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18774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바로가기 (54)
의료진 (1224)
  • 박태근( 朴台根 / Taekeun Park ) [혈액종양내과(종양)]

    세부전공폐암,비뇨기계암,육종,흑색종,피부암,대장암 (결장암, 직장암),임상시험,맞춤치료,

    혈액종양내과(종양)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 내과
    예약센터 1588-5700
  • 조수환( 趙秀桓 / Cho, Suhwan ) [가정의학과]

    세부전공암경험자 건강관리,만성질환 관리,비만,건강증진,

    건강증진, 만성질환관리, 비만, 암경험자 건강관리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 가정의학과
  • 황인영( 黃仁英 / IN YOUNG HWANG ) [가정의학과]

    세부전공건강증진,성인 예방접종,가정의학,

    가정의학, 만성질환관리, 생활습관, 비만, 성인 예방접종, 건강증진, 건강노화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 가정의학과
  • 황서은( 黃恕恩 / HWANG, Seo Eun ) [가정의학과]

    세부전공건강증진,만성질환관리,대사증후군,비만,생활습관,암경험자 건강관리,

    건강증진, 만성질환관리, 비만, 영양, 암경험자 건강관리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 가정의학과
진료과/센터/클리닉 (427)
해외여행자클리닉

서울대학교병원 국제진료센터 내 해외여행자 클리닉을 안내드립니다. ○ 해외 유학, 연수, 출장, 관광, 우주여행 예정자, 각종 외국 검진 수검자, 출국 예정인 사람과 외국기관에서 일하는 사람, 그리고 재외국민을 위한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여행 중 발생하는 각종 사고나 질병, 시차 부적응, 멀미, 알레르기 악화, 압력손상에 의한 고막 및 부비동 통증, 고산병 예방약, 필수 예방접종 초단기 과정, 우주여행객 선별검사 등 다양한 상담이 가능합니다. ○ 특히, 해외 유학, 연수 또는 출장 시 영문진단서나 예방접종증명서가 필수적입니다. 현지에서 일정 기간 체류 하려면 신체검사 및 병력확인서 또는 결핵, 성병을 포함한 필수 검사결과와 예방접종증명서가 요구될 수 있습니다. ○ 기저 질환이 있다면 출국 이전에 영문처방전, 상비약 사전 준비가 권장됩니다. ○ 기내 위약 승객으로 분류된다면 비행기 탑승 전에 비행 적합여부(FIT TO FLY)와 의료정보양식(MEDIF) 등의 제반 서류가 필요합니다. <영문서류발급 관련 진료의 범위> 1. 해외유학, 연수, 출장 신체검사 및 영문증명서 - 항체검사결과서, 예방접종증명서 - 흉부방사선 판독결과서, IGRA 결핵검사결과서, 결핵피부반응검사결과서 - G6PD 검사결과서 - 여행 전 예방접종 시행 및 증명서 - 기저질환 및 특수 지역 여행자에 대한 약물(상비약) 처방 - 영문처방전 2. 국내 국제학교, 외국계 기업/기관 제출용 영문 신체검사 증명서 <국제진료센터 내 원격진료> 외국으로 나가서 일정기간 체류할 예정인 우리 국민은 출국 전 국제진료센터 내 여행자 클리닉에서 초진을 받고, 이후에는 현지에서 원격진료가 가능합니다. 또한, 귀국하여서도 다양한 형태로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가능합니다. 우리나라 재외국민은 현지에서 원격 진료가 가능하며, 이후 병원 진료로도 연계가 가능하니 관련 사항에 대해 문의 바랍니다. <진료 전 준비사항> 클리닉 예약 및 내원 전에 여행 일정, 필수검사 항목, 예방접종, 건강증명 서식을 미리 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 건강 검진 기록이나 처방전, 예방접종기록이 있다면 함께 가지고 오십시오.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0% 2025.08.07
무지개 클리닉

따뜻하고 실력 있는 의사, 존중의 공간, 평생 동반자 (Warm & Expert Clinician, Respectful Space, Lifelong Partnership) 무지개클리닉은 성별 확정 호르몬 요법(GAHT)을 제공하여 트랜스젠더가 에스트로겐 또는 테스토스테론을 사용해 신체를 성별 정체성과 일치시킬 수 있도록 돕고, 기분과 일상생활을 개선합니다. 의사는 치료 시작 전 기초 건강 검진을 시행하고, 변화가 서서히 진행되며 일부는 비가역적이므로 몇 달마다 호르몬 수치를 점검해 안전을 최우선으로 관리합니다. 진료는 가임력 상담, 정기 검진, 심혈관·혈전 위험 관리, 정신건강까지 포괄합니다. Rainbow Clinic offers gender-affirming hormone therapy (GAHT), allowing transgender people to take estrogen or testosterone so their bodies match their identities—often improving mood and quality of daily life. Our physicians conduct baseline health assessments and monitor hormone levels every few months, prioritizing safety, as changes are gradual and some effects are irreversible. We provide comprehensive care, including fertility counseling, routine health screenings, cardiovascular and thrombotic risk management, and mental health support. 25년 이상 경험의 가정의학과 전문의, 국내·외 환자 맞춤 근거 기반 호르몬 프로토콜, 신속 검사 및 추적 관리, 진료 의뢰 불필요 * Board-certified family medicine specialist with over 25 years GAHT experience * Evidence-based hormone protocols tailored for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patients * Fast-track lab testing and follow-up care * No referral needed * Hormone care is available for patients aged 18 and older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0% 2025.07.30
암정보교육센터

암병원 > 진료예약 > 진료센터
정확도 : 0% 2025.06.30
건강정보 (3109)
질환정보 (77)

1)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구취 구취는 주로 구강내에 존재하는 혐기성 그람 음성 세균에 의해 음식물 찌꺼기, 떨어져 나온 구강점막의 상피세포, 타액(침), 혈액 등과 같은 단백질이 분해되어 발생하는 휘발성 황 화합물에 의해 주로 유발됩니다. 구취는 개인차가 있기는 하지만 누구나 생길 수 있으며 정상적으로 구취가 발생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 아침 기상시; 수면 중에는 타액분비가 적어지므로 침에 의한 자정작용도 떨어지고 구강점막이 건조해지면서 표피가 벗겨져 부패하기 때문입니다. 나) 긴장하는 경우; 긴장하면 침이 바삭바삭 마르고 입에서 냄새가 납니다. 침은 입안을 깨끗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데 심하게 긴장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타액분비가 적어져 냄새가 나게 됩니다. 다) 생리나 임신 중; 생리나 임신 중에는 호르몬의 변화로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라) 노인; 노인이 되면 입안의 유산균이 적어져 입냄새가 나기도 합니다. 마) 폐로 배출되는 약물이나 특정 음식물의 섭취하는 경우 입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2) 질환에 의한 입냄새 입냄새의 약 90%는 구강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구강에서 나는 입냄새는 청결하지 못한 구강상태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가) 설태; 입냄새의 원인 중 가장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양치가 어려운 혀의 뒤쪽에 혐기성 세균들이 축적됨에 따라 냄새가 발생됩니다. 나) 치과적 질환; 만성치은염, 치주염, 심한 충치, 불량한 보철물, 사랑니 주위의 염증 등의 치과적 질병이 원인이 됩니다. 다) 비치과적 질환 - 축농증과 편도선염 - 폐결핵이나 만성 기관지염,폐농양등 폐 기관지염이 있을 때 - 간경변증, 당뇨병, 신부전증, 위장병 등 내과적 질병 3) 자가구취증 다른 사람들은 느끼지 못하는데도 자신에게 입냄새가 난다고 느끼고 두려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증세를 자가 구취증이라 합니다. 결벽성이 강한 사람에게서 많이 나타나며 최근에는 사회적 스트레스에 의해 그 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병원에 와서 자신의 입냄새를 진단을 통해 객관화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1) 입에서 나는 악취는 주로 불량한 구강위생, 치은염 및 치주염, 충치, 불량수복물 등이므로, 원인에 해당하는 치과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특히 충치와 불량수복물은 치태와 음식물 찌꺼기를 저류시키므로 충치치료와 수복물의 재치료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정확한 칫솔질을 하여 잔류되어 있는 치태와 음식물 찌꺼기가 없도록 잇몸과 혀를 청결하게 유지시킵니다. 식사후 3분 이내에 3분 동안(1일 3회) 철저히 시행하십시요. 3)고령층에 있어서는 설탕이 포함되지 않는 정제나 신맛이 많은 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타액의 유출량을 증가시켜 입냄새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4) 이 외 내과적 질환의 진단이나 정신적 요인들을 분석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 > 의학정보실 > 종합질병정보
정확도 : 0% 2017.07.28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가장 흔한 신경병증으로 하지 절단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지속되는 고혈당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현재까지 가장 확실한 치료 방법은 철저한 혈당 조절입니다. 내과 이홍규 김성연 박경수 신찬수 조영민 신경과 이광우 성정준 대부분 갑자기 시작하며 특정신경을 침범하며 저절로 호전되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혈행 장애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한 개의 신경만 침범할 수도 있고 다발적으로 여러 신경을 침범할 수도 있습니다. 머리 신경병증은 노인에서 흔히 발견되는데 3번 머리 신경이 가장 흔히 침범됩니다. 안구 운동장애와 두통, 안구 주위나 뒤쪽에 통증을 호소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통증의 강도가 약해지고 정상 기능을 회복합니다. 흉부 신경근병증은 피부 분절을 따라 통증과 피부 감각 소실을 호소하는데 통증이 심하면 심근경색증이나 담낭염, 충수돌기염으로 오인될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6~24개월 이내에 저절로 증상이 호전됩니다. 다발성 신경근병증은 엉덩이로부터 허벅지의 앞쪽과 옆으로 통증이 뻗치고 무릎을 구부리거나 펴는 힘이 약해집니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다발성 신경병증을 동반하며 보통 완전히 회복되지만 일부 환자는 증상이 수년간 지속하거나 재발하기도 합니다. 당뇨병성 신경병증 중 가장 흔한 형태로 감각이 떨어지거나 이상감각이 생겨 저린 증상이나 가벼운 접촉으로도 심한 통증(화끈거림, 쑤심, 찢어지는 통증)을 느끼고 근육의 약화로 운동 능력의 상실이 일어납니다. 대부분 밤에 증상이 심해 잠을 설치기도 합니다. 운동근육의 약화는 대부분 손이나 발의 작은 근육 위축으로 나타납니다. 감각소실이나 이상은 다른 대사성 신경병증과 마찬가지로 사지의 원위부(손끝이나 발끝)에서 가장 먼저 시작하여 위쪽 방향으로 진행합니다. 치료는 철저한 혈당조절과 발관리입니다.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약물치료를 고려할 수 있으나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약물에 반응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족부 궤양과 다른 족부 문제가 당뇨병 환자의 유병율, 치사율, 장애의 주 원인입니다. 발의 감각장애와 같은 신경병증, 동반된 혈관질환으로 인한 허혈증상, 작은 손상 후 피부궤양 및 상처 치유 실패는 당뇨병 환자에서 하지 절단의 주요 이유가 됩니다. 한쪽 다리에 절단이 일어나면 다른 한 쪽의 다리의 예후도 불량합니다. 세심한 주의와 관리를 통해 족부 궤양을 예방하고 치유시킬 수 있어 절단율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들은 적절한 발관리에 대해 교육받고 이를 이행해야 합니다. 발의 위생에 항상 신경 쓰고 발의 압력을 고려한 적합한 신발을 신고 발의 외상을 피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문제가 생겼을 때는 담당의와 상의해야 하며 금연은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 의학정보실 > 종합질병정보
정확도 : 0% 2017.07.28

당뇨병성 신증은 미세혈관 합병증 중 가장 나중에 나타나지만 결국 만성 신부전증으로 투석치료나 신장이식을 받아야만 됩니다.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증의 3대 원인 중 하나로 되어 있으며 당뇨병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새로 투석을 받는 환자의 약 1/3~1/2은 당뇨병성 신증에 의한 신부전증이며 당뇨병이 있는 경우 투석 중 사망률이 당뇨병이 없는 경우에 비해 50%이상 높기 때문에 당뇨병성 신증의 예방 및 치료가 더욱 중요합니다. 당뇨병성 신증의 초기 소견은 소변에 미량의 알부민이 빠져나가는 미세 알부민뇨 단계입니다. 제 1형 당뇨병에서 미세 알부민뇨의 출현은 다음 단계의 신증으로 진행하는 가장 확실한 예측 방법이며, 제2형 당뇨병에서도 다른 인자들이 작용하지만 역시 단백뇨 전 단계로 미세알부민뇨가 나타납니다. 또한 미세 알부민뇨는 당뇨병의 대혈관 합병증을 예측케 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미세 알부민뇨 측정시 주의하여야 할 점은 정상적으로 소변내 알부민 배설이 증가하는 조건(운동, 다량의 단백질 섭취, 발열, 고혈압, 혈뇨, 질분비물 오염, 요로감염증, 조절되지 않는 고혈당)을 먼저 배제하여야 신증의 진행 예측지표로서의 가치가 있습니다. 미세알부민뇨는 14세 이하나 제 1형 당뇨병이 생긴지 5년 미만인 경우에는 잘 생기지 않습니다. 따라서 미세 알부민뇨의 선별검사 대상은 제 1형 당뇨병이 생긴지 5년 이상된 사춘기 이후의 환자나 새로이 진단된 제 2형 당뇨병 환자입니다. 고혈압이 생기거나 혈중 크레아티닌이 증가하면 더 자주 검사합니다. 당뇨병성 신증으로 진단되면 적극적인 생활습관의 교정과 관리가 이뤄져야 합니다. 1) 일차적으로 혈당을 정상에 가깝게 조절함으로써 미세알부민뇨의 빈도를 줄이고 신장질환의 진행 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2) 단백질 섭취를 제한함으로써 신증의 진행을 지연시킬 것으로 추측되나 심한 단백질 섭취제한은 영 양결핍과 영양 불균형으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를 복용 중인 환자는 하루 1.0g/kg, 복용 중이지 않은 환자는 하루 0.6g/kg 정도의 단백질 섭취제한이 권장됩니다. 3) 고혈압이나 부종이 있는 신증의 경우 저염식을 합니다. 4) 고혈압이 있는 경우 철저히 관리하며 120/75mmHg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나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를 고려합니다. 6) 요로감염이 있는 경우 조기에 철저히 치료합니다. 7) 조영제를 사용하는 검사 시 급성 신부전증이 생길 위험성이 높으므로 꼭 필요한 경우 의사와 상 담하여야 하며 전 처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8) 동반되는 지질이상을 철저히 관리합니다. 내과 이정상 김성권 한진석 안규리 김연수 주권욱 오국환 소아청소년과 최용 정해일 하일수

서울대학교병원 > 의학정보실 > 종합질병정보
정확도 : 0% 2017.07.28

대혈관 합병증은 중간 크기 이상의 혈관(동맥 및 정맥)에 동맥경화나 죽상경화증으로 인한 변화로 생기는 질환입니다. 관상동맥, 뇌혈관 및 말초혈관에 주로 발생하며 제 1형 및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주된 사망원인이 되기에 매우 중요합니다. 당뇨병 환자에서 죽상경화증은 당뇨병이 없는 사람보다 2~5배 발생률이 높고 조기에 나타나며 진행도 빠르고 범위도 더 광범위합니다. 또한 이런 혈관질환은 중간단계의 당대사 이상 즉 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를 보이는 사람에서도 증가하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합니다. 당뇨병 환자는 죽상경화증의 위험인자인 고지혈증, 고혈압, 비만 등이 높은 빈도로 관찰되며 당뇨병 자체 혹은 고혈당, 고인슐린혈증, 혈소판 기능 이상, 혈액응고이상 등으로 죽상경화증이 더 잘 생기게 됩니다. 당뇨병 환자의 사망은 대부분 대혈관 합병증과 관련이 있고 이 중에서도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사망이 50~60%를 차지합니다. 당뇨병이 없는 사람에 비해 당뇨병 환자는 심혈관질환으로 사망하는 상대적 위험도는 남자에서 2.1배, 여자에서는 4.9배로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급성 관상동맥질환이 생기면 흉통, 발한, 불안 등의 증상들을 호소하지만 당뇨병 환자, 특히 당뇨병의 유병 기간이 오래된 환자는 아무 증상이 없는 무증상 심근경색이 2~3배 더 흔한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 심근경색에 대한 응급치료나 관리를 제대로 받지 못하게 되어 문제가 됩니다. 당뇨병 환자는 비당뇨병 환자에 비해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3~5배로 높고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뇌졸중으로 입원 시 혈당조절의 정도와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이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의 자료에 따르면 비외상성 하지 절단의 50%가 당뇨병환자의 신경병증 또는 말초혈관질환에 의해 발생하고, 당뇨병 환자는 같은 연령에 비당뇨병인에 비해 하지절단의 위험이 15배 증가합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는 발에 대한 예방적 교육을 철저히 받아야 하며 특별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심혈관 질환의 임상적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관상동맥질환의 증상으로 흉통, 호흡곤란 등이 있을 수 있고, 뇌혈관 질환의 증상으로는 어지러움, 일시적 쇠약 등이, 말초혈관질환의 증상으로 걸을 때 장딴지에 통증이 생기는 파행, 족부궤양 등이 생깁니다. 여러가지 검사를 통해 심혈관계 질환의 유무를 추측해 볼 수 있는데 우선 신체검사로는 2회 이상의 혈압 측정(누워서 또는 앉아서 측정), 목, 복부 및 사타구니의 혈관성 잡음, 발의 상태, 하지의 맥박 및 기립성 저혈압의 평가 등이 있습니다. 혈액 검사로 혈청 지질, 즉 총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측정, 신기능검사 및 소변검사를 통한 단백뇨에 대한 검사로 신합병증 유무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그 외 특수 혈액검사들을 통해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성을 조사할 수 있고 심전도 및 운동부하 후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기도 합니다. 대혈관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죽상경화증의 위험인자를 교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심혈관 질환의 발생을 줄이거나 발생시기를 늦추려고 노력하는 것을 일차예방, 심혈관질환이 생긴 후 재발을 막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이차예방, 심근경색증과 같은 급성 합병증을 치료하는 것을 삼차예방이라 합니다. 당뇨병 환자에서 일차적 예방과 이차적 예방은 매우 비슷한데 금연, 혈압의 엄격한 조절, 혈액응고 경향의 감소, 고지혈증의 치료 및 혈당의 적극적인 조절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고혈압(>140/90mmHg)은 당뇨병 환자에서 흔히 동반되는 질환으로 나이 비만 정도, 인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당뇨병 환자의 20~60%의 유병률을 보입니다. 고혈압은 심혈관 질환의 주된 위험인자일 뿐 아니라 망막증이나 신증과 같은 미세혈관 합병증의 주요한 위험인자입니다. 비당뇨병인에 비해 약간의 혈압상승이 있어도 약물치료를 시작해야 하며 더욱 철저한 혈압조절을 필요로 합니다.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는 심혈관 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키는 지질이상이 많이 동반됩니다. 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낮추고 HDL-콜레스테롤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여 이상지혈증을 관리하면 대혈관 질환의 발생과 이로 인한 사망률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식이요법으로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trans형 포화지방의 섭취를 억제해야 하고 이와 더불어 운동요법, 체중감량, 금연 등 생활양식을 개선하고 철저한 혈당조절을 하면 지질이상의 개선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혈당조절과 생활양식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지질이상이 지속될 경우, 심혈관질환이 동반되었거나 LDL-콜레스테롤이 100mg/dl 이상인 경우 약물치료를 실시합니다. 항혈소판제인 아스피린은 당뇨병 환자와 비당뇨병 환자에서 심혈관 발작 예방의 일차 및 이차적 치료제로 추천되고 있습니다. 흡연하는 당뇨병 환자는 대혈관 합병증의 발생 위험이 높고 이로 인한 조기사망률 또한 증가합니다. 흡연과 건강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당뇨병 환자에서의 영향을 따로 분석한 것이 없으나 적어도 일반인에 나타나는 나쁜 영향 이상일 것으로 생각됩니다. 모든 당뇨병 환자는 금연하도록 권장되어야 하며 당뇨병 관리에 금연 치료법을 포함시켜야 할 것입니다. 내과 이홍규 김성연 박경수 조영민 내과 최윤식 박영배 오병희 노정일 손대원 김효수 오세일 구본권 김용진 강현재 이해영 신경과 노재규 윤병우 이승훈 영상의학과 박재형 정진욱

서울대학교병원 > 의학정보실 > 종합질병정보
정확도 : 0% 2017.07.28
이용안내 (445)

예약안내 진료예약은 방문, 전화, 인터넷을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보다 빠른 예약을 위해 환자의 등록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와 주소, 전화번호를 알려주십시오. 진료의 대상은 만 18세를 기준으로 어른과 어린이가 구분됩니다. (단, 만 16~18세는 본원, 어린이병원 예약이 모두 가능합니다.) 방문예약 요양급여의뢰서(진료의뢰서) 및 신분증을 지참하고 방문하시어, 진료신청서 작성 후 원무서비스센터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평 일: 오전 9시 ~ 오후 6시 토요일/공휴일 : 미운영 < 원무서비스센터 위치안내 > 성 인: [대한외래] B3층 심전도실 옆 전화예약 서울대학교병원 예약센터( 1588-5700 ) 에서 예약을 안내해드립니다. 평 일: 오전 9시 ~ 오후 6시 토요일: 오전 9시 ~ 오후 1시 인터넷예약 병원 홈페이지에 회원가입 후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환자 중 회원가입이 안 된 경우는 비회원 로그인 후 인터넷 예약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예약은 24시간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예약하기 비회원 인터넷 예약하기 앱예약 서울대학교병원 핸드폰 어플리케이션을 구글플레이 또는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으신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예약은 24시간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1,2차 의료기관 의뢰 1.2차 의료기관에서 요양급여의뢰서(진료의뢰서)를 발급받으신 초진 환자 는 진료협력센터를 통해 예약 가능합니다. ※의뢰서 미소지 시 상담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진료협력센터☎: 02-2072-1002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예약취소 인터넷예약자는 물론 전화예약하신 분들도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예약을 취소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통한 예약취소는 진료일 전 자정(12시)까지만 가능 단, 진료와 함께 검사가 예약되어 있는 경우 나 진료비를 사전에 수납하신 경우 는 인터넷 예약취소가 불가하오니 예약센터( 1588-5700 ) 로 전화주시기 바랍니다. 소중한 진료시간이 다른 분께 양보될 수 있도록 가능한 빨리 취소의사를 밝혀주십시오. 예약변경/취소 없이 진료를 받지 않을 경우 홈페이지 진료예약서비스가 제한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 진료예약>외래진료안내>예약안내
정확도 : 0% 2025.08.20

진료예약 예약일 내원 외래접수 창구 수납 외래진료 프로세스 진료예약 방문예약 요양급여의뢰서(진료의뢰서) 및 신분증을 지참하고 방문하시어, 진료신청서 작성 후 원무서비스센터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평 일: 오전 9시 ~ 오후 6시 토요일/공휴일: 미운영 < 원무서비스센터 위치안내 > 성 인: [대한외래] B3층 심전도실 옆 전화예약 서울대학교병원 예약센터( 1588-5700 ) 에서 예약을 안내해드립니다.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토요일: 오전 9시 ~ 오후 1시 인터넷예약 병원 홈페이지에 회원가입 후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환자 중 회원가입이 안 된 경우는 비회원 로그인 후 인터넷 예약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예약은 24시간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예약하기 비회원 인터넷 예약하기 앱예약 서울대학교병원 핸드폰 어플리케이션을 구글플레이 또는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으신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예약은 24시간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1,2차 의료기관 의뢰 1.2차 의료기관에서 요양급여의뢰서(진료의뢰서)를 발급받으신 초진 환자 는 진료협력센터를 통해 예약 가능합니다. ※의뢰서 미소지 시 상담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진료협력센터☎: 02-2072-1002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서울대학교병원 > 진료예약>외래진료안내>진료안내
정확도 : 0% 2025.08.20

지역채혈이란? 의사진료 후 혈액검사가 필요한 경우,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납하고 환자 주소지에서 가장 가까운 지정채혈장소에서 채혈하시면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검사하고 결과를 볼 수 있는 편리한 제도입니다. 지방에서 내원하시는 환자분이 검사 때문에 두 번 방문하는 번거로움을 덜기 위해 서울대학교병원이 1996년에 국내 최초로 시작한 서비스입니다. 현재 56개 지역으로 확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월 1,500명 이상의 환자분이 이용하고 계십니다. 지역채혈의 장점 01 채혈검사만을 위해 지방에서 내원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예외 : 요검사/혈액응고검사는 검사의 특성상 재진 당일 2시간 전 채혈실에 오셔서 검사를 하셔야 합니다. 02 환자의 추가부담금이 없습니다. 예외 : 제주지역만 항공 운송료의 일부 약 3,000원을 환자가 부담합니다. 이용절차 수납 및 신청 - 검사비 수납(원무과) 지역채혈의뢰서 발급 (외래체험실) > 채혈일시,장소 확인 - 채혈장소 확인 (해당 지역채혈장소 전화로 확인) > 지역 채혈 - 지역채혈의뢰서 반드시 지참 > (운송) 결과확인 - 본원 외래 진료서 지역채혈을 원하시는 고객님은 외래 수납창구에서 검사비를 수납하신 후 외래채혈실을 방문하시면 됩니다. 지역 채혈에 대해 자세히 안내 해드리고 지역채혈의뢰서를 발급해드립니다. 진료 10일전에 해당 채혈장소로 전화를 하여 채혈일시와 채혈장소를 안내 받으시기 바랍니다. (무료로 봉사하는 협력기관의 사정에 따라 사전공지 없이 채혈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으니, 반드시 지역채혈처 안내 전화로 채혈일시 및 장소를 확인 후에 방문하셔야 합니다. ) 토·일요일,공휴일 및 공휴일 전날에는 채혈하실 수 없으니 착오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예약된 시간과 날짜에 해당 지역채혈장소를 방문하여 채혈합니다. 반드시 “지역채혈의뢰서”를 지참하시고 채혈장소를 방문해야 합니다. (지역채혈장소에서는 검사종목이나 검체명, 수납여부 등을 확인 할 수 없으므로 “지역채혈의뢰서”가 없으면 채혈할 수 없습니다. 환자의 요청으로 서울대학교병원 채혈실에서 발행하며, 전화 또는 팩스 등으로 요청할 수 없고 분실 시 추가 발행은 불가합니다 .) 채혈된 검체는 서울대학교병원으로 운송되어 서울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에서 검사를 실시합니다. 외래 진료시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의 토/일요일/공휴일 및 공휴일 전날에는 채혈하실 수 없으니 착오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반드시“지역채혈의뢰서”를 지참하시고 지역 채혈장소를 방문하십시오. (지역 채혈장소에서는 검사종목이나 검체명, 수납여부 등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지역채혈의뢰서”가 없으면 채혈할 수가 없습니다.) 진료 10일 전까지 채혈을 하셔야 합니다. 제주지역은 항공운송비의 일부인 3000원을 채혈 시 지역채혈 운송업체에 지불하셔야 합니다. 요검사, 혈액응고검사는 검사의 특성상 재진 당일 2시간 전 채혈실에 오셔서 당일검사를 하셔야 합니다. [문의] 서울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접수실 : 02-2072-2545, 3526 채혈 및 검체접수가 가능한 장소 지역채혈 협력기관은 환자의 편의를 위하여 무료 봉사 하고 있습니다 지역채혈서비스는 환자의 건강과 편의를 위해 지역에 계신 채혈실의 자원봉사로 운영 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 지역채혈에 협조해 주시는 모든 업체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채혈 및 검체접수 지역별 장소 지역명 안내전화 서울 강남센터 (18세 이하는 제외) 02-2112-5514 (운영: 10시~15시) 서울시립보라매병원 02-870-2621 경기 분당서울대학교병원 031-787-3127 수원시 1599-6564 부천시 오산시 고양시 1661-5117 의정부시 1600-0021 구리시 양평군 031-580-5350 용인시 031-214-8091 일산시 031-904-9788 파주시 인천 부평구 1599-6564 대전 동구 1661-5117 1599-6564 충남 천안시 1661-5117 서산시 1661-5117 논산시 1599-6564 충북 충주시 1599-6564 청주시 청원구 042-222-0137 청주시 서원구 1566-6500 부산 동구 1566-6500 051-558-0131 울산 남구 051-558-0131 1599-6564 채혈 및 검체접수 지역별 장소 지역명 안내전화 전북 전주시 063-271-6548 익산시 1599-6564 군산시 고창군 1599-6564 남원시 1661-5117 정읍시 전남 순천시 1599-6564 1661-5117 광주 북구 062-521-0141 남구 1599-6564 강원도 원주시 070-4118-6868 대구 남구 053-425-0131 달서구 수성구 1661-5117 경상북도 김천시 1599-6564 구미시 포항시 북구 053-425-0131 경상남도 창원시 1599-6564 055-294-5615 거창군 1566-6500 통영시 1599-6564 진주시 055-294-5615 제주 제주시 063-271-6548

서울대학교병원 > 진료예약>외래진료안내>지역채혈안내
정확도 : 0% 2025.08.11

이용절차 및 방법 진료예약이 없어도 해당서류를 가지고 의무기록사본발급창구에 방문신청하시면 발급이 됩니다. ※ 입원 중이신 경우는 해당병동에 상담을 거쳐 사본 신청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환자의 동의를 받는 경우 환자의 동의를 받는 경우 신청자 구비서류 환자의 배우자, 직계 존속·비속 또는 배우자의 직계 존속 신청자의 신분증 또는 신분증사본(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표등본 등 직계가족임을 확인 할 수 있는 서류 보건복지가족부에서 배포한 별지 9-2의 환자가 자필로 서명한 동의서 (단 만 14세 미만의 미성년자인 경우 제외) ※ 형제자매, 사위, 며느리는 직계가족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HWP 동의서 다운로드 DOC 동의서 다운로드 환자가 지정하는 대리인 신청자의 신분증 또는 신분증사본(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보건복지가족부에서 배포한 별지 9-2, 9-3의 환자가 자필로 서명한 동의서와 위임장 (단 환자가 만 14세 미만의 미성년자인 경우에는 환자의 부모가 작성하며, 가족관계증명서나 주민등록표등본을 첨부) 환자본인의 신분증 사본 (단 환자가 만 17세미만으로 주민등록증 발급 안 된 경우 제외, 환자가 만 14세미만으로 동의서, 위임장을 부모가 작성했을경우 부모의 신분증 사본 첨부) HWP 동의서 다운로드 DOC 동의서 다운로드 HWP 위임장 다운로드 DOC 위임장 다운로드 환자의 동의를 받을 수 없는 경우 환자의 동의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는 환자의 직계가족만이 병원에 방문하여 신청 가능합니다. 형제자매, 사위, 며느리는 직계가족의 범위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환자의 동의를 받을 수 없는 경우 신청자 구비서류 환자가 사망한 경우 기록 열람이나 사본 발급을 요청하는 자의 신분증 사본(친족의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표 등본 등 친족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 가족관계증명서, 제적등본, 사망진단서 등 사망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환자 친족과 대리인 간의 진료기록 사본발급 위임장 (임의 대리인 신청 시) 대리인(위임 받은자)의 신분증 사본 환자가 의식불명 또는 의식불명은 아니지만 중증의 질환·부상으로 자필서명 할 수 없는 경우 기록 열람이나 사본 발급을 요청하는 자의 신분증 사본(친족의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표 등본 등 친족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 환자가 의식불명 또는 중증의 질환ㆍ부상으로 자필서명을 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는 진단서 환자 친족과 대리인 간의 진료기록 사본발급 위임장 (임의 대리인 신청 시) 대리인(위임 받은자)의 신분증 사본 환자가 행방불명인 경우 기록 열람이나 사본 발급을 요청하는 자의 신분증 사본(친족의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표 등본 등 친족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 주민등록표 등본, 법원의 실종선고 결정문 사본 등 행방불명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환자 친족과 대리인 간의 진료기록 사본발급 위임장 (임의 대리인 신청 시) 대리인(위임 받은자)의 신분증 사본 환자가 의사무능력자인 경우 기록 열람이나 사본 발급을 요청하는 자의 신분증 사본(친족의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표 등본 등 친족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류 법원의 금치산 선고 결정문 사본 또는 의사무능력자임을 증명하는 정신과 전문의의 진단서 환자 친족과 대리인 간의 진료기록 사본발급 위임장 (임의 대리인 신청 시) 대리인(위임 받은자)의 신분증 사본 예외상황 형제ㆍ자매 상기 규정 이외의 상황으로 환자의 형제ㆍ자매가 요청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배우자 및 직계 존속ㆍ비속, 배우자의 직계 존속이 모두 없음을 증명하는 확인서와 병원 직원이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자료를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확인서 양식의 유의사항을 꼭 확인하세요.) (2017.3.7 개정) HWP 확인서 다운로드 DOC 확인서 다운로드 환자 본인일 경우 환자 본인일 경우 신청자 구비서류 환자본인 본인 확인을 위한 국가에서 발급한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문의처 의무기록은 의무기록복사실 ☎ 02-2072-2084 영상자료는 영상자료등록복사창구 ☎ 02-2072-2249 관련근거 의료법 제21조 관련근거 의료법 제21조(진료기록 열람 및 사본발급 위임장 양식, 진료기록 열람 및 사본발급 동의서 양식) 진료기록 열람 및 사본발급 위임장 양식 HWP 다운로드 DOC 다운로드 진료기록 열람 및 사본발급 동의서 양식 HWP 다운로드 DOC 다운로드 진료기록 열람 및 사본 발급 확인서 양식 HWP 다운로드 DOC 다운로드 ※ 상기양식(위임장, 동의서)은 환자대리인이 환자를 대신하여 병원 진료이용, 제증명서류 및 약처방 발급 등을 위해 제출하는 서식입니다. (2015. 5. 28. 개정 서식) 문의처 의무기록은 의무기록복사실 ☎ 02-2072-2084 영상자료는 영상자료등록복사창구 ☎ 02-2072-2249 의무기록 열람/사본 발급 1. 차트 복사나 검사결과를 발급받으려면? 의무기록복사창구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 2. 다른 병원에서 검사한 필름을 판독 받으려면? 해당 진료과 의사에게 진료를 받은 후에 가능합니다. 3. 영상자료(Film)는 복사할 수 있나요? 영상자료등록복사창구에서 가능합니다. 4. 가족관계증명서 병원에서 발급할 수 있나요? 대한외래 지하 1층 비즈니스 라운지 무인민원발급기(지문인식)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어린이병원 1층 안내창구 PC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단, 공동인증서(이전 공인인증서) 필요 발급가능시간: 평일 09시 ~ 18시, 토요일 09시 ~ 13시(공휴일 및 일요일 사용 안됨)

어린이병원 > 이용안내>신청/발급안내>의무기록 열람/사본 발급
정확도 : 0% 2025.08.07
고객참여 (2822)

“탁월함, 그 이상으로(Beyond Excellence)”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인류의 건강과 행복한 삶을 위해 함께 나아갈 인재를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1. 채용분야 및 응시자격 구분 채용 직급 채용 인원 직무 설명 지원자격 필기과목 사무직 사무일반 J1 6 직무 소개서 참고 - 행정학 , 경제학 경영학 , 회계학 중 택 1 전산 〃 1 - 전산학 보건직 안과 〃 1 임상병리사 임상생리학 정신건강의학과 〃 1 임상병리사 임상생리학 영상의학과 〃 2 방사선사 방사선기술학 핵의학과 〃 1 임상병리사 핵의학검사 기술학 진단검사의학과 〃 3 임상병리사 임상병리학 심혈관센터 〃 3 임상병리사 심장검사기술학 언어청각센터 〃 2 언어재활사 1 급 언어치료학 언어청각센터 〃 1 청각사 혹은 청능사 청각학 안전보건관리팀 〃 1 물리치료사 물리치료학 의학연구협력센터 〃 1 - 의학통계학 의공직 의공분야 〃 2 의공기사 , 전자기사 , 전기기사 , 정보통신기사 , 전파전자통신기사 , 무선설비기사 , 로봇소프트웨어개발기사 , 로봇하드웨어개발기사 중 1 개 이상 소지자 의용전자공학 전산분야 〃 1 정보처리기사 , 네트워크관리사 , 정보보안기사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 전자계산기기사 , COS Pro1 급 , CCNA, OCJP, SQL 개발자 자격증 중 1 개 이상 소지자 전산학 운영 기능직 사무 보조 일반 A1 5 - - 고졸 인재 〃 5 최종학력이 고등학교 졸업인 자 (2026 년 2 월 졸업예정자 포함 ) - 보훈 〃 1 「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등 관련법령에 의한 취업지원대상자 - 조제보조 〃 1 - - 조리배식 〃 9 - - 수행지원 〃 1 2 종 보통이상 운전면허 소지자 - 보 안 〃 2 - - 환경 유지 지원직 환경미화 SA1 26 - - 시설 지원직 기계 SA1 7 공조냉동기계기능사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 공조냉동기계기사 , 에너지관리기능사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에너지관리기사, 가스기능사 , 가스산업기사 , 가스기사 , 용접산업기사 , 용접기사 , 이산화탄소가스아크용접기능사 , 피복아크용접기능사 , 가스텅스텐아크용접기능사 중 1 개 이상 소지자 - 전기 〃 2 전기기능사 , 전기산업기사 , 전기기사 , 전기기능장 , 전기공사산업기사 , 전기공사기사 중 1 개 이상 소지자 - 임용등록마감일(2025.11.25.) 기준 정년퇴직 기준연령(만 60세)에 도달한 자는 지원할 수 없음 (서울대학교병원 정년퇴직 기준연령 : 만 60세) 남자는 병역필 또는 면제자에 한함 (단, 2025.11.25. 이전 전역예정자 지원가능) 기졸업자 또는 2026년 2월 졸업예정자에 한함 자격·면허를 요하는 분야는 공고마감일 기준 해당 자격·면허 소지자에 한하여 지원 가능 단, 심혈관센터 보건직의 경우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응시예정인 졸업예정자 지원 가능(불합격 시 합격취소) 고졸인재 채용의 경우 최종학력이 고등학교 졸업인 자만 지원 가능 (단, 2026년 2월 졸업예정자 포함 / 세부 자격은 첨부된 확인서 양식 확인) 보훈 채용의 경우 「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등 보훈 관계법률에 따른 취업지원대상자만 지원 가능 입사지원 시 반드시 하나의 직종·직무를 선택하여야 함 임용대기 중 필요 시 한시적으로 촉탁직 또는 단시간근로자로 근무 가능하여야 함 일반직(사무직, 보건직, 의공직)의 경우, 국내시행 TOEIC, TOEFL(iBT), TEPS 중 1개 성적표 (2023.11.12. 이후 응시하고 서류접수 마감일(2025.09.03.)까지 발표한 성적표에 한함)를 반드시 제출 하여야 함 ※ 지원분야의 직무내용은 첨부된 직무소개서를 참고하여 주시고, 입사지원서 작성 시 첨부된 ‘입사지원서 작성요령 및 주의사항’을 반드시 확인 후 입사지원서를 작성 하시기 바랍니다. 입사지원서 작성요령에 맞지 않게 지원서를 작성할 경우 불합격처리 되는 등의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채용과정에서 지원자의 기재 착오, 오입력·누락, 연락 두절, 합격자 발표 미확인 등으로 인한 불이익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지원자에게 있습니다. ※ 본 채용은 블라인드 공개채용으로 채용 과정에서 본인의 출신지역, 가족관계, 출신학교, 생년월일 등을 직 · 간접적으로 표현하거나 이를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을 기재하는 경우에는 불이익을 받을 수 있사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단, 경력기관명은 기재 가능) 2. 전형방법 구분 1 차 2 차 3 차 4차 5차 일반직 사무직, 보건직, 의공 직 서류전형 필기시험 ① 실무면접(인성검사 ② ) 최종면접 신체검사 운영기능직 사무보조 서 류 전형 인성검사 (적/부) ③ 실무면접 이 외 서 류 전형( 적 / 부 ) 환경유지지원직 시설지원직 ① 필기시험 : 채용분야별 전공과목 필기시험 실시 (객관식 50문항 / 50분) ② 인성검사(일반직) : 인성검사 결과는 면접전형 참고자료로 활용, 실무면접 이후 시행 예정 ③ 인성검사(운영기능직, 환경유지지원직, 시설지원직) : 원내 고사장 집결 후 인성검사 실시 ※ 실무면접(공통) : 채용분야별 구술면접, 토론면접, 프레젠테이션(P/T), 필기·실기테스트, 체력검정 등 실시 ※ 각 전형단계별 합격자에 한하여 차기전형 기회 부여 3. 전형일정 ※ 전형일정은 변동될 수 있음 전형단계 일 정 ① 채용공고 및 원서접수 2025.08.20.( 수 ) ~ 2025.09.03.( 수 ) 18:00 ②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2025.09.17.(수) ③ 필기시험(일반직) 2025.09.20.(토) 인성검사(운영기능직,환경유지지원직,시설지원직) 2025.09.18.( 목 ) ~ 2025.09.24.( 수 ) ④ 필기시험 등 합격자 발표 2025.10.02.(목) ⑤ 실무면접 2025.10.10.( 금 ) ~ 2025.10.17.(금 ) ⑥ 실무면접 합격자 발표 2025.10.24.(금) ⑦ 온라인 인성검사(일반직) 2025.10.25.(토) ~ 2025.10.27.(월) ⑧ 최종면접 2025.10.28.(화) ~ 2025.10.31.(금) ⑨ 최종면접 합격자 발표 2025.11.12.(수) ⑩ 신체검사 및 임용후보자 등록 2025.11.13.(목) ~ 2025.11.25.(화) ※ 상기 일정은 진행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최종 확정된 일정은 각 전형단계별 합격자 발표 공고문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원서접수 마지막 날은 접속이 어려울 수 있으니, 반드시 사전접수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최종제출”된 지원서에 한하여 입사지원 한 것으로 인정하며, 마감시간까지 최종제출을 완료하지 않은 지원자는 입사지원 의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4. 제출서류 구분 제출서류 항목 공통 ① (해당자에 한함) 자격증 또는 면허증 사본 1부 ☞ 자 격 · 면허를 요하는 분야는 필수 제출 ② (해당자에 한함) 군 복무기간(병,장교)이 모두 명시된 병적증명서 1부 ③ (해당자에 한함) 외부 직업교육 수료증 1부 ④ (해당자에 한함) 경력증명서 1부 ⑤ (해당자에 한함) 취업지원대상자, 장애인, 본원 체험형 인턴 우수자 관련 증명서 1부 ☞ 해당 서류 제출 시 관련 법령 등에 의거 가점 부여 (단, 취업지원대상자와 장애인 우대사항이 중복일 경우 유리한 것으로 적용) 일반직 (사무직,보건직,의공직) ① 학부 및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또는 졸업예정증명서(재학증명서) 1부 ② 학부 및 최종학교 전 학년 성적증명서 1부 ☞ 편입자는 편입 전 학교 포함 ③ 국내시행 공인영어능력성적표 사본 1부 ☞ 2023.11.12. 이후 응시하고 서류접수 마감일(2025.09.03.)까지 발표한 국내시행 공인영어능력성적표(TOEIC 또는 TOEFL(iBT) 또는 TEPS) 에 한함 고졸인재 채용 ① 고등학교 졸업증명서(졸업예정증명서) 또는 검정고시 합격증명서 1부 ② 학자금대출 · 장학금 신청증명서 사본 (고졸 이하 학력검증용) 1부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www.kosaf.go.kr) 회원가입 후 발급 (용도 : 공공기관 취업지원용) ③ 중퇴 ·제적 ·재학 ·휴학 등을 증명하는 서류 (대학/전문대학에 진학한 경우) 1부 ④ 고졸인재 학력사항 확인서 1부 (양식 별첨) 보훈 채용 취업지원대상자 증명서(국가보훈부) 1부 ※ 응시원서 기재사항에 대한 증빙서류는 실무면접 합격자에 한하여 최종면접 시 제출하며 , 응시원서 필수기재사항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 또는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를 경우(허위기재, 증명서 미제출 등)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될 수 있음 ※ 전형과정에서 심사가 요구되는 일부 서류에 대하여는 최종면접 전이라도 증빙서류를 요구할 수 있음 ※ 필요 시 증빙서류 발급기관 또는 지원자 본인을 통하여 별도의 검증과정을 거칠 수 있음 ※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및 성적증명서 등 제출서류는 입사지원서에 기재한 사항의 진위 여부 확인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되며, 학교명 등의 정보는 면접전형 등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학교명 등의 정보는 수정액 등을 사용하여 식별할 수 없도록 삭제 등 조치하여 제출 가능) ※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일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5. 우대사항 취업지원대상자, 장애인 등은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우대함 등록 장애인 지원자는 1~4차 전형에서 가점을 부여하며, 병원 기준에 의거 우선 선발될 수 있음 (단, 채용분야 직무수행에 지장이 없는 자에 한함) 본원 체험형 인턴 우수자는 1차 전형에 한하여 가점을 부여함 6. 합격자 등록 및 임용 최종합격자는 임용후보자로 등록하여야 하고 등록 유효기간은 1년이며, 병원이 필요할 경우 연장될 수 있음 (임용후보자 등록 후 임용대기기간 중 결원 등 공석 발생 시 정규직 임용) 최종합격자는 재직/재학 여부와 상관없이 정상출근이 가능하여야 하며, 임용예정일에 임용이 불가능한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될 수 있음 (임용예정일은 별도 안내 예정이며, 병원 또는 최종합격자 사정에 따라 일정기간 내 협의 가능) 최종합격 또는 임용된 후에라도 결격사유 조회 등을 통하여 임용 결격사유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명된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함 7. 임용제한사유 「국가공무원법」제33조 및 서울대학교병원「인사규정」제19조에 따른 임용결격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서울대학교병원「인사규정」제42조 및 제43조에 따른 본원 정년퇴직 기준연령에 도달한 경우 관련 법령 등에 따른 취업제한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기타 개인적인 사유로 임용에 응하지 아니한 경우 또는 임용과 동시에 근무가 불가능한 경우 서울대학교병원 인사규정 제19조 (결격사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직원으로서 채용될 수 없다. 1. 피성년후견인,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특정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6-2.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6-3. 미성년자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저질러 파면ㆍ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한다) 가.「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나.「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아동ㆍ청소년대상 성범죄 7. 병역의무자로서 병역기피를 한 자 8. 징계처분에 의하여 해임된 자로서 5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제82조에 따른 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자 10. 채용 관련 부정합격자로서 면직 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8. 기타사항 본 채용은 블라인드 공개채용으로 채용 과정에서 본인의 출신지역, 가족관계, 출신학교, 생년월일 등을 직 · 간접적으로 표현하거나 이를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을 기재 또는 언급하는 경우에는 불이익을 받을 수 있음 (단, 경력기관명 기재 가능) 응시원서 필수기재사항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 또는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를 경우 (허위기재, 증명서 미제출 등)에는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될 수 있음 우리병원에서 수탁 운영하는 의료기관에서도 근무할 수 있음 응시인원이 모집인원과 같거나 미달하더라도 적격자가 없는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음 인사관리 상 지원직무 외 타 직무에서 근무할 수 있으며, 동종직무를 수행하는 다른 부서에서도 근무할 수 있음 직무 특성상 필요한 경우에는 야간 또는 휴일근무, 교대근무가 가능하여야 함 신체검사 전형은「공무원 채용 신체검사 규정」및 자체 판정기준에 따라 합격 여부를 판정함 최종면접 합격자가 신체검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거나 최종합격자가 임용을 포기하는 경우 등을 대비하여 예비합격자를 둘 수 있음 기타 자세한 사항은 서울대학교병원 인사팀 (02-2072-3211,2715)으로 문의바람 2025. 8. 20. 서울대학교병원장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0% 2025.08.20

“2025년도 서울대학교병원 간호직 직원 채용 2차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및 3차 실무면접 일정을 다음과 같이 공지합니다.” 1. (2차) 필기시험 합격자 합격자 조회 2. (3차) 실무면접 안내 가. 대상 : 필기시험 전형 합격자 나. 일시 : 2025.09.02.(화) ~ 09.04.(목) 다.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융합의학기술원 B2층 대강당 라. 상세일정 일 자 수험번호 집결시간 2025.09.02.( 화 ) 1001~1022 10:00 1023~1047 10:40 1048~1077 11:00 1078~1087 11:30 1088~1117 12:45 1118~1133 13:15 1134~1152 13:40 1153~1161 14:00 1162~1180 14:30 1181~1195 14:50 1196~1215 15:10 1216~1238 15:30 1239~1266 16:00 1267~1292 16:30 1293~1319 17:00 1320~1323 17:30 2025.09.03.( 수 ) 2001~2024 09:40 2025~2044 10:30 2045~2060 10:50 2061~2072 11:15 2073~2099 12:50 2100~2125 13:20 2126~2145 13:45 2146~2168 14:00 2169~2181 14:30 2182~2192 14:45 2193~2213 15:00 2214~2237 15:30 2238~2261 16:00 2262~2286 16:30 2287~2310 17:00 2025.09.04.( 목 ) 2311~2343 09:40 2344~2375 10:30 2376~2405 10:50 2406~2412 11:15 2413~2447 12:50 2448~2469 13:20 2470~2477 13:45 2478~2514 14:00 2515~2529 14:30 2530~2537 14:45 2538~2554 15:00 2555~2582 15:30 2583~2601 16:00 2602~2620 16:30 2621~2629 17:00 ※ 집결시간보다 현저히 일찍 도착할 경우 , 입장이 제한될 수 있으니 가급적 본인의 집결시간에 맞게 도착바랍니다. ※ 상기 일정은 진행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3. 준비물 가. 수험표 (실무면접 전형 안내문 화면에서 출력) 나.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유효기간 내 여권) 4. 위치안내 구분 내용 비 고 서울대학교병원 융합의학기술원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214 [ 바로가기 ] 5. 실무면접 합격자 발표 - 2025.09.16.(화), 병원 홈페이지 ※ 상기 일정은 진행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6. 비 고 ◎ 실무면접 전형 안내문의 수험번호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실무면접 합격자에 한하여 차기전형 응시자격을 부여합니다. (최종면접 등 일정은 추후 공고 예정) ◎ 실무면접 집결시간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라며, 면접시간 변경은 불가합니다. ◎ 실무면접 당일 진행상황에 따라 대기시간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실무면접 당일 원내 주차가 불가하오니,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실무면접 당일 교통편 지연에 따른 책임은 응시자에게 있습니다. 이동시간 및 대기시간 등을 감안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 반드시 집결해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인사팀(02-2072-2715,3211)으로 문의바랍니다. 2025. 8. 20. 서울대학교병원장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0% 2025.08.20

“서울대학교병원 2025년도 8월 대체근로자 채용 1차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및 2차 면접전형일정을 다음과 같이 공지합니다.” 1. 1차 서류전형 합격자 합격자 조회 2. 2차 면접전형 일정 가. 집결일시 및 장소 지원분야 집결일시 집결장소 급식영양과 단시간운영기능직 2025.8.21.( 목 ) 13:55 융합의학기술원 지하 2층 대기실 의생명연구원행정과 촉탁사무직 14:10 융합의학연구지원팀 촉탁의공직 14:35 소아재활의학과 촉탁보건직 14:55 강남센터 ( 내시경팀 ) 촉탁간호직 15:20 임상시험센터 촉탁보건직 15:45 감염관리센터 촉탁간호직 16:10 소아청소년과 촉탁보건직 16:25 ※ 병원 내 주차가 불가 하오니 , 대중교통을 이용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원활한 면접진행을 위해 집결일시를 엄수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진행시간 및 장소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로드뷰 길찾기 지도 크게 보기 나. 준비물 ① 수험표 ( 홈페이지에서 출력 ), ② 신분증 (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 유효기간 내 여권 ) ③ 하단 제출서류 다. 제출서류 구분 제출서류 항목 공 통 ① 자격증 및 면허증 사본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② 군 복무 기간 ( 병 , 장교 ) 이 모두 명시된 병적증명서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③ 외부 직업교육 수료증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④ 공인 어학성적표 사본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⑤ 경력증명서 또는 재직증명서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⑥ 취업보호대상자 및 장애인 관련 증명서 1 부 ( 해당자에 한함 ) ☞ 단시간운영기능직(장애인) 분야 의 경우 장애인 증명서 필수 제출 ☞ 해당 서류 제출 시 관련 법령에 의거 가점 부여 ( 단 , 중복일 경우 유리한 것으로 적용 ) ( 촉탁 ) 일반직 ① 학부 및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1 부 ② 학부 및 최종학교 전 학년 성적증명서 1 부 ☞ 편입자는 편입 전 학교 포함 ※ 제출서류가 온라인 지원서 작성 시 입력한 내용과 상이한 경우에는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및 성적증명서 등 제출서류는 입사지원서에 기재한 사항의 진위 여부 확인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되며, 학교명 등의 정보는 면접전형 및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학교명 등의 정보는 수정액 등을 사용하여 식별할 수 없도록 삭제 등 조치하여 제출 가능) ※ 「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 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일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 신체검사는 본원에서 실시하며 , 「 공무원 채용 신체검사 규정 」 및 자체 판정기준에 따라 합격여부를 판정함 ※ 면접전형 합격자가 신체검사 수검 및 임용등록을 병원이 지정한 기간 내에 마치지 않거나 병원이 지정한 임용예정일에 임용이 불가능한 경우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면접전형 합격자가 신체검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은 경우 또는 최종합격자가 인사규정 제19조에 따른 결격사유 등으로 인하여 합격이 취소된 경우 및 임용을 포기하는 경우 등에는 내부기준에 의거 예비합격자를 최종합격자로 선발할 수 있음(예비합격자는 개별 통보 예정) 3. 2차 면접전형 합격자 발표 : 2025.9.1.(목), 병원 홈페이지 ※ 상기 일정은 진행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4. 문의 : 서울대학교병원 인사팀 ( ☏ 02-2072-2715) 2025. 8. 18. 서울대학교병원장.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0% 2025.08.18

2025년도 서울대학교병원 임상강사 6차선발 최종 합격자 발표 및 합격자 등록 일정을 아래와 같이 공고합니다. 1. 최종합격자 안내 : 개별연락안내 2. 합격자 서류 제출 등 안내 가. 제출 대상 : 최종 합격자 전원 나. 제출 기간 : 2025.08.27.(수) ~ 2025.08.29.(금), 09:00 ~ 18:00 (※점심시간 12시~13시 제외, 기한 엄수) 다. 제출 장소 :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194 현대그룹빌딩 서관 7층 교육수련팀 ※우편제출 : (03080)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서울대학교병원 교육수련팀 임상강사 담당자 앞 라. 신체검사 일정 및 등록 서류 상세 안내 : 첨부파일 참조(필독 서류 등 내용 확인 필수) ※ 코로나-19 확진 등 불가피한 상황 외 합격자의 근무일정, 여행 등의 개인 일정으로 인한 신체검사 일정은 변경 불가 하오니 이와 관련한 문의는 삼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기타 안내 가. 채용절차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 여부 확정일로부터 14일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나. 응시원서나 각종 증명서의 기재내용이 사실과 다른 자는 합격을 취소할 수 있음. 다. 응시인원이 모집인원과 같거나 미달하더라도 적격자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선발하지 않을 수 있음. 라. 신체검사 불합격자는 합격을 취소할 수 있음. 마. 추가 문의사항은 본원 교육수련팀으로 문의 바랍니다.(T. 02-2072-4736, 02921@snuh.org) 2025. 08. 14. 서 울 대 학 교 병 원 장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0% 2025.08.14
병원소개 (6327)
[병원뉴스]서울대병원, 한여름 폭염에도 꾸준한 나눔 실천

서울대병원, 한여름 폭염에도 꾸준한 나눔 실천 - 지역사회 고령층을 위한 구급함 후원 및 도시락 봉사 진행 표 [사진 왼쪽부터]서울대병원 박도중 대외협력실장, 종로노인종합복지관장 정관스님 [사진]종로노인종합복지관 도시락 포장 봉사 서울대병원(병원장 김영태)이 올해에도 건강취약계층을 위한 나눔을 실천했다. 2014년부터 12년째 사회공헌활동을 지속하며 지역사회와의 따뜻한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서울대병원은 지난 19일, 종로구 이화동 종로노인종합복지관과 낙원동 원각사 노인무료급식소에 총 480개의 구급함을 후원했다고 밝혔다. 특히 종로노인종합복지관에는 교직원들이 직접 도시락 포장 자원봉사에 참여해 따뜻한 마음을 나눴다. 박도중 대외협력실장은 무더위가 계속되는 만큼 지역사회 건강 취약계층의 안전한 일상을 지키는 일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서울대병원은 공공의료기관으로서 주어진 책임을 다하며 앞으로도 이웃의 곁에 함께하겠다고 말했다.한편, 서울대병원은 2014년 첫 나눔 활동을 시작으로 동계 의류 지원, 급식소 환경 개선, 김장김치 지원 등 지역사회 취약계층을 위한 다채로운 복지사업을 꾸준히 이어가는 중이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0% 2025.08.20
홈페이지 (4289)

“탁월함, 그 이상으로(Beyond Excellence)”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인류의 건강과 행복한 삶을 위해 함께 나아갈 인재를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1. 채용분야 및 응시자격 구분 채용 직급 채용 인원 직무 설명 지원자격 필기과목 사무직 사무일반 J1 6 직무 소개서 참고 - 행정학 , 경제학 경영학 , 회계학 중 택 1 전산 〃 1 - 전산학 보건직 안과 〃 1 임상병리사 임상생리학 정신건강의학과 〃 1 임상병리사 임상생리학 영상의학과 〃 2 방사선사 방사선기술학 핵의학과 〃 1 임상병리사 핵의학검사 기술학 진단검사의학과 〃 3 임상병리사 임상병리학 심혈관센터 〃 3 임상병리사 심장검사기술학 언어청각센터 〃 2 언어재활사 1 급 언어치료학 언어청각센터 〃 1 청각사 혹은 청능사 청각학 안전보건관리팀 〃 1 물리치료사 물리치료학 의학연구협력센터 〃 1 - 의학통계학 의공직 의공분야 〃 2 의공기사 , 전자기사 , 전기기사 , 정보통신기사 , 전파전자통신기사 , 무선설비기사 , 로봇소프트웨어개발기사 , 로봇하드웨어개발기사 중 1 개 이상 소지자 의용전자공학 전산분야 〃 1 정보처리기사 , 네트워크관리사 , 정보보안기사 ,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 전자계산기기사 , COS Pro1 급 , CCNA, OCJP, SQL 개발자 자격증 중 1 개 이상 소지자 전산학 운영 기능직 사무 보조 일반 A1 5 - - 고졸 인재 〃 5 최종학력이 고등학교 졸업인 자 (2026 년 2 월 졸업예정자 포함 ) - 보훈 〃 1 「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등 관련법령에 의한 취업지원대상자 - 조제보조 〃 1 - - 조리배식 〃 9 - - 수행지원 〃 1 2 종 보통이상 운전면허 소지자 - 보 안 〃 2 - - 환경 유지 지원직 환경미화 SA1 26 - - 시설 지원직 기계 SA1 7 공조냉동기계기능사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 공조냉동기계기사 , 에너지관리기능사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에너지관리기사, 가스기능사 , 가스산업기사 , 가스기사 , 용접산업기사 , 용접기사 , 이산화탄소가스아크용접기능사 , 피복아크용접기능사 , 가스텅스텐아크용접기능사 중 1 개 이상 소지자 - 전기 〃 2 전기기능사 , 전기산업기사 , 전기기사 , 전기기능장 , 전기공사산업기사 , 전기공사기사 중 1 개 이상 소지자 - 임용등록마감일(2025.11.25.) 기준 정년퇴직 기준연령(만 60세)에 도달한 자는 지원할 수 없음 (서울대학교병원 정년퇴직 기준연령 : 만 60세) 남자는 병역필 또는 면제자에 한함 (단, 2025.11.25. 이전 전역예정자 지원가능) 기졸업자 또는 2026년 2월 졸업예정자에 한함 자격·면허를 요하는 분야는 공고마감일 기준 해당 자격·면허 소지자에 한하여 지원 가능 단, 심혈관센터 보건직의 경우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응시예정인 졸업예정자 지원 가능(불합격 시 합격취소) 고졸인재 채용의 경우 최종학력이 고등학교 졸업인 자만 지원 가능 (단, 2026년 2월 졸업예정자 포함 / 세부 자격은 첨부된 확인서 양식 확인) 보훈 채용의 경우 「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 등 보훈 관계법률에 따른 취업지원대상자만 지원 가능 입사지원 시 반드시 하나의 직종·직무를 선택하여야 함 임용대기 중 필요 시 한시적으로 촉탁직 또는 단시간근로자로 근무 가능하여야 함 일반직(사무직, 보건직, 의공직)의 경우, 국내시행 TOEIC, TOEFL(iBT), TEPS 중 1개 성적표 (2023.11.12. 이후 응시하고 서류접수 마감일(2025.09.03.)까지 발표한 성적표에 한함)를 반드시 제출 하여야 함 ※ 지원분야의 직무내용은 첨부된 직무소개서를 참고하여 주시고, 입사지원서 작성 시 첨부된 ‘입사지원서 작성요령 및 주의사항’을 반드시 확인 후 입사지원서를 작성 하시기 바랍니다. 입사지원서 작성요령에 맞지 않게 지원서를 작성할 경우 불합격처리 되는 등의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채용과정에서 지원자의 기재 착오, 오입력·누락, 연락 두절, 합격자 발표 미확인 등으로 인한 불이익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지원자에게 있습니다. ※ 본 채용은 블라인드 공개채용으로 채용 과정에서 본인의 출신지역, 가족관계, 출신학교, 생년월일 등을 직 · 간접적으로 표현하거나 이를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을 기재하는 경우에는 불이익을 받을 수 있사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단, 경력기관명은 기재 가능) 2. 전형방법 구분 1 차 2 차 3 차 4차 5차 일반직 사무직, 보건직, 의공 직 서류전형 필기시험 ① 실무면접(인성검사 ② ) 최종면접 신체검사 운영기능직 사무보조 서 류 전형 인성검사 (적/부) ③ 실무면접 이 외 서 류 전형( 적 / 부 ) 환경유지지원직 시설지원직 ① 필기시험 : 채용분야별 전공과목 필기시험 실시 (객관식 50문항 / 50분) ② 인성검사(일반직) : 인성검사 결과는 면접전형 참고자료로 활용, 실무면접 이후 시행 예정 ③ 인성검사(운영기능직, 환경유지지원직, 시설지원직) : 원내 고사장 집결 후 인성검사 실시 ※ 실무면접(공통) : 채용분야별 구술면접, 토론면접, 프레젠테이션(P/T), 필기·실기테스트, 체력검정 등 실시 ※ 각 전형단계별 합격자에 한하여 차기전형 기회 부여 3. 전형일정 ※ 전형일정은 변동될 수 있음 전형단계 일 정 ① 채용공고 및 원서접수 2025.08.20.( 수 ) ~ 2025.09.03.( 수 ) 18:00 ②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2025.09.17.(수) ③ 필기시험(일반직) 2025.09.20.(토) 인성검사(운영기능직,환경유지지원직,시설지원직) 2025.09.18.( 목 ) ~ 2025.09.24.( 수 ) ④ 필기시험 등 합격자 발표 2025.10.02.(목) ⑤ 실무면접 2025.10.10.( 금 ) ~ 2025.10.17.(금 ) ⑥ 실무면접 합격자 발표 2025.10.24.(금) ⑦ 온라인 인성검사(일반직) 2025.10.25.(토) ~ 2025.10.27.(월) ⑧ 최종면접 2025.10.28.(화) ~ 2025.10.31.(금) ⑨ 최종면접 합격자 발표 2025.11.12.(수) ⑩ 신체검사 및 임용후보자 등록 2025.11.13.(목) ~ 2025.11.25.(화) ※ 상기 일정은 진행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최종 확정된 일정은 각 전형단계별 합격자 발표 공고문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원서접수 마지막 날은 접속이 어려울 수 있으니, 반드시 사전접수 해 주시기 바랍니다.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최종제출”된 지원서에 한하여 입사지원 한 것으로 인정하며, 마감시간까지 최종제출을 완료하지 않은 지원자는 입사지원 의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4. 제출서류 구분 제출서류 항목 공통 ① (해당자에 한함) 자격증 또는 면허증 사본 1부 ☞ 자 격 · 면허를 요하는 분야는 필수 제출 ② (해당자에 한함) 군 복무기간(병,장교)이 모두 명시된 병적증명서 1부 ③ (해당자에 한함) 외부 직업교육 수료증 1부 ④ (해당자에 한함) 경력증명서 1부 ⑤ (해당자에 한함) 취업지원대상자, 장애인, 본원 체험형 인턴 우수자 관련 증명서 1부 ☞ 해당 서류 제출 시 관련 법령 등에 의거 가점 부여 (단, 취업지원대상자와 장애인 우대사항이 중복일 경우 유리한 것으로 적용) 일반직 (사무직,보건직,의공직) ① 학부 및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또는 졸업예정증명서(재학증명서) 1부 ② 학부 및 최종학교 전 학년 성적증명서 1부 ☞ 편입자는 편입 전 학교 포함 ③ 국내시행 공인영어능력성적표 사본 1부 ☞ 2023.11.12. 이후 응시하고 서류접수 마감일(2025.09.03.)까지 발표한 국내시행 공인영어능력성적표(TOEIC 또는 TOEFL(iBT) 또는 TEPS) 에 한함 고졸인재 채용 ① 고등학교 졸업증명서(졸업예정증명서) 또는 검정고시 합격증명서 1부 ② 학자금대출 · 장학금 신청증명서 사본 (고졸 이하 학력검증용) 1부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www.kosaf.go.kr) 회원가입 후 발급 (용도 : 공공기관 취업지원용) ③ 중퇴 ·제적 ·재학 ·휴학 등을 증명하는 서류 (대학/전문대학에 진학한 경우) 1부 ④ 고졸인재 학력사항 확인서 1부 (양식 별첨) 보훈 채용 취업지원대상자 증명서(국가보훈부) 1부 ※ 응시원서 기재사항에 대한 증빙서류는 실무면접 합격자에 한하여 최종면접 시 제출하며 , 응시원서 필수기재사항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 또는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를 경우(허위기재, 증명서 미제출 등)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될 수 있음 ※ 전형과정에서 심사가 요구되는 일부 서류에 대하여는 최종면접 전이라도 증빙서류를 요구할 수 있음 ※ 필요 시 증빙서류 발급기관 또는 지원자 본인을 통하여 별도의 검증과정을 거칠 수 있음 ※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및 성적증명서 등 제출서류는 입사지원서에 기재한 사항의 진위 여부 확인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되며, 학교명 등의 정보는 면접전형 등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학교명 등의 정보는 수정액 등을 사용하여 식별할 수 없도록 삭제 등 조치하여 제출 가능) ※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일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5. 우대사항 취업지원대상자, 장애인 등은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우대함 등록 장애인 지원자는 1~4차 전형에서 가점을 부여하며, 병원 기준에 의거 우선 선발될 수 있음 (단, 채용분야 직무수행에 지장이 없는 자에 한함) 본원 체험형 인턴 우수자는 1차 전형에 한하여 가점을 부여함 6. 합격자 등록 및 임용 최종합격자는 임용후보자로 등록하여야 하고 등록 유효기간은 1년이며, 병원이 필요할 경우 연장될 수 있음 (임용후보자 등록 후 임용대기기간 중 결원 등 공석 발생 시 정규직 임용) 최종합격자는 재직/재학 여부와 상관없이 정상출근이 가능하여야 하며, 임용예정일에 임용이 불가능한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될 수 있음 (임용예정일은 별도 안내 예정이며, 병원 또는 최종합격자 사정에 따라 일정기간 내 협의 가능) 최종합격 또는 임용된 후에라도 결격사유 조회 등을 통하여 임용 결격사유에 해당되는 것으로 판명된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을 취소함 7. 임용제한사유 「국가공무원법」제33조 및 서울대학교병원「인사규정」제19조에 따른 임용결격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서울대학교병원「인사규정」제42조 및 제43조에 따른 본원 정년퇴직 기준연령에 도달한 경우 관련 법령 등에 따른 취업제한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기타 개인적인 사유로 임용에 응하지 아니한 경우 또는 임용과 동시에 근무가 불가능한 경우 서울대학교병원 인사규정 제19조 (결격사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직원으로서 채용될 수 없다. 1. 피성년후견인,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특정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6-2.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6-3. 미성년자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저질러 파면ㆍ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한다) 가.「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나.「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아동ㆍ청소년대상 성범죄 7. 병역의무자로서 병역기피를 한 자 8. 징계처분에 의하여 해임된 자로서 5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제82조에 따른 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자 10. 채용 관련 부정합격자로서 면직 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8. 기타사항 본 채용은 블라인드 공개채용으로 채용 과정에서 본인의 출신지역, 가족관계, 출신학교, 생년월일 등을 직 · 간접적으로 표현하거나 이를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을 기재 또는 언급하는 경우에는 불이익을 받을 수 있음 (단, 경력기관명 기재 가능) 응시원서 필수기재사항을 입력하지 않은 경우 또는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를 경우 (허위기재, 증명서 미제출 등)에는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될 수 있음 우리병원에서 수탁 운영하는 의료기관에서도 근무할 수 있음 응시인원이 모집인원과 같거나 미달하더라도 적격자가 없는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음 인사관리 상 지원직무 외 타 직무에서 근무할 수 있으며, 동종직무를 수행하는 다른 부서에서도 근무할 수 있음 직무 특성상 필요한 경우에는 야간 또는 휴일근무, 교대근무가 가능하여야 함 신체검사 전형은「공무원 채용 신체검사 규정」및 자체 판정기준에 따라 합격 여부를 판정함 최종면접 합격자가 신체검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거나 최종합격자가 임용을 포기하는 경우 등을 대비하여 예비합격자를 둘 수 있음 기타 자세한 사항은 서울대학교병원 인사팀 (02-2072-3211,2715)으로 문의바람 2025. 8. 20. 서울대학교병원장

채용사이트 > 입사지원 > 채용공고/입사지원
정확도 : 0% 2025.08.20

“2025년도 서울대학교병원 간호직 직원 채용 2차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 및 3차 실무면접 일정을 다음과 같이 공지합니다.” 1. (2차) 필기시험 합격자 합격자 조회 2. (3차) 실무면접 안내 가. 대상 : 필기시험 전형 합격자 나. 일시 : 2025.09.02.(화) ~ 09.04.(목) 다.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융합의학기술원 B2층 대강당 라. 상세일정 일 자 수험번호 집결시간 2025.09.02.( 화 ) 1001~1022 10:00 1023~1047 10:40 1048~1077 11:00 1078~1087 11:30 1088~1117 12:45 1118~1133 13:15 1134~1152 13:40 1153~1161 14:00 1162~1180 14:30 1181~1195 14:50 1196~1215 15:10 1216~1238 15:30 1239~1266 16:00 1267~1292 16:30 1293~1319 17:00 1320~1323 17:30 2025.09.03.( 수 ) 2001~2024 09:40 2025~2044 10:30 2045~2060 10:50 2061~2072 11:15 2073~2099 12:50 2100~2125 13:20 2126~2145 13:45 2146~2168 14:00 2169~2181 14:30 2182~2192 14:45 2193~2213 15:00 2214~2237 15:30 2238~2261 16:00 2262~2286 16:30 2287~2310 17:00 2025.09.04.( 목 ) 2311~2343 09:40 2344~2375 10:30 2376~2405 10:50 2406~2412 11:15 2413~2447 12:50 2448~2469 13:20 2470~2477 13:45 2478~2514 14:00 2515~2529 14:30 2530~2537 14:45 2538~2554 15:00 2555~2582 15:30 2583~2601 16:00 2602~2620 16:30 2621~2629 17:00 ※ 집결시간보다 현저히 일찍 도착할 경우 , 입장이 제한될 수 있으니 가급적 본인의 집결시간에 맞게 도착바랍니다. ※ 상기 일정은 진행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3. 준비물 가. 수험표 (실무면접 전형 안내문 화면에서 출력) 나.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유효기간 내 여권) 4. 위치안내 구분 내용 비 고 서울대학교병원 융합의학기술원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214 [ 바로가기 ] 5. 실무면접 합격자 발표 - 2025.09.16.(화), 병원 홈페이지 ※ 상기 일정은 진행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6. 비 고 ◎ 실무면접 전형 안내문의 수험번호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실무면접 합격자에 한하여 차기전형 응시자격을 부여합니다. (최종면접 등 일정은 추후 공고 예정) ◎ 실무면접 집결시간을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라며, 면접시간 변경은 불가합니다. ◎ 실무면접 당일 진행상황에 따라 대기시간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실무면접 당일 원내 주차가 불가하오니,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실무면접 당일 교통편 지연에 따른 책임은 응시자에게 있습니다. 이동시간 및 대기시간 등을 감안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 반드시 집결해주시기 바랍니다.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인사팀(02-2072-2715,3211)으로 문의바랍니다. 2025. 8. 20. 서울대학교병원장

채용사이트 > 입사지원 > 채용공고/입사지원
정확도 : 0% 2025.08.20

서울대학교병원 병원발전후원회 > 사업안내 > Donator Interview
정확도 : 0% 2025.08.18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