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전립선암센터
서울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는 1946년 국내 최초로 개설된 이래, 다양한 비뇨기 질환에 대해 국내 최고 수준의 진료와 연구를 지속해왔습니다. 1983년 암연구소 개설, 2000년 암연구동 완공, 2011년 암병원 개원을 거치며 비뇨기암 분야에서 국내 최다 진료 경험과 연구 성과를 축적하였습니다. 특히 복잡성, 진행성, 전이성 비뇨기암에 대해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다학제 진료 체계를 확립하였습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 Newsweek가 발표한 세계 병원 순위에서 서울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는 세계 2위를 차지 하였으며, 이는 우리 기관이 비뇨의학 분야에서 전 세계를 선도하는 최고 수준의 의료 및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환자친화형∙환자맞춤형 진료시스템 비뇨기암의 진단과 치료의 과정은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비뇨암센터는 상담간호사제도를 운영하고 있어 진료 절차의 어려움 및 병원 방문에서 퇴원까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수술 후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할 때는 가능한 당일 필요한 과의 진료를 통합해서 받으실 수 있도록 하여 여러 번 병원을 방문하실 수고를 덜어드리려고 노력합니다. 최상급 의료진의 통합진료 비뇨암센터는 비뇨기과, 혈액종양내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병리학과, 핵의학과 의료진간의 유기적 협력으로 다각적인 방면으로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치료방침을 논의하며, 주 1회 각과 교수진과 전담간호사가 한자리에 모여서 환자와 대면하는 ‘FIRST 협력진료’를 시행하여 환자중심의 맞춤형 통합진료를 제공합니다. 세계적 연구중심병원 연간 수십 건의 국책 및 민간 연구 및 연구논문 발표 등의 연구활동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면역치료 및 항암치료 신약 국제 다기관 임상시험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비뇨암센터의 이러한 국제 다기관 임상시험에 참여로 다양한 환자들에게 신약 사용의 기회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첨단 기술을 활용한 의료서비스 로봇수술은 넓고 입체적인 시야 확보 및 정교한 수술이 가능하여, 수술효과는 향상시키면서 후유증과 합병증은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암병원 비뇨암센터는 이러한 로봇수술을 전립선암, 신장암, 방광암수술 및 다양한 수술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의료진, 표준화된 첨단치료 비뇨암센터는 전립선암, 신장암, 방광암, 고환암, 음경암 등 다양한 비뇨기과 종양에 대해서도 지난 수십년간 꾸준히 많은 수술을 시행하여 왔으며, 오래 축적된 노하우 및 뛰어난 수술결과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내시경, 복강경, 단일 복강경, 로봇수술 등 다양한 수술방법을 도입 적용하고 있으며, 국내 최초로 신장암에 대한 단일절개복강경 근치적신적출술을 시행하였으며, 세계 최초로 소아에서의 단일절개복강경 신적출술을 시행하였습니다. 이런 오랜 기간 축적된 암 치료 경험으로 의료의 질과 환자 안전을 향상시킵니다. 주요암 수술 현황 대부분의 비뇨기암 환자에게 암유전자패널(First Cancer Panel)과 Syapse system을 이용하여 정밀의료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전립선암의 경우 연 560여건의 전립선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94.8%는 로봇수술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최신 골반신경 모니터링 기기와 골반저온 수술 요법을 적용하여 발기기능 보존 및 요실금 예방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방광암의 경우 연 1,000건의 방광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연 90여건의 근치적 방광적출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62.6%는 로봇수술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인조방광의 비율이 79.4%, 요루의 비율이 20.6%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부분 방광 절제술은 9.6%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신장암의 경우 연 400건의 신장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신장암 1기 1a (<4cm)의 경우 90.6%, 1b (<7cm)의 경우 74.5%로 높은 비율로 부분신장절제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부분절제가 어려운 2기에서도 37.5%, 3기의 경우에서도 14.3%로 부분절제술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전이신장암은 약 280여명 정도 등록하여 추적 관찰하고 있으며, 세포감축 신장절제술은 연 20건 정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암병원 > 진료예약 > 진료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