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30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재택의료 환경의학 일마음건강 재택의료 재택의료클리 닉 은 재가 중증질환자에게 재택의료를 제공 하고, 복잡한 의료문제를 가진 입원환자의 퇴원계 획 수립을 지원 하는 클리닉입니다.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전문가로 구성된 다직종 재택의료팀이 재가환자의 통증 등 증상 완화를 위한 지지치료, 의료기기 관리, 재가돌봄 교육, 지역 재택의료기관 및 사회복지자원 연계 등의 재택의료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재택의료클리닉은 기존에 치료를 제공하고 있는 전문과 의료진과 협력하여 재가환자의 존엄성을 존중하고, 재가돌봄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재택의료클리닉 의료서비스] - 집에서도 지속적인 의료요구를 가지는 중증질환자 대상 심층진료 - 환자와 돌봄제공자 대상 재가관리 교육 및 상담 - (서울지역) 전문의 방문진료 및 가정전문간호사 방문서비스 - 급성기병원 치료 종료 후 지역사회 복귀를 위한 전환기치료 (transition care) [재택의료클리닉 대상 환자] - 가정용 인공호흡기, 가정용 산소 등의 의료기기를 보유하였거나, 기관절개관, 위루관 등에 대한 지속 관리가 필요한 재가환자 - 진행암, 신경퇴행성 질환 등 복잡한 중증질환을 가진 재가환자 - 수술 부위 관리, 영양지원 등 일시적으로 재택의료 서비스가 필요한 중증환자 가정간호사업팀 가정간호는 퇴원 후에도 지속적인 치료와 간호가 필요한 경우 의사의 처방에 따라 가정전문간호사가 환자의 집으로 방문하여 치료와 간호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가정전문간호사란? 우리병원 가정전문간호사는 본원의 다양한 임상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자격증을 취득한 전문 간호사입니다. [가정간호 제공서비스] ① 의료기기 관리: 가정용 인공호흡기, 가정용 산소 등 ② 중심정맥관 관리: 히크만 카테터, 케모포트 등 ③ 각종 관 관리 및 교체: 기관절개관, 위루관, 비위관, 배뇨관, 담즙배액관 (PTBD) 등 ④ 장루, 요루 관리 및 교육 ⑤ 의사의 처방에 따른 주사제 투약: 수액, 백혈구촉진제 등 ⑥ 욕창 드레싱 및 수술상처 소독, 실밥 제거 ⑦ 방문채혈 ⑧ 암, 뇌졸중, 당뇨 등 만성질환자의 재가관리 교육 [가정간호서비스 절차] [가정간호서비스 지역] 서울 전지역 가정간호 소개 보러가기 의료사회복지팀 - 의료사회복지사는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려운 상황에 환자와 가족이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전문가로서 환자와 가족의 개별상담을 진행하고 집단상담 및 집단교육을 진행할 뿐 아니라 타전문가 및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자원을 연결합니다. 의료사회복지 서비스는 의뢰 받은 환자들에게 아래와 같은 도움을 제공합니다. - 사회복지상담 및 임상 가. 심리사회적 상담 1) 심리사회적 상태 등의 사정, 평가 및 개입을 위한 상담 2) 가족의 환경, 지지체계 등 환자와 가족의 심리적 측면에 대한 상담 3) 장기이식 기증 전 상담 평가 상담 나. 경제적 문제 상담 1) 경제적 문제 사정, 평가 및 개입 계획 수립을 위한 상담 2) 진료비 지원 및 외부후원 등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상담 다. 사회복귀 및 퇴원계획 1) 퇴원 후 예상되는 심리사회적 문제 사정 평가 및 개입 계획 수립 2) 퇴원 후 사회복귀와 적응을 목적으로 정보 제공, 퇴원계획 등 상담 라. 지역사회자원연결 상담 1)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위한 자원연결 및 정보제공 상담 2) 외부 지역사회기관 및 관련 자원에 대한 파악 및 자원 연계 가) 지역사회 공공 및 민간자원 파악 나) 지역사회 자원연계와 관련한 환자의 욕구 사정 다) 환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필요 자원 확인 라) 환자의 문제해결과 욕구에 기반한 자원 연계 및 사례관리 마. 재활상담 1) 환자의 재활치료와 관련한 개인력 조사, 환경평가를 위한 상담 2) 장애인 지원제도 등 추후 환자의 사회복귀 및 돌봄계획에 대한 정보 제공 ▶ 의료사회복지사는 누구와 함께 일하나요? - 환자와 가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병원의 의료진과 협력하며, 특히 정신건강의학과, 재활의학과, 장기이식센터, 소아청소년과(신장, 내분비, 소아암), 호스피스완화의료팀, 재택의료클리닉에서 다학제협력팀의 일원으로 활동합니다. ▶ 의료사회복지 서비스 이용 시 비밀보장은 되나요? - 의료사회복지사는 ‘환자의 권리’와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에 따라 환자의 비밀보장에 대한 권리를 존중합니다. 단, 후원기관, 지역사회기관 등과 협력할 경우에는 사전 동의 후 상담내용이 공유될 수 있습니다. ▶ 의료사회복지 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용이 발생 하나요? - 서울대학교병원 의료사회복지팀이 제공하는 상담 서비스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단, 정신건강의학과 상담 및 프로그램, 재활의학과 상담, 장기이식상담의 경우 일부 상담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의료사회복지팀은 언제, 어떻게 방문하면 되나요? 1. 상담을 원하는 경우, 의료진(담당 의사 또는 담당간호사)에게 의료사회복지팀 타과의뢰를 요청하시면됩니다. 2. 타과의뢰가 접수되면 담당 사회복지사와 사전 약속 후 상담할 수 있습니다 의료사회복지팀 소개 보러가기 환경의학 환경의학클리닉은? - 우리를 둘러싸고 있으며 우리가 살아가는데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을 환경이라 합니다. 환경의학클리닉은 환경 내 존재하는 유해인자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건강 문제와 위험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제시하여 여러분의 건강을 지켜 주는 클리닉으로, 생활환경 및 직업환경으로 인한 건강 문제 진료와 필요한 의학적 상담과 평가를 제공합니다. 어떤 분들께 도움이 될까요? 환경의학클리닉은 다음과 같은 분께 도움을 드립니다 - 중금속 등 유해인자(철, 망간, 크롬, 구리, 수은, 카드뮴 등의 무거운 금속 원소)노출 평가 및 관리가 필요한 경우 - 질환의 원인에 대해 감별진단이 필요한 경우 ▶ 집안, 일터에서 환경유해인자 노출이 걱정됩니다. - 생활이나 직업 상 유해인자 노출이 의심되는 경우 - 유해인자 노출이 걱정되는 임산부, 가임기 여성, 어린이 ▶ 저의 직업이나 제가 살던 환경 때문에 질환이 발생한 것은 아닙니까? - 산업재해보상보험 관련 상담이 필요한 경우 - 업무관련성 평가서, 업무적합성 평가서 발급이 필요한 경우 【환경의학클리닉 진료 내용】 ■ 환경 유해인자 노출 평가 및 관리 1. 중금속 노출 평가 및 관리 - 본인이 모르더라도 일상생활이나 직장생활 속에서 중금속에 지나치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환경의학클리닉에서는 주변에서 흔하게 노출될 수 있는 중금속 농도를 혈액과 소변을 통해 측정하고 노출 원인을 파악하여 치료합니다. 2. 환경호르몬 노출 평가 및 관리 - 현대인은 위생용품, 플라스틱 생활용품 등을 통해 환경호르몬(내분비계 교란물질)에 지속해서 노출됩니다. 이러한 물질들에 대한 노출 정도를 평가하고 노출 저감 대책을 수립합니다. ■ 직업성∙환경성질환 상담 - 환경유해인자와 질환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한 전문의와의 상담은 진단 및 치료, 환경 개선 등에 있어 필수적입니다. 환경과 관련있는 천식·알레르기·진폐증·석면 관련 질환(악성 중피종, 석면폐증)의 노출과 건강영향, 관리 및 보상에 대한 전문적 상담을 제공합니다. 1. 직업병 및 업무상 질병 상담 - 현대 사회에서 일하는 사람에게 발생한 질환이 직업적 요인과 관련성을 판단하는 일은 매우 복잡합니다. 석면 노출, 진폐증, 직업성 폐암, 소음성 난청, 유기용제 중독, 수지진동 증후군, 교대근무로 인한 수면장애 등의 질환을 직업환경적 측면에서 진료하고, 치료 및 보상 관련 자문을 제공 합니다. 2. 업무관련성, 업무적합성 평가와 환경의학 전문상담 - 직업병 및 업무관련성 질환으로 의심 에서 업무관련성을 평가하고, 건강 상 문제가 있는 사람의 업무적합성을 평가하여 보상급여의 제공 등을 위해 필요한 평가서를 발급합니다. 또한 환경성 질환자 진료지원, 지역 사회 환경문제 상담, 지역사회 역학조사를 위한 상담을 제공합니다. 【환경의학클리닉 진료 내용】 - 대한회래 지하 3층 일마음건강 (직원상담) 일마음건강클리닉이란? - 일마음건강클리닉은 정신질환의 이해와 함께, 편견 없이 도움을 제공하기 위한 곳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정신건강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일상 및 직장 내에서의 스트레스는 개인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일마음건강클리닉은 본원 교직원을 대상으로 일상 및 직장 내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문제에 대한 상담을 제공하며, 정신건강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여 건강한 삶을 추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일마음건강클리닉 진료 및 상담 내용】 ▶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스트레스 관리 및 문턱 하 증상 조절 - 일상적인 우울 또는 불안 등이 정신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문턱 하 증상을 조절하고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상담을 제공합니다. ▶ 심층 정신치료와 지지치료, 심리상담을 통한 내적 성장 기회 제공 - 심리상담이나 지지치료 뿐 아니라 심층적인 정신치료를 통해 교직원들이 개인의 위기를 극복하고 내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상담과 함께하는 정신질환의 치료 - 일마음건강클리닉은 정신건강의학 전문의와 정신건강임상심리사가 함께하여 약물치료뿐 아니라 정신건강에 관련된 다양한 측면에서의 상담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교직원들은 일상적인 경한 심리적 어려움부터 심각한 정신질환까지 부담 없이 상담 받을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인 정보 제공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일마음건강클리닉은 정신건강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정기적으로 정신건강 관련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교직원들은 스스로의 정신건강을 돌보는 방법을 배우고 실천할 수 있습니다. ▶ 비공개 및 신뢰성 확보 - 일마음건강클리닉에서 제공되는 진료 및 상담 내용은 타인에게 공유되지 않습니다. 교직원의 신뢰성을 최우선으로 존중하며, 정신건강의학과 기록과 동등한 수준으로 보안되어 개인정보 보호에 철저히 신경 씁니다. ※ 일마음건강클리닉은 직원대상 진료과로 인터넷 예약은 불가합니다. ▶ 예약방법 : 병원 HIS-일마음건강클리닉 예약 예약방법은 그룹웨어 내 게시판에서 [일마음건강클리닉] 검색 후 안내자료 참고
통합케어 클리닉 환경의학 클리닉 일마음건강클리닉 통합케어 클리닉 통합케어클리닉 은 복잡한 의료문제를 가진 입원환자의 퇴원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재가 중증질환자에게 재택의료를 제공하는 클리닉입니다.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전문가로 구성된 재택의료팀이 재가환자의 통증 등 증상 완화, 의료기기 관리, 재가돌봄 교육 및 상담, 지역 의료기관 및 복지자원 연계 등의 재택의료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재택의료팀은 기존에 치료를 제공하고 있는 의료진과 협력하여 재가환자의 존엄성을 존중하고, 재가돌봄의 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통합케어클리닉 의료서비스] - 집에서도 지속적인 의료요구를 가지는 중증질환자 대상 심층진료 - 외래 직접 내원이 어려운 재가 중증질환자 대상 온라인 진료 - 환자와 돌봄제공자 대상 재가관리 교육 및 상담 - (서울지역) 전문의 방문진료 및 가정전문간호사 방문서비스 - 급성기병원 치료 종료 후 타기관 관리를 위한 전환기돌봄 (transition care) [통합케어클리닉 대상 환자] - 가정용 인공호흡기, 가정용 산소 등의 의료기기를 보유하였거나, 기관절개관, 위루관 등에 대한 지속 관리가 필요한 재가환자 - 암, 신경퇴행성 질환 등 복잡한 중증질환을 가진 재가환자 - 수술 부위 관리, 영양지원 등 일시적으로 재택의료 서비스가 필요한 중증환자 가정간호사업팀 가정간호는 퇴원 후에도 지속적인 치료와 간호가 필요한 경우 의사의 처방에 따라 가정전문간호사가 환자의 집으로 방문하여 치료와 간호를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가정전문간호사란? 우리병원 가정전문간호사는 본원의 다양한 임상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보건복지부 장관으로부터 자격증을 취득한 전문 간호사입니다. [가정간호 제공서비스] ① 의료기기 관리: 가정용 인공호흡기, 가정용 산소 등 ② 중심정맥관 관리: 히크만 카테터, 케모포트 등 ③ 각종 관 관리 및 교체: 기관절개관, 위루관, 비위관, 배뇨관, 담즙배액관 (PTBD) 등 ④ 장루, 요루 관리 및 교육 ⑤ 의사의 처방에 따른 주사제 투약: 수액, 백혈구촉진제 등 ⑥ 욕창 드레싱 및 수술상처 소독, 실밥 제거 ⑦ 방문채혈 ⑧ 암, 뇌졸중, 당뇨 등 만성질환자의 재가관리 교육 [가정간호서비스 절차] [가정간호서비스 지역] 서울 전지역 가정간호 소개 보러가기 의료사회복지팀 - 의료사회복지사는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려운 상황에 환자와 가족이 대처할 수 있도록 돕는 전문가로서 환자와 가족의 개별상담을 진행하고 집단상담 및 집단교육을 진행할 뿐 아니라 타전문가 및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자원을 연결합니다. 의료사회복지 서비스는 의뢰 받은 환자들에게 아래와 같은 도움을 제공합니다. - 사회복지상담 및 임상 가. 심리사회적 상담 1) 심리사회적 상태 등의 사정, 평가 및 개입을 위한 상담 2) 가족의 환경, 지지체계 등 환자와 가족의 심리적 측면에 대한 상담 3) 장기이식 기증 전 상담 평가 상담 나. 경제적 문제 상담 1) 경제적 문제 사정, 평가 및 개입 계획 수립을 위한 상담 2) 진료비 지원 및 외부후원 등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상담 다. 사회복귀 및 퇴원계획 1) 퇴원 후 예상되는 심리사회적 문제 사정 평가 및 개입 계획 수립 2) 퇴원 후 사회복귀와 적응을 목적으로 정보 제공, 퇴원계획 등 상담 라. 지역사회자원연결 상담 1) 지역사회자원 연계를 위한 자원연결 및 정보제공 상담 2) 외부 지역사회기관 및 관련 자원에 대한 파악 및 자원 연계 가) 지역사회 공공 및 민간자원 파악 나) 지역사회 자원연계와 관련한 환자의 욕구 사정 다) 환자의 문제해결을 위한 필요 자원 확인 라) 환자의 문제해결과 욕구에 기반한 자원 연계 및 사례관리 마. 재활상담 1) 환자의 재활치료와 관련한 개인력 조사, 환경평가를 위한 상담 2) 장애인 지원제도 등 추후 환자의 사회복귀 및 돌봄계획에 대한 정보 제공 ▶ 의료사회복지사는 누구와 함께 일하나요? - 환자와 가족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병원의 의료진과 협력하며, 특히 정신건강의학과, 재활의학과, 장기이식센터, 소아청소년과(신장, 내분비, 소아암), 호스피스완화의료팀에서 다학제협력팀의 일원으로 활동합니다. ▶ 의료사회복지 서비스 이용 시 비밀보장은 되나요? - 의료사회복지사는 ‘환자의 권리’와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에 따라 환자의 비밀보장에 대한 권리를 존중합니다. 단, 후원기관, 지역사회기관 등과 협력할 경우에는 사전 동의 후 상담내용이 공유될 수 있습니다. ▶ 의료사회복지 서비스 이용에 대한 비용이 발생 하나요? - 서울대학교병원 의료사회복지팀이 제공하는 상담 서비스는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단, 정신건강의학과 상담 및 프로그램, 재활의학과 상담, 장기이식상담의 경우 일부 상담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의료사회복지팀은 언제, 어떻게 방문하면 되나요? 1. 상담을 원하는 경우, 의료진(담당 의사 또는 담당간호사)에게 의료사회복지팀 타과의뢰를 요청하시면됩니다. 2. 타과의뢰가 접수되면 담당 사회복지사와 사전 약속 후 상담할 수 있습니다 의료사회복지팀 소개 보러가기 환경의학클리닉 환경의학클리닉은? - 우리를 둘러싸고 있으며 우리가 살아가는데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모든 것을 환경이라 합니다. 환경의학클리닉은 환경 내 존재하는 유해인자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건강 문제와 위험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제시하여 여러분의 건강을 지켜 주는 클리닉으로, 생활환경 및 직업환경으로 인한 건강 문제 진료와 필요한 의학적 상담과 평가를 제공합니다. 어떤 분들께 도움이 될까요? 환경의학클리닉은 다음과 같은 분께 도움을 드립니다 - 중금속 등 유해인자(철, 망간, 크롬, 구리, 수은, 카드뮴 등의 무거운 금속 원소)노출 평가 및 관리가 필요한 경우 - 질환의 원인에 대해 감별진단이 필요한 경우 ▶ 집안, 일터에서 환경유해인자 노출이 걱정됩니다. - 생활이나 직업 상 유해인자 노출이 의심되는 경우 - 유해인자 노출이 걱정되는 임산부, 가임기 여성, 어린이 ▶ 저의 직업이나 제가 살던 환경 때문에 질환이 발생한 것은 아닙니까? - 산업재해보상보험 관련 상담이 필요한 경우 - 업무관련성 평가서, 업무적합성 평가서 발급이 필요한 경우 【환경의학클리닉 진료 내용】 ■ 환경 유해인자 노출 평가 및 관리 1. 중금속 노출 평가 및 관리 - 본인이 모르더라도 일상생활이나 직장생활 속에서 중금속에 지나치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환경의학클리닉에서는 주변에서 흔하게 노출될 수 있는 중금속 농도를 혈액과 소변을 통해 측정하고 노출 원인을 파악하여 치료합니다. 2. 환경호르몬 노출 평가 및 관리 - 현대인은 위생용품, 플라스틱 생활용품 등을 통해 환경호르몬(내분비계 교란물질)에 지속해서 노출됩니다. 이러한 물질들에 대한 노출 정도를 평가하고 노출 저감 대책을 수립합니다. ■ 직업성∙환경성질환 상담 - 환경유해인자와 질환과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한 전문의와의 상담은 진단 및 치료, 환경 개선 등에 있어 필수적입니다. 환경과 관련있는 천식·알레르기·진폐증·석면 관련 질환(악성 중피종, 석면폐증)의 노출과 건강영향, 관리 및 보상에 대한 전문적 상담을 제공합니다. 1. 직업병 및 업무상 질병 상담 - 현대 사회에서 일하는 사람에게 발생한 질환이 직업적 요인과 관련성을 판단하는 일은 매우 복잡합니다. 석면 노출, 진폐증, 직업성 폐암, 소음성 난청, 유기용제 중독, 수지진동 증후군, 교대근무로 인한 수면장애 등의 질환을 직업환경적 측면에서 진료하고, 치료 및 보상 관련 자문을 제공 합니다. 2. 업무관련성, 업무적합성 평가와 환경의학 전문상담 - 직업병 및 업무관련성 질환으로 의심 에서 업무관련성을 평가하고, 건강 상 문제가 있는 사람의 업무적합성을 평가하여 보상급여의 제공 등을 위해 필요한 평가서를 발급합니다. 또한 환경성 질환자 진료지원, 지역 사회 환경문제 상담, 지역사회 역학조사를 위한 상담을 제공합니다. 【환경의학클리닉 외래 위치】 - 대한외래 지하 3층 일마음건강클리닉 (직원상담) 일마음건강클리닉이란? - 일마음건강클리닉은 정신질환의 이해와 함께, 편견 없이 도움을 제공하기 위한 곳입니다. 현대 사회에서 정신건강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특히 일상 및 직장 내에서의 스트레스는 개인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일마음건강클리닉은 본원 교직원을 대상으로 일상 및 직장 내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문제에 대한 상담을 제공하며, 정신건강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여 건강한 삶을 추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일마음건강클리닉 진료 및 상담내용】 ▶ 정신겅강 증진을 위한 스트레스 관리 및 문턱 하 증상 조절 - 일상적인 우울 또는 불안 등이 정신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문턱 하 증상을 조절하고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상담을 제공합니다. ▶ 심층 정신치료와 지지치료, 심리상담을 통한 내적 성장 기회 제공 - 심리상담이나 지지치료 뿐 아니라 심층적인 정신치료를 통해 교직원들이 개인의 위기를 극복하고 내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 상담과 함께하는 정신질환의 치료 - 일마음건강클리닉은 정신건강의학 전문의와 정신건강임상심리사가 함께하여 약물치료뿐 아니라 정신건강에 관련된 다양한 측면에서의 상담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교직원들은 일상적인 경한 심리적 어려움부터 심각한 정신질환까지 부담 없이 상담 받을 수 있습니다. ▶ 정기적인 정보 제공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일마음건강클리닉은 정신건강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정기적으로 정신건강 관련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교직원들은 스스로의 정신건강을 돌보는 방법을 배우고 실천할 수 있습니다. ▶ 비공개 및 신뢰성 확보 - 일마음건강클리닉에서 제공되는 진료 및 상담 내용은 타인에게 공유되지 않습니다. 교직원의 신뢰성을 최우선으로 존중하며, 정신건강의학과 기록과 동등한 수준으로 보안되어 개인정보 보호에 철저히 신경 씁니다. ※ 일마음건강클리닉은 직원대상 진료과로 인터넷 예약은 불가합니다. ▶ 예약방법 : 병원 HIS-일마음건강클리닉 예약 예약방법은 그룹웨어 내 게시판에서 [일마음건강클리닉] 검색 후 안내자료 참고
서울대학교병원 의공학과는 1979년6월14일 개설된 이래, 의료기기의 유지보수, 예방점검 등의 의료기기 안전관리, 도입부터 불용까지 의료기기 전주기에 대한 자산관리 및 의공학분야의 연구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병원 전체 의료기기의 50%에 해당하는 범용의료장비에 대하여 의공학과 자산으로 편입시켜 안전 및 자산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의공학과는 과장, 의무장을 비롯한 6명의 교수진과 31명의 직원이 진료부서의 의료기기 특성을 고려하여 기술개발파트, 분석기기파트, 영상기기파트, 임상기기파트, 의료장비자산파트 5개 파트로 조직되어 있으며, 주 업무는 의료기기 유지보수, 예방점검, 안전관리, 의료기기 구매 검수 및 자산관리, 의료기기 도입 심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고 병원 내 의료기기의 전반적인 유지보수와 안전 관리를 수행하여 임상 부서의 진료를 지원한다. 지속적인 업무개선을 위해 2008년에 ISO9001 품질경영시스템을 도입하여 체계적인 의료기기 관리를 위한 틀을 마련하였으며, 2012년 12월20일 국내 병원 최초로 국제시험기관(KOLAS 제 549호)으로 산업통산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한국인정기구로부터 인정받아 의료기기의 안전성 및 성능평가를 위한 시스템 구축의 재고 등 의료기기 관리의 신뢰성과 효율성 향상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체계적인 의료기기 관리를 위해 HIS 의료기기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의료기기 자산등재 관리, 고장신고 관리, 용역 관리, 예방점검, 비용관리 및 교체 평가 업무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국가 중앙병원으로서 공공의료봉사에도 적극적인 참여 및 매년 의공학 전공 학생들을 위한 현장 실습 교육 지원, 개발도상국가 병원의 직원들을 위한 의료기기 관리 기술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GE Center: HIS 트윈이 제시할 새로운 패러다임 HIS 연계 Digital Healthcare 협력 연구 플랫폼 구축 GE 센터
서울대병원, 임상유전체 통합 진료 지원 시스템 SNUH POLARIS 정식 출범- SNUH POLARIS, 임상유전체 데이터 통합 및 실시간 분석 통해 암 진단치료 혁신 - 의료진의 신속한 의사결정 지원 및 환자 맞춤형 정밀 진료 환경 구현 [그림] SNUH POLARIS 구성도: 서울대병원 HIS와 연동되어 환자의 임상병리유전체 정보를 통합 정제하고, 환자 조회, 대시보드, AI 기반 데이터 정제를 통해 진료에 즉시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서울대병원(병원장 김영태)은 병원정보시스템(HIS)과 연계된 임상유전체 통합 진료 지원 시스템 SNUH POLARIS(Precision OncoLogy And Rare-common dIsease Supporter)를 5월 28일 정식 개시했다고 밝혔다.SNUH POLARIS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HIS와 연동되어, 임상유전체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환자 맞춤형 진료를 구현한 국내 최초의 정밀의료 진료 지원 시스템이다. 지난 28일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우덕윤덕병홀에서 열린 공식 출범 기념 행사에는 김영태 병원장과 주요 의료진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SNUH POLARIS의 개발 배경, 임상 적용 사례 및 향후 발전 방향 등이 소개됐다. 행사에는 온・오프라인으로 총 110명이 참석해 정밀의료 분야의 새로운 도전에 대한 의료계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대병원은 기존 HIS에 분산되어 있던 병리, 진단검사, 유전체, 수술 및 치료 정보를 SNUH POLARIS를 통해 통합하여 의료진이 직관적으로 관련 정보를 파악하고 즉시 진료에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 또한, 서울대병원이 자체 개발해 2018년부터 진료에 적용 중인 암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패널 기반 유전체 빅데이터와 실시간 비교・분석을 통해 진료 현장에서 암 진단 및 치료에 필요한 맞춤형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한다. SNUH POLARIS의 핵심 기능은 최신 인공지능 기술인 거대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을 활용해 HIS 내 대규모 임상 및 유전체 데이터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정제한 뒤, 임상 및 유전체 전문가의 교차 검증을 거쳐 신뢰도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인 진료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환자에게는 최적화된 정밀 치료 전략이 제공된다. SNUH POLARIS는 서울대병원 30개 부서와 87명의 다학제 의료진으로 구성된 TFT를 중심으로 병원과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구축됐다. 현재는 암을 중심으로 1차 구축이 완료됐으며, 향후 희귀질환, 만성질환 등 다양한 정밀의료 분야로의 확대 적용이 계획되어 있다. 정창욱 정보화실장(SNUH POLARIS 구축 TFT 위원장)은 SNUH POLARIS를 통해 의료진은 서울대병원이 2017년 자체 개발한 FiRST 암 패널과 인공지능 기술로 정제된 임상 정보를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며 이는 암 진단과 치료 현장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채종희 임상유전체의학과장(SNUH POLARIS 구축 TFT 부위원장)은 SNUH POLARIS는 의료 빅데이터 시대에 국내 정밀의료의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라며 향후 희귀질환과 만성질환 등 적용 분야를 확장해 환자 중심의 미래 진료를 이끌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사진 아래줄 오른쪽부터] SNUH POLARIS 출범 기념 행사 단체 사진: 김영태 병원장(6번째), 정창욱 TFT 위원장(7번째),채종희 TFT 부위원장(8번째)
서울대병원, 클라우드 기반 재해복구(DR) 센터BESTBunker!개소- 재해 발생 시 30분 이내 재해복구 체계 가동...진료 중단 최소화해 환자 안전 강화- 클라우드 기반으로 병원 업무 시스템 실시간 동기화...디지털 복원력 높여 [자료] 서울대병원 클라우드 기반 DR 센터 BESTBunker! 서울대병원(병원장 김영태)은 지난 1일, 재해 상황에서도 진료의 연속성과 환자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재해복구(DR, Disaster Recovery) 센터 BESTBunker!를 정식 개소했다고 밝혔다. BESTBunker!는 화재, 해킹 등 예기치 못한 재해로부터 병원의 핵심 디지털 시스템을 보호하고, 진료 중단을 최소화하기 위해 구축된 첨단 DR 인프라다.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축되어 HIS(병원정보시스템), PACS(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그룹웨어 등 병원 업무 시스템을 모두 실시간으로 동기화한다. 이로써 메인 센터에 재해가 발생할 경우 병원 운영 시스템을 DR 센터로 30분 이내에 신속히 전환할 수 있다. 그 결과 진료, 수술, 처방 등의 핵심 업무를 지속하는 동시에 메인 센터 복구 작업을 병행할 수 있어, 위기 상황에서도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장한다. 특히 서울대병원의 DR센터는 단순히 데이터만 복제하는 수준을 넘어, 클라우드 기반으로 운영 시스템 전체를 복제해 디지털 복원력을 크게 높인 국내 의료기관 최초의 DR 시스템으로 평가된다. 또한, 센터는 동일 재해 영향권에서 벗어나 위기 대응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병원 및 메인 센터에서 약 150km 떨어진 대전에 위치해 있다. 내진 설계와 우수한 전력 및 공조 설비를 갖춰 안정성도 뛰어나다. 정창욱 정보화실장은 서울대병원은 BESTBunker!의 정식 개소를 계기로 재해복구 체계를 고도화하여 위기대응 능력과 진료 연속성을 획기적으로 강화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환경의 안정성을 높였다며 이를 통해 환자 중심의 안전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국내 의료기관의 디지털 재해복구 체계를 지속적으로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한편, 서울대병원은 차세대 병원정보시스템, 차세대 그룹웨어, 프라이빗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첨단 DR센터 등을 구축해 의료IT 유연성과 안정성을 확충하는 등,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기반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자료] 서울대병원 의료IT 시스템
- 86.2%의 정확도, 오픈소스 모델 중 최초로 실제 의사 평균 정확도 뛰어넘어 우수- 전자의무기록,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디지털병리시스템, 유전체 등 대규모 의료 데이터 활용- 한국 의료 시스템에 특화된 AI 모델로 진료 효율성 향상 및 환자 안전 강화 [그림] 한국형 의료 LLM 임상 적용을 위한 프로젝트: HIS.AI(의무기록 작성 효율화), CLAIM.AI(원무 및 보험 청구 자동화), RESAERCH.AI(연구자 맞춤형 논문 큐레이션) 서울대병원(병원장 김영태)은 최근 국내 최초로 한국형 의료 거대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모델은 서울대병원의 전자의무기록(EMR),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디지털병리시스템, 유전체 데이터 등 대규모 의료 데이터를 활용해 개발됐으며, 한국의 의료 시스템에 특화된 의료 정보를 처리하고 진료 효율성을 높이며 환자 안전을 강화하는 중요한 기술적 진전을 이루었다. 서울대병원은 이 모델을 통해 글로벌 의료 분야에서 경쟁력 있는 기술을 선도하고, 환자들에게 더 나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 세계적으로 거대언어모델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OpenAI의 ChatGPT, 구글의 PaLM-MED2, 마이크로소프트의 Med-LLaVA 등 다양한 의료 특화 모델이 등장했다. 그러나 기존의 의료 LLM 모델들은 주로 서구권의 의료 지식에 최적화되어 있고, 한국어로 된 의료 텍스트나 한국의 의료법 및 진료지침 등을 이해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서울대병원은 이러한 글로벌 동향에 맞춰, 한국어와 영어를 혼용하는 국내 의료진의 요구를 충족하고, 전문의 수준의 의학 지식과 약어줄임말 등 언어적 특성을 이해하는 LLM 개발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서울대병원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2024년 3월, 한국형 의료 지식을 바탕으로 한 한국형 의료 거대언어모델(LLM) 개발에 착수했다. 병원 내 입원초진, 외래기록, 수술처방간호기록 등 3,800만 건의 임상 텍스트를 활용해 한국어 의료 텍스트 말뭉치를 구축하고, 이를 개인정보 가명화 및 비식별화 후 병원 내에서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했다. 이 텍스트 말뭉치는 모델 학습의 기초 데이터로 활용되어, 한국 의료 시스템에 맞는 정보 처리 능력을 키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25년부터 서울대병원은 이 모델을 더욱 발전시켜 한국의 의료 관련 법률, 국문 논문 초록, 학회 진료 지침 등을 통합하고, 의학용어 약어 사전과 용어 표준화 작업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실제 진료 프로세스를 모방한 각 진료과 특화 지시훈련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공개했으며, 지식그래프 기반 검색증강생성(RAG) 및 다학제 멀티 에이전트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병원 내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한국형 의료 거대언어모델(LLM)을 1년 만에 완성했다. 서울대병원은 이 모델의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한 후, 병원 내 연구 및 업무 보조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 모델은 한국의사국가고시 최근 3개년 데이터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86.2%의 정확도를 기록하며 오픈소스 모델 중 최초로 실제 의사 평균 정확도(79.7%)를 뛰어넘는 우수한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한국형 의료 LLM이 의료 분야에서 실용적이고 실현 가능한 기술임을 입증한 사례로 평가된다. 또한, 약 5만개 단어의 방대한 텍스트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우수한 번역 성능을 갖춘 이 모델은 향후 다양한 의료 분야에서도 성능을 확장하고, 의료 데이터 처리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은 향후 LLM의 성능을 고도화하여 실제 진료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발전시킬 예정이다. 이를 위해 의료 영상과 생체 신호 데이터를 결합한 멀티모달 AI로 확장하여 외래, 입퇴원 등 의무기록을 자동 요약하는 HIS.AI, 원무 및 보험 청구 업무를 효율화하는 CLAIM.AI, 최신 논문을 연구자 맞춤형으로 큐레이션하는 RESEARCH.AI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러한 프로젝트들은 의료진의 번아웃을 줄이고 업무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적으로, 의료진은 행정 업무에서 벗어나 환자와의 직접적인 소통과 치료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게 되어 환자 중심적인 진료 환경이 더욱 강화될 것이다. LLM 개발을 주도한 이형철 교수(헬스케어AI연구원 부원장)는 한국형 의료 거대언어모델은 서울대병원의 우수한 의료진의 의료 지식을 바탕으로 개발되어 진료 효율성을 높이고 환자 만족도를 증대시킬 중요한 기술적 진전을 이루었다며 LLM 기술은 의사들의 업무를 돕는 중요한 도구가 되어, 의료 서비스의 질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태 병원장은 이번 한국형 의료 거대언어모델 개발을 통해 의료진의 업무 효율을 극대화하고, 환자들에게 더 빠르고 정확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의료 혁신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최신 기술을 도입하여 환자들에게 최상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 서울대병원 전경
- 10년간 SKSH 성공적 운영 성과로 2년 재계약 체결...한-UAE 간 보건의료 협력 강화- UAE에서 10년 이상 병원 위탁운영 지속한 최초의 해외 기관으로 국제적 인정받아 [사진] 서울대병원 김영태 병원장, UAE Pure Health TMO CEO Dr. Aref Alshehhi,쉐이크 칼리파 전문병원 전경 [사진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김영태 병원장, UAE Pure Health TMO CEO Dr. Aref Alshehhi [사진] 쉐이크 칼리파 전문병원 전경 서울대병원(병원장 김영태)은 아랍에미리트(UAE) 쉐이크 칼리파 전문병원(Sheikh Khalifa Specialty Hospital, SKSH)과의 위탁운영 계약을 2년 더 연장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이번 재계약은 2014년 8월 최초 계약 체결 이후, 2019년 재계약을 거쳐 이루어진 세 번째 계약으로, 계약 기간은 2024년 8월 14일부터 2년간이다. 이번 계약은 서울대병원의 우수한 의료기술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았음을 보여주며, 특히 UAE에서 10년 이상 병원 위탁운영을 지속한 최초의 해외 의료기관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이는 존스홉킨스병원, 메이요클리닉, 클리블랜드 클리닉 등 세계 유수의 병원들도 아직 이루지 못한 성과로, 서울대병원이 장기적인 신뢰를 구축한 결과이다. 이번 재계약은 한국의 병원정보시스템(HIS), 제약, 의료기기, 임상시험 등 보건의료 분야의 후방 산업이 중동 지역으로 진출할 수 있는 중요한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의 SKSH 위탁운영은 대한민국 최초의 해외 대형 3차 의료기관 수탁 운영 사례로, 한-UAE 간의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SKSH(원장 이정열)는 UAE 라스알카이마(RAK)에 위치한 246병상 규모의 병원으로, 서울대병원에서 파견된 99명의 인력을 포함한 총 664명의 의료진이 근무하고 있다. 2023년 외래진료 건수 84,859명에 이르며, 매월 7천여 명 이상의 환자가 SKSH를 찾고 있다. SKSH는 특히 암센터, 뇌신경센터, 심혈관센터 등 3개의 특수센터를 통해 UAE 내에서 발생 빈도가 높고 고난도 치료가 필요한 질환에 대해 안정적이고 전문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한국 의료에 대한 높은 만족도와 신뢰도를 구축했다. 그 결과, SKSH는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국제의료기관평가위원회(JCI) 인증을 획득하며,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의료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2020년에는 UAE 의료혁신상을 수상하며, 중동 지역에서 혁신적인 의료 서비스 제공자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서울대병원은 SKSH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부서 간 소통을 개선하기 위해 UniT based Performance Innovation Aid(UTOPIA)를 도입하여 병원의 주요 성과 지표(KPI)와 안전 지표 관리를 강화했으며, 그 결과 관련 지표가 크게 개선됐다. 특히 환자 만족도 평가 도구인 Press Ganey에서 최고 수준의 만족도를 기록하며, SKSH는 쉐이크 칼리파 왕립병원 중 가장 높은 환자 만족도를 달성했다. SKSH 이정열 원장은 앞으로도 서울대병원과의 협력을 통해 환자 관리, 교육, 연구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심혈관센터뇌신경센터종양센터의 서비스 범위를 확장하고, AI를 활용한 진료 및 연구 이니셔티브를 추진하여 환자 치료 결과와 병원 운영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한, UAE 국적 의대생의 인턴십 및 전공의 프로그램을 통해 현지화를 추진하며, 서울대병원의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해 현지 의료진의 전문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김영태 서울대병원장은 이번 재계약은 지난 10년간 UAE에서 쌓아온 탁월한 성과와 깊은 신뢰의 결과로, 서울대병원의 우수한 의료기술과 전문성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았음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라며 앞으로도 SKSH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한국 의료의 우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한-UAE 간의 보건의료 협력을 더욱 강화하여 중동 지역의 의료 선진화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1. 직원명단 직명 직급명 성명 과 장 교수 강건욱 교수 정준기 이동수 정재민 강건욱 천기정 이재성 윤혜원 명예교수 이명철 임상부교수 팽진철 겸임교원 연구부교수 이윤상, 황도원 연구조교수 김미정, 강혜진, 이혜경 임상강사 유민영 전공의(4년차) 강서영 박소현 방지인 서민석 전공의(3년차) 강연구 이정민 이현종 전공의(2년차) 김민영 김지현 김현주 이리리 이환희 전공의(1년차) 김지영 서훈녕 유현지 일반직(사무직 J3) 최정희 일반직(간호직 S1) 강신후 김연희 이미정 한현미 일반직(약무직 J3) 이보은 기사장 일반직(보건직 S3) 김진의 수석기사 일반직(보건직 S3) 노경운 일반직(보건직 S2) 이홍재 조성욱 문일상 일반직(보건직 S1) 유태민 황길동 홍미경 조용현 일반직(보건직 J3) 김대운 김병진 김재일 도용호 신선영 윤태석 임정진 일반직(보건직 J2) 김종필 김태엽 김 현 박찬록 박희원 성용준 신병호 신희정 이용석 이재형 임현진 임소희 윤석환 전재환 하동혁 현준호 일반직(보건직 J1) 이재영 하태환 조현수 운영기능직(C3) 유영주 운영기능직(C2) 신은영 남은주 운영기능직(C1) 문영실 오은영 최윤정 운영기능직(A2) 이혜은 2. 주요활동사항 가. 핵의학과 소개 핵의학과는 방사성동위원소와 추적자원리를 이용한 진단 및 치료를 추구하며, 핵의학 영상검사, 검체검사, 방사성동위원소 치료 등을 주 진료 분야로 한다. 감마카메라, SPECT/CT, PET/CT, PET/MRI 등의 영상장비, 자동분주기와 감마측정기 등의 검체검사장비, 차폐치료병실 등의 핵의학치료 시설, 사이클로트론과 방사성의약품 생산조제 시설 등 여러 시설 및 장비를 보유하고 이를 활용하여 진료와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2005년 국제원자력기구로부터 지정된 핵의학분자영상 협력센터를 지속 운영하며 개발도상국의 핵의학 인재를 교육하는 중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국제/국내 학술, 교육 활동에 기여하고 있다. 나. 주요활동사항 2016년은 전체적으로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는 다양한 기획과 시도가 진행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핵의학과 차원의 일부 손실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병원의 발전 계획에 적극 협력하는 결정도 있었다. 먼저, 수술장 확충에 대한 병원발전계획에 협력하여 본관 2층 핵의학과 공간을 의생명연구원 6층으로 이전하는 안을 기획하였고, 45평 가량 되는 어린이병원 핵의학검사실을 본관 1층으로 통합 이전하여 어린이병원의 공간 부족 해소를 추진하는 계획에도 협력하였다. 이러한 이전은 2017년 중 시설공사를 거쳐 완료될 예정이다. 이 외에도 하반기부터 홈페이지 개편 작업을 시작하였으며, 11월에 개통된 차세대 HIS 제작 작업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2017년까지 완료하여야 하는 방사성의약품 GMP 생산시설을 구축하기 위하여 연중 지속적으로 준비를 하였으며 12월에 시설공사를 시작하였다. 한편 워크숍도 새로운 형식을 시도하여, 4월 1일 저녁 원내 워크숍을 가지고 2일 오전 남산 둘레길을 함께 걸으며 화합을 다지기도 하였다. 진료 측면에서 진료량은 2015년의 감소영향이 지속되었으나 반등의 시작 움직임도 같이 보였다. PET은 2014년 13,896건에서 2015년 10,562건으로 감소 후 2016년 10,618건을 시행하였고, 갑상선암 치료는 2014년 267건에서 2015년 203건으로 감소 후 2016년 241건으로 회복세를 보였다. 영상검사에서 Ga-68 DOTATOC PET 검사가 건강보험 급여 항목으로 등재되었으며, F-18 florbetaben과 flutemetamol PET은 비급여로 고시되었다. 이와 동시에 원내 방사성의약품 생산 기반이 확충되어 10월 10일부터 F-18 FDOPA를 외부 의료기관에 판매하기 시작하였다. 장비 개선 노력도 지속하여 10월에 새로운 감마카운터가 검체검사실에 설치되었으며 새로운 CZT SPECT 장비를 2017년에 도입할 수 있도록 승인받았다. 방사성동위원소 진료재료 중 체내 영사검사 관련품에 대한 관리가 약사위원회로 이관되어 차년도 계약분부터 약사위원회 산하 방사성의약품소위원회에서 담당하게 되었다. 교육 측면에서는 본원 핵의학과의 아침 학술집담회를 외부에 개방하여 본원-분당병원-국립암센터-보라매병원 등 전공의교육 모자 관계 병원과 타 대학이나 병원에 교육 기회로 제공하는 정책을 지속하였다. 2015년 개편된 의과대학 3학년 실습일정도 지속되어, 학생들이 주말을 활용해 증례발표를 준비하고 이를 통해 핵의학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전공의 교육과정 중 해외의 다양한 의료 환경을 경험하고 새로운 의료지식을 습득하기 위한 전공의 해외파견 수련도 지속되어 4년차 전공의 서민석이 미국 Emory University에서 1개월간 해외연수 기회를 가졌다. 3월에 전공의 학습목표를 개편, 배포하여 전공의들이 자체 수련에 도움을 받도록 하였다. 외국인 펠로우 교육도 이어져 인도네시아의 Ivana Dewi와 예멘의 Shagera Qaid Ahmed가 고창순 펠로우십 프로그램으로 1년간 연수기회를 가졌다. 김의신 교수는 작년에 이어 2016년에도 3월, 9월에 각 3개월씩 내한하여 겸임교수직을 수행하였다. 연구 측면에서는 연구중심병원 과제를 비롯하여 교실차원의 다양한 연구과제 신규수주 및 수행이 지속되었다. 한편 김의신 Lectureship을 통하여 유럽핵의학회 회장인 이탈리아 Humanitas University의 Arturo Chiti가 3월 22일 병원을 방문하여 특강을 하였다. 인사 측면에서는, 이동수 교수가 2016년 10월 17일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핵의학생물학회장 선거에서 미국과 캐나다의 출마자를 누르고 학회장으로 당선되었다. 강건욱 교수는 차기 대한나노의학회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정준기 교수는 Journal of Nuclear Medicine의 국제편집부위원장으로 선임되었다. 최유리 교수가 의생명연구원 연구교수로 임용되었다. 전공의 과정을 수료한 유민영은 본원 전임의로 임용되었으며 이인기는 미국 Wisconsin University의 research fellow로 이직하였다. 김지영, 서훈녕, 유현지 등 3명이 신입전공의로 입국하였다. 아랍에미리트의 Shake Kalifa Special Hospital (SKSH) 핵의학과에도 3명의 직원이 파견되어 근무하였다. 다. 인사사항 직급 성명 인사내용 일자 보건직(J3) 임정진 본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5. 1. 1 보건직(J3) 정규일 보라매병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5. 1. 1 간호직(S1) 김연희 121병동 특실에서 핵의학과로 전보 2015. 2. 2 보건직(J3) 김정수 사직 2015. 2. 28 교수직 이동수 서울대학교 생명공학공동연구원장 임용 2015. 3. 1 전임의 권현우 신규발령 2015. 3. 1 연구전임의 하승균 신규발령 2015. 3. 1 전공의 김민정 신규발령, 1년차 2015. 3. 1 전공의 김지현 신규발령, 1년차 2015. 3. 1 전공의 김현주 신규발령, 1년차 2015. 3. 1 전공의 이리리 신규발령, 1년차 2015. 3. 1 전공의 이환희 신규발령, 1년차 2015. 3. 1 보건직(J2) 김 현 신규발령 2015. 3. 9 보건직(J2) 김승정 본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5. 4. 1 보건직(J2) 송호준 보라매병원 핵의학과로 전보 2015. 4. 1 보건직(S3) 노경운 원자력안전법방사선안전관리 팀장(겸임) 2015. 4. 1 보건직(S3) 김진의 핵의학과 기사장 보직임용 2015. 4. 15 보건직(S3) 이홍재 종양핵의학검사실 수석기사 보직임용 2015. 4. 15 보건직(S3) 조성욱 체내검사실 수석기사 보직임용 2015. 4. 15 보건직(S3) 문일상 소아핵의학검사실 수석기사 보직임용 2015. 4. 15 교수직 강건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주임교수 임용 2015. 7. 16 교수직 정재민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방사선의학연구소장 임용 2015. 7. 16 보건직(J1) 이재영 신규발령 2015. 8. 17 보건직(J1) 하태환 신규발령 2015. 8. 17 보건직(J2) 도용호 서울대학교병원 개원기념 모범직원 2015. 10. 15 보건직(S1) 김태훈 당연면직(사망) 2015. 12. 17 보건직(S2) 이홍재 서울대학교병원 모범직원 2015. 12. 31 라. 해외연수 구분 성명 직위 연구 기간 연수국 활동내용 장기연수 이재성 교수 2015.01.01.-2015.12.31 미국 Stanford University, USA 단기연수 이인기 전공의 4년차 2015.06.01.-2015.06.30 독일 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 단기연수 유민영 전공의 4년차 2015.07.01–2015.07.31 미국 UCLA 마. 수상내역 1) 11월 서울의대 윤혜원교수 : 대한핵의학회 제 5회 최우수논문상 수상 2) 11월 서울대병원 김용일 전임의 : AOFNMB 젊은연구자상 수상 3) 11월 서울대병원 이현종 전공의 : 대한핵의학회 구연상 수상 4) 12월 서울의대 이동수교수 : 2015년도 서울대학교병원 학술상 수상(심호섭 의학상) 바. 주요일지 제 목 기 간 장 소 The 5rd Prof. Euishin Edmund Kim Distinguished Lecture 2015. 4. 23 서울대학교병원 B강당 제 8차 전국전공의 워크샵 2015. 12. 19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릴리홀 3. 주요 화보 가. The 5rd Prof. Euishin Edmund Kim Distinguished Lecture 연자 : Peter Herscovitch, MD, National Insititues of Health Clinical Center 제목 : PET in Drug Development and Translation 일시: 2014. 11. 10 장소: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1층 대강당 참석자: 해외 1명 초청, 원내 및 외부교수, 연구원, 대학원생, 교직원 등 총 98명 참석 나. 제 8차 전국전공의 워크샵 일시 : 2015. 12. 19 장소 :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릴리홀 주제 : ‘from Research to Development’ in Nuclear Medicine 4. 교육 현황 가. 학생교육 의과대학 3학년 2학기에 핵의학에 대하여 8시간의 집중강의 교육을 시행하였고 실습은 가정의학과 실습교육에서 8시간, 영상의학과 실습교육에서 8시간을 배당받아 핵의학 진료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을 실시하였다. 핵의학 실습교육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요 일 시 간 실 습 내 용 월 09:00 - 17:00 핵의학부하검사 총론, 핵의학 응용정략 및 방사선안전, 핵의학 치료법, 방사성의약품 소개 및 견학, 융합 PET 영상장비 소개 및 견학 금 09:00 - 17:00 신경핵의학총론, 방사면역측정법, 핵의학 영상획득 및 정량분석, 증례토의, 영상기기 견학 나. 대학원 1) 박사 이 름 논 문 제 목 일 자 지도교수 김은경 Bimodal and multivariate analysis linking FDG uptake to BOLD signal at rest: a simultaneous hybrid PET/MR study 2016. 2. 이동수 정태문 Evaluation of the Therapeutic Effect of Cytosine Deaminase-Expressing Mesenchymal Stem Cells and 5-Fluorocytosine on Glioma using Molecular Imaging 2016. 2. 정준기 김용일 Multiplex Molecular Target Detection in a Colorectal Cancer Xenograft Model Utilizing Simultaneous Fluorescence-Raman Endoscopic System 2016. 2. 이동수 서성호 Noninvasive Bi-graphical Analysis for Parametric Imaging of Slowly Reversible Neuroreceptor Binding with Dynamic Brain PET 2016. 2. 이재성 오현정 Cell-non-autonomous neurogenesis by exosome-mediated transfer of neurogenic miRNA in microfluidic system 2016. 2. 오현정 2) 석사 이 름 논 문 제 목 일 자 지도교수 박초롱 The study for characterization and integrin αvβ3 targeting of 64Cu-cRGdyK-HSA 2016. 2 강건욱 배성우 S/G2/M synchronization observed by fluorescence imaging in HeLa-FUCCI after ioniziong radiation 2016. 2 정준기 이영은 Different 18F-FDG uptake according to glucose-6- phosphatase expression in cancer cells and macrophages 2016. 2 천기정 다. 전공의 수련현황 1) 주간행사표 시간/요일 월 화 수 목 금 토 07:30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08:00 교수회의 (정보도서실) 문헌초독회 흥미영상 (회의실) 수요미니 심포지움 (회의실) Structured course staff lecture (회의실) 화학/물리 임상연구모임 08:30 수석기사회의 (정보도서실) 09:00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10:00 외래 강건욱/외래 이명철 외래 정준기 학생 실습교육 (회의실) 판 독 11:00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영상협의체모임 (회의실) 판 독 13:00 학생 실습교육 판 독 학생 실습교육 (회의실) 판 독 14:00 판 독 판 독 판 독 간질집담회 (회의실) 판 독 15:00 외래 팽진철 소아신장집담회 (소아방사선과) 16:00 판 독 17:00 종양PET 집담회 (회의실:격주) 핵의학 기술학모임 (회의실) 18:00 2) 전공의 배치현황 1, 2년차가 핵의학임상에서 연차별 4개월을 영상의학과와 내과에 각 2개월씩 파견수련 받았다. 월 3, 4 5. 6, 7, 8 9, 10 11. 12, 1, 2 1 년차 내 과 핵의학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2 년차 핵의학과 영상의학과 핵의학과 핵의학과 3 년차 핵의학과 핵의학과 연 구 핵의학과 4 년차 핵의학과 핵의학과 핵의학과 5. 연구현황 물리ㆍ화학ㆍ종양ㆍ생물학ㆍ인지과학 등 기초-임상 연구 모임과 과내 및 타과와의 집담회를 열었다. 또한 모닝컨퍼런스 117회를 시행하였으며 요일별 문헌초독회, 흥미영상 등의 연구 모임을 열었다. 미래창조과학부 및 보건복지부, 교육과학기술부등의 여러 기관들의 연구과제를 수행하였고 연구 결과 47편의 국제학술지 논문과 8편의 국내학술지 논문을 발표하였다. 가. 국내학술지 주 연구논문 1. Prognostic Value of Metabolic Tumor Volume on (11)C-Methionine PET in Predicting Progression-Free Survival in High-Grade Glioma. Yoo MY, Paeng JC, Cheon GJ, Lee DS, Chung JK, Kim EE, Kang KW. Nucl Med Mol Imaging. 2015 Dec;49(4):291-7. PMID: 26550048 2. Comparison of Diagnostic Sensitivity and Quantitative Indices Between (68)Ga-DOTATOC PET/CT and (111)In-Pentetreotide SPECT/CT in Neuroendocrine Tumors: a Preliminary Report. Lee I, Paeng JC, Lee SJ, Shin CS, Jang JY, Cheon GJ, Lee DS, Chung JK, Kang KW. Nucl Med Mol Imaging. 2015 Dec;49(4):284-90. PMID: 26550047 3. Usefulness of (131)I-SPECT/CT and (18)F-FDG PET/CT in Evaluating Successful (131)I and Retinoic Acid Combined Therapy in a Patient with Metastatic Struma Ovarii. Seo HJ, Ryu YH, Lee I, Min HS, Kang KW, Lee DS, Lee DH, Chung JK. Nucl Med Mol Imaging. 2015 Mar;49(1):52-6. PMID: 25774238 4. Autoclustering of Non-small Cell Lung Carcinoma Subtypes on (18)F-FDG PET Using Texture Analysis: A Preliminary Result. Ha S, Choi H, Cheon GJ, Kang KW, Chung JK, Kim EE, Lee DS. Nucl Med Mol Imaging. 2014 Dec;48(4):278-86. PMID: 26396632 5. Message from the Editor-in-Chief. Lee DS. Nucl Med Mol Imaging. 2016 Mar;50(1):1-2. PMID: 26941853 6. Innovative Physics and Engineering Research in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A Message from the Associate Editor. Lee JS. Nucl Med Mol Imaging. 2015 Dec;49(4):249-50. PMID: 26550042 7. The Importance of Radiopharmaceutical Chemistry for the Development of Nuclear Medicine: a Message from the Associate Editor. Jeong JM. Nucl Med Mol Imaging. 2015 Sep;49(3):169. PMID: 26279688 8. Relations Between Pathological Markers and Radioiodine Scan and (18)F-FDG PET/CT Findings in Papillary Thyroid Cancer Patients With Recurrent Cervical Nodal Metastases. Lee JW, Min HS, Lee SM, Kwon HW, Chung JK. Nucl Med Mol Imaging. 2015 Jun;49(2):127-34. PMID: 26085858 나. 국내학술지 부 연구논문 다. 국제학술지 주 연구논문 1. Glycosylation of Sodium/Iodide Symporter (NIS) Regulates Its Membrane Translocation and Radioiodine Uptake Chung T, Youn H, Yeom CJ, Kang KW, Chung JK PLoS One. 2015 Nov 23;10(11):e0142984. PMID: 26599396 2. Hemodynamic Significance of Internal Carotid or Middle Cerebral Artery Stenosis Detected on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Seo HJ, Pagsisihan JR, Paeng JC, Choi SH, Cheon GJ, Chung JK, Lee DS, Kang KW. Yonsei Med J. 2015 Nov;56(6):1686-93. PMID: 26446655. 3. Total Lesion Glycolysis i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Can Predict Gefitinib Outcomes in Non-Small-Cell Lung Cancer with Activating EGFR Mutation. Keam B, Lee SJ, Kim TM, Paeng JC, Lee SH, Kim DW, Jeon YK, Chung DH, Kang KW, Chung JK, Heo DS. J Thorac Oncol. 2015 Aug;10(8):1189-94. PMID: 26200273 4. PET/CT-Based Dosimetry in 90Y-Microsphere Selective Internal Radiation Therapy: Single Cohort Comparison With Pretreatment Planning on (99m)Tc-MAA Imaging and Correlation With Treatment Efficacy. Song YS, Paeng JC, Kim HC, Chung JW, Cheon GJ, Chung JK, Lee DS, Kang KW. Medicine (Baltimore). 2015 Jun;94(23):e945. PMID: 26061323 5. Clinical Performance of Whole-Body 18F-FDG PET/Dixon-VIBE, T1-Weighted, and T2-Weighted MRI Protocol in Colorectal Cancer. Lee SJ, Seo HJ, Kang KW, Jeong SY, Yi NJ, Lee JM, Chung JK, Edmund Kim E, Paeng JC, Cheon GJ, Lee DS. Clin Nucl Med. 2015 Aug;40(8):e392-8. PMID: 26018689 6. Fluorescence-Raman dual modal endoscopic system for multiplexed molecular diagnostics. Jeong S, Kim YI, Kang H, Kim G, Cha MG, Chang H, Jung KO, Kim YH, Jun BH, Hwang do W, Lee YS, Youn H, Lee YS, Kang KW, Lee DS, Jeong DH. Sci Rep. 2015 Mar 30;5:9455. PMID: 25820115 7. Usefulness of MRI-assisted metabolic volumetric parameters provided by simultaneous (18)F-fluorocholine PET/MRI for primary prostate cancer characterization. Kim YI, Cheon GJ, Paeng JC, Cho JY, Kwak C, Kang KW, Chung JK, Kim EE, Lee DS.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5 Jul;42(8):1247-56. PMID: 25759164 8. Comparison of SPECT/CT and MRI in Diagnosing Symptomatic Lesions in Ankle and Foot Pain Patients: Diagnostic Performance and Relation to Lesion Type. Ha S, Hong SH, Paeng JC, Lee DY, Cheon GJ, Arya A, Chung JK, Lee DS, Kang KW. PLoS One. 2015 Feb 10;10(2):e0117583. PMID:25668182 9. Codon-optimized human sodium iodide symporter (opt-hNIS) as a sensitive reporter and efficient therapeutic gene. Kim YH, Youn H, Na J, Hong KJ, Kang KW, Lee DS, Chung JK. Theranostics. 2015 Jan 1;5(1):86-96. PMID:25553100 10. Prognostic value of SUVmean in oropharyngeal and hypopharyngeal cancers: comparison with SUVmax and other volumetric parameters of 18F-FDG PET. Pak K, Cheon GJ, Kang KW, Chung JK, Kim EE, Lee DS. Clin Nucl Med. 2015 Jan;40(1):9-13. PMID: 25423344 11. Serum thyroglobulin level after radioiodine therapy (Day 3) to predict successful ablation of thyroid remnant in postoperative thyroid cancer. Kim YI, Im HJ, Paeng JC, Cheon GJ, Kang KW, Lee DS, Joon Park D, Park YJ, Chung JK. Ann Nucl Med. 2015 Feb;29(2):184-9. PMID:25404419 12. 18F-fluorodeoxyglucose and ¹¹C-methionin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relation to methyl-guanine methyltransferase promoter methylation in high-grade gliomas. Choi H, Bang JI, Cheon GJ, Kim YH, Park CK, Park SH, Kang KW, Chung JK, Kim EE, Lee DS. Nucl Med Commun. 2015 Mar;36(3):211-8. PMID: 25340951 13. Prognostic value of volumetric parameters of (18)F-FDG PET in non-small-cell lung cancer: a meta-analysis. Im HJ, Pak K, Cheon GJ, Kang KW, Kim SJ, Kim IJ, Chung JK, Kim EE, Lee DS.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5 Feb;42(2):241-51. PMID: 25193652 14. Diagnostic values of thyroglobulin measurement in fine-needle aspiration of lymph nodes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Pak K, Suh S, Hong H, Cheon GJ, Hahn SK, Kang KW, Kim EE, Lee DS, Chung JK. Endocrine. 2015 May;49(1):70-7. PMID: 25185721 15. Update on nodal staging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with integrate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a meta-analysis. Pak K, Park S, Cheon GJ, Kang KW, Kim IJ, Lee DS, Kim EE, Chung JK. Ann Nucl Med. 2015 Jun;29(5):409-19. PMID: 25655120 16. A Novel hNIS/tdTomato Fusion Reporter for Visual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llular Localization of Sodium Iodide Symporter and Its Iodine Uptake Function Under Heat Shock Treatment. Yeom CJ, Chung T, Youn H, Kang KW, Lee DS, Chung JK. Mol Imaging. 2015;14. PMID: 25773964 17. 18F-FDG PET/CT in anti-LGI1 encephalitis: initial and follow-up findings. Park S, Choi H, Cheon GJ, Wook Kang K, Lee DS. Clin Nucl Med. 2015 Feb;40(2):156-8. PMID: 25140541 18. Lymph node imaging using novel simultaneous PET/MRI and dual-modality imaging agent. Ko GB, Lee JS, Yoon HS, Kim D, Kim KY, Lee MS, Yang BY, Jeong JM, Lee DS, Song IC, Kim SK. EJNMMI Phys. 2015 Dec;2(Suppl 1):A53. PMID: 26956312 19. MRI-Based Attenuation Correction for PET/MRI Using Multiphase Level-Set Method. An HJ, Seo S, Kang H, Choi H, Cheon GJ, Kim HJ, Lee DS, Song IC, Kim YK, Lee JS. J Nucl Med. 2016 Apr;57(4):587-93. PMID: 26697962 20. Performance characterization of high quantum efficiency metal package photomultiplier tubes for time-of-flight and high-resolution PET applications. Ko GB, Lee JS. Med Phys. 2015 Jan;42(1):510-20. PMID: 25563289 21. Clinical Outcome of Remnant Thyroid Ablation with Low Dose Radioiodine in Korean Patients with Low to Intermediate-risk Thyroid Cancer. Ha S, Oh SW, Kim YK, Koo do H, Jung YH, Yi KH, Chung JK. J Korean Med Sci. 2015 Jul;30(7):876-81. PMID: 26130949 22. Modified mRNA as an alternative to plasmid DNA (pDNA) for transcript replacement and vaccination therapy. Youn H, Chung JK. Expert Opin Biol Ther. 2015;15(9):1337-48. PMID: 26125492 23. Targeting BRG1 Chromatin Remodeler via Its Bromodomain for Enhanced Tumor Cell Radiosensitivity In Vitro and In Vivo. Kwon SJ, Lee SK, Na J, Lee SA, Lee HS, Park JH, Chung JK, Youn H, Kwon J. Mol Cancer Ther. 2015 Feb;14(2):597-607. PMID:25504753 24. Nuclear Molecular Imaging for Vulnerable Atherosclerotic Plaques. Lee SJ, Paeng JC. Korean J Radiol. 2015 Sep-Oct;16(5):955-66. PMID: 26357491 라. 국제학술지 부 연구논문 1. Correlation between (18)F-FDG uptake on PET/CT and prognostic factors in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Koo HR, Park JS, Kang KW, Han W, Park IA, Moon WK. Eur Radiol. 2015 Nov;25(11):3314-21. PMID: 25903708 2. The risk of second primary malignancy is increased in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patients with a cumulative (131) I dose over 37 GBq. Khang AR, Cho SW, Choi HS, Ahn HY, Yoo WS, Kim KW, Kang KW, Yi KH, Park do J, Lee DS, Chung JK, Cho BY, Park YJ. Clin Endocrinol (Oxf). 2015 Jul;83(1):117-23. PMID: 25115234 3. Evaluation of the novel near-infrared fluorescence tracers pullulan polymer nanogel and indocyanine green/γ-glutamic acid complex for sentinel lymph node navigation surgery in large animal models. Kong SH, Noh YW, Suh YS, Park HS, Lee HJ, Kang KW, Kim HC, Lim YT, Yang HK. (공저자) Gastric Cancer. 2015 Jan;18(1):55-64. PMID:24481855 4. Association between Information Provision and Decisional Conflict in Cancer Patients. Sim JA, Shin JS, Park SM, Chang YJ, Shin A, Noh DY, Han W, Yang HK, Lee HJ, Kim YW, Kim YT, Jeong SY, Yoon JH, Kim YJ, Heo DS, Kim TY, Oh DY, Wu HG, Kim HJ, Chie EK, Kang KW, Yun YH. Ann Oncol. 2015 Sep;26(9):1974-80. PMID: 26116430 5. A Short Review on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Park HR, Lee JM, Moon HE, Lee DS, Kim BN, Kim J, Kim DG, Paek SH. Exp Neurobiol. 2016 Feb;25(1):1-13. PMID: 26924928 6. Integrated whole body MR/PET: where are we? Yoo HJ, Lee JS, Lee JM. Korean J Radiol. 2015 Jan-Feb;16(1):32-49. PMID: 25598673 7. Gallium-68 neomannosylated human serum albumin-based PET/CT lymphoscintigraphy for sentinel lymph node mapping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Eo JS, Kim HK, Kim S, Lee YS, Jeong JM, Choi YH. Ann Surg Oncol. 2015 Feb;22(2):636-41. PMID:25155392 8. The Presence of Thyroid-Stimulation Blocking Antibody Prevents High Bone Turnover in Untreated Premenopausal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Cho SW, Bae JH, Noh GW, Kim YA, Moon MK, Park KU, Song J, Yi KH, Park DJ, Chung JK, Cho BY, Park YJ. PLoS One. 2015 Dec 9;10(12):e0144599. PMID: 26650844 9. Radioactive Iodine Therapy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Incidence and Recurrence of Subsequent Breast Cancer. Ahn HY, Min HS, Yeo Y, Ma SH, Hwang Y, An JH, Choi HS, Keam B, Im SA, Park do J, Park IA, Noh DY, Youn YK, Chung JK, Cho BY, Park SK, Park YJ. J Clin Endocrinol Metab. 2015 Sep;100(9):3486-93. PMID: 26147607 10. Pediatric patients with multifocal papillary thyroid cancer have higher recurrence rates than adult patient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a large pediatric thyroid cancer cohort over 33 years. Lee YA, Jung HW, Kim HY, Choi H, Kim HY, Hah JH, Park DJ, Chung JK, Yang SW, Shin CH, Park YJ. J Clin Endocrinol Metab. 2015 Apr;100(4):1619-29. PMID: 25632969 11. Interaction of tetraspan(in) TM4SF5 with CD44 promotes self-renewal and circulating capacities of hepatocarcinoma cells. Lee D, Na J, Ryu J, Kim HJ, Nam SH, Kang M, Jung JW, Lee MS, Song HE, Choi J, Lee GH, Kim TY, Chung JK, Park KH, Kim SH, Kim H, Seo H, Kim P, Youn H, Lee JW. Hepatology. 2015 Jun;61(6):1978-97. PMID: 25627085 12. PET/MR Imaging for Chest Diseases: Review of Initial Studies on Pulmonary Nodules and Lung Cancers. Yoon SH, Goo JM, Lee SM, Park CM, Cheon GJ. Magn Reson Imaging Clin N Am. 2015 May;23(2):245-59. PMID: 25952518 13. Prediction of microvascular invasion of hepatocellular carcinoma using gadoxetic acid-enhanced MR and (18)F-FDG PET/CT. Ahn SY, Lee JM, Joo I, Lee ES, Lee SJ, Cheon GJ, Han JK, Choi BI. Abdom Imaging. 2015 Apr;40(4):843-51. PMID: 25253426 14. Comparison of 4D CT, Ultrasonography, and 99mTc Sestamibi SPECT/CT in Localizing Single-Gland Primary Hyperparathyroidism. Suh YJ, Choi JY, Kim SJ, Chun IK, Yun TJ, Lee KE, Kim JH, Cheon GJ, Youn YK.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5 Mar;152(3):438-43. PMID: 25518904 15. 11C-Pittsburgh B PET imaging in cardiac amyloidosis. Lee SP, Lee ES, Choi H, Im HJ, Koh Y, Lee MH, Kwon JH, Paeng JC, Kim HK, Cheon GJ, Kim YJ, Kim I, Yoon SS, Seo JW, Sohn DW. JACC Cardiovasc Imaging. 2015 Jan;8(1):50-9. PMID: 25499132 16. Correlation of Asymmetry Indices Measured by Arterial Spin-Labeling MR Imaging and SPECT in Patients with Crossed Cerebellar Diaschisis. Kang KM, Sohn CH, Kim BS, Kim YI, Choi SH, Yun TJ, Kim JH, Park SW, Cheon GJ, Han MH. AJNR Am J Neuroradiol. 2015 Sep;36(9):1662-8. PMID: 26228883 17. STAT3-mediated IGF-2 secretion in the tumour microenvironment elicits innate resistance to anti-IGF-1R antibody. Lee JS, Kang JH, Boo HJ, Hwang SJ, Hong S, Lee SC, Park YJ, Chung TM, Youn H, Lee SM, Kim BJ, Chung JK, Chung Y, William WN Jr, Shin YK, Lee HJ, Oh SH, Lee HY. Nat Commun. 2015 Oct 14;6:8499. PMID: 26465273 18. Subdominant H60 antigen-specific CD8 T-cell response precedes dominant H4 antigen-specific response during the initial phase of allogenic skin graft rejection. Yoo KI, Jeon JY, Ryu SJ, Nam G, Youn H, Choi EY. Exp Mol Med. 2015 Feb 13;47:e140. PMID: 25676063 19. Thyroid disruption by triphenyl phosphate, an organophosphate flame retardant, in zebrafish (Danio rerio) embryos/larvae, and in GH3 and FRTL-5 cell lines. Kim S, Jung J, Lee I, Jung D, Youn H, Choi K. Aquat Toxicol. 2015 Mar;160:188-96. PMID: 25646720 20. Clinical Implication of Anti-Angiogenic Effect of Regorafenib in Metastatic Colorectal Cancer. Lim Y, Han SW, Yoon JH, Lee JM, Lee JM, Paeng JC, Won JK, Kang GH, Jeong SY, Park KJ, Lee KH, Kim JH, Kim TY. PLoS One. 2015 Dec 15;10(12):e0145004. PMID: 26671465 21. Comparison of perfusion and thickening between vein and right internal thoracic artery composite grafts from a randomized trial substudy. Hwang HY, Paeng JC, Oh HC, Kim YH, Kim KB. J Thorac Cardiovasc Surg. 2015 Nov;150(5):1187-94. PMID: 26383005 22. Pulmonary Nodule Detection in Patients with a Primary Malignancy Using Hybrid PET/MRI: Is There Value in Adding Contrast-Enhanced MR Imaging? Lee KH, Park CM, Lee SM, Lee JM, Cho JY, Paeng JC, Ahn SY, Goo JM. PLoS One. 2015 Jun 11;10(6):e0129660. PMID: 26065695 23. The role of molecular imaging in the evaluation of myocardial and peripheral angiogenesis. Stacy MR, Paeng JC, Sinusas AJ. Ann Nucl Med. 2015 Apr;29(3):217-23. PMID: 25750124 마. 단행본 발간 없음 6. 진료현황 가. 외래 환자수 신환 10명, 초진 417명, 재진 1,815명 합계 2,242명 나. 입원환자수 연인원 400명, 실인원 205명 다. 검사실적(자체통계) 검 사 실 명 검 사 건 수 영 상 검 사 실 27,725 P E T 검 사 실 13,808 검 체 검 사 실 701,584 방 사 성 치 료 실 924 계(Total) 744,041 7. 진료장비 및 시설 가. 주요 진료장비(시설) 번호 장비(시설)명 규격 및 모델 수량 1 PET-MRI Siemens Biograph mMR 1 2 PET-CT Siemens Biograph40, mCT40, mCT64 3 3 SPECT-CT GE Discovery NM/CT 670 2 4 Cyclotron GE Pet trace 10 1 5 Gamma camera Trionix, TRIAD XLT9 1 6 Gamma camera Philips CardioMD, Skylight 2 7 Gamma camera Siemens E-CAM 5 8 Gamma camera Philips Forte 1 9 Gamma camera Siemens Lem Plus 1 10 Gamma Counter Packard Cobra, Wallac 1470 4 11 자동방사면역측정기 Hoil, RIA-mat 280 1 12 Autosampler Hamilton Microlab, Tecan Freedom 2 13 F-18 FDG 생산시설 암병원 1층 종양핵의학검사실 14 방사성옥소치료병실 갑상선센터 별관병동 3331(1인실), 3332(1인실), 3333(2인실)
2021년도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학습조직 활동 결과 2021 년도 수상 학습조직 팀명 대상 간호사 교육 로드맵 및 교육 자료를 확인할 수 있는 교육 플랫폼 개발로 간호실무역량 강화 외과간호과 금상 중환자실 의료진 대상 임종기 환자 돌봄 지원 영상 제작 조직문화팀 은상 어린이병원 의료기기 학습 동영상 제작 소아간호과 동상 병동 내 응급상황대응 시스템 구축 및 매뉴얼 개발 특수간호과 62병동 동상 재사용 의료기구 처리에 관한 전문 지식 함양과 업무 표준화 중앙공급팀 동상 신규간호사 대상의 간호 HIS 업무 매뉴얼 정비 및 업데이트 간호정보위원회 포스터 우수 Study상 소아정신과 치료 프로그램 매뉴얼, 환아 증상별 중재 프로토콜, 행동수정요법 자료 등 체계화 소아간호과 7A병동 포스터 우수 Study상 접점부서별 다빈도 질문에 대처하기 위한 표준응대 매뉴얼 개발 및 정비 건강증진센터
2021년도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SPIRIT 활동 결과 2021 년도 수상 SPIRIT활동 팀명 대상 비대면 면회 표준화 및 중환자실 사전 안내 등을 통한 중환자실 환자경험 향상 활동 특수간호과 , 소아간호과 , 응급간호팀 금상 CICARE 소통으로 내 ㆍ 외부 고객만족을 위한 메타 CS( 환자경험 ) 시스템 구축 내과간호과 , 외과간호과 , 특수간호과 , 환자안전관리팀 은상 어린이병원의 항암제 및 핵심주요약물의 올바른 환자확인 활동 소아간호과 은상 병동 외 구역 CPR 대응 프로토콜 구축 및 적용 특수간호과 , 외래간호팀 , 암간호과 , 긴급대응팀 동상 수술기구의 멸균확인 프로세스 및 환경 개선을 통한 감염관리 강화 활동 수술간호과 , 중앙공급팀 동상 정확한 검사의뢰서 작성과 오더를 통한 병리검사 관리 체계 강화 및 환자안전 향상 활동 정보개발팀 동상 중환자 자세변경 및 이송시 안전활동 응급중환자실 혁신상 인공지능 (AI) 시스템을 활용한 낙상 위험 요인 예측모델 개발 QPS 팀 미래상 수술 후 체내 이물질 잔류 방지를 위한 활동 수술간호과 , QPS 팀 포스터 우수상 외래 환자의 환자경험 개선 활동 외래간호팀 , CS 팀 포스터 우수상 소방안전법 준수 중심 화재예방 활동으로 병원 안전 향상 환자안전관리팀 포스터 우수상 All clear! HD catheter Safety 소아청소년콩팥센터 포스터 장려상 당신과 함께 합니다 암간호과 포스터 장려상 내과 HIS 처방시스템 구축을 통한 환자안전 향상 활동 내과간호과 포스터 장려상 청소호출시스템을 적용한 수술실 업무효율성 향상 수술간호과 , 환자안전관리팀 포스터 장려상 환자경험향상을 위한 입퇴원 프로세스 개선 입원의학행정팀 , CS 팀 포스터 장려상 PET 검사 취소사유에 대한 분석과 대응방안 종양핵의학검사실 , 정보개발팀 포스터 장려상 병원 입원환자 가정용 인공호흡기의 안전 관리 소아간호과
Capecitabine 투약 후 발생한 수족증후군 사례 [ 증례 #8 ] 증례8 정보 78세/남자 병력 담낭암 과거력 미상 진찰 및 검사소견 [임상 양상] *손바닥, 발바닥의 대칭적인 작열감을 주증상으로 하는 감각이상이 전구 증상으로 나타나며, 이 후 손바닥, 발바닥에 대칭적으로 분포하는 경계가 명확한 동통을 동반한 홍반성 병변, 부종 발생 *홍반은 점차 색이 진해지거나 보라색으로 변하게 되며 주변으로 확장되어 손바닥 전체를 침범 *수족 증후군이 발생한 후 수일 이내에 원인 약제를 중단하게 되면 피부 증상은 호전되나 원인 약제를 지속적으로 투여하는 경우에는 피부가 탈락하고 갈라지며, 수포가 생겨 2차 감염으로 악화 [병변 부위] 손바닥에서 가장 빈번하고 심하며 발바닥에서도 자주 발병 [조직학적 소견] -표피:기저층의 공포변성(vacuolar degeneration), 세포크기 증가(cellular enlargement), 해면증(spongiosis), 중등도의 림프구 외포작용(lymphocyte exocytosis), 과각화증(hyperkeratosis) -진피: 중등도의 혈관주위 림프구 침윤(perivascular lymphocyte infiltration) 조치 용량 감량 , 투여 간격 늘린 후 증상 완화되었다 . 경과 Gallbladder cancer 로 인해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시행하였다 . 재발위험경감 목적으로 postop Capecitabine #1 1900 mg bid 시작하였다 . (3 주 간격 반복 투여 (14 일 복용 , 7 일 휴약 ) ) Capecitabine #2 1900 mg bid 14 일 후 Hand-foot syndrome (HFS) 의심 증상 ( 손발물집 ) 발현되었다 . HFS 로 인해 Capecitabine #3 1600 mg bid 로 감량하였다 . HFS 로 인해 7 일간 더 휴약하고 Capecitabine #4 1600 mg bid 유지하였다 . HFS 호전 , Capecitabine #5 1600 mg bid 손 갈라짐 증상 발현됨 , Capecitabine #6 1600 mg bid HFS, Capecitabine #7 1600 mg bid HFS, Capecitabine #8 1600 mg bid 약 종료 후 증상 호전되었다 . 유해반응 평가 카페시타빈 첫번째 사이클로 복용을 시작하고 나서 , 약 30 일 후에 손발물집으로 수족증후군이 발생한 것으로 보아 약물복용 시점과 인과성이 성립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또한 수족증후군 발현으로 인해 3 번째 사이클부터 1600mg bid 로 용량 감량하였고 , 수족증후군 증상 지속되어 4 번째 사이클 시작 전 1 주일간 휴약기간을 더 가지고 난 후 HFS 호전 증상 보보였다 . 하지만 5 번째 사이클을 시작하고 난 후 손갈라짐이 발생하였고 8 번째 사이클 까지 모두 수족증후군 증상이 다시 발생한 것으로 보아 재투여 후 증상이 재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마지막 여덟번째 사이클로 카페시타빈 투여가 끝나고 난 후 증상이 호전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카페시타빈 투약으로 인한 수족증후군은 10% 이상으로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이상반응이다 . Capecitabine 투약 후 나타난 이상반응으로 약물투여시점과 관련이 있으며 투약을 미루고 난 후와 투여가 모두 끝난 후 증상이 호전된 것으로 보아 원인약제에 의한 약물이상반응 가능성이 높다 . 따라서 Certain 으로 인과성 관계가 높게 평가 하였다 . 평가의견 1. Capecitabine #1 시작 30 일 후 수족증후군 의심 증상 ( 손발물집 ) 발생 ⇒ 약물 복용 시점과 인과성 성립 2. Capecitabine #3 1600 mg bid 로 감량 & Capecitabine #4 는 1 주 휴약 후 HFS 호전 ⇒ 용량 감량 , 투여 간격 늘린 후 증상 완화 3. Capecitabine #5 투여 후 손갈라짐 증상 발생 ⇒ 재투여 후 증상 재발 4. Capecitabine #8 투여 끝난 후 증상 호전 ⇒ 투여 종료 후 증상 완화 5. Capecitabine 복용으로 인한 수족증후군은 매우 흔하게 (10% 이상 ) 발생 향후조치 1 . 현재까지 수족증후군을 관리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원인이 되는 약물을 중단하거나 감량하거나 투약 사이 간격을 연장하는 방법이다. 대부분 투여를 중단하면 1~2 주 내에 호전되지만 약물 투여를 시작하면 재발할 수 있다. 2. Capecitabine 에 인한 수족증후군을 2~3 등급 경험한 13 명에서 urea 를 하루 2 번 국소적으로 사용한 결과 2~3 일 이내 통증과 박리가 좋아지기 시작했고 , 모든 환자가 항암치료의 중단이나 연기 없이 치료를 끝냈다. 3. 국소 또는 전신적 스테로이드제제 사용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보고가 있지만 장기간 사용시 피부를 얇게 하고 증상 더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4. 보습크림과 연고를 정규적으로 적용하는 등 대증적인 치료법만으로도 진행경과 완화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5. 대증적인 치료로 손과 발에 냉찜질을 적용하면 증상의 심각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 : 혈관수축과 말초에서의 약제의 순환을 최소화한다고 추정한다. 6. 상처가 건조되지 않도록 생리식염수 적신 거즈를 대거나 상처에서의 삼출물이 흡수되도록 드레싱 , 2 차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항생제 사용한다. 유해반응 정보 [ 중증이면서 자주 일어나는 부작용 ] • 수족증후군 (54%~63%) • 위장관계 장애 ( 특히 설사 , 구역 , 구토 , 복통 , 구내염 ) • 혈액학적 장애 • 피로 , 무력감 • 식욕부진 • 심장독성 • 피부염 • Hyperbilirubinemia [ 수족증후군 ] Clinical trial Grade Clinical domain Functional domain Grade 1 무감각 , 감각장애 / 지각이상 , 따끔거림 , 무통성 또는 동통성 부종 , 홍반 환자의 정상 활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불편함 Grade 2 동통성 홍반을 수반하는 손 및 / 불편을 초래하여 환자의 일상활동에 영향을 미침 Grade 3 손 및 / 또는 발에 습윤성 박리 , 궤양 , 수포 및 환자에게 심한 불편을 초래하여 참고문헌 1. 약학정보원 2. Micromedex 3. 서울대병원 HIS 4. Capecitabine 사용 후 발생한 수족 증후군 2 예 / 최종원 , 허창훈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피부과 / 대한피부과학회지 2005;43(7):965-968 5. Capecitabine(Xeloda®) 사용 후 발생한 수족 증후군 1 예 / 이혜인 외 5 명 /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6. Capecitabine 복용 환자의 수족증후군 발생에 관한 연구 /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임상간호학과 / 옥오남 7. 카페시타빈 복용 중인 대장암 환자의 발 통증 : 수족증후군과 통풍의 감별 / Asian Oncol Nurs Vol. 14 No. 1, 1-6/ 울산대학교 임상전문간호학 / 박정윤 8. 대장암환자에서 Capecitabine(Xeloda) 단독요법에 의한 수족증후군 / 박순도 외 4 명 /J Korean Soc Coloproctol: Vol. 25, No. 4, 227-33, 2009 /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9. Pendharkar, D. & Goyal, H. (2004, July). Novel and effective management of capecitabine induced hand foot syndrome.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annual meeting, 22, 14S. 10. Zimmerman, G. C., Keeling, J. H., Lowry, M., Medina, J., Vonhoff, D. D., & Burris, H. A. (1994). Prevention of docetaxel-induced erythrodysesthesia with local hypothermia.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86, 557 – 558. 11. Molpus, K. L., Anderson, L. B., Craig, C. L., & Puleo, J. G. (2004). The effect of regional cooling on toxicity associated with intravenous infusion of pegylated liposomal doxorubicin in recurrent ovarian carcinoma. Gynecologic Oncology, 93, 513 – 516. 12. Gordon et al., 1995; Komamura et al., 1995; Vakalis, Loannides, Lazaridou, Mattheou-Vakali, & Teknetzis, 1998 13. Brown, Burck, Black, & Collins, 1991; Hellier, Bessis, Sotto, Margueritte, & Guilhou, 1996; Titgan, 1997; Hoff, Valero, Ibrahim, Willey, & Hortobagyi, 1998 14. Lassere, Y. & Hoff, P. (2004). Management of hand – foot syndrome in patients treated with capecitabine (XELODA).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8, S31 – S40 15. Nagore, E., Insa, A., & Sanmartin, O. (2000). Antineoplastic therapy-induced palmar plantar erythrodysesthesia (‘hand-foot’) syndrome: Incidence, recognition and management.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Dermatology, 1(4), 225 – 234. 16. Gerbrecht, B. M. (2003). Current Canadian Experience With Capecitabine. Cancer Nursing, 26(2), 161-167. 17. Chin, S. F., Tchen, N., Oza, A. M. Moore, M. J., Warr, D., & Siu, L. L. (2001, May). Use of ‘Bag Balm’ as topical treatment of palmar-plantar erythrodysesthesia syndrome (PPES) in patients receiving selected chemotherapeutic agent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Clinical Oncology, San Francisco, CA. 1632. 18. Milano G, Etienne-Grimaldi MC, Mari M, Lassalle S, Formento JL, Francoual M, et al. Candidate mechanisms for capecitabine-related hand-foot syndrome. Br J Clin Pharmacol 2008;66:88-95 19. Yen-Revollo JL, Goldberg RM, McLeod HL. Can inhibiting dihydropyrimidine dehydrogenase limit hand-foot syndrome caused by fluoropyrimidines? Clin Cancer Res 2008;14:8-13. 20. Lassere Y, Hoff P. Management of hand-foot syndrome in patients treated with capecitabine (Xeloda). Eur J Oncol Nurs 2004;8 (Suppl 1):S31-40. 21. Fitzpatrick, J. E. (1993). The cutaneous histopathology of chemotherapeutic reactions. Journal of Cutaneous Pathology, 20, 1-14. 22. Narasimhan P, Narasimhan S, Hitti IF, Rachita M. Serious hand-andfoot syndrome in black patients treated with capecitabine: report of 3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Cutis 2004;73:101-6. 23. Nagore, Eduardo, Unsa, Amelia, Sanmatrin, Onofre. Anti-neoplastic therapy-induced palmar plantar erythrodysesthesia(‘hand-foot) syndrome. Incidence, recognition and management. Am J Clin Dermatol 2000;1:225-234 24. Beard JS, Smith KJ, Skelton HG. Combination chemo-therapy with 5-fluorouracil, folinic acid, and alpha- interferon producing histologic features of gaft-versus-host disease. J Am Acad Dermatol 1993;29:325-330 25. Scheithauer W , McKendrick J, Begbie S, Borner M, Burns WI, Burris HA, et al. Oral capecitabine as an alternative to i.v. 5-fluorouracil-based adjuvant therapy for colon cancer: safety results of a randomized, phase III trial. Ann Oncol 2003;14:1735-43. 26. Young Seol Heo, Heung Moon Chang, Tae Won Kim, Min-Hee Ryu, Jin-Hee Ahn, Sung Bae Ki,. Et al. Hand-foot syndrome in patients treated with capecitabine-containing combination chemotherapy. J Clin Pharmacol 2004;44:1166-1172 Capecitabine-Induced Hand-Foot Syndrome Complicated by Pseudomonal Superinfection Resulting in Bacterial Sepsis and Death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Fridolin J. Hoesly, MD; Sarah G. Baker, MD; Nilanthi D. Gunawardane, MD; et alJonathan A. Cotliar, MD Article Information Arch Dermatol. 2011;147(12):1418-1423. doi:10.1001/archdermatol.2011.320 Blum, J. L., Smith, S. E., Buzbar, A. U., LoRusso, P. M., Kuter, I., Vogel, C., Osterwalder, B., Burger, H. U., Brown, C. S., & Griffin, T. (1999). Multicenter phase II study of capecitabine in paclitaxel-refractory metastatic breast cancer.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7(2), 485 – 493 29. Management of hand-foot syndrome induced by capecitabine/J Oncol Pharm Practice (2006) 12: 131-141/Sarah M Gressett, Brad L Stanford, Fred Hardwicke 30. Lassere Y, Hoff P. Management of hand-foot syndrome in patients treated with capecitabine (Xeloda). Eur J Oncol Nursing 2004; 8: S31-40 31. Abushullaih S, Saad ED, Munsell M, et al. Incidence and severity of hand-foot syndrome in colorectal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capecitabine: a single-institution experience. Cancer Invest 2002; 20: 3-10. 32. Heo YS, Chang HM, Kim TW, et al. Hand-foot syndrome in patients treated with capecitabine-containing combination chemotherapy. J Clin Pharmacol 2004; 44: 1166-72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