 중요한 치료법이다. 간질수술은 항경련제에 듣지 않는 난치성 간질을 가진 소아환자들에게서 적절한 검사를 통해 선별하여 조기에 시행하면 좋은 치료성적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소아간질의 수술 전에 고해상도 MRI로도 구별이 어려운 질환들을 정확하게 감별해내는 방법이 개발됐다. 소아청소년 뇌신경센터 김승기 피지훈, 핵의학과 팽진철 교수팀은 MRI에서 국소적인 병변을 보이는 30명의 소아 난치성 간질 환아에서 수술전 FDG-PET과 MET-PET을 촬영하여 그 결과를 조직학적 진단과 맞추어 분석 하였다. 소아 간질의 원인 중에서 뇌 발달이상인 국소 피질이형성 (focal cortical dysplasia; 이하 FCD)이 가장 흔하며 뇌종양이 두 번째를 차지하고 있다. 뇌종양 중에서는 양성 뇌종양의 일종인 이형성 신경외배엽종양(dysembryoplastic neuroepithelial tumor; 이하 DNT)과 신경교세포종양 (ganglioglioma; 이하 GG)이 가장 흔하다. FCD와 DNT와 GG와 같은 뇌종양은 주로 소아에 나타나며 약으로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간질을 일으키고 MRI에서 국소적인 병변으로 보인다는 공통점이 있다. 전형적인 병변들은 MRI에서 감별진단이 가능하나, 적지 않은 예에서, 특히 측두엽에 병변이 위치한 경우 고해상도 MRI로도 감별진단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FCD와 뇌종양의 수술 전 감별진단은 임상적으로 중요한데, 첫째 FCD의 경우 병변이 자라지 않으나 뇌종양인 DNT와 GG의 경우 점점 자라고 진행하므로 더욱 빠르고 적극적인 수술이 요구된다. 둘째로 FCD는 경계가 불확실하므로 넓은 부위를 절제해야 하며 수술 전 두개강내 전극을 삽입하여 경계를 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나, 뇌종양의 경우 병변만 제거해도 좋은 간질 치료성적을 얻을 수 있어 수술방법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FCD는 수술로 간질이 완치될 가능성이 50%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뇌종양에 의한 간질의 수술치료율은 80%에 달하므로 정확한 수술 전 진단이 가능하다면 수술 결과를 예측하고 수술에 대한 환자 부모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암 검진에 많이 이용하는 FDG를 이용한 PET (FDG-PET)은 조직의 당대사를 비교할 수 있는 핵의학 영상검사로서 간질환자에게 수술전 필수 검사항목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FCD와 뇌종양의 감별진단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비하여 아미노산의 하나인 메티오닌 (methionine)을 이용한 PET (MET-PET)은 세포의 단백질 대사를 영상화한 것으로 뇌종양에 대하여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검사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의 분석 결과, FDG-PET은 FCD와 뇌종양에서 모두 저대사율을 보이며 차이가 없었으나, MET-PET은 두 군간에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뇌의 기형인 FCD는 낮은 메티오닌 흡수율을 보였으나 뇌종양인 DNT와 GG는 병변에서 높은 흡수율을 보여서 MET-PET을 이용하여 FCD와 뇌종양을 감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MET-PET을 이용하여 MRI로 감별이 어려운 소아간질 환아의 수술 전 진단이 가능함을 보여준 것으로서 난치성 간질을 가진 환아들의 수술시기와 적절한 수술방법을 결정하고 예후의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임상적인 적용이 기대된다. 이 연구는 2010년 5월 미국 핵의학 학회지 (Journal of Nuclear Medicine)에 게재되었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9% 2010.06.21
홈페이지 (2)

G-I Bleeding Scan 01 목적 A. 위장관 출혈 유무 및 위치 파악 02 준비사항 A. 가능하면 NPO 를 유지한다 . B. 수혈 (transfusion) 을 하고 있는 경우 , 가능하면 검사하는 시간 동안 금한다 . C. 전신적인 헤파린 투여 , Methyldopa, Propranolol, Cyclosporin, Hydralazine, Quinidine, Doxorubicin 등은 적혈구 표지를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주의를 요한다 . E. 혈액량이 감소한 경우 , 출혈의 가능성도 줄어 출혈 병소를 발견하기 어려우므로 가능하면 검사 전에 충분한 수분 공급 (Hydration) 이 요구된다 . 03 방사성의약품 A. 99m Tc -RBC (Stannous Agent) 25mCi B. 99m Tc -HSA 25mCi C. 99m Tc-Sulfur(Tin) Colloid 25mCi D. 투여방법 : 순간주사 E. 제조 방법 : 변형 체외 표지법 (Modified In Vitro Method) 04 검사 절차 A. 환자의 position 을 확인하고 Modified In Vitro Method 로 표지시킨 방사성의약품을 주입하며 dynamic scan 한다 . B. dynamic acquisition 후 5min, 10min, 15min, 30min, 60min, 2hrs static scan 한다 . C. 4hrs, 6hrs static acquisition 후 24h scan 시행 여부를 확인한다 . 05 정상 영상 99m Tc -RBC 주사 후 10 분 image 에서 Left iliac crest level 에 focal radioactivity 가 관찰되며 60 분 영상까지 같은 위치에 축적되다가 120 분 영상에서 midline 으로 이동하는 양상이 관찰됨 . 이와 같은 소견으로 보아 abdominal artery bifurcation 직하방에서 left iliac artery 의 lateral side 부근 GI tract 에 active bleeding focus 가 의심되며 이후 영상에서 intraluminal mobile radioactivity 가 distal 로 이동하는 것이 관찰됨 .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진료 > 영상검사 > 검사
정확도 : 99% 2025.01.02

직원명단 직명 직급명 성명 과 장 교 수 이동수 교 수 이명철, 정준기, 정재민 부교수 강건욱, 이재성 조교수 팽진철, 윤혜원, 이윤상, 황도원 초빙교원 교 수 김종순, 임상무, 홍기석, 강주현, 최선주 부교수 최창운, 김경민 조교수 천기정, 김석기 전임강사 김태성 전공의 4년차 문승환, 심혜경, 이상미, 김석균 3년차 권현우, 이효상, 임형준 2년차 김용일, 김철한, 윤혜전 1년차 천인국, 이은성 간호직 간호사(4급) 강시후, 최선분, 한현미 약무직 약무사(4급) 이보은 보건직 보건기정(2급) 기사장 김현주 보건부기정(3급) 수석기사 노경운, 김진의, 이홍재(서리) 보건사(4급) 김태훈, 민경선, 유태민, 이홍재 임점진, 조용현, 정규일, 황길동 홍미경 보건사보(5급) 권형진, 김계환, 김대운, 김병진 김승정, 김재일, 김정수, 김하균 박희원, 서효열, 승종민, 신희정 이형진, 임소희, 임현진, 전재환 정규일, 정용훈, 최진욱, 최현준 현준호 현준호 사무직 주사(4급) 최정희 운영기능직 운영기능사(2등급) 유영주 운영기능사보(3등급) 신은영, 남은주 운영기능원 (4등급) 문영실, 최윤정 간호운영기능직 간호운영기능 오은영 주요활동사항 가. 핵의학과 소개 2010년 핵의학는, 1960년 5월 30일 서울대학교병원 방사성동위원소진료실 창설을 기점으로 50주년을 맞이하였다. 이를 기념 하여 5월 26일, 내외빈 206명이 참가한 가운데 기념 심포지움을 열었고, 6월 19-20일, 양평 Kobaco 연수원에서 전교실원/직원 워크숍을 가지고 새로운 발전을 위한 노력을 다짐하였다. 3월 1일에는 이명철 교수가 1962년 이문호 교수에 이어 삼일문화상을 수상하여 50주년의 의의를 더하였다. 이러한 역사적 자신감 을 바탕으로 2010년 핵의학과는 국내외 외연 확장을 통해 국내 핵의학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고자 노력하였다. 나. 주요활동사항 진료 측면에서는 진료량의 꾸준한 성장을 보였으며, 내외적으로 특기할만한 진료 부문의 이정표도 여럿 있었다. 6월에는 국내 최초 로 방사성동위원소치료병실을 2인실로 허가 받아 10월 14일부터 운영하였고, 7월 20일에는 체외검사 부문이 국내 1호의 KOLAS 인증을 받았다. 신의료기술 인정도 이어져 4월에는 Y-90 미세입자를 이용한 동맥경유 방사선색전술, 10월에는 C-11 acetate와 F-18 fluoride PET이 각각 인정받았다. 특히 신규 PET의 신의료기술 인정은 교실의 주도적 지원 하에 분당병원과 국립암센터가 실무작업을 맡아 유기적 협력을 통한 성과 를 구현하였다. 한편 핵의학과는 병원의 여러 단기/장기 기획에도 직접적으로 참여하여, 2011년 개원하는 암병원의 종양영상센터 및 여러 개별 암 센터에 정준기, 강건욱, 팽진철 교수가 참여하였으며 심뇌혈관병원을 지향하는 첨단진료센터와 외래공간을 중심 으로 한 지하복합공간 개발 기획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교육 측면에서는 김의신, 최선주, Tian Mei 등의 국내외 연구자를 교실 겸임교수 또는 WCU 교수로 초빙하여 협력 교육/연구 체계 를 구축하였고, 교실 내 교육의 내실화를 위하여 신입전공의를 대상으로 한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을 2회째 시행하였고, 여름 방학 에는 전공의/대학원생을 위한 하계영어교육을 기획, 관악캠퍼스에 의뢰하여 2주간 15명이 교육을 받았다. 학기 당 1회의 전공의 리더십 교육을 지속하였고 11월에는 학회의 '전공의학습목표'를 교실 및 현재 실정에 맞게 개편하기 위한 워크숍을 개최하였다. 이러한 교육개선 노력의 결과, 10월에 시행한 전국 전공의평가에서는 2, 3, 4년차 연차 수석을 모두 우리 교실에서 배출하였다 (김용일, 임형준, 문승환). 외국 펠로우 교육도 지속하여 6월 7일부터 1년간 Dr. Jefferson R. Pagsisihan(필리핀)이 핵의학 임상 분야에 대해 연수교육을 받았다. 연구 측면에서는 다양한 연구과제가 지속 수행되었고, 정준기 교수의 집중육성연구를 비롯, 국가임상시험사업, 일반연구자지원 과제,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등에서 새로운 연구과제 수주가 이루어졌다. 외국 유수의 분자영상연구기관의 발전 추세에 맞추어 의과대학 의생명과학관 지하에 여러 분자영상기기를 집결시킨 분자영상센터를 만들기로 기획하였다. 전국의 보건대학에서 방사선과 91명과 임상병리과 학생 41명을 1주간씩 영상검사와 검체 검사에 대한 실습교육을 실시하였다. 석.박사 학위과정 핵과학 연구원 43명이 연구개발 업무에 매진하였다. (1) 연수교육 및 심포지움 개최 제목 기간 장소 Developmental History and Perspectives of Nuclear Medicine 2010.05.26.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의학연구소 1층 대강당 뇌 기능 네트워크 연구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 융합방법론과 임상적용 (Brain as a Network and Brain Disorder as a Network Dysfunction) 2011.01.27.- 2011.01.28. 서울대학교병원 임상의학연구소 1층 대강당 다. 인사사항 직급 성명 인사내용 일자 보건직 전재환 감남센터에서 전보 2010.01.01. 조교수 황도원 연구 조교수로 발령 2010.02.19. 교수 이명철 삼일문화재단 삼일문화상 수상 2010.03.01. 간호사 김정옥 간호부로 전보 2010.05.05. 간호사 한현미 간호부에서 전보 2010.05.05. 보건직 정규일 보건사보에서 보건사로 승진 2010.06.21. 교수 이명철 서울대학교발전기금 부이사장 발령 2010.09.01. 보건사 민경선 개원기념일 모범직원 2010.10.15. 교수 이동수 대한핵의학회 회장 피선 2010.10.29. 주요화보 이명철 교수 제51회 삼일문화재단 삼일문화상 수상 일시: 2010.03.01. 장소: 베스트 웨스턴 서울가든호텔 참석자: 삼일문화상 관련자 및 본원, 분당 핵의학과 교수외 관련자 서울대학교 핵의학 50주년 기념식 및 심포지움 일시: 2010.05.26. 장소: 서울대병원 임상의학연구소 대강당 참석자: 국내 및 해외 100명 초청, 교수외 관련자 총 206명 참석 서울대학교 핵의학 50주년 동문초청 워크숍 일시: 2010.06.19.-20. 장소: 양평 코바코연수원 참석자: 본원, 분당, 보라매병원 핵의학과 전체 교직원 및 동문 35명 초청 총195명 참석 교육현황 가. 학생교육 의과대학 3학년 1학기에 핵의학에 대하여 11시간의 강의교육을 시행하여 실습은 내과 실습교육에서 3시간, 영상의학과 실습교육에서 8시간을 배당받아 핵의학 진료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을 실시하였다. 핵의학 실습교육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요 일 시 간 실 습 내 용 월 09:00 - 17:00 핵의학과 소개 및 분자영상, 방사면역측정법의 원리, 핵의학 기기와 안전관리, 학생자원자 영상실습, 뇌관류 SPECT and PET, 심장관류 SPECT의 임상응용, PET 영상증례, 방사성의약품 금 09:00 - 12:00 심근관류 SPECT, 심장부하의 원리와 심장관류 SPECT 증례, 심장부하 실습, 갑상선암의 치료, 방사성옥소 치료환자 증례, 124 병동 증례 발표 나. 대학원 (1) 박사 이 름 논 문 제 목 일 자 지도교수 팽진철 Feasibility and imaging characteristics of Ga-68 RGD PET for in vivo atherosclerosis imaging 2011.02. 이동수 (2) 석사 이 름 논 문 제 목 일 자 지도교수 이효상 유방암 액와 림프절 병기 설정에서 부분용적 교정 FDG PET/CT의 유용성 2011.02. 강건욱 다. 전공의 수련 (1) 주간행사표 시간\요일 월 화 수 목 금 토 07:30 판 독 08:00 교수회의 (정보도서실) 문헌초독회 흥미영상 (회의실) 수요미니 심포지움 (회의실) Structured course staff lecture (회의실) 화학/물리 임상연구모임 판 독 08:30 수석기사회의 (정보도서실) 09:00 PET 판독 10:00 외래 강건욱/외래 이명철 외래 정준기 학생 실습교육 (회의실) 판 독 11:00 판 독 판 독 영상협의체모임 (회의실) 판 독 13:00 학생 실습교육 판 독 학생 실습교육 (회의실) 판 독 14:00 판 독 판 독 판 독 간질집담회 (회의실) 판 독 15:00 외래 팽진철 소아신장집담회 (소아방사선과) 16:00 판 독 17:00 종양PET 집담회 (회의실:격주) 핵의학 기술학모임 (회의실) 18:00 (2) 전공의 배치현황 1, 2년차가 핵의학임상에서 연차별 4개월을 영상의학과와 내과에 각 2개월씩 파견, 수련 받았다. 월 3, 4 5. 6, 7, 8 9, 10 11. 12, 1, 2 1년차 내 과 핵의학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2년차 핵의학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핵의학과 3년차 핵의학과 핵의학과 연 구 핵의학과 4년차 핵의학과 핵의학과 핵의학과 물리ㆍ화학ㆍ종양ㆍ생물학ㆍ인지과학 등 기초-임상 연구 모임과 과내 및 타과와의 집담회를 열었다. 또한 수요미니심포지움 12회 를 시행하였으며 요일별 문헌초독회, 흥미영상 등의 연구 모임을 열었다. 한국과학재단 및 KISTI 등의 여러 기관들의 연구과제를 수행하였고 연구 결과 52편의 국제학술지 논문과 11편의 국내학술지 논문 을 발표하였다. 국내학술지 주 연구논문 번호 논 문 목 록 1 June-Key Chung, Hye Won Youn, Joo Hyun Kang, Ho Young Lee, Keon Wook Kang. Sodium Iodide Symporter and the Radioiodine Treatment of Thyroid Carcinoma. Nucl Med Mol Imaging. 2010 44(1):4-14 2 Myung Chul Lee, So Won Oh, June-Key Chung, Dong Soo Lee.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of Nuclear Medicine in Korea. Nucl Med Mol Imaging. 2010 44(2):95-101 3 Jong Jin Lee, Won Jun Kang, Jin Chul Paeng, Dong Soo Lee, Ki-Bong Kim, June-Key Chung, Myung Chul Lee. Postoperative Functional Outcome After Off-Pump Versus On-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Using Gated Myocardial SPECT: A Comparison by Propensity Score Analysis. Nucl Med Mol Imaging. 2010 44(2):110-115 4 Hyun-Woo Kwon, June-Key Chung, Aini Ab-Aziz, Dong Soo Lee. Diffuse Pulmonary Uptake of Tc-99m Methylene Diphosphonate in a Patient with Non-tuberculosis Mycobacterial Infection. Nucl Med Mol Imaging. 2010 44(2):146-149 5 Yong Hyun Jeon, Yun Choi, Jaetae Lee, Chul Woo Kim, June-Key Chung. CpG Oligodeoxynucleotides Enhance the Activities of CD8+ Cytotoxic T-Lymphocytes Generated by Combined hMUC1 Vaccination and hNIS Radioiodine Gene Therapy. Nucl Med Mol Imaging. 2010 44(3):199-206 6 Seog Gyun Kim, Jin Chul Paeng, Jae Seon Eo, Hye Kyung Shim, Keong Wook Kang, June-Key Chung, Myung Chul Lee, Dong Soo Lee. Behavior and Awareness of Thyroid Cancer Patients in Korea Having Non-Hospitalized Low-Dose Radioiodine Treatment with Regard to Radiation Safety. Nucl Med Mol Imaging. 2010 44(4):267-272 7 Dinesh Shetty, Yun-Sang Lee, Jae Min Jeong. 68Ga-Labeled Radiopharmaceuticals fo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Nucl Med Mol Imaging. 2010 44(4):233-240 8 Hyung Woo Kim, Yun-Sang Lee, Dinesh Shetty, Hak Jeong Lee, Dong Soo Lee, June-Key Chung, Myung Chul Lee, Kyoo-Hyun Chung, Jae Min Jeong. Facile Chlorination of Benzyl Alcohols Using 1,8-Diazabicyclo[5.4.0]undec-7-ene (DBU) and Sulfonyl Chlorides. Bull Korean Chem Soc. 2010. 31(11):3434-3436 9 Nguyen XC, Lee WW, Amin AM, Eo JS, Bang S-M, Lee JS, Kim SE. Tumor burden assessed by the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and greatest diameter on FDG-PET predicts prognosis in untreated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Nucl Med Mol Imaging 2010;44(1):39-44 . March 10 Kang JY, Lee WW, So Y, Lee BC, Kim SE. Clinical usefulness of 18F-fluoride bone PET. Nucl Med Mol Imaging 2010;44(1):55-61. March 11 Sang Soo Cho, Eun-Joo Kim*, Sue J. Kang†, Byung Hwa Lee†, Sang Eun Kim, Duk L. Na. 알쯔하이머병 환자에서 해마의 기능적 연결: FDG-PET을 이용한 뇌 영역간 상관분석. 대한치매학회 지 9권 4호(2010년 12월 31일) 국제학술지 주 연구논문 번호 논 문 목 록 1 Do Won Hwang, Hae Young Ko, Jung Hwang Lee, Hyungu Kang, Sung Ho Ryu, In Chan Song, Dong Soo Lee, Soonhag Kim. A nucleolin-targeted multimodal nanoparticle imaging probe for tracking cancer cells using an aptamer. J Nucl Med. 2010 Jan;51(1):98-105 2 Do Won Hwang, In Chan Song, Dong Soo Lee, Soonhag Kim. Smart magnetic fluorescent nanoparticle imaging probes to monitor microRNAs. Small. 2010 Jan;6(1):81-8 3 Bo Yeun Yang, Jae Min Jeong, Young Joo Kim, Jae Yeon Choi, Yun-Sang Lee, Dong Soo Lee, June-Key Chung, Myung Chul Lee. Formulation of 68Ga BAPEN kit for myocardial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maging and biodistribution study. Nucl Med Biol. 2010 Feb;37(2):149-55 4 Yong Jin Lee, June-Key Chung, Joo Hyun Kang, Jae Min Jeong, Dong Soo Lee, Myung Chul Lee. Wild-type p53 enhances the cytotoxic effect of radionuclide gene therapy using sodium iodide symporter in a murine anaplastic thyroid cancer model.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0 Feb;37(2):235-41 5 Yong Hyun Jeon, Young-Hwa Kim, Kihwan Choi, Jing Yu Piao, Bo Quan, Yun-Sang Lee, Jae Min Jeong, June-Key Chung, Dong Soo Lee, Myung Chul Lee, Jaetae Lee, Doo Soo Chung, Keon Wook Kang. In Vivo Imaging of Sentinel Nodes Using Fluorescent Silica Nanoparticles in Living Mice. Mol Imaging Biol. 2010 Apr;12(2):155-62 6 Jin Su Kim, Jae Sung Lee, Min-Hyun Park, Kyeong Min Kim, Seung-Ha Oh, Gi Jeong Cheon, In Chan Song, Dae Hyuk Moon, June-Key Chung, Dong Soo Lee. Feasibility of template-guided attenuation correction in cat brain PET imaging. Mol Imaging Biol. 2010 Jun;12(3):250-8 7 Yong Hyun Jeon, Yun Choi, Chul Woo Kim, Young-Hwa Kim, Hyewon Youn, Jaetae Lee, June-Key Chung. Human sodium/iodide symporter-mediated radioiodine gene therapy enhances the killing activities of CTLs in a mouse tumor model. Mol Cancer Ther. 2010 Jan;9(1):126-33 8 Mikiko Ito, Jae Sung Lee, Min-Jae Park, Kwang-Souk Sim, Seong Jong Hong. Design and simulation of a novel method for determining depth-of-interaction in a PET scintillation crystal array using a single-ended readout by a multi-anode PMT. Phys Med Biol. 2010 Jun 15;55(13):3827-3841 9 Dinesh Shetty, Jae Min Jeong, Chang Hwan Ju, Yun-Sang Lee, Seo Young Jeong, Jae Yeon Choi, Bo Yeun Yang, Dong Soo Lee, June-Key Chung, Myung Chul Lee. Synthesis of novel 68Ga-labeled amino acid derivatives fo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of cancer cells. Nucl Med Biol. 2010 Nov;37(8):893-902 10 Dinesh Shetty, Jae Min Jeong, Chang Hwan Ju, Young Ju Kim, Ji-Youn Lee, Yun-Sang Lee, Dong Soo Lee, June-Key Chung, Myung Chul Lee. Synthesis and evaluation of macrocyclic amino acid derivatives for tumor imaging by gallium-68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Bioorg Med Chem. 2010 Nov 1;18(21):7338-47 11 Ilhan Lim, Keon Wook Kang, Jae Kyung Myung, Kyeong Cheon Jung, Yong Hyun Jeon, Ji Yeon Kang, Young Hwa Kim, June-Key Chung, Dong Soo Lee. Extravasation of hydroxymethylene diphosphonate-induced subcutaneous inflammation, histologically demonstrated in BALB/c mice. J Nucl Med. 2010 Oct;51(10):1573-5 12 Soo Mee Kim, Jae Sung Lee, Chun Sik Lee, Chan Hyeong Kim, Myung Chul Lee, Dong Soo Lee, Soo-Jin Lee. Fully three-dimensional OSEM-based image reconstruction for Compton imaging using optimized ordering schemes. Phys Med Biol. 2010 Sep 7;55(17):5007-27 13 Lathika Hoigebazar, Jae Min Jeong, Soo Young Choi, Jae Yeon Choi, Dinesh Shetty, Yun-Sang Lee, Dong Soo Lee, June-Key Chung, Myung Chul Lee, Young Keun Chung.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itroimidazole derivatives for 68Ga-labeling and testing in tumor xenografted mice. J Med Chem. 2010 Sep 9;53(17):6378-85 14 Dinesh Shetty, Soo Young Choi, Jae Min Jeong, Lathika Hoigebazar, Yun-Sang Lee, Dong Soo Lee, June-Key Chung, Myung Chul Lee, Young Keun Chung. Formation and Charac terization of Gallium(III) Complexes with Monoamide Derivatives of 1,4,7-Triazacyclono nane-1,4,7-triacetic Acid: A Study of the Dependency of Structure on Reaction pH. Eur J Inorg Chem. 2010. 5432-5438 15 Hyewon Youn, Jae Min Jeong, June-Key Chung. A new PET probe, (18)F-tetrafluorobora te, for the sodium/iodide symporter: possible impacts on nuclear medicine.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0 Nov;37(11):2105-7 16 Chang Hwan Ju, Jae Min Jeong, Yun-Sang Lee, Young Joo Kim, Byung Chul Lee, Dong Soo Lee, June-Key Chung, Myung Chul Lee, Seo Young Jeong. Development of a (177)Lu -Labeled RGD Derivative for Targeting Angiogenesis. Cancer Biother Radiopharm. 2010 Dec;25(6):687-91 17 Lee BC, Lee HJ, Park JH, Moon BS, Kim SE. Intensification of the KOTRON-13 Cyclotr- on by Optimizing the Ion Sourc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2010;57(6):1376 -1380. 2010년 12월 18 Roh C, Lee HY, Kim SE, Jo SK. Quantum-dots-based detection of hepatitis C virus (HCV) NS3 using RNA aptamer on chip. Journal of Chemical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JCH EM TECHNOL BIOT) 2010;85(8):1130–1134. 19 Roh C, Lee HY, Kim SE, Jo SK. A highly sensitive and selective viral protein detection method based on RNA oligonucleotide nanoparticle. International Journal of Nanomedicine 2010 May 13;5:323-9. 20 Moon BS, Park JH, Lee HJ, Kim JS, Kil HS, Lee BS, Chi DY, Lee BC, Kim YK, Kim SE. Highly efficient production of [(18)F]fallypride using small amounts of base concentration. Appl Radiat Isot.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2010;68:2279-2284. 21 Jhoo JH, Yoon IY, Kim YK, Chung S, Kim JM, Lee SB, Kim TH, Moon SH, Kim SE, Kim KW. Availability of brain serotonin transporters in patients with restless legs syndrome. Neurology. 2010 Feb 9;74(6):513-8. 22 Kim JM, Kim JS, Kim KW, Lee SB, Park JH, Lee JJ, Kim YK, Kim SE, Jeon BS. Study of the prevalence of Parkinson's disease using dopamine transporter imaging. Neurol Res. 2009 Dec 21. [Epub ahead of print] 23 Kim JM, Lee JY, Kim HJ, Kim JS, Kim YK, Park SS, Kim SE, Jeon BS. The wide clinical spectrum and nigrostriatal dopaminergic damage in spinocerebellar ataxia type 6.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10 May;81(5):529-32. 24 Kim JM, Kim JS, Jeong SH, Kim YK, Kim SE, Kim SH, Kim Y. Dopaminergic neuronal inte grity in rkinsonism associated with liver cirrhosis. Neurotoxicology. 2010 Aug;31(4):351-5. 25 Hwang JH, Kim SH, Park CS, Bang SA, Kim SE. Acute high-frequency rTMS of the left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and attentional control in healthy young men. Brain Res. 2010;1329:152-158. May 6 26 Park HS, Kim SH, Bang SA, Yoon EJ, Cho SS, Kim SE. Altered regional cerebral glucose metabolism in Internet game overusers: A 18F-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 graphy study. CNS Spectr 2010;15(3):159-166 (March 2010) 27 Kim YK, Yoon IY, Kim JM, Jeong SH, Kim KW, Shin YK, Kim BS, Kim SE. The implication of nig rostriatal dopaminergic degeneration in the pathogenesis of REM sleep behavior disorder. Eur J Neurol. 2010 Mar;17(3):487-92. 28 Hong KS, Kang DW, Bae HJ, Kim YK, Han MK, Park JM, Rha JH, Lee YS, Koo JS, Cho YJ, Kw- on SU, Kim SE, Park SH. Effect of cilnidipine vs losartan on cerebral blood flow in hypertensi ve patients with a history of ischem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cta Neurol Scand. 2010;121(1):51-57 Jan 29 Lee HY, Chung JK, Lee JJ, Oh SW, Kang KW, Park DJ, Cho BY, Lee MC. Radioiodine Treatment of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The Experience at Seoul National Univer sity Hospital. Current Medical Imaging Reviews. 6(1):2-7, 2010, Feb. 30 Lee HY, Kang KW, Kim TY, Lee YS, Jeong JM, Han SW, Paeng JC, Chung JK, Lee MC. Angiogenesis Imaging Using Ga-68-RGD PET: Preliminary Report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urrent Medical Imaging Reviews. 6(1)56-59, 2010. Feb 국제학술지 부 연구논문 번호 논 문 목 록 1 Young-Suk Choi, Jue Yeon Lee, Jin Sook Suh, Young-Min Kwon, Seung-Jin Lee, Jun-Key Chung, Dong-Soo Lee, Victor C. Yang, Chong-Pyoung Chung, Yoon-Jeong Park. The systemic delivery of siRNAs by a cell penetrating peptide, low molecular weight protamine. Biomaterials. 2010 Feb;31(6):1429-43 2 IL Han Choo, Dong Young Lee, Jungsu S. Oh, Jae Sung Lee, Dong Soo Lee, In Chan Song, Jong Choul Youn, Shin Gyeom Kim, Ki Woong Kim, Jin Hyeong Jhoo, Jong Inn Woo. Posterior cingulate cortex atrophy and regional cingulum disruption in mild cognitive impa irment and Alzheimer's disease. Neurobiol Aging. 2010 May;31(5):772-9 3 Young Joo Park, Young A Kim, You Jin Lee, Soon Hui Kim, So Yeon Park, Kyung Won Kim, June Key Chung, Yeo Kyu Youn, Kwang Hyun Kim, Do Joon Park, Bo Youn Cho. Papillary microcarcimoma in comparison with larger papillary thyroid carcinoma in BRAF(V 600E) mutation,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nd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Head Neck. 2010 Jan;32(1):38-45 4 Yun Choi, Yong Hyun Jeon, Jin Ho Paik, Jinkyung Ko, Dae Han Choi, June Key Chung, Ch ul Woo Kim. In vivo scintigraphic imaging of antitumor effects by combined radioiodine th erapy and human sodium iodide symporter gene immunotherapy. Mol Imaging. 2010 Jun;9 (3):141-52 5 Ho Yun Lee, Hyun Ju Lee, Young Tae Kim, Chang Hyun Kang, Bo Gun Jang, Doo Hyun Chung, Jin Mo Goo, Chang Min Park, Chang Hyun Lee, Keon Wook Kang. Value of combi ned interpretation of computed tomography response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re sponse for prediction of prognosis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J Thorac Oncol. 2010 Apr;5(4):497-503 6 Park YJ, Lee EJ, Lee YJ, Choi SH, Park JH, Lee SB, Lim S, Lee WW, Jang HC, Cho BY, Woo JI, Kim KW. Subclinical hypothyroidism (SCH) is not associated with metabolic derang ement, cognitive impairment, depression or poor quality of life (QoL) in elderly subjects. Arch Gerontol Geriatr. 2010 May-Jun;50(3):e68-73. 7 Chung SY, Lee KY, Chun EJ, Lee WW, Park EK, Chang HJ, Choi SI. Comparison of Stress Perfusion MRI and SPECT for Detection of Myocardial Ischemia in Patients with Angiograp hically Proven Three-Vessel Coronary Artery Disease. AJR Am J Roentgenol. 2010 Aug;1 95(2):356-62. 8 Leuschner F, Panizzi P, Chico-Calero I, Lee WW, Ueno T, Cortez-Retamozo V, Waterman P, Gorbatov R, Marinelli B, Iwamoto Y, Chudnovskiy A, Figueiredo JL, Sosnovik DE, Pittet MJ, Swirski FK, Weissleder R, Nahrendorf M.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ion prevents the release of monocytes from their splenic reservoir in mice with myocardial infarction. Circ Res. 2010 Nov 26;107(11):1364-73. 9 Seung-Ki Kim, Byung-Kyu Cho, Ji Hoon Phi, Ji Yeoun Lee, Jong Hee Chae, Ki Joong Kim, Yong-Seung Hwang, In-One Kim, Dong Soo Lee, Joongyub Lee, Kyu-Chang Wang. Pediatric Moyamoya Disease: An Analysis of 410 Consecutive Cases. Ann Neurol. 2010;68 :92-101 10 Min-Hyun Park, Hyo-Jeong Lee, Jin Su Kim, Jae Sung Lee, Dong Soo Lee, Seung-Ha Oh. Cross-modal and compensatory plasticity in adult deafened cats: a longitudinal PET study. Brain Res. 2010 Oct 1;1354:85-90 11 Ji Hoon Phi, Jin Chul Paeng, Hyo Sang Lee, Kyu-Chang Wang, Byung-Kyu Cho, Ji-Yeoun Lee, Sung-Hye Park, Joongyub Lee, Dong Soo Lee, Seung-Ki Kim. Evaluation of focal cortical dysplasia and mixed neuronal and glial tumors in pediatric epilepsy patients using 18F-FDG and 11C-methionine pet. J Nucl Med. 2010 May;51(5):728-34 12 Jin Hyeong Jhoo, Dong Young Lee, Il Han Choo, Eun Hyun Seo , Jungsu S. Oh, Jae Sung Lee, Dong Soo Lee, Shin Gyeom Kim, Jong Chul Youn, Ki Woong Kim, Jong Inn Woo. Discrimination of normal aging, MCI and AD with multimodal imaging measures on the medial temporal lobe. Psychiatry Res. 2010 Sep 30;183(3):237-43 13 Hyun Hoon Chung, Keon Wook Kang, Jeong Yeon Cho, Jae Weon Kim, Noh-Hyun Park, Yong-Sang Song, Seung Hyup Kim, June-Key Chung, Soon-Beom Kang. Role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in preoperati- ve lymph node detection of uterine cervical cancer. Am J Obstet Gynecol. 2010 Aug;203 (2):156.e1-5 14 Hyun Hoon Chung, Byung-Ho Nam, Jae Weon Kim, Keon Wook Kang, Noh-Hyun Park, Yong-Sang Song, June-Key Chung, Soon-Beom Kang. Preoperative [(18)F]FDG PET/CT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predicts recurrence of uterine cervical cancer.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0 Aug;37(8):1467-73 15 Jong Won Kim, Hongman Yoon, Seong-Ho Kong, Joo-Sung Kim, Jin Chul Paeng, Hyuk-Jo on Lee, Kuhn Uk Lee, Han-Kwang Yang. Analysis of esophageal reflux after proximal gas trectomy measured by wireless ambulatory 24-hr esophageal pH monitoring and TC-99m diisopropyliminodiacetic acid (DISIDA) scan. J Surg Oncol. 2010 Jun 1;101(7):626-33 16 Ji Hoon Phi, Byung-Kyu Cho, Seung-Ki Kim, Jin Chul Paeng, In-One Kim, Il Han Kim, Dong Gyu Kim, Hee-Won Jung, Jeong Eun Kim, Kyu-Chang Wang. Germinomas in the bas al ganglia: magnetic resonance imaging classification and the prognosis. J Neurooncol. 20 10 Sep;99(2):227-36 17 Hae Won Lee, Kyung-Suk Suh, Joohyun Kim, Woo Young Shin, Nam-Joon Yi, Hwang Jun Jae, Jin Wook Chung, So Won Oh, Keon Wook Kang, Kuhn Uk Lee. Pulmonary artery em- bolotherapy in a patient with type I hepatopulmonary syndrome after liver transplantation. Korean J Radiol. 2010 Jul;11(4):485-9 18 Yong Hwy Kim, So Won Oh, You Jung Lim, Chul-Kee Park, Se-Hoon Lee, Keon Wook Kang, Hee-Won Jung, Kee Hyun Chang. Differentiating radiation necrosis from tumor recu rrence in high-grade gliomas: assessing the efficacy of 18F-FDG PET, 11C-methionine PET and perfusion MRI. Clin Neurol Neurosurg. 2010 Nov;112(9):758-65 19 Hee Seo, Chan Hyeong Kim, Jin Hyung Park, Jong Kyung Kim, Ju Hahn Lee, Chun Sik Lee, Jae Sung Lee. Development of double-scattering-type Compton camera with double- sided silicon strip detectors and NaI(Tl) scintillation detector. Nucl Instr Meth A. 2010;615 :333-339 20 Mikiko Ito, Jae Sung Lee, Sun Il Kwon, Geon Song Lee, Byungsik Hong, Kyong Sei Lee, Kwang-Souk Sim, Seok Jae Lee, June Tak Rhee, Seong Jong Hong. A four-layer DOI dete ctor with a relative offset for use in an animal PET system. IEEE Transactions on Nucle- ar Science. 2010 June;57(3):976-981 21 Hee Seo, Chan Hyeong Kim, Jin Hyung Park, Jong Kyung Kim, Ju Hahn Lee, Chun Sik Lee, Soo Mee Kim, Jae Sung Lee. Multitracing capability of double-scattering Compton imager with NaI(Tl) scintillator absorber. IEEE Trans Nucl Sci. 2010 June;57(3):1420-25 22 Kim S, Kim HK, Kang DY, Jeong JM, Choi YH. Intra-operative sentinel lymph node identi fication using a novel receptor-binding agent (technetium-99m neomannosyl human serum albumin, 99mTc-MSA) in stage I non-small cell lung cancer. Eur J Cardiothorac Surg. 2010 Jun;37(6):1450-6. 단행본 발간 서적명 규격 저자 출판사 비고 임상 PET 국배판 321페이지 이명철 고려의학 2011.01.25. 서울대학교 핵의학 반세기 국배판 315페이지 이동수 고려의학 진료현황 가. 외래 환자수 외래환자수 신 환 초 진 재 진 2,440명 37명 484명 1,919명 나. 입원환자수 연인원: 433명, 실인원: 251명 다. 검사실적(자체통계) 검사실명 검사건수 영상검사실 26,843 PET검사실 10,473 검체검사실 873,876 방사성치료실 1,769 계(Total) 912,961 진료장비/시설 번호 장비(시설)명 규격 및 모델 수량 1 PET-CT Siemens Biograph, Philips Gemini 2 2 Cyclotron EBCO, TR13 1 3 Gamma camera Trionix, TRIAD XLT9 1 4 Gamma Camera Philips CardioMD, Skylight 2 5 Gamma Camera Siemens E-CAM 5 6 Gamma Camera ADAC Vertex, Fotre 2 7 Gamma Camera Siemens Lem Plus 1 8 Gamma Counter Packard Cobra, Wallac 1470 4 9 자동방사면역측정기 Hoil, RIA-mat 280 2 10 Autosampler Hamilton Microlab, Tecan Freedom 2 11 F-18 FDG 생산시설 본원 지하1층 PET센터 12 방사성옥소치료병실 본원 12411호실(2인실)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핵의학과 소개 > 연혁 > 역사
정확도 : 99% 2024.12.24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