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18993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바로가기 (54)
의료진 (1219)
  • 김수웅( 金秀雄 / Kim, Soo Woong ) [비뇨의학과(비뇨기과)]

    세부전공요도협착,남성불임,정계정맥류,배뇨장애

    요도협착, 남성불임(정계정맥류), 배뇨장애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 비뇨의학과
    예약센터 1588-5700
  • 강소정( 姜昭汀 / CHRISTINE KANG ) [중환자의학과]

    세부전공마취통증의학

    마취통증의학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 중환자의학과
  • 배재현( 裵宰賢 / JAE HYUN BAE ) [내분비대사내과]

    세부전공당뇨병,비만,이상지질혈증,대사증후군

    내분비대사내과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 내과
  • 박은경( 朴恩慶 / Eun Kyung Park ) [영상의학과]

    세부전공유방 영상 (유방암, 유방 양성 질환, 유방 조직검사)

    유방 영상의학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 영상의학과
    예약센터 1588-5700
진료과/센터/클리닉 (420)
심장혈관흉부외과

서울대학교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는 1968년 그 문을 열어, 불모지였던 우리나라 흉부외과학 분야가 현재와 같은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과 경험을 갖추게 되는데 초석이 되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흉부외과학의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서울대학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의료진은 22명의 교수진과 2명의 임상강사, 그리고 8명의 전공의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술의 질과 양적인 면은 물론 전공의 교육, 연구 등의 모든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수준을 자랑하고 있다. 심장혈관흉부외과 는 인체의 중심인 흉부에 위치한 심장, 폐, 식도, 대동맥, 종격동, 횡격막, 기관 등의 질환에 대한 수술적 치료를 담당한다. 이들 흉부장기는 생명을 유지하는 데 없어서는 안될 매우 중요한 장기이므로 심장혈관흉부외과는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 및 최첨단 의료 시설을 갖추고 최상의 진료를 수행하고 있다. 진료분야는 크게 판막질환, 관상동맥질환, 대동맥질환, 부정맥질환 및 말초혈관질환을 다루는 성인심장혈관외과, 그리고 폐, 식도, 종격동, 흉벽, 횡격막 및 기관 등에 발생하는 양성 및 악성 질환을 다루는 폐식도외과로 나뉜다. 또한 심장이식, 폐이식, 심폐이식 등의 이식수술과 흉강경수술, 로봇수술 및 심실보조장치 치료술 등의 최신 수술기법들을 시행하고 있다.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0% 2025.11.05
인권센터

인권센터란? 서울대학교병원 인권센터는 원내의 모든 구성원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 설립된 곳입니다. 인권센터는 원내의 모든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발생하는 인권침해 사례에 대한 신고를 받고, 조사 업무를 통해 문제 해결을 하는 것을 임무 로 하며 직원들의 인권침해 피해에 대한 상담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권센터는 직원들의 인권향상을 위한 교육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용방법 구분 대상 서울대학교병원 내 직원 누구나 이용시간 월~금 / 10:00~17:00 (12:00~13:00 제외) 신청방법 · 전화 : 02-2072-7647, 7648 · 이메일 : humanrights@snuh.org · 팩스 : 02-2072-7423 · 그룹웨어 : 직원상담실을 통해 접수 · 방문접수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지하 1층 인권센터 · 모바일 상 담신청 : http://m.site.naver.com/0XAgE 신청에 대하여 누구라도 인권침해를 당하면 당황, 놀람, 수치심으로 고통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혼자 해결하기 보다는 인권센터에 도움을 요청하여 상담을 받는다면 훨씬 더 수월하게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상담과 신고에 대한 개인 정보는 철저하게 비밀이 보장됩니다. 인권센터 조직도 인권센터 오시는길 로드뷰 길찾기 지도 크게 보기 버스 : 방송통신대(이화장), 이화사거리 지하철 : 4호선 혜화역에서 도보 10분, 1호선 종로5가역에서 도보 11분 상담, 신고사건 처리 절차 및 구제조치, 인권교육 1) 상담 폭언·폭행·성희롱·성폭력·직장 내 괴롭힘을 비롯한 인권침해를 당하여 심리적 안정을 얻거나 해결방법을 찾고자 도움이 필요할 때 인권센터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및 상담내용은 철저하게 비밀이 보장되고 외부로 유출되지 않습니다. ※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정신건강의학 심리상담을 원하시는 경우 공공진료센터 일마음건강클리닉을 통해 상담 받으실 수 있습니다. 2) 신고사건 처리 절차 및 구제조치 0 1 초기상담 진행 그룹웨어 접수, 이메일, 전화를 통해 문제 해결의 방법과 절차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내담자는 상담을 통해 상담으로 문제를 해결할 것인지 아니면 공식적인 신고절차를 밟을 것인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익명으로도 상담이 가능하며, 개인정보 및 상담내용은 철저하게 비밀이 보장되고 외부로 유출되지 않습니다. 0 2 신고 내담자 또는 신고를 원하는 직원은 신고서와 진술서 양식을 작성하여 이메일, 팩스, 혹은 직접 방문하여 제출하거나, 그룹웨어 직원상담을 통해 신고를 접수할 수 있습니다. 0 3 조사 신고가 접수되면 인권센터에서는 공정한 사건 처리를 위해 신고인, 피신고인의 진술, 관련자료와 증거를 수집하고 이에 기반하여 사실 관계를 조사합니다. 0 4 인권심의위원회 심의 위 과정을 거쳐 조사가 완료되면 인권센터는 사건의 최종적인 심의와 해결을 위해 필요 시 인권위원회에 사안을 회부하여 심의합니다. 인권심의위원회는 외부위원이 3분의 1 이상으로 구성되며 전체 위원 구성 중 특정 성이 10분의 6을 초과하지 못하는 등 여러 방안을 통해 공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0 5 구제조치 등 인권센터 또는 인권심의위원회는 인권침해의 정도에 따라 합의권고, 구제조치 권고, 징계요청 등을 할 수 있습니다. 0 6 조정, 중재 인권센터 또는 인권심의위원회는 피해자의 의사에 따라 조정절차와 중재권고를 통해 적절한 피해구제와 당사자 간의 갈등 해결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3) 인권교육 0 1 함께하는 인권교육 인권의식과 인권감수성을 향상시키고 원내 구성원들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입니다. 외부인사 초청강연, 동작치료 프로그램 등 다양한 주제의 교육을 통해 구성원의 인권의식을 제고하여 인권침해를 예방하고 있습니다. 0 2 찾아가는 인권교육 부서의 요청이 있을 때, 혹은 인권침해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에 있는 부서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인권교육을 수행합니다. 각 부서에 적합한 맞춤형 인권교육을 제공하여 구성원의 인권의식 향상 및 인권침해를 예방하고 있습니다.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0% 2025.11.03
급식영양과

소개 저희 서울대학교병원 급식영양과는 급식영양파트, 급식관리파트, 임상영양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자 급식 및 임상영양부분의 이론과 실무에 폭넓은 경험을 가진 임상영양사가 전문적인 환자급식 및 임상영양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급식영양 서비스 환자의 영양상태 개선 및 질병 치료를 위해 환자 개인별로 처방된 식사를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환자 급식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환자 안전을 위해 식재료 선정부터 검수, 전처리, 조리, 배식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철저한 위생관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환자식의 질 향상을 위해 정기적인 조리교육 및 타 기관 벤치마킹을 통해 환자식 식단 개발 및 개선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모바일과 스마트베드스테이션을 통해 개인의 기호를 반영할 수 있도록 선택식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연간 2회 이상의 환자식경험조사를 통해 환자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국인 환자를 위한 식사로 서양인식과 할랄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임상영양서비스 [ 종 류 ] A. 영양불량위험환자관리 환자의 영양상태는 질병의 치료와 회복에 영향을 미칩니다. 입원 시 환자들의 영양상태를 검색하여 영양불량위험이 높은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문제를 진단하고 영양상태 회복을 위한 해결방안을 담당 의료진과 상의하여 영양중재를 실시합니다. B. 치료식 설명 치료식을 섭취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해당 치료식에 대한 이해와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섭취 이유, 주의사항 등에 대한 내용을 설명합니다. C. 영양지원 환자의 영양섭취가 영양요구량 기준에 부족한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담당 의료진과 함께 영양지원서비스를 제공합니다. D. 개인영양상담 식사 요법이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영양사가 영양 교육 및 상담을 시행합니다. 환자의 평소 식습관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질환 치료에 적합한 식사처방과 식행동개선을 위해 개인맞춤 교육을 합니다. 다양한 상황에서의 식사방법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식생활관리 자문 및 평소 궁금했던 식사관련 문제에 대해 과학적인 근거를 토대로 한 임상영양사의 답변을 들을 수 있습니다. E. 단체교육 질환별 식사요법의 원칙을 이해하고 식생활을 향상하기 위해 필수교육자인 임상영양사가 의사, 간호사 등의 전문가와 함께 질환의 전반적인 관리방법에 대해 주기적으로 단체교육을 합니다. [ 이용 대상 ] 질환과 관련하여 식사섭취에 문제가 있거나 올바른 식사관리에 관심이 있는 환자와 보호자 [이용 방법 ] 환자 입원 시 본과에서는 별도의 의뢰 없이 영양불량환자관리와 치료식 설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기타 식사섭취 관련 문제나 올바른 식사관리에 관심이 있으신 환자분들은 담당 의료진에게 영양상담을 요청하면 임상영양사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타 1) 임상연수영양사 교육 임상연수영양사 제도는 임상영양분야에 전문적인 역량을 지닌 전문인을 배출하기 위해 1년 과정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임상연수영양사들은 정해진 교육 과정을 통해 임상영양치료의 실무과정은 물론 급식영양 서비스 관리 전 과정을 거치면서 병원 임상영양사로서 필요한 다양한 직무역량을 수련 받습니다. 2) 임상 연구 영양서비스 임상 연구의 계획 및 진행 과정에 참여하여 연구에 필요한 영양 관련 자료의 수집과 분석 등에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며, 임상시험센터에서 수행하는 임상연구용 임상시험식을 제공합니다.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0% 2025.10.31
비뇨기/전립선암센터

서울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는 1946년 국내 최초로 개설된 이래, 다양한 비뇨기 질환에 대해 국내 최고 수준의 진료와 연구를 지속해왔습니다. 1983년 암연구소 개설, 2000년 암연구동 완공, 2011년 암병원 개원을 거치며 비뇨기암 분야에서 국내 최다 진료 경험과 연구 성과를 축적하였습니다. 특히 복잡성, 진행성, 전이성 비뇨기암에 대해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다학제 진료 체계를 확립하였습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 Newsweek가 발표한 세계 병원 순위에서 서울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는 세계 2위를 차지 하였으며, 이는 우리 기관이 비뇨의학 분야에서 전 세계를 선도하는 최고 수준의 의료 및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환자친화형∙환자맞춤형 진료시스템 비뇨기암의 진단과 치료의 과정은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비뇨암센터는 상담간호사제도를 운영하고 있어 진료 절차의 어려움 및 병원 방문에서 퇴원까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수술 후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할 때는 가능한 당일 필요한 과의 진료를 통합해서 받으실 수 있도록 하여 여러 번 병원을 방문하실 수고를 덜어드리려고 노력합니다. 최상급 의료진의 통합진료 비뇨암센터는 비뇨기과, 혈액종양내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병리학과, 핵의학과 의료진간의 유기적 협력으로 다각적인 방면으로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치료방침을 논의하며, 주 1회 각과 교수진과 전담간호사가 한자리에 모여서 환자와 대면하는 ‘FIRST 협력진료’를 시행하여 환자중심의 맞춤형 통합진료를 제공합니다. 세계적 연구중심병원 연간 수십 건의 국책 및 민간 연구 및 연구논문 발표 등의 연구활동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면역치료 및 항암치료 신약 국제 다기관 임상시험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비뇨암센터의 이러한 국제 다기관 임상시험에 참여로 다양한 환자들에게 신약 사용의 기회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첨단 기술을 활용한 의료서비스 로봇수술은 넓고 입체적인 시야 확보 및 정교한 수술이 가능하여, 수술효과는 향상시키면서 후유증과 합병증은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암병원 비뇨암센터는 이러한 로봇수술을 전립선암, 신장암, 방광암수술 및 다양한 수술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의료진, 표준화된 첨단치료 비뇨암센터는 전립선암, 신장암, 방광암, 고환암, 음경암 등 다양한 비뇨기과 종양에 대해서도 지난 수십년간 꾸준히 많은 수술을 시행하여 왔으며, 오래 축적된 노하우 및 뛰어난 수술결과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내시경, 복강경, 단일 복강경, 로봇수술 등 다양한 수술방법을 도입 적용하고 있으며, 국내 최초로 신장암에 대한 단일절개복강경 근치적신적출술을 시행하였으며, 세계 최초로 소아에서의 단일절개복강경 신적출술을 시행하였습니다. 이런 오랜 기간 축적된 암 치료 경험으로 의료의 질과 환자 안전을 향상시킵니다. 주요암 수술 현황 대부분의 비뇨기암 환자에게 암유전자패널(First Cancer Panel)과 Syapse system을 이용하여 정밀의료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전립선암의 경우 연 560여건의 전립선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94.8%는 로봇수술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최신 골반신경 모니터링 기기와 골반저온 수술 요법을 적용하여 발기기능 보존 및 요실금 예방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방광암의 경우 연 1,000건의 방광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연 90여건의 근치적 방광적출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62.6%는 로봇수술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인조방광의 비율이 79.4%, 요루의 비율이 20.6%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부분 방광 절제술은 9.6%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신장암의 경우 연 400건의 신장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신장암 1기 1a (<4cm)의 경우 90.6%, 1b (<7cm)의 경우 74.5%로 높은 비율로 부분신장절제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부분절제가 어려운 2기에서도 37.5%, 3기의 경우에서도 14.3%로 부분절제술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전이신장암은 약 280여명 정도 등록하여 추적 관찰하고 있으며, 세포감축 신장절제술은 연 20건 정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암병원 > 진료예약 > 진료센터
정확도 : 0% 2025.10.31
건강정보 (3158)

서울대학교암병원 암정보교육센터 2025년 12 월 교육 프로그램 안내입니다. - 모든 교육 프로그램은 무료이며, 사전 예약 필수입니다.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암정보교육센터 전화(T. 02- 2072-7451) 또는 카카오톡 1:1 채팅을 통해 사전에 예약해 주시기 바랍니다. - 프로그램 일정이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 , 매월 발행되는 월별 교육 일정표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참여형 교육 프로그램 은 대면으로만 진행되며, 예약 인원은 선착순 10명으로 제한됩니다. 교육 시작 5분 전까지 암병원 지하 1층 교육실에 입실하시기 바랍니다. - 강의형 교육 프로그램 은 대면, 비대면(온, 오프라인) 병행으로 진행됩니다. 교육 예약 시 대면 및 비대면 참여 여부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참여는 사전 예약자에 한해 문자로 전송된 유튜브 주소(URL)에 접속 하여 강의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 동행 스튜디오 강좌 는 대면ㆍ비대면(온ㆍ오프라인) 병행으로 진행됩니다. 대면 참여 장소는 암병원 1층 동행라운지입니다. 온라인 참여는 사전 예약자에 한해 문자로 전송 된 유튜브 주 소(URL)에 접속하여 강의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 교육 예약 및 문의: 암정보교육센터(T. 02-2072-7451) * 교육 예약 시작일: 11월 25일 화요일 오전 10시 [12월 교육 관련 공지] 1. 교육 예약 취소 시 반드시 전화 혹은 카카오톡으로 연락 부탁 드립니다.(문자 불가) (참여 안내 문자에 답신하는 경우, 본 문자 발송 전화기는 문자 수신이 불가하므로, 센터에 전달이 불가합니다.) 2. 근력 운동 관련 교육(암환자를 위한 근력 운동 1회, 활력을 키우는 기능성 근력 운동 2회) 3개 중 1인당 총 2개 이하의 교육만 참여 가능하십니다. 최대한 많은 분들이 참여하실 수 있도록 양해 부탁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뜨개 교실 예약은 15일(월), 16일(화) 모두 참여 가능하신 분들 우선 으로 예약 받을 예정입니다. 참고 부탁 드립니다. 4. 제3회 암환자와 함께하는 보이는 라디오 '온 에어' 행사는 온라인 으로만 참여 (대면 참여 불가) 가 능 하 십 니 다 . 5. 예약 시작일 카카오톡 및 전화 연락은 10시부터 받을 예정이오니, 10시부터 연락 부탁 드립니다. 전에 미리 카카오톡을 보내두는 것은 삼가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12월 교육 일정표 바로보기(클릭)

정확도 : 0% 2025.11.06
이용안내 (444)

서울대학교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는 1968년 그 문을 열어, 불모지였던 우리나라 흉부외과학 분야가 현재와 같은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과 경험을 갖추게 되는데 초석이 되었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의 흉부외과학의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서울대학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의료진은 22명의 교수진과 2명의 임상강사, 그리고 8명의 전공의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술의 질과 양적인 면은 물론 전공의 교육, 연구 등의 모든 분야에서 국내 최고의 수준을 자랑하고 있다. 심장혈관흉부외과 는 인체의 중심인 흉부에 위치한 심장, 폐, 식도, 대동맥, 종격동, 횡격막, 기관 등의 질환에 대한 수술적 치료를 담당한다. 이들 흉부장기는 생명을 유지하는 데 없어서는 안될 매우 중요한 장기이므로 심장혈관흉부외과는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 및 최첨단 의료 시설을 갖추고 최상의 진료를 수행하고 있다. 진료분야는 크게 판막질환, 관상동맥질환, 대동맥질환, 부정맥질환 및 말초혈관질환을 다루는 성인심장혈관외과, 그리고 폐, 식도, 종격동, 흉벽, 횡격막 및 기관 등에 발생하는 양성 및 악성 질환을 다루는 폐식도외과로 나뉜다. 또한 심장이식, 폐이식, 심폐이식 등의 이식수술과 흉강경수술, 로봇수술 및 심실보조장치 치료술 등의 최신 수술기법들을 시행하고 있다.

어린이병원 > 진료안내 > 진료지원부서
정확도 : 0% 2025.11.05

인권센터란? 서울대학교병원 인권센터는 원내의 모든 구성원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 설립된 곳입니다. 인권센터는 원내의 모든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발생하는 인권침해 사례에 대한 신고를 받고, 조사 업무를 통해 문제 해결을 하는 것을 임무 로 하며 직원들의 인권침해 피해에 대한 상담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권센터는 직원들의 인권향상을 위한 교육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용방법 구분 대상 서울대학교병원 내 직원 누구나 이용시간 월~금 / 10:00~17:00 (12:00~13:00 제외) 신청방법 · 전화 : 02-2072-7647, 7648 · 이메일 : humanrights@snuh.org · 팩스 : 02-2072-7423 · 그룹웨어 : 직원상담실을 통해 접수 · 방문접수 :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지하 1층 인권센터 · 모바일 상 담신청 : http://m.site.naver.com/0XAgE 신청에 대하여 누구라도 인권침해를 당하면 당황, 놀람, 수치심으로 고통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혼자 해결하기 보다는 인권센터에 도움을 요청하여 상담을 받는다면 훨씬 더 수월하게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상담과 신고에 대한 개인 정보는 철저하게 비밀이 보장됩니다. 인권센터 조직도 인권센터 오시는길 로드뷰 길찾기 지도 크게 보기 버스 : 방송통신대(이화장), 이화사거리 지하철 : 4호선 혜화역에서 도보 10분, 1호선 종로5가역에서 도보 11분 상담, 신고사건 처리 절차 및 구제조치, 인권교육 1) 상담 폭언·폭행·성희롱·성폭력·직장 내 괴롭힘을 비롯한 인권침해를 당하여 심리적 안정을 얻거나 해결방법을 찾고자 도움이 필요할 때 인권센터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 및 상담내용은 철저하게 비밀이 보장되고 외부로 유출되지 않습니다. ※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정신건강의학 심리상담을 원하시는 경우 공공진료센터 일마음건강클리닉을 통해 상담 받으실 수 있습니다. 2) 신고사건 처리 절차 및 구제조치 0 1 초기상담 진행 그룹웨어 접수, 이메일, 전화를 통해 문제 해결의 방법과 절차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내담자는 상담을 통해 상담으로 문제를 해결할 것인지 아니면 공식적인 신고절차를 밟을 것인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익명으로도 상담이 가능하며, 개인정보 및 상담내용은 철저하게 비밀이 보장되고 외부로 유출되지 않습니다. 0 2 신고 내담자 또는 신고를 원하는 직원은 신고서와 진술서 양식을 작성하여 이메일, 팩스, 혹은 직접 방문하여 제출하거나, 그룹웨어 직원상담을 통해 신고를 접수할 수 있습니다. 0 3 조사 신고가 접수되면 인권센터에서는 공정한 사건 처리를 위해 신고인, 피신고인의 진술, 관련자료와 증거를 수집하고 이에 기반하여 사실 관계를 조사합니다. 0 4 인권심의위원회 심의 위 과정을 거쳐 조사가 완료되면 인권센터는 사건의 최종적인 심의와 해결을 위해 필요 시 인권위원회에 사안을 회부하여 심의합니다. 인권심의위원회는 외부위원이 3분의 1 이상으로 구성되며 전체 위원 구성 중 특정 성이 10분의 6을 초과하지 못하는 등 여러 방안을 통해 공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0 5 구제조치 등 인권센터 또는 인권심의위원회는 인권침해의 정도에 따라 합의권고, 구제조치 권고, 징계요청 등을 할 수 있습니다. 0 6 조정, 중재 인권센터 또는 인권심의위원회는 피해자의 의사에 따라 조정절차와 중재권고를 통해 적절한 피해구제와 당사자 간의 갈등 해결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3) 인권교육 0 1 함께하는 인권교육 인권의식과 인권감수성을 향상시키고 원내 구성원들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입니다. 외부인사 초청강연, 동작치료 프로그램 등 다양한 주제의 교육을 통해 구성원의 인권의식을 제고하여 인권침해를 예방하고 있습니다. 0 2 찾아가는 인권교육 부서의 요청이 있을 때, 혹은 인권침해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에 있는 부서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인권교육을 수행합니다. 각 부서에 적합한 맞춤형 인권교육을 제공하여 구성원의 인권의식 향상 및 인권침해를 예방하고 있습니다.

어린이병원 > 진료안내 > 진료지원부서
정확도 : 0% 2025.11.03

소개 저희 서울대학교병원 급식영양과는 급식영양파트, 급식관리파트, 임상영양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환자 급식 및 임상영양부분의 이론과 실무에 폭넓은 경험을 가진 임상영양사가 전문적인 환자급식 및 임상영양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급식영양 서비스 환자의 영양상태 개선 및 질병 치료를 위해 환자 개인별로 처방된 식사를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환자 급식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환자 안전을 위해 식재료 선정부터 검수, 전처리, 조리, 배식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철저한 위생관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환자식의 질 향상을 위해 정기적인 조리교육 및 타 기관 벤치마킹을 통해 환자식 식단 개발 및 개선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모바일과 스마트베드스테이션을 통해 개인의 기호를 반영할 수 있도록 선택식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연간 2회 이상의 환자식경험조사를 통해 환자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국인 환자를 위한 식사로 서양인식과 할랄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임상영양서비스 [ 종 류 ] A. 영양불량위험환자관리 환자의 영양상태는 질병의 치료와 회복에 영향을 미칩니다. 입원 시 환자들의 영양상태를 검색하여 영양불량위험이 높은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문제를 진단하고 영양상태 회복을 위한 해결방안을 담당 의료진과 상의하여 영양중재를 실시합니다. B. 치료식 설명 치료식을 섭취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해당 치료식에 대한 이해와 순응도를 높이기 위해 섭취 이유, 주의사항 등에 대한 내용을 설명합니다. C. 영양지원 환자의 영양섭취가 영양요구량 기준에 부족한 환자를 대상으로 영양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 담당 의료진과 함께 영양지원서비스를 제공합니다. D. 개인영양상담 식사 요법이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영양사가 영양 교육 및 상담을 시행합니다. 환자의 평소 식습관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질환 치료에 적합한 식사처방과 식행동개선을 위해 개인맞춤 교육을 합니다. 다양한 상황에서의 식사방법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식생활관리 자문 및 평소 궁금했던 식사관련 문제에 대해 과학적인 근거를 토대로 한 임상영양사의 답변을 들을 수 있습니다. E. 단체교육 질환별 식사요법의 원칙을 이해하고 식생활을 향상하기 위해 필수교육자인 임상영양사가 의사, 간호사 등의 전문가와 함께 질환의 전반적인 관리방법에 대해 주기적으로 단체교육을 합니다. [ 이용 대상 ] 질환과 관련하여 식사섭취에 문제가 있거나 올바른 식사관리에 관심이 있는 환자와 보호자 [이용 방법 ] 환자 입원 시 본과에서는 별도의 의뢰 없이 영양불량환자관리와 치료식 설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기타 식사섭취 관련 문제나 올바른 식사관리에 관심이 있으신 환자분들은 담당 의료진에게 영양상담을 요청하면 임상영양사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타 1) 임상연수영양사 교육 임상연수영양사 제도는 임상영양분야에 전문적인 역량을 지닌 전문인을 배출하기 위해 1년 과정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임상연수영양사들은 정해진 교육 과정을 통해 임상영양치료의 실무과정은 물론 급식영양 서비스 관리 전 과정을 거치면서 병원 임상영양사로서 필요한 다양한 직무역량을 수련 받습니다. 2) 임상 연구 영양서비스 임상 연구의 계획 및 진행 과정에 참여하여 연구에 필요한 영양 관련 자료의 수집과 분석 등에 전문적인 지식을 제공하며, 임상시험센터에서 수행하는 임상연구용 임상시험식을 제공합니다.

어린이병원 > 진료안내 > 진료지원부서
정확도 : 0% 2025.10.31

서울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는 1946년 국내 최초로 개설된 이래, 다양한 비뇨기 질환에 대해 국내 최고 수준의 진료와 연구를 지속해왔습니다. 1983년 암연구소 개설, 2000년 암연구동 완공, 2011년 암병원 개원을 거치며 비뇨기암 분야에서 국내 최다 진료 경험과 연구 성과를 축적하였습니다. 특히 복잡성, 진행성, 전이성 비뇨기암에 대해 체계적이고 전문화된 다학제 진료 체계를 확립하였습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2025년 Newsweek가 발표한 세계 병원 순위에서 서울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는 세계 2위를 차지 하였으며, 이는 우리 기관이 비뇨의학 분야에서 전 세계를 선도하는 최고 수준의 의료 및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환자친화형∙환자맞춤형 진료시스템 비뇨기암의 진단과 치료의 과정은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비뇨암센터는 상담간호사제도를 운영하고 있어 진료 절차의 어려움 및 병원 방문에서 퇴원까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수술 후 정기적으로 병원을 방문할 때는 가능한 당일 필요한 과의 진료를 통합해서 받으실 수 있도록 하여 여러 번 병원을 방문하실 수고를 덜어드리려고 노력합니다. 최상급 의료진의 통합진료 비뇨암센터는 비뇨기과, 혈액종양내과, 방사선종양학과, 영상의학과, 병리학과, 핵의학과 의료진간의 유기적 협력으로 다각적인 방면으로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치료방침을 논의하며, 주 1회 각과 교수진과 전담간호사가 한자리에 모여서 환자와 대면하는 ‘FIRST 협력진료’를 시행하여 환자중심의 맞춤형 통합진료를 제공합니다. 세계적 연구중심병원 연간 수십 건의 국책 및 민간 연구 및 연구논문 발표 등의 연구활동을 하고 있으며, 다양한 면역치료 및 항암치료 신약 국제 다기관 임상시험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비뇨암센터의 이러한 국제 다기관 임상시험에 참여로 다양한 환자들에게 신약 사용의 기회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첨단 기술을 활용한 의료서비스 로봇수술은 넓고 입체적인 시야 확보 및 정교한 수술이 가능하여, 수술효과는 향상시키면서 후유증과 합병증은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서울대학교암병원 비뇨암센터는 이러한 로봇수술을 전립선암, 신장암, 방광암수술 및 다양한 수술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의료진, 표준화된 첨단치료 비뇨암센터는 전립선암, 신장암, 방광암, 고환암, 음경암 등 다양한 비뇨기과 종양에 대해서도 지난 수십년간 꾸준히 많은 수술을 시행하여 왔으며, 오래 축적된 노하우 및 뛰어난 수술결과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내시경, 복강경, 단일 복강경, 로봇수술 등 다양한 수술방법을 도입 적용하고 있으며, 국내 최초로 신장암에 대한 단일절개복강경 근치적신적출술을 시행하였으며, 세계 최초로 소아에서의 단일절개복강경 신적출술을 시행하였습니다. 이런 오랜 기간 축적된 암 치료 경험으로 의료의 질과 환자 안전을 향상시킵니다. 주요암 수술 현황 대부분의 비뇨기암 환자에게 암유전자패널(First Cancer Panel)과 Syapse system을 이용하여 정밀의료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전립선암의 경우 연 560여건의 전립선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94.8%는 로봇수술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최신 골반신경 모니터링 기기와 골반저온 수술 요법을 적용하여 발기기능 보존 및 요실금 예방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방광암의 경우 연 1,000건의 방광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연 90여건의 근치적 방광적출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62.6%는 로봇수술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인조방광의 비율이 79.4%, 요루의 비율이 20.6%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부분 방광 절제술은 9.6%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신장암의 경우 연 400건의 신장암 수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신장암 1기 1a (<4cm)의 경우 90.6%, 1b (<7cm)의 경우 74.5%로 높은 비율로 부분신장절제술을 시행하고 있으며, 부분절제가 어려운 2기에서도 37.5%, 3기의 경우에서도 14.3%로 부분절제술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전이신장암은 약 280여명 정도 등록하여 추적 관찰하고 있으며, 세포감축 신장절제술은 연 20건 정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어린이병원 > 진료안내 > 진료지원부서
정확도 : 0% 2025.10.31
고객참여 (2879)

서울대학교암병원 암정보교육센터 2025년 12 월 교육 프로그램 안내입니다. - 모든 교육 프로그램은 무료이며, 사전 예약 필수입니다.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암정보교육센터 전화(T. 02- 2072-7451) 또는 카카오톡 1:1 채팅을 통해 사전에 예약해 주시기 바랍니다. - 프로그램 일정이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 , 매월 발행되는 월별 교육 일정표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참여형 교육 프로그램 은 대면으로만 진행되며, 예약 인원은 선착순 10명으로 제한됩니다. 교육 시작 5분 전까지 암병원 지하 1층 교육실에 입실하시기 바랍니다. - 강의형 교육 프로그램 은 대면, 비대면(온, 오프라인) 병행으로 진행됩니다. 교육 예약 시 대면 및 비대면 참여 여부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참여는 사전 예약자에 한해 문자로 전송된 유튜브 주소(URL)에 접속 하여 강의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 동행 스튜디오 강좌 는 대면ㆍ비대면(온ㆍ오프라인) 병행으로 진행됩니다. 대면 참여 장소는 암병원 1층 동행라운지입니다. 온라인 참여는 사전 예약자에 한해 문자로 전송 된 유튜브 주 소(URL)에 접속하여 강의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 교육 예약 및 문의: 암정보교육센터(T. 02-2072-7451) * 교육 예약 시작일: 11월 25일 화요일 오전 10시 [12월 교육 관련 공지] 1. 교육 예약 취소 시 반드시 전화 혹은 카카오톡으로 연락 부탁 드립니다.(문자 불가) (참여 안내 문자에 답신하는 경우, 본 문자 발송 전화기는 문자 수신이 불가하므로, 센터에 전달이 불가합니다.) 2. 근력 운동 관련 교육(암환자를 위한 근력 운동 1회, 활력을 키우는 기능성 근력 운동 2회) 3개 중 1인당 총 2개 이하의 교육만 참여 가능하십니다. 최대한 많은 분들이 참여하실 수 있도록 양해 부탁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뜨개 교실 예약은 15일(월), 16일(화) 모두 참여 가능하신 분들 우선 으로 예약 받을 예정입니다. 참고 부탁 드립니다. 4. 제3회 암환자와 함께하는 보이는 라디오 '온 에어' 행사는 온라인 으로만 참여 (대면 참여 불가) 가 능 하 십 니 다 . 5. 예약 시작일 카카오톡 및 전화 연락은 10시부터 받을 예정이오니, 10시부터 연락 부탁 드립니다. 2025년 12월 교육 일정표 바로보기(클릭)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강좌안내
정확도 : 0% 2025.11.06

1. 모집분야별 모집인원 및 전형방법 가. 모집분야 및 모집인원 . 모집분야 모집인원(명) 수련기간(년) 전형방법 정신건강임상심리사 2 3 1차 : 지원서 접수 2차 : 실무 면접 3차 : 최종 면접 4차 : 신체 검사 의공학연수의사 2 2 의학물리임상연수강사 2 3 전공약사(레지던트) 약제부 8 1 약물안전센터 2 항생제관리팀 1 임상연수영양사 2 1 임상연수사회복지사 정신건강 1 1 의료사회 2 융합의학연수생 8 1* 합계 30 ※ 수련시작(예정)일 : 2026.03.01. ※ 선발인원은 내부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각 전형단계별 합격자에 한하여 차기전형 기회 부여 ※ 정신건강임상심리사의 경우 과 자체 필기시험을 진행함. (시험일정 : 2025.11.20.(목) 오전) * 융합의학연수생은 1년 수련 이후 서울 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임 상의과학과(계약학과) 입학 시 석 사 과정은 2년, 박사 과정은 3년 연장 가능 나. 융합의학연수생 세부분야별/트랙별 세부 모집인원 모집단위 세부 모집단위 모집인원 데이터의학 의료인공지능 1명 (박사트랙) 의생명과학 융합기초 1명 (석사트랙) 의생명과학 2명 (석사트랙, 박사트랙) 의생명공학 영상 1명 (박사트랙) 로봇 1명 (석사트랙) 재료 1명 (박사트랙) 의료기술정책의학 의료기기사업화 1명 (석·박사트랙) 2. 지원자격 - 지원자격 정신건강임상심리사 ‧ 학위자격 : 심리학 석사 학위 소지자 (2026 년 2 월 학위 취득 예정자 포함 ) ‧ 어학성적 : 해당사항 없음 ‧ 자격 ( 면허 ) 증 : 해당사항 없음 의공학연수의사 ‧ 학위자격 :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인턴과정 또는 석사과정 수료한 자 ‧ 어학성적 : 해당사항 없음 ‧ 자격 ( 면허 ) 증 : 의사면허증 ‧ 기타사항 : 교수추천서 의학물리임상연수강사 ‧ 학위자격 : 의학물리학 관련 박사 학위 소지자 또는 수료자 ‧ 어학성적 : 해당사항 없음 ‧ 자격 ( 면허 ) 증 : 해당사항 없음 ‧ 기타사항 : 남자의 경우 , 군필자에 한함 전공약사 ( 레지던트 ) ‧ 학위자격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1) 약학대학 6 년제 졸업자 또는 2026 년 2 월 졸업예정자 2) 약학대학 4 년제 졸업 및 석사학위 취득자 또는 2026 년 2 월 취득예정자 ‧ 어학성적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 2 년 이내 유효한 성적 ( 필수 아님 ) ‧ 자격 ( 면허 ) 증 : 약사면허증 소지자 또는 2026 년 2 월 취득예정자 임상연수영양사 ‧ 학위자격 : 다음 각 호의 1 에 해당하는 자 1) 임상영양사 교육기관 ( 대학원 ) 졸업 ( 예정 ) 자 2) 임상영양사 교육기관 ( 대학원 ) 재학생 중 임상영양실습 이수 ( 예정 ) 자 ‧ 어학성적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 2 년 이내 유효한 영어 성적 (TOEIC, TEPS, TOEFL 중 택 1) ‧ 자격 ( 면허 ) 증 : 영양사 면허증 임상연수사회복지사 ‧ 학위자격 : 다음 각 호의 1 에 해당하는 자 1) 사회복지학 관련 전공 대학교 (4 년제 ) 졸업자 2) 사회복지학 관련 전공 대학원 졸업자 ‧ 어학성적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 2 년 이내 유효한 영어 성적 (TOEIC, TEPS, TOEFL 중 택 1) ‧ 자격 ( 면허 ) 증 : 사회복지사 1 급 자격증 ※ 사회복지사 1 급 자격이 필수이므로 , 해당 자격이 없는 졸업예정자는 지원 불가 ‧ 기타사항 : 사회복지사 1 급 자격증 취득을 위한 실습기관 내역은 지원서 “ 수련사항 ” 에 기재 융합의학연수생 ‧ 학위자격 모집분야 지원자격 석사과정 국내 · 외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2026 년 2 월 취득예정자 포함 ) 또는 법령에 의하여 학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 의사면허 소지자 지원 가능 박사과정 국내 · 외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2026 년 2 월 취득예정자 포함 ) 또는 법령에 의하여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 의사면허 소지자 지원 가능 ‧ 어학성적 : 지원서 접수 마감일 기준 2 년 이내 응시하여 취득한 영어점수가 TOEIC 775 점 이상 혹은 TEPS 298 점 이상 혹은 TOEFL IBT 88 점 이상 ※ 영어권 대학 ( 원 ) 졸업 ( 예정 ) 자는 영어성적 제출이 면제 ( 본인 선택 ) 됨 . 다만 영어성적 반영 시 최하점을 부여함 ‧ 자격 ( 면허 ) 증 : 의사면허증 등 ( 소지자에 한해 제출 ) ‧ 기타사항 : 1. 교수 추천서 제출 필수 (1 장 ) 2. 연수생 근무 시 타 대학원 및 직장 병행 불가능 3. 전형일정 - 일 정 공고 및 원서접수 2025.11.03.( 월 ) ~ 2025.11.16.( 일 ) (14 일간 ) 1 차 실무면접 2025.11.26.( 수 ) ~ 2025.11.28.( 금 ) 2 차 최종면접 2025.12.05.( 금 ) 최종면접 합격자 발표 2025.12.11.( 목 ), 본원 채용사이트 채용신체검사 2025.12.11.( 목 ) ~ 2025.12.16.( 화 ) 최종 합격자 등록 2025.12.16.( 화 )~ 2025.12.19.( 금 ) ※ 면접위원 일정조정 등으로 인해 일정 변동 될 수 있음 4. 제출서류 (붙임 참조) 제출서류 정신건강 임상 심리사 의공학 연수 의사 의학물리 임상연수 강사 전공 약사 임상 연수 영양사 임상 연수 사회 복지사 융합의학 연수생 비고 ( 필독사항 ) 지원서 ○ ○ ○ ○ ○ ○ ○ ◾ 첨부파일 양식 참고 수험표 ○ ○ ○ ○ ○ ○ ○ 자기소개서 ○ ○ ○ ○ ○ ○ ○ 대학 성적증명서 및 학사 이수전공 과목 ○ ○ ○ ○ ○ ○ ○ ◾ 전 학년 ( 본과 ) 종합석차 기재 ◾ 융합의학연수생 : ( 석사과정 ) 지원분야 관련 학부 전 과목 ( 붙임 4) 제출 필수 ( 박사과정 ) 지원분야 관련 학부 전공과목 ( 붙임 4) 및 대학원 전공과목 ( 붙임 5) 제출 필수 대학 졸업 ( 예정 ) 증명서 ○ - ○ ○ ○ ○ ○ ◾ 기졸업자 및 2026 년 2 월 졸업예정자만 지원가능 석사 성적증명서 및 석사 이수전공 과목 ○ ○ ○ ○ ○ ○ ○ ◾ 의공학연수의사 : 인턴 수료 증명서 제출자 제외 ◾ 레지던트 약사 : 약학대학 6 년제 졸업자 제외 ◾ 임상연수사회복지사 : 사회복지 관련 전공 학사 졸업 ( 예정 ) 자 제외 ◾ 임상연수영양사 : 임상영양사 교육기관 ( 대학원 ) 재학생 제외 ◾ 융합의학연수생 : 석사트랙 지원자 제외 석사 졸업 ( 예정 ) 증명서 ○ - ○ ○ ○ ○ ○ ◾ 레지던트 약사 : 약학대학 6 년제 졸업자 제외 ◾ 임상연수영양사 : 임상영양실습 이수 ( 예정 ) 증명서 제출 ◾ 임상연수사회복지사 : 사회복지 관련 전공 학사 졸업 ( 예정 ) 자 제외 ◾ 기졸업자 및 2026 년 2 월 졸업예정자만 지원가능 ◾ 융합의학연수생 : 석사트랙 지원자 제외 석사 수료증명서 - ○ - - - - - ◾ 의공학연수의사 : 인턴 수료 증명서 제출자 제외 인턴 수료증명서 - ○ - - - - - ◾ 의공학연수의사 : 석사 수료 증명서 제출자 제외 박사 졸업 ( 예정 ) 증명서 - - ○ - - - - ◾ 의학물리 관련 박사 학위 취득 또는 취득 예정자 박사 수료증명서 - - ○ - - - - ◾ 의학물리 관련 박사 수료자 교수추천서 - ○ ○ - - - ○ ◾ 추천인 소속 , 직급 , 서명 필수 면허증 ( 자격증 ) - ○ - ○ ○ ○ ○ ◾ 취득예정자는 추후 제출 ◾ 약사 면허증 ( 레지던트 약사 ) ◾ 영양사 면허증 ( 임상연수영양사 ) ◾ 임상연수사회복지사 : 사회복지사 1 급 자격증 ( 필수 ) ◾ 의사면허증 ( 연수의학자 , 의공학연수의사 ) ◾ 융합의학연수생 : 의사면허증 ( 소지자에 한함 ) 영어성적 - - - ○ ○ ○ ○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 2 년 이내 유효한 성적 ◾ 전공약사의 경우 , 선택사항 병역서류 ( 남성에 한함 ) ○ ○ ○ ○ ○ ○ ○ ◾ 군필 / 면제 : 전역일자 표기 된 주 민등록초본 원본 1부 ◾ 복무 : 전역예정증명서 원본 1 부 외국인 등록증 ( 외국인에 한함 ) ○ ○ ○ ○ ○ ○ ○ ◾ 외국인등록증 또는 외국인등록사실증명 사본 1 부 경력증명서 - - - - - - ○ ◾ 융합의학연수생 : 직무와 관련된 경력사항이 있는 경우 ※ 제출서류에 표기된 학교명 , 생년월일 등 개인정보는 마스킹 처리하여 제출하여야 함 ※ 채용절차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 제출 서류는 채용 여부 확정일로부터 14 일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5. 임용제한사유 가. 공고일 기준 정년퇴직 기준연령(만60세)에 도달한 자는 지원할 수 없음 나. 응시인원이 선발인원과 같거나 미달하여도 적격자가 없는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음 다. 응시원서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를 경우(허위기재, 증명서 미제출 등) 합격 및 임용 취소 라. 남자는 병역필 또는 면제자에 한함 마. 채용공고 내 타 모집분야 중복지원 불가 바. 본원 인사규정 제19조(결격사유)*에 해당되거나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및 아동 복지법, 노인복지법, 장애인복지법을 위반한 범죄이력자는 지원불가하며, 적발시 합격을 취소 * 인사규정 제 19 조 ( 결격사유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직원으로서 채용될 수 없다 . 1. 피성년후견인 ,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특정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6 의 2.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제 2 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 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 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20.6.15. 신설 ) 6 의 3. 미성년자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저질러 파면ㆍ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 (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한다 )(20.6.15. 신설 ) 가 .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제 2 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나 . 「 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 제 2 조제 2 호에 따른 아동ㆍ청소년대상 성범죄 7. 병역의무자로서 병역기피를 한 자 8. 징계처분에 의하여 해임된 자로서 5 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 (17.1.20. 삭제 ) 10. 「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 제 82 조에 따른 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자 (17.12.28. 신설 ) 11. 채용 관련 부정합격자로서 면직 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5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18.6.1. 신설 ) 사. 융합의학연수생은 연수기간(1년) 중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임상의과학과(계약학과*)에 입학하는 경우에 한해 연수기간 연장(석사과정 2년, 박사과정 3년 연장)이 가능하며, 임상의과학과 재학 중 서울대학교병원을 퇴사할 경우 임상의과학과에서 제적 처리됩니다. 아울러, 임상의과학과 등록금의 50%를 서울대학교병원이 지원합니다.(본인부담금 50%, 병원부담금 50%) * ‘ 계약학과 ’ 란 「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 에 의거하여 국가 , 지방자치단체 , 또는 산업체 등이 그 소속직원의 재교육이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하여 경비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담하면서 교육을 의뢰하는 재교육 프로그램으로 계약학과의 특성상 대학과 협약이 체결된 기관에 근무하시는 분들만 지원 및 재학이 가능합니다 . 6. 우대사항 가. 취업지원대상자 등은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우대함 나. 취업지원대상자 등 채용특례 기준에 해당하는 자는 서류전형 등에서 가점을 부여하며, 병원 기준에 의거 일정 인원 우선 선발될 수 있음 (단, 채용분야 직무수행에 지장이 없는 자에 한함) 7. 지원방법 및 제출안내 가. 지원방법 ○ 온라인 접수 및 우편 접수를 원서기간 내 모두 완료하여야 하며, 우편접수를 최종 지원 기준으로 함 ※ 온라인 및 서류제출 모두 완료되어야 최종접수 완료 ○ 온라인 접수 링크 : https://forms.gle/H2XCPPWsJqx1A67f8 ○ 우편 접수 주소 : (03080)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서울대학교병원 교육수련팀 ※ 봉투 겉면에 “본인 성함 / 지원 분야 / 연수의사 응시원서 재중” 기입 ※ 접수마감일 17:00까지 도착분에 한하여 인정 나. 기타문의 : 교육수련팀 담당자(02-2072-3936 또는 02967@snuh.org) 문의 2025. 11. 03. 서울대학교병원장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0% 2025.11.06

“서울대학교병원 2025년도 10월 대체근로자 채용 1차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및 2차 면접전형일정을 다음과 같이 공지합니다.” 1. 1차 서류전형 합격자 합격자 조회 2. 2차 면접전형 일정 가. 집결일시 및 장소 지원분야 집결일시 집결장소 촉탁보건직 의무기록팀 2025.11.06.( 목 ) 9:45 융합의학기술원 지하 2 층 대기실 촉탁사무직 의학연구협력센터 10:20 촉탁보건직 소아영상학과 10:30 촉탁운영기능직 중앙공급팀 및 수술운영팀 10:50 촉탁환경유지지원직 총무과 11:40 촉탁보건직 영상의학과 13:15 촉탁운영기능직 전임상실험부 13:50 촉탁사무직 응급의학과 (SMICU) 14:00 촉탁보건직 응급의학과 14:20 촉탁운영기능직 비상계획과 15:10 단시간보건직 건강증진센터 15:25 촉탁보건직 연구실험부 15:35 촉탁간호직 강남센터 ( 내시경팀 ) 15:45 촉탁보건직 병리과 16:00 촉탁보건직 암조직은행 16:35 촉탁운영기능직 원무 2 과 16:55 촉탁보건직 소아청소년과 17:30 ※ 병원 내 주차가 불가 하오니 , 대중교통을 이용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원활한 면접진행을 위해 집결일시를 엄수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진행시간 및 장소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로드뷰 길찾기 지도 크게 보기 나. 준비물 ① 수험표 ( 홈페이지에서 출력 ), ② 신분증 (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 유효기간 내 여권 ) ③ 하단 제출서류 다. 제출서류 구분 제출서류 항목 공통 ① 자격증 및 면허증 사본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② 병적증명서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③ 외부 직업교육 수료증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④ 공인 어학성적표 사본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⑤ 경력증명서 또는 재직증명서 1 부 ( 해당자에 한함 ) ☞ 경력채용 ( 소아청소년과 ) 의 경우 수행 직무내용 명시 필수 ⑥ 취업보호대상자 및 장애인 관련 증명서 1 부 ( 해당자에 한함 ) ☞ 해당 서류 제출 시 관련 법령에 의거 가점 부여 ( 단 , 중복일 경우 유리한 것으로 적용 ) ( 촉탁 ) 일반직 ① 학부 및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1 부 ② 학부 및 최종학교 전 학년 성적증명서 1 부 ☞ 편입자는 편입 전 학교 포함 ※ 제출서류가 온라인 지원서 작성 시 입력한 내용과 상이한 경우에는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및 성적증명서 등 제출서류는 입사지원서에 기재한 사항의 진위 여부 확인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되며, 학교명 등의 정보는 면접전형 및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학교명 등의 정보는 수정액 등을 사용하여 식별할 수 없도록 삭제 등 조치하여 제출 가능) ※ 「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 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일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 신체검사는 본원에서 실시하며 , 「 공무원 채용 신체검사 규정 」 및 자체 판정기준에 따라 합격여부를 판정함 ※ 면접전형 합격자가 신체검사 수검 및 임용등록을 병원이 지정한 기간 내에 마치지 않거나 병원이 지정한 임용예정일에 임용이 불가능한 경우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면접전형 합격자가 신체검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은 경우 또는 최종합격자가 인사규정 제19조에 따른 결격사유 등으로 인하여 합격이 취소된 경우 및 임용을 포기하는 경우 등에는 내부기준에 의거 예비합격자를 최종합격자로 선발할 수 있음(예비합격자는 개별 통보 예정) 3. 2차 면접전형 합격자 발표 : 2025.11.21.(금), 병원 홈페이지 ※ 상기 일정은 진행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4. 문의 : 서울대학교병원 인사팀 ( ☏ 02-2072-2715) 2025. 11. 4. 서울대학교병원장.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0% 2025.11.04

2025년도 2차 국립소방병원 진료교수요원 채용 공고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탁하는 국립소방병원의 성공적 운영에 동참하실 전문성과 역량을 갖춘 교원을 아래와 같이 초빙합니다. 1. 채용분야 및 응시자격 1.채용분야 및 응시자격 직종 부서 세부분야 채용 인원 필요자격 비고 진료교수요원 국립소방병원 내과 (호흡기, 순환기, 소화기, 내분비, 신장, 감염 중 1개 분야) 1 내과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국립소방병원 외과 1 외과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국립소방병원 영상의학과 1 영상의학과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합계 3 2. 근무조건 가. 근무지 : 충청북도 음성군 충북혁신도시 내 국립소방병원 나. 근무형태 : 주5일(통상근무 기준 1일 8시간, 병원 사정에 따라 변동 가능) 다. 보수 : 문의시 별도 안내(원거리근무수당(가칭) 등 급여 상향 조정) 라. 연금 : 사학연금 가입 마. 복지혜택 : 관사 제공(국립소방병원 인근 신축분양 아파트 34~41평형, 1인 1채) 바. 기타 사항 : 해외 및 국내 학회 지원, 연구 활동 지원 3. 제출서류 가. 공개채용응시원서(본원 소정양식) 1부. 나. 자기소개서 1부. 다. 진료 및 연구 계획서 1부. 라. 졸업증명서(대학 및 대학원) 각 1부. 마. 의사면허증, 전문의자격증, 세부전문의자격증 사본(해당자에 한함) 각 1부. 바. 경력증명서(응시원서에 기재된 모든 경력) 각 1부. 사. 병적기록이 있는 주민등록초본 또는 병적증명서(남성에 한함) 1부. 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1부. 자. 취업지원대상자증명서(해당자에 한함) 1부. ※ 서류 제출 시 주의사항 - 경력증명서 등 제출 시, 생년월일, 사진 등 개인정보가 포함되는 항목은 펜, 수정테이프 등으로 지운 후 제출 - 근무기관 폐업 등의 사유로 경력증명서 발급이 어려운 경우, 국민연금가입증명서(또는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등으로 제출 가능 4. 서류제출기간 및 제출장소 가. 서류제출기간 : 2025. 11. 03.(월) ~ 11. 10.(월) 10:00 나. 서류접수시간 : 09:00 ~ 18:00 (점심시간 12:00~13:00 제외, 주말·공휴일 제외) ※ 단, 서류제출마감일(2025.11.10.)은 10:00까지 접수 다. 서류제출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인사팀(☏02-2072-4862) - (E-mail) 02827@snuh.org로 모든 서류 파일 제출(추후 원본 별도 제출) - (우편)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서울대학교병원 인사팀 - (방문)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194 현대그룹빌딩 서관 7층 인사팀 ※ 제출서류 중 [가], [나], [다]는 서류제출과 별도로 마감일 이전에 한글 파일을 E-mail (02827@snuh.org)로 송부 요망. 5. 합격자발표 : 개별통보 6. 우대사항 가. 취업지원대상자는 관련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우대함. 7. 기타 가. 임용예정일 및 계약기간은 진료과별 상이함. 나. 임용예정일에 임용이 불가능한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될 수 있음. 다. 공고일 기준 정년퇴직 기준 연령에 도달한 자는 지원할 수 없음. 라. 기타 본 공고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본원 관련규정을 적용함. 마. 우편접수는 마감일 마감시간까지 도착분에 한함. 바. 제출서류는 원본을 제출하여야 하며 부득이 사본을 제출할 경우에는 원본과 대조 후 도장을 날인하여 제출하고 외국어로 발급된 증명서는 번역문을 첨부(영어제외)하여야 함. 추후 필요한 경우 병원에서 대조할 수 있어야 함. 사. 추천서 제출 가능.(자유양식) 단, 출신학교, 출신지역, 가족관계, 연령 등 블라인드 항목에 대한 내용 기재 금지. 아. 2개 이상의 채용분야에 중복 지원할 수 없으며, 중복지원 시 접수를 무효로 함. 자. 적임자가 없을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음. 차. 최종합격 이후라도 신원조사 및 추가관련 조사에서 부적격으로 판단될 경우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카. 졸업증명서 등의 서류는 직무수행을 위한 응모 자격요건 확인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며, 학교명 등의 정보는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타. 의사 면허 및 전문의 자격 등의 서류는 직무수행을 위한 응모 자격요건 확인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며,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파.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일 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하. 서울대병원의 국립소방병원 수탁사업 종료 시, 계약이 종료될 수 있음. ※ 보관기간이 경과한 증빙서류는 모두 파기 예정이며, 최종합격 후 임용된 자에 대해서는 서류를 반환하지 않음. 2025. 11. 03. 서울대학교병원장. 끝.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0% 2025.11.03
병원소개 (6392)

서울대학교암병원 암정보교육센터 2025년 12 월 교육 프로그램 안내입니다. - 모든 교육 프로그램은 무료이며, 사전 예약 필수입니다.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암정보교육센터 전화(T. 02- 2072-7451) 또는 카카오톡 1:1 채팅을 통해 사전에 예약해 주시기 바랍니다. - 프로그램 일정이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 , 매월 발행되는 월별 교육 일정표를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참여형 교육 프로그램 은 대면으로만 진행되며, 예약 인원은 선착순 10명으로 제한됩니다. 교육 시작 5분 전까지 암병원 지하 1층 교육실에 입실하시기 바랍니다. - 강의형 교육 프로그램 은 대면, 비대면(온, 오프라인) 병행으로 진행됩니다. 교육 예약 시 대면 및 비대면 참여 여부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참여는 사전 예약자에 한해 문자로 전송된 유튜브 주소(URL)에 접속 하여 강의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 동행 스튜디오 강좌 는 대면ㆍ비대면(온ㆍ오프라인) 병행으로 진행됩니다. 대면 참여 장소는 암병원 1층 동행라운지입니다. 온라인 참여는 사전 예약자에 한해 문자로 전송 된 유튜브 주 소(URL)에 접속하여 강의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 교육 예약 및 문의: 암정보교육센터(T. 02-2072-7451) * 교육 예약 시작일: 11월 25일 화요일 오전 10시 [12월 교육 관련 공지] 1. 교육 예약 취소 시 반드시 전화 혹은 카카오톡으로 연락 부탁 드립니다.(문자 불가) (참여 안내 문자에 답신하는 경우, 본 문자 발송 전화기는 문자 수신이 불가하므로, 센터에 전달이 불가합니다.) 2. 근력 운동 관련 교육(암환자를 위한 근력 운동 1회, 활력을 키우는 기능성 근력 운동 2회) 3개 중 1인당 총 2개 이하의 교육만 참여 가능하십니다. 최대한 많은 분들이 참여하실 수 있도록 양해 부탁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3. 뜨개 교실 예약은 15일(월), 16일(화) 모두 참여 가능하신 분들 우선 으로 예약 받을 예정입니다. 참고 부탁 드립니다. 4. 제3회 암환자와 함께하는 보이는 라디오 '온 에어' 행사는 온라인 으로만 참여 (대면 참여 불가) 가 능 하 십 니 다 . 5. 예약 시작일 카카오톡 및 전화 연락은 10시부터 받을 예정이오니, 10시부터 연락 부탁 드립니다. 2025년 12월 교육 일정표 바로보기(클릭)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강좌안내
정확도 : 0% 2025.11.06
[병원뉴스]서울대병원, 소아 모야모야병 진단·예후 예측 바이오마커 발견

서울대병원, 소아 모야모야병 진단예후 예측 바이오마커 발견 - 뇌척수액 단백체 분석해 바이오마커SLTIRK1발견...진단 성능 AUROC 0.926 - 뇌경색 발생(BASP1LDHA), 수술 예후(CD9EMILIN1) 관련 단백질 추가 확인 [사진 왼쪽부터] 정상 및 모야모야병 환자의 뇌혈관 소아 모야모야병 조기 진단 가능성을 높이는 새로운 바이오마커가 발견됐다. 모야모야병 환자의 뇌척수액에서 SLITRK1 단백질 발현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뇌경색, 수술 예후 등 모야모야병의 임상 특성과 연관된 단백질도 확인돼, 난치성 질환인 모야모야병 치료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소아 모야모야병은 뇌로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특별한 원인 없이 점차 좁아지는 만성 진행성 뇌혈관질환이다. 이 질환이 있으면 부족한 혈류를 보충하기 위해 비정상적인 미세혈관이 형성되는데, 이들은 혈류를 충분히 공급하기 어렵고 파열되기 쉬워 뇌경색뇌출혈 등 소아 뇌졸중을 유발할 수 있다. 모야모야병 확진은 뇌혈관 조영술을 통해 이뤄진다. 그러나 검사 전 진정이나 마취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아 소아 환자의 부담이 커 새로운 진단 방법이 필요했다. 최근 뇌척수액이 중추신경계 질환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는 유용한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이를 활용한 대규모 모야모야병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서울대병원 소아신경외과 김승기 교수와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 최승아융합의학과 한도현 교수(단기순 박사), 강북삼성병원 중환자의학과 심영보 교수팀은 소아 환자 118명의 뇌척수액을 분석해 모야모야병의 잠재적 바이오마커를 제시한 결과를 6일 발표했다.연구팀은 모야모야병 환자군(104명)과 대조군(14명)의 뇌척수액 내 단백체를 포괄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총 2400여개의 단백질이 확인됐으며, 그중 8개가 환자군에서 상대적으로 발현 강도가 높았다. 이 단백질들을 대상으로 한 효소면역분석에서 특히 신경세포 성장과 연관된 SLITRK1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신경세포가 모야모야병 진행 기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림1] 모야모야병 환자군 및 대조군의 뇌척수액 단백체 분석 결과. 환자군에서 발현 강도가 높은 단백질 8종 중, 신경세포 성장을 조절한다고 알려진 SLITRK1 단백질 농도가 대조군 대비 유의미하게 높았다. 진단 성능 검증 결과, SLITRK1는 AUROC 0.926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 단백질이 모야모야병의 진단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추가적으로 연구팀은 가중 유전자 공발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변화 패턴이 유사한 단백질들을 그룹화하고, 모야모야병 임상 특성과의 연관성을 규명했다. 그 결과, 수술 전 뇌경색 발생 환자는 BASP1, LDH 발현이 높았고, 좋은 수술 예후를 보인 환자는 CD9, EMILIN1 발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생 혈관 형성을 촉진하는 CD9 발현이 높을수록 mRS 점수(수술 후 기능 장애 정도)가 낮아져, 이 단백질과 모야모야병 수술 예후의 연관성이 확인됐다. [그림2] CD9 단백질 발현에 따른 예후 비교. 모야모야병 환자군은 대조군 대비 신생 혈관 형성을 촉진하는 CD9 발현이 낮았다. 환자군 내에서는 CD9 발현이 높을수록 mRS가 낮은 좋은 예후를 보였다. 서울대병원 김승기 교수(소아신경외과)는 이번 연구를 통해 뇌척수액에서 소아 모야모야병의 조기 진단과 치료를 위한 바이오마커를 발견하고, 효율적인 액체 생검 기반 진단법 개발에 한 걸음 다가섰다며 특히 새롭게 규명된 모야모야명 예후 예측 지표는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의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서울대병원 연구기금,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 극복사업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뇌졸중 분야 권위지 임상 뇌졸중 연구(Translational Stroke Research) 최신호에 게재됐다. [사진 왼쪽부터] 소아신경외과 김승기 교수, 강북삼성병원 심영보 교수,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 최승아 교수, 융합의학과 한도현 교수단기순 박사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0% 2025.11.06
[병원뉴스]50세 이하 유방암 환자, 수술 전 MRI 검사 시 동측 유방 내 재발 감소

50세 이하 유방암 환자, 수술 전 MRI 검사 시 동측 유방 내 재발 감소 - 환자 4414명 중간값 7.7년 장기 추적...수술 전 MRI 여부에 따른 예후 분석 - 호르몬 수용체 음성 유방암, MRI군이 비MRI군 대비 재발 위험 60% 낮아 [자료1] 수술 전 MRI 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50세 이하 환자의 수술 2년 후 유방 영상 검사 결과. 동측 유방 내 재발이 발생함. (A)유방촬영술 (B)유방초음파 (C)MRI 수술 전 MRI가 50세 이하 유방암 환자의 재발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규명했다. 특히 예후가 나쁘고, 재발률이 높은 호르몬 수용체 음성 유방암은 재발 위험이 60% 이상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젊은 유방암 환자의 맞춤형 치료 가능성을 높이고, 유방 MRI 기반의 정교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한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방암은 호르몬 수용체 유무에 따라 재발 양상이 다르며, 특히 호르몬 수용체 음성 유방암은 양성 대비 재발률이 높다. 50세 이하 유방암 환자는 유방 조직이 치밀한 경우가 많아 조기 진단이 어려울 뿐 아니라, 호르몬 수용체 음성 유방암 발생률이 높다. 또한, 수술 후 동측 유방 내 재발(국소 재발)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최적화된 수술을 위해 수술 전 유방 MRI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다. 유방 MRI는 유방암 검사 중 가장 민감도가 높아 유방촬영술과 초음파에서 놓친 종양도 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젊은 환자의 수술 전 MRI 검사가 장기적 예후에 미치는 영향, 특히 호르몬 수용체 상태에 따른 영향은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하수민연희라 교수, 유방내분비외과 김홍규 교수팀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수술을 받은 50세 미만 유방암 환자 4,414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 MRI 실시 여부에 따른 장기 예후를 비교한 결과를 5일 발표했다.연구팀은 전체 환자를 MRI군(4118명)과 비MRI군(296명)으로 나눠 나이, 병기, 종양 크기 등을 통계적으로 보정했다. 이후 중앙값 7.7년간 후향적으로 추적해 5년 누적 재발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재발률은 MRI군과 비MRI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동측 유방 내 재발률은 MRI군이 유의미하게 낮았다(1.6% vs 3.3%). [자료2] 호르몬 수용체 음성 그룹의 누적 재발률. 5년 누적 재발률 분석 결과, MRI군은 비MRI군보다 전체 재발률(8.2% vs 20.7%)과 동측 유방 내 재발률(2.9% vs 10.0%)이 낮았다. 호르몬 수용체 상태에 따른 하위 분석 결과, 호르몬 수용체 음성 그룹에서 수술 전 MRI 검사 효과가 뚜렷했다. 이 그룹의 MRI군은 비MRI군보다 동측 유방 내 재발률이 현저히 낮았을 뿐 아니라, 전체 재발 위험도 60% 이상 감소했다(8.2% vs 20.7%). 반면, 호르몬 수용체 양성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팀은 재발 위험이 높고 호르몬 치료 반응성이 낮은 호르몬 수용체 음성 유방암의 경우, 수술 전 MRI 검사가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을 돕고, 재발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장기 생존율, 구역(림프절 및 근처 부위) 재발률, 반대쪽 유방 재발률, 원격 전이 발생률은 수술 전 MRI 시행 여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하수민 교수(영상의학과)는 이번 연구는 젊은 유방암 환자의 MRI 결과를 장기 추적한 것으로, 특히 호르몬 수용체 음성 그룹에서 수술 전 MRI의 뚜렷한 재발 예방 효과를 확인했다며 이 결과는 50세 이하 유방암 환자를 위한 선택적 MRI 적용 근거를 마련하고, 종양 유형에 따른 영상 검사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 결과는 영상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Radiology(IF; 15.2)에 게재됐다. [사진 왼쪽부터] 영상의학과 연희라, 하수민 교수, 유방내분비외과 김홍규 교수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0% 2025.11.05
[병원뉴스]순환기내과 박경우 교수 ∙ 방사선종양학과 이주호 교수, 화이자의학상 수상자로 선정

순환기내과 박경우 교수 ∙ 방사선종양학과 이주호 교수, '제23회 화이자의학상'수상자로 선정 (왼쪽부터)순환기내과 박경우 교수, 방사선종양학과 이주호 교수 화이자의학상은 한국화이자제약 창립 30주년을 기념해 1999년 제정된 순수 의학상으로,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이 주관하고 한국화이자제약이 후원한다. 매년 기초임상중개의학 등 3개 부문에서 최근 2년 내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우수성, 창의성, 과학성, 공헌도 등을 평가해 수상자를 선정하며, 지금까지 58명의 의과학자가 이 상을 받은 바 있다. 올해 임상의학상은 박경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수상했다. 박 교수는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관상동맥중재술(PCI)을 받은 32만여 명의 환자를 분석, 출혈 고위험군(HBR)의 장기 임상 결과를 규명했다. 연구를 통해 출혈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 출혈뿐 아니라 허혈 사건과 사망 위험도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으며, 해당 연구는 국제학술지 '유럽심장저널(European Heart Journal)'에 게재됐다.중개의학상은 이주호 서울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가 선정됐다. 이 교수는 교모세포종 재발의 새로운 분자 기전을 규명해 난치성 뇌종양 치료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환자 조직과 동물모델 연구를 통해 뇌실하대(SVZ)의 신경줄기세포가 암 유발 돌연변이를 지니고 있으며, 재발 종양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연구 결과는 '몰레큘러 캔서(Molecular Cancer)'에 실렸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0% 2025.11.05
홈페이지 (4350)

1. 모집분야별 모집인원 및 전형방법 가. 모집분야 및 모집인원 . 모집분야 모집인원(명) 수련기간(년) 전형방법 정신건강임상심리사 2 3 1차 : 지원서 접수 2차 : 실무 면접 3차 : 최종 면접 4차 : 신체 검사 의공학연수의사 2 2 의학물리임상연수강사 2 3 전공약사(레지던트) 약제부 8 1 약물안전센터 2 항생제관리팀 1 임상연수영양사 2 1 임상연수사회복지사 정신건강 1 1 의료사회 2 융합의학연수생 8 1* 합계 30 ※ 수련시작(예정)일 : 2026.03.01. ※ 선발인원은 내부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각 전형단계별 합격자에 한하여 차기전형 기회 부여 ※ 정신건강임상심리사의 경우 과 자체 필기시험을 진행함. (시험일정 : 2025.11.20.(목) 오전) * 융합의학연수생은 1년 수련 이후 서울 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임 상의과학과(계약학과) 입학 시 석 사 과정은 2년, 박사 과정은 3년 연장 가능 나. 융합의학연수생 세부분야별/트랙별 세부 모집인원 모집단위 세부 모집단위 모집인원 데이터의학 의료인공지능 1명 (박사트랙) 의생명과학 융합기초 1명 (석사트랙) 의생명과학 2명 (석사트랙, 박사트랙) 의생명공학 영상 1명 (박사트랙) 로봇 1명 (석사트랙) 재료 1명 (박사트랙) 의료기술정책의학 의료기기사업화 1명 (석·박사트랙) 2. 지원자격 - 지원자격 정신건강임상심리사 ‧ 학위자격 : 심리학 석사 학위 소지자 (2026 년 2 월 학위 취득 예정자 포함 ) ‧ 어학성적 : 해당사항 없음 ‧ 자격 ( 면허 ) 증 : 해당사항 없음 의공학연수의사 ‧ 학위자격 :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인턴과정 또는 석사과정 수료한 자 ‧ 어학성적 : 해당사항 없음 ‧ 자격 ( 면허 ) 증 : 의사면허증 ‧ 기타사항 : 교수추천서 의학물리임상연수강사 ‧ 학위자격 : 의학물리학 관련 박사 학위 소지자 또는 수료자 ‧ 어학성적 : 해당사항 없음 ‧ 자격 ( 면허 ) 증 : 해당사항 없음 ‧ 기타사항 : 남자의 경우 , 군필자에 한함 전공약사 ( 레지던트 ) ‧ 학위자격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1) 약학대학 6 년제 졸업자 또는 2026 년 2 월 졸업예정자 2) 약학대학 4 년제 졸업 및 석사학위 취득자 또는 2026 년 2 월 취득예정자 ‧ 어학성적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 2 년 이내 유효한 성적 ( 필수 아님 ) ‧ 자격 ( 면허 ) 증 : 약사면허증 소지자 또는 2026 년 2 월 취득예정자 임상연수영양사 ‧ 학위자격 : 다음 각 호의 1 에 해당하는 자 1) 임상영양사 교육기관 ( 대학원 ) 졸업 ( 예정 ) 자 2) 임상영양사 교육기관 ( 대학원 ) 재학생 중 임상영양실습 이수 ( 예정 ) 자 ‧ 어학성적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 2 년 이내 유효한 영어 성적 (TOEIC, TEPS, TOEFL 중 택 1) ‧ 자격 ( 면허 ) 증 : 영양사 면허증 임상연수사회복지사 ‧ 학위자격 : 다음 각 호의 1 에 해당하는 자 1) 사회복지학 관련 전공 대학교 (4 년제 ) 졸업자 2) 사회복지학 관련 전공 대학원 졸업자 ‧ 어학성적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 2 년 이내 유효한 영어 성적 (TOEIC, TEPS, TOEFL 중 택 1) ‧ 자격 ( 면허 ) 증 : 사회복지사 1 급 자격증 ※ 사회복지사 1 급 자격이 필수이므로 , 해당 자격이 없는 졸업예정자는 지원 불가 ‧ 기타사항 : 사회복지사 1 급 자격증 취득을 위한 실습기관 내역은 지원서 “ 수련사항 ” 에 기재 융합의학연수생 ‧ 학위자격 모집분야 지원자격 석사과정 국내 · 외에서 학사학위를 취득한 자 (2026 년 2 월 취득예정자 포함 ) 또는 법령에 의하여 학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 의사면허 소지자 지원 가능 박사과정 국내 · 외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2026 년 2 월 취득예정자 포함 ) 또는 법령에 의하여 석사학위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 ※ 의사면허 소지자 지원 가능 ‧ 어학성적 : 지원서 접수 마감일 기준 2 년 이내 응시하여 취득한 영어점수가 TOEIC 775 점 이상 혹은 TEPS 298 점 이상 혹은 TOEFL IBT 88 점 이상 ※ 영어권 대학 ( 원 ) 졸업 ( 예정 ) 자는 영어성적 제출이 면제 ( 본인 선택 ) 됨 . 다만 영어성적 반영 시 최하점을 부여함 ‧ 자격 ( 면허 ) 증 : 의사면허증 등 ( 소지자에 한해 제출 ) ‧ 기타사항 : 1. 교수 추천서 제출 필수 (1 장 ) 2. 연수생 근무 시 타 대학원 및 직장 병행 불가능 3. 전형일정 - 일 정 공고 및 원서접수 2025.11.03.( 월 ) ~ 2025.11.16.( 일 ) (14 일간 ) 1 차 실무면접 2025.11.26.( 수 ) ~ 2025.11.28.( 금 ) 2 차 최종면접 2025.12.05.( 금 ) 최종면접 합격자 발표 2025.12.11.( 목 ), 본원 채용사이트 채용신체검사 2025.12.11.( 목 ) ~ 2025.12.16.( 화 ) 최종 합격자 등록 2025.12.16.( 화 )~ 2025.12.19.( 금 ) ※ 면접위원 일정조정 등으로 인해 일정 변동 될 수 있음 4. 제출서류 (붙임 참조) 제출서류 정신건강 임상 심리사 의공학 연수 의사 의학물리 임상연수 강사 전공 약사 임상 연수 영양사 임상 연수 사회 복지사 융합의학 연수생 비고 ( 필독사항 ) 지원서 ○ ○ ○ ○ ○ ○ ○ ◾ 첨부파일 양식 참고 수험표 ○ ○ ○ ○ ○ ○ ○ 자기소개서 ○ ○ ○ ○ ○ ○ ○ 대학 성적증명서 및 학사 이수전공 과목 ○ ○ ○ ○ ○ ○ ○ ◾ 전 학년 ( 본과 ) 종합석차 기재 ◾ 융합의학연수생 : ( 석사과정 ) 지원분야 관련 학부 전 과목 ( 붙임 4) 제출 필수 ( 박사과정 ) 지원분야 관련 학부 전공과목 ( 붙임 4) 및 대학원 전공과목 ( 붙임 5) 제출 필수 대학 졸업 ( 예정 ) 증명서 ○ - ○ ○ ○ ○ ○ ◾ 기졸업자 및 2026 년 2 월 졸업예정자만 지원가능 석사 성적증명서 및 석사 이수전공 과목 ○ ○ ○ ○ ○ ○ ○ ◾ 의공학연수의사 : 인턴 수료 증명서 제출자 제외 ◾ 레지던트 약사 : 약학대학 6 년제 졸업자 제외 ◾ 임상연수사회복지사 : 사회복지 관련 전공 학사 졸업 ( 예정 ) 자 제외 ◾ 임상연수영양사 : 임상영양사 교육기관 ( 대학원 ) 재학생 제외 ◾ 융합의학연수생 : 석사트랙 지원자 제외 석사 졸업 ( 예정 ) 증명서 ○ - ○ ○ ○ ○ ○ ◾ 레지던트 약사 : 약학대학 6 년제 졸업자 제외 ◾ 임상연수영양사 : 임상영양실습 이수 ( 예정 ) 증명서 제출 ◾ 임상연수사회복지사 : 사회복지 관련 전공 학사 졸업 ( 예정 ) 자 제외 ◾ 기졸업자 및 2026 년 2 월 졸업예정자만 지원가능 ◾ 융합의학연수생 : 석사트랙 지원자 제외 석사 수료증명서 - ○ - - - - - ◾ 의공학연수의사 : 인턴 수료 증명서 제출자 제외 인턴 수료증명서 - ○ - - - - - ◾ 의공학연수의사 : 석사 수료 증명서 제출자 제외 박사 졸업 ( 예정 ) 증명서 - - ○ - - - - ◾ 의학물리 관련 박사 학위 취득 또는 취득 예정자 박사 수료증명서 - - ○ - - - - ◾ 의학물리 관련 박사 수료자 교수추천서 - ○ ○ - - - ○ ◾ 추천인 소속 , 직급 , 서명 필수 면허증 ( 자격증 ) - ○ - ○ ○ ○ ○ ◾ 취득예정자는 추후 제출 ◾ 약사 면허증 ( 레지던트 약사 ) ◾ 영양사 면허증 ( 임상연수영양사 ) ◾ 임상연수사회복지사 : 사회복지사 1 급 자격증 ( 필수 ) ◾ 의사면허증 ( 연수의학자 , 의공학연수의사 ) ◾ 융합의학연수생 : 의사면허증 ( 소지자에 한함 ) 영어성적 - - - ○ ○ ○ ○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 2 년 이내 유효한 성적 ◾ 전공약사의 경우 , 선택사항 병역서류 ( 남성에 한함 ) ○ ○ ○ ○ ○ ○ ○ ◾ 군필 / 면제 : 전역일자 표기 된 주 민등록초본 원본 1부 ◾ 복무 : 전역예정증명서 원본 1 부 외국인 등록증 ( 외국인에 한함 ) ○ ○ ○ ○ ○ ○ ○ ◾ 외국인등록증 또는 외국인등록사실증명 사본 1 부 경력증명서 - - - - - - ○ ◾ 융합의학연수생 : 직무와 관련된 경력사항이 있는 경우 ※ 제출서류에 표기된 학교명 , 생년월일 등 개인정보는 마스킹 처리하여 제출하여야 함 ※ 채용절차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 제출 서류는 채용 여부 확정일로부터 14 일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5. 임용제한사유 가. 공고일 기준 정년퇴직 기준연령(만60세)에 도달한 자는 지원할 수 없음 나. 응시인원이 선발인원과 같거나 미달하여도 적격자가 없는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음 다. 응시원서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를 경우(허위기재, 증명서 미제출 등) 합격 및 임용 취소 라. 남자는 병역필 또는 면제자에 한함 마. 채용공고 내 타 모집분야 중복지원 불가 바. 본원 인사규정 제19조(결격사유)*에 해당되거나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및 아동 복지법, 노인복지법, 장애인복지법을 위반한 범죄이력자는 지원불가하며, 적발시 합격을 취소 * 인사규정 제 19 조 ( 결격사유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직원으로서 채용될 수 없다 . 1. 피성년후견인 ,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특정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6 의 2.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제 2 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 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 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20.6.15. 신설 ) 6 의 3. 미성년자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저질러 파면ㆍ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 (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한다 )(20.6.15. 신설 ) 가 .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제 2 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나 . 「 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 제 2 조제 2 호에 따른 아동ㆍ청소년대상 성범죄 7. 병역의무자로서 병역기피를 한 자 8. 징계처분에 의하여 해임된 자로서 5 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 (17.1.20. 삭제 ) 10. 「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 제 82 조에 따른 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자 (17.12.28. 신설 ) 11. 채용 관련 부정합격자로서 면직 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5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18.6.1. 신설 ) 사. 융합의학연수생은 연수기간(1년) 중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임상의과학과(계약학과*)에 입학하는 경우에 한해 연수기간 연장(석사과정 2년, 박사과정 3년 연장)이 가능하며, 임상의과학과 재학 중 서울대학교병원을 퇴사할 경우 임상의과학과에서 제적 처리됩니다. 아울러, 임상의과학과 등록금의 50%를 서울대학교병원이 지원합니다.(본인부담금 50%, 병원부담금 50%) * ‘ 계약학과 ’ 란 「 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 」 에 의거하여 국가 , 지방자치단체 , 또는 산업체 등이 그 소속직원의 재교육이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하여 경비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담하면서 교육을 의뢰하는 재교육 프로그램으로 계약학과의 특성상 대학과 협약이 체결된 기관에 근무하시는 분들만 지원 및 재학이 가능합니다 . 6. 우대사항 가. 취업지원대상자 등은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우대함 나. 취업지원대상자 등 채용특례 기준에 해당하는 자는 서류전형 등에서 가점을 부여하며, 병원 기준에 의거 일정 인원 우선 선발될 수 있음 (단, 채용분야 직무수행에 지장이 없는 자에 한함) 7. 지원방법 및 제출안내 가. 지원방법 ○ 온라인 접수 및 우편 접수를 원서기간 내 모두 완료하여야 하며, 우편접수를 최종 지원 기준으로 함 ※ 온라인 및 서류제출 모두 완료되어야 최종접수 완료 ○ 온라인 접수 링크 : https://forms.gle/H2XCPPWsJqx1A67f8 ○ 우편 접수 주소 : (03080)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서울대학교병원 교육수련팀 ※ 봉투 겉면에 “본인 성함 / 지원 분야 / 연수의사 응시원서 재중” 기입 ※ 접수마감일 17:00까지 도착분에 한하여 인정 나. 기타문의 : 교육수련팀 담당자(02-2072-3936 또는 02967@snuh.org) 문의 2025. 11. 03. 서울대학교병원장

채용사이트 > 입사지원 > 채용공고/입사지원
정확도 : 0% 2025.11.06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안전센터 > 알림마당 > 자료실
정확도 : 0% 2025.11.05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안전센터 > 센터소식 > 공지사항
정확도 : 0% 2025.11.04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