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h3n2"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22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건강정보 (1)

신종 인플루엔자 A는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변이를 일으켜 생긴 새로운 바이러스로, 2009년 전 세계적으로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고 있는 호흡기 질환이다.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2009년 3월 말 미국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고에서 발열, 기침 및 구토로 내원한 10세 소아의 비인두 흡입 검체에서 처음으로 검출되었다. 사람 H1과 H3 아형에는 음성을 보이나 돼지에서 기원한 새로운 H1N1 바이러스가 검출되면서 신종 인플루엔자가 처음으로 밝혀졌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바이러스의 표면 항원인 적혈구응집소(hemagglutinin, HA)와 뉴라민분해효소 (neuraminidase, NA)에 의해 아형이 결정된다. H는 바이러스가 체세포에 부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15가지 아형이 있으며, N은 감염된 세포로부터 증식된 바이러스가 빠져나와 새로운 체세포를 감염시킬 수 있도록 기존의 감염된 세포와 바이러스 입자 간의 결합을 끊어주는 역할을 하며 9가지 아형으로 분류된다.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다양한 아형 변화를 보이기 때문에 H, N의 종류에 따라 H1N1, H3N2 등으로 표기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항원 변이라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크고 작은 항원 변이는 거의 매년 일어나며 이러한 항원 변이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인플루엔자의 유행이 초래된다. 항원 변이에는 항원 대변이와 항원 소변이 두 가지가 있으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표면의 HA와 NA의 변이와 관련된다. 특히 HA이 중요한데, 이는 HA에 대한 항체가 있는지의 여부가 감염에 방어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항원 대변이는 A형 인플루엔자에서만 가능하며, 기존 유행주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유전자 중 HA 또는 NA가 전혀 새로운 아형으로 바뀌는 것이다. 신형 바이러스가 발생하는 기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설명이 가능하다. 즉,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몇 개의 유전자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람과 동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한 개체 내에 이중 감염을 유발하고, 그 과정 중에 유전자 재조합이 일어나 기존의 것과 전혀 다른 신형 바이러스가 생기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사람과 동물에서 분리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HA는 종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직접 사람으로 전파되지 못하고 사람과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하여 모두 감수성이 있는 돼지라는 ”혼합 용기” 내에서 조류 인플루엔자의 HA를 획득한 새로운 사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재조합되어야만 사람에 대한 병독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신형 바이러스는 면역력이 없는 사람들에서 인플루엔자의 대유행을 일으키게 되고 이러한 대유행은 수많은 사망자를 발생시키게 된다. 과거에도 돼지에서 기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사람 간의 감염증은 보고된 바가 있었으나 소규모의 감염만 일으켰다. 그러나 2009년에 새로이 발생한 신종 인플루엔자는 214개국 이상에서 확진이 되었고 2009년 4월부터 대유행(pandemic)이 종료된 2010년 8월까지 전세계적으로 18,500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서울대학교병원 > 건강정보 > N의학정보
정확도 : 99% 2017.07.20
병원소개 (2)
[병원뉴스]MRI 조영제와 뇌암 온열치료 물질로 동시 사용 가능한 나노물질 개발

- 기존의 나노물질보다 효율적인 뇌암 진단과 고온치료의 탁월한 항암효과 보여- 안정성 및 진단치료 성능 확인해 온열 치료법을 통한 새로운 암 치료제 방향 제시 [그림1] 7nm 망간-아연-산화철 자성 나노물질의 조영제로써 뇌암 진단 효과(좌측) 및 고온발열을 통한 치료효과(우측) 최근 국내 연구팀이 MRI 조영제와 뇌암 온열치료 물질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고효율성 나노물질(MnZn-SPION-7)을 개발했다. 이 물질은 7nm 크기의 망간-아연-산화철 (Mn0.5Zn0.5Fe2O4) 자성 나노물질로, 기존보다 MRI 조영능력 및 온열치료 효과를 증대시킨 물질이다. 이는 암의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과 나이랑 교수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박원철 교수, 상하이교통대 릉대순 교수로 구성된 공동 연구팀은 나노물질(MnZn-SPION-7)을 개발하고, 생체 내 실험 등을 통해 교모세포종의 진단 및 치료 효과를 확인한 연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뇌암(교모세포종)은 성인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 뇌종양 중 가장 흔한 종양으로, 화학치료, 방사선요법 등 기존 치료법에 대한 강한 저항성이 특징이다. 최근 테모졸로마이드와 동시 화학-방사선 요법과 같은 치료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교모세포종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15개월을 넘지 못하고 있다. 이후 나노물질을 활용한 자기 온열치료법이 부상하면서 산화철 나노물질(SPION)이 개발된 바 있다. 하지만 고강도 교번자기장(Alternating Magnetic Field; AMF)*이 요구되고, 복용량이 제한되는 등 최적화가 쉽지 않아 실제 적용이 어려웠다. 이에 기존 SPION에 다른 원자를 합성하는 방법이 시도됐지만, 정밀한 원자 도핑을 통해 효율적으로 MRI 조영제효과와 항암치료효과를 동시에 최적화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교번자기장(AMF) : 강도 H와 역방향 강도-H사이를 시간과 함께 주기적으로 변화하고, 자성 나노입자와 상호작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자기장. 예를 들어, 100kHz의 교번자기장은 1초에 10만번 N극과 S극 번갈아 변화한다. 이에 연구팀은 고온열분해 제조공법을 통해 기존 산화철에 망간(Mn)과 아연(Zn)을 도핑하는 방법으로 7-nm 크기의 Mn0.5Zn0.5Fe2O4 산화철 나노물질 MnZn-SPION-7을 개발했으며,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해 메톡시-PEG-실란 용매로 표면을 수정해 PEG-MnZn-SPION-7를 제조했다. 이후 나노물질의 안정성, 생체 안전성, 생체 적합성 및 진단치료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생채 내 실험과 시험관 실험을 진행하고, 기존 Fe3O4 산화철 나노물질(SPION)과 비교했다. 연구 결과, PEG-MnZn-SPION-7은 크기와 모양이 균일했으며, 수용액에서 자기적 특성을 유지해 나노물질의 안정성이 입증됐다. 그리고 기존 SPION보다 현저하게 높은 MRI T2 강조효과를 보여 조영제로써 탁월한 성능을 확인했다. 치료효과 측면에서 MnZn-SPION-7은 140Oe, 100kHz의 교번자기장에서 기존 SPION보다 5배 이상의 높은 발열을 보였다(78.4C 대 15.4C). 또한 PEG-MnZn-SPION-7을 교모세포종 세포에 주입했을 때 온도가 26.6 C 상승해 교모세포종 세포가 소멸했으며, 2주 동안 6회에 걸쳐 동일한 교번자기장을 가했을 때 면역세포 활성이 유도됐다. [그림2] 동물실험에서 영상조영능력 및 치료효과 규명: (D) (+)MNP(나노물질),(+)AMF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영상조영능력 및 치료효과가 큼 (E) MRI에서 뇌암 위치와 이동경로를 정확하게 파악 가능 서울대병원 나이랑 교수(융합의학과)는 MnZn-SPION-7 나노물질은 매우 높은 고온의 온열치료뿐만 아니라 MRI 조영제로써 종양 추적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며 이를 통한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박원철 교수(응용바이오공학과)는 향후 고효율성 자성 나노물질을 개발하고 그 표면 개질의 다양한 활성화를 통하여 약물전달의 기능을 추가하여, 환자 맞춤형 진료와 치료를 개선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서울대병원 백선하 교수(신경외과)는 뇌암(교모세포종)뿐만 아니라 폐암, 유방암, 간암, 전립선암, 피부암과 같은 전신의 암 환자에서 기존의 암 치료에도 불구하고 재발하는 경우, MnZn-SPION-7 나노물질을 이용한 암 치료가 매우 좋은 치료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인 세라노스틱스(Theranostics, IF: 12.4) 최근호에 게재됐다. [사진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융합의학과 나이랑 교수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박원철 교수, 상하이교통대 릉대순 교수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0% 2025.04.09
홈페이지 (19)

아목시실린 의한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 약물안전센터/지역의약품안전센터 항인지질항체증후군으로 아스피린과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을 복용하고 있는 것 외에 특이 병력 없는 60 대 여성 환자가 피부발진으로로 내원했다 . 일주일 전 치과 치료로 처방 받은 아목시실린 , 록소프로펜 , 모사프라이드를 1 번 복용한 뒤 손 부종을 시작으로 전신에 가려움을 동반한 홍반이 발생했으나 5 일분 처방을 지속 복용하였고 , 증상이 악화되었다 . 내원 당일에는 환자의 양팔에서 농포를 동반한 다형 홍반이 관찰되었다 . 혈액 검사에서는 이상 소견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 임상적 소견 상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 (acute generalized exanthematous pustulosis, AGEP) 의심되어 단기간 경구용 스테로이드 처방 및 첩포검사 시행하기로 하였다 . 스테로이드 복용 후 피부 병변은 전반적으로 호전되었고 , 증상 호전 후 원인약제를 확인하기 위한 첩포검사에서 아목시실린만이 양성 반응을 보였다 . 이에 아목시실린에 대한 약물안전카드 발급했으며 , 향후 해당 성분은 반드시 피하도록 안내했다 .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의 발병 요인에는 바이러스 감염, 수은 노출, 약물 등이 있으며, 원인 약제 노출 이후 빠른 발현을 보이고 간찰부의 무균성 비낭포성 농포 양상으로 발현된다. 원인 약물로는 베타락탐계 항생제(아목시실린, 암피실린, 페니실린),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에리트로마이신, 록시트로마이신)와 그 외 반코마이신, 이미페넴, 아세트아미노펜 등이 있다. 임상 양상으로는 38 ℃ 이상의 발열이 흔하고, 얼굴에서 시작되어 수시간 안에 몸통, 다리까지 퍼지는 광범위한 부종성 홍반 위에 무균성 비낭포들의 산재를 특징으로 한다. 피부병변은 며칠 안에 없어지는 특성을 지니며, 점형의 표피 탈락 또는 비늘 벗음을 남긴다.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의 유발기전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면역복합체, C3의 침착을 보이므로 제3형과 제4형 면역반응이 관여한다는 주장과, 원인 약물 특이 T 세포가 활성화되고 CD4+ T 세포가 인터류킨 (IL)-1 또는 IL-8과 같은 호중구의 화학주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분비함으로써 농포 형성에 관여한다고 주장하는 연구들이 있다.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은 대부분 원인 물질 노출 중단 후 15일 이내 병변이 자발적으로 소실되는 경과를 보이므로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경우에 따라 스테로이드나 항히스타민 투여가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차적인 세균감염이 동반된 경우 항생제가 필요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 이 임상적으로 의심되는 경우 유발 원인이 되는 약물을 찾아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참고문헌> 1. Parisi R, Shah H, Navarini AA, et al. Acute generalized exanthematous pustulosis: Clinical featur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Am J Clin Dermatol. 2023; 24(4):557-575 2. Sidoroff A, Haelvy S, Bavinck J.N.B, et al. Acute generalized exanthematous pustulosis (AGEP) – A clinical reaction pattern. Journal of Cutaneous Pathology, 28:113-119 3. 공두경 , 류석용 , 김혜진 , 강태경 , 오성찬 , 조석진 , 이상래 .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 (acute generalized exanthematous pustulosis) 에 대한 1 례 . 대한응급의학회지 , 22(4), 387-389. 4. Britschgi M, Steiner UC, Schmid S, et al. T-cell involvement in drug-induced acute generalized exanthematous pustulosis. J Clin Invest. 2001;107:1433-41 5. Kardaun SH, Kuiper H, Fidler V, et al. The histopathological spectrum of acute generalized exanthematous pustulosis (AGEP) and its differentiation from generalized pustular psoriasis. J Cutan Pathol. 2010;37:1220-9.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안전센터 > 약물이상반응 > 약물이상사례
정확도 : 0% 2025.05.19

장비 1. 방사성동위원소 발생장치 (Radioisotope Generator, RG) A. Cyclotron 하전입자(H- ion)를 자기장 속에서 원 운동시킨 다음 고주파(High Frequency)로 일정한 에너지(16.5MeV)에 도달시키면 가속된 하전 입자가 Extraction Carbon Foil을 통과한 후 Target 물질과 핵반응을 일으켜 방사성동위원소가 생성된다. ∙ Model : PETtrace 10 ∙ 제조사 : GE Healthcare System ∙ 도입 : 2011. 07. ∙ Accelerating Particle : Proton, Deuteron ∙ Energy : Proton 16.5 MeV, Deuteron 8.4 MeV ∙ Beam Output Current : 100 µA ∙ Ion Source Type : H-, D- ∙ Target Positions : 6 Targets ( 18 F, 13 N, 15 O, 64 Cu, 124 I, 11 CO2) ∙ Beam Extraction : Carbon Foil GE PETtrace 10 B. Generator 방사평형을 이용하여 정지상에 흡착되어 있는 모 핵종이 붕괴하면서 딸 핵종이 생성되는데, 이때 생성된 딸 핵종을 적당한 용액으로 용출하여 방사성 동위원소를 생산한다. 2. 방사성의약품 자동합성장치 A. GE Fastlab TM 2 Synthesizer(아시아 최초 도입) ∙ Fastlab TM 2 is a compact automated system that converts externally produced radio-isotopes (from cyclotron) into radiochemicals ready for further processing and quality control ∙ 생산가능한 방사성의약품 - [ 18 F] FDG(Phosphate, Duo Citrate) - [ 18 F] NaF - [ 18 F] FMISO - [ 18 F] FLT GE Fastlab TM 2 B. GE Tracerlab MX (Only Use for Cassette type) ∙ 생산가능한 방사성의약품 - [ 18 F] FDG - [ 18 F] FDOPA - [ 18 F] NaF - [ 18 F] FMISO - [ 18 F] FLT GE Tracerlab MX C. GE Tracerlab Fx-FN ∙ 생산 가능한 방사성의약품 (주로 연구용으로 사용) - [ 18 F] PBR28 - [ 18 F] FTHA - [ 18 F] FPEB - [ 18 F] FEDAC - [ 18 F] THK5351 - [ 18 F] AV1451 GE Tracerlab Fx-FN D. GE Tracerlab FXc-Pro ∙ FXc Pro is a compact, automated radiochemistry system, which will produce C-11 labeled radiochemicals from [ 11 C]MeI or [ 11 C]MEOTf ∙ 생산가능한 방사성의약품 - [ 11 C] Methionine - [ 11 C] PIB - [ 11 C] Raclopride - [ 11 C] Acetate - [ 11 C] PBR28 - [ 11 C] DASB - [ 11 C] Verapamil - [ 11 C] FMZ - [ 11 C] PK11195 - [ 11 C] Sertraline - [ 11 C] KR31173 - [ 11 C] PBB3 - [ 11 C] K-2 - [ 11 C] MTO GE Tracerlab FXc-Pro E. Soild Target Processing System ALCEO ∙ 생산가능한 방사성동위원소 - [ 62 Zn] - [ 64 Cu] - [ 89 Zr] - [ 124 I] Soild Target Processing System ALCEO F. N-13 Ammonia Process Unit ∙ 생산가능한 방사성의약품 - [ 13 N] Ammonia N-13 Ammonia Process Unit G. O-15 Water Process Unit ∙ 생산가능한 방사성의약품 - [ 15 O] Water O-15 Water Process Unit H. Ga-68 Process Unit(SNUH in House) ∙ 합성가능한 방사성의약품 - [ 68 Ga] NOTA-TOC - [ 68 Ga] NOTA-RGD - [ 68 Ga] NGUL - [ 68 Ga] PSMA-11 - [ 68 Ga] FAPI Ga-68 Process Unit(SNUH in House)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진료 > 방사성의약품 생산연구개발실 > 장비
정확도 : 0% 2025.01.06

직명 직급명 성명 科 長 敎 授 鄭俊基 敎 授 李明哲 醫 務 長 副 敎 授 李東洙 副 敎 授 鄭載民 助 敎 授 呂政錫 專 任 醫 師 鄭煥正 招聘副敎授 金鍾順 任常茂 趙政赫 招聘副敎授 金秉兌 崔昌運 金熙中 崔 龍 招聘專任講師 金相殷 專 攻 醫 四 年 次 金有景 二 年 次 팽진철 一 年 次 李鎬永 看 護 師 李英美 技 士 長 保 健 技 正 徐壹澤 首席技士 保健副技正 金賢珠 李仁元 曺圭袗 保 健 士 盧京雲 禹宰龍 趙滿益 黃吉東 洪美京 保 健 士 補 金鎭義 金兌勳 朴泳宰 申成和 兪泰敏 李洪宰 張鉉永 趙誠旭 藥 師 張英洙 主 事 補 崔貞嬉 運營技能織 柳英珠 南恩珠 申殷英 周洪汝 崔倫貞 崔倫姬 [2]主要活動事項 진료건수는 전년도에 비하여 23% 증가하였으며, 양전자단층촬영(PET) 검사는 27% 증가하였다. PET센터의 사이클로트론에서 생산되는 방사성동위원소( 18 F)를 판매하여 수입을 증대시켜 우수 부서 표창을 받았다. 토요일에도 전일근무제를 실시하여 평일과 같이 정상적으로 검사결과를 볼 수 있게 하였다. 6개월 동안 검체검사실(2층) 개보수 공사가 완료되어 산뜻하게 단장된 곳으로 입주하였다. IAEA 교육계획에 의해 파키스탄 연수생 Nadeem을 6월 1일에서 7월 31일까지 2개월 동안 각종 의료장비의 물리적 특성 및 이용에 대한 교육을 하였다. 연구분야에서는 2001년 미국 핵의학회에 모두 26편의 논문을 발표하여 세계에서 단일 기관으로 2번째로 많은 연제를 발표하는 등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전국의 보건대학에서 방사선과 70명과 임상병리과 학생 64명을 1주간씩 영상검사와 검체검사에 대한 실습교육을 실시하였다. 방사약학연구원 2명, 석.박사 학위과정 핵과학 연구원 6명이 연구개발 업무에 매진하였다. 인사 내용 직급 성명 인사내용 일자 비고 보 건 직 洪美京 승진(5급 - 4급) 1. 1 보 건 직 尹太錫 연구 교수 1. 1 보 건 직 鄭圭日 신규 발령(5급) 1. 1 보 건 직 林占鎭 신규 발령(5급) 1. 1 보 건 직 文一相 신규 발령(5급) 1. 1 보 건 직 曺用鉉 신규 발령(6급) 1. 1 보 건 직 金秉辰 신규 발령(6급) 1. 1 교 수 姜周賢 승진(6급 - 5급) 11. 1 운영기능직 金賢花 총무과로 전보발령 12. 16 운영기능직 柳英珠 전보발령 12. 17 [3] 敎育現況 ① 학생 교육 의과대학 3학년 1학기에 핵의학에 대하여 19시간의 강의교육을 시행하여 실습은 내과 실습교육에서 10시간, 진단방사선과 실습교육에서 2시간을 배당 받아 핵의학 진료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을 실시하였다. 핵의학 실습교육 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요일 구분 시간 교육과정 목요일 오 후 1:00 - 2:00 핵의학 개론 오 후 2:00 - 3:00 PET 개요 오 후 3:00 - 4:00 방사성동위원소 개론 금요일 오 전 8:00 - 9:00 금요 영상 세미나 오 전 9:00 - 9:30 PET 판독 오 전 9:30 - 11:00 검사성능과 부하검사 실제 오 전 11:00 - 12:00 판독 실습스캔 오 후 1:00 - 2:30 갑상선암 환자 방사성동위원소 치료 오 후 2:30 - 3:30 핵영상 교육 총정리 및 평가 월요일 오 후 2:00 - 4:00 핵의학 영상 실습 ② 대학원 교육 과 정 이 름 논 문 제 목 날 짜 지도교수 석 사 김유경 15 O-H 2 O PET 영상을 이용한 절대적 신혈류량의 정량화 2002. 2. 이동수 핵의학과 전공의 교육이 4년차 까지 수행되었다. 2년차가 핵의학임상에서 6개월을 방사선과와 내과에 3개월씩 파견 수련 받았다. 월 3, 4, 5 6, 7, 8 9, 10, 11 12 1 년차 내 과 핵의학 방사선 핵의학 2 년차 핵의학 방사선 핵의학 핵의학 4 년차 핵의학 핵의학 연 구 외부병원 핵의학 진단방사선과에서 1명씩 전공의가 순환 근무하였으며 수련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주 1일 23일 4일 5일 6일 1주 핵의학과 소개 문진, 진찰, 주사 RI 분배 사용 안전관리 감마카메라영상관리 컴퓨터 분석 2주 SPECT 촬영 및 영상구성, 소아판독 3주 판독 방사면역측정법 및 크로마토그라피 4주 PET촬영 및 영상구성, 소아 판독 [4] 硏究現況 수요미니심포지움 15회와 물리, 화학, 종양, 생물학, 인지과학 등 기초-임상 연구 모임을 비롯 11종류의 과내 및 타 과와의 집담회를 열었다. 보건복지부, 암연구센터, 과학기술처, 특정기초연구, 원자력 중장기연구, 원자력기초연구 등의 연구과제를 수행하였고 연구 결과 16편의 외국학술지 논문과 11편의 국내학술지 논문을 발표하였다. ① 국내학술지 주 연구논문 번호 논문 1 강창순, 장영수, 정재민, 이동수, 정준기, 이강춘, 이명철. 99m Tc-HMPAO의 광학이성체 d -, l - form의 합성과 뇌섭취율 비교. 대한핵의학회지 2001;35(1):69-74 2 김유경, 이동수, 강은주, 서정기, 여정석, 정준기, 이명철. 주기성 구토 증후군 환아에서 보인 F-18 FDG PET에서의 뇌 포도당 대사 소견. 대한핵의학회지 2001;35(3):198-204 3 김경민, 이동수, 김유경, 천기정, 김석기, 정준기, 이명철. 게이트 심근 SPECT를 이용한 비 침습적 심실 수축력 측정방법의 재현성. 대한핵의학회지 2001;35(3):152-160 4 김유경, 이동수, 이상건, 정천기, 여정석, 정준기, 이명철. 전두엽 간질에서 F-18-FDG PET의 간질병소 국소화 성능: 육안 판독과 SPM에 의한 분석. 대한핵의학회지 2001;35(3):131-142 5 김재진, 김명선, 조상수, 권준수, 이재성, 이동수, 정준기, 이명철.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을 이용한 국어단어와 영어단어의 어의처리 신경매개체의 특성 비교. 대한핵의학회지 2001;35(3):142-151 6 정준기. 진단적 방사성옥소 전신스캔이 음성인 갑상선 재발암의 진료. 대한핵의학회지 2001;35(3):117-124 7 이동수. 심근 SPECT. 순환기. 2001;31(4):385-391 8 김유경, 이동수, 강은주, 서정기, 여정석, 정준기, 이명철. 주기성 구토 증후군 환아에서 보인 F-18 FDG PET에서의 뇌 포도당 대사 소견. 대한핵의학회지 2001;35(3):198-204 9 김경민, 이동수, 김유경, 천기정, 김석기, 정준기, 이명철. 게이트 심근 SPECT를 이용한 비침습적 심실 수축력 측정방법의 재현성. 대한핵의학회지 2001;35(3):152-160 10 김유경, 이동수, 이상건, 정천기, 여정석, 정준기, 이명철. 전두엽 간질에서 F-18-FDG PET의 간질병소 국소화 성능: 육안판독과 SPM에 의한 분석. 대한핵의학회지 2001;35(3):131-142 11 김재진, 김명선, 조상수, 권준수, 이재성, 이동수, 정준기, 이명철. 양전자방출단층촬영을 이용한 국어단어와 영어단어의 어의 처리 신경매개체의 특성 비교. 대한핵의학회지 2001;35(3):142-151 12 DS Lee, SK Lee, MC Lee. Functional Neuroimaging in Epilepsy: FDG PET and lctal SPECT.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01;16(6):689-696 ② 국내학술지 부 연구논문 번호 논문 1 권오현, 윤병우, 현인영, 이동수, 이명철, 노재규. 혈관조영영상의 소견과 뇌혈관반응성의 상관 관계 비교. 대한뇌졸증학회지 2001;3(2):137-145 2 권종원, 문우경, 이유진, 문민환, 여정석, 정준기, 노동영, 임정기. 유방종괴의 감별 진단에 있어서 출력도플러 유방초음파 검사와 99mTc-MIBI 스캔의 비교. 대한방사선의학회지 2001;45(2):215-220 3 이현국, 이규언, 김윤호, 정재민, 양한광, 정준기, 이건욱, 최국진. 재발한 위암의 진단에 사용된 FDG-PET의 유용성. 대한위암학회지 2001;1(3):174-179 4 Bungnyn Kim, Jae Sung Lee, Soo Chul Cho, Dong Soo Lee. "Methylphenidate increased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in ADHD". Yonsei Medical Journal 2001;42(1):19-29 5 정준기. 악성 종양에서 양전자단층촬영술 (PET)의 임상이용(자율학습). 대한의사협회2001;44(11):1213-1222 6 권오현, 윤병우, 현인영, 이동수, 이명철, 노재규. 혈관조영영상의 소견과 뇌혈관반응성의 상관관계 비교. 대한뇌졸증학회지 2001;3(2):137-145 7 Hyunwoo Nam, Sang Kun Lee, Chun-Kee Chung, Keun-Sik Hong, Kee-Hyun Chang, Dong-Soo Lee. Incidence and Clinical Profile of Extra-medial-temporal Epilepsy with Hippocampal Atrophy.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01;16(1):95-102 ③ 해외학술지 주 연구논문 번호 논문 1 Jeong Seok Yeo, June-Key Chung, Young So, Suk-Ki Kim, Eunju Lee, Dong Soo Lee, Yeo Kyu Youn, Suk Joon Hong, II-Min Ahn, Myung Chul Lee, Bo Youn Cho. F-18-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s a Presurgical Evaluation Modality For I-131 Scan-negative Thyroid Carcinoma Patients with Local Recurrence in Cervical Lymph Nodes. Head Neck 2001;23:94-103 2 Jae Min Jeong, Young Joo Kim, Yoon Sang Lee, Jun Il Ko, Miwon Son, Dong Soo Lee, June-Key Chung, Jae Hyung Park, Myung Chul Lee. Lipiodol solution of a lipophilic agent, 188Re-TDD, for the treatment of liver cancer. Nuclear Medicine and Biology 2001;28:197-204 3 Jae Min Jeong, Sung Hyun Hong, Young Joo Kim, Dong Soo Lee, June-Key Chung, Hung-Hyuck Cho, Myung Chul Lee. N,N',N'',N'''-Tetraalkylcyclam Derivatives: Synthesis, 99mTc-Labelling, and Biological Properties J. Labelled Compounds. Radiopharm 2001;44:277-285 4 Jin Chul Paeng, Dong Soo Lee, Gi Jeong Cheon, Myoung Mook Lee, June-Key Chung, Myung Chul Lee. Reproducibility of an Automatic Quantitation of Regional Myocardial Wall Motion and Systolic Thickening on Gated 99mTc-Sestamibi Myocardial SPECT. J Nucl Med 2001;42:695-700 5 Keon Wook Kang, Dong Soo Lee, Jae Hun Cho, Jae Sung Lee, Jeong Seok Yeo, Sang Kun Lee, June-Key Chung, and Myung Chul Lee. Quantification of F-18 FDG PET Images in Temporal Lobe Epilepsy Patients Using Probabilistic Brain Atlas. Neuroimage 2001;14:1-6 6 Dong Soo Lee, Jae Sung Lee, Seung Ha Oh, Seok-Ki Kim, Jeung-Whoon Kim, June-Key Chung, Myung Chul Lee, Chong Sun Kim. Cross-Modal Plasticity and Cochlear Implants. Nature 2001;409(6817):149-150 7 Ji Young Ahn, Dong Soo Lee, Jae Sung Lee, Seok-Ki Kim, Gi Jeong Cheon, Jeong Seok Yeo, Seung-Ai Shin, June-Key Chung, and Myung Chul Lee. Quantification of Regional Myocardial Blood Flow Using Dynamic H215O PET and Factor Analysis. J Nucl Med 2001;42(5):782-787 8 Jung-Jun Min, June-Key Chung, Yong Jin Lee, Jae Min Jeong, Dong Soo Lee, Ja June Jang, Myung Chul Lee, Bo Youn Cho.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on of the sodium/ iodide symporter and 131l uptake in recurrent lesions of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 Eur J Nucl Med 2001;28:639-645 9 Jae Sung Lee, Dong Soo Lee, Ji Young Ahn, Gi Jeong Cheon, Seok-Ki Kim, Jeong Seok Yeo, Kang Jun Seo, Kwang Suk Park, June-Key Chung, Myung Chul Lee. Blind Separation of Cardiac Components and Extraction of Input Function from H215O Dynamic Myocardial PET Using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J Nucl Med 2001;42:938-943 10 Y. So, J-K Chung, JK Seo, JS Ko, JY Kim, DS Lee, MC Lee. Different Patterns of Lymphoscintigraphic Findings in Patients with Intestinal Lymphangiectasis. Nuclear Medicine Communications 2001;22:1249-1254 11 Jae-Jin Kim, Myung Chul Lee, Jaeseok Kim, In Young Kim, Sun I Kim, Moon Hee Han, Kee-Hyun Chang, Jun Soo Kwon. Grey Matter Abnormalitie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01;179:330-334 12 JM Jeong, YJ Kim, YS Lee, JI Ko, MWS, DS Lee, JK Chung, JH Park, MC Lee. Lipiodol solution of a lipophilic agent, 188Re-TDD, for the treatment of liver cancer. Nuclear Medicine and Biology 2001;28:197-204 ④ 해외 학술지 부 연구논문 번호 논문 1 TS Kim, WK Moon, DS Lee, J-K Chung, MC Lee, YK Youn, SK Oh, KJ Chon, DY Noh.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or detection of recurrent or metastatic breast cancer. World J Surg 2001;25(7):829-834 2 Kyu-Sang Park, Kyung-Jay Nam, Jun-Woo Kim, Youn-Bok Lee, Chang-Yeop Han, June-Key chung, Hong-Kyu Lee, Youngmi Kim Pak. Depletion of Mitochondrial DNA Alters Glucose Metabolism in SK-Hepl cells.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001;280:1007-1014 3 W Suh, J-K Chung, SH Park, SW Kim. Anti-JL1 antibody-conjugated poly(L-lysine) for targeted gene delivery to leukemia T cells. J Control Release 2001;72(1-3):171-178 4 In Young Hyun, Jae Sung Lee, Joung Ho Rha, II Keun Lee, Choong Kun Ha, Dong Soo Lee. Different uptake of 99mTc-ECD and 99mTc-HMPAO in the same brains: analysis by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Europ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2001;28(2):191-197 5 Sung-Il Hwang, Jae Hyoung Kim, Sun Woon Park, Moon Hee Han, In Kyu Yu, Sang Hyun Lee, Dong Soo Lee, Sang Kun Lee, Chun-Kee Chung, Kee-Hyun Chang. Comparative Analysis of MR Imagin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nd Ictal Single-Photon Emission CT in Patients With Neocortical Epilepsy. Am J Neuroradiol 2001;22(5):937-946 6 Sun-Won Park, Kee-Hyun Chang, Hong-Dae Kim, In Chan Song, Dong Soo Lee, Sang Kun Lee, Chun-Kee Chung, In Kyu Yu, Moon Hee Han, and Yang Hee Park. Lateralizing Ability of Single-voxel Proton MR Spectroscopy in Hippocampal Sclerosis : Comparison with MR Imaging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Am J Neuroradiol 2001;22:625-631 7 Beom Suk Jeon, Jong-Min Kim, Dong-Soo Lee. An Apparently Sporadic Case With Parkin Gene Mutation in a Korean Woman. Neurology 2001;58(6):988-989 8 Mi Young Choi, Kyoung-Min Lee, Jeong-Min Hwang, Dong Gyu Choi, Dong Soo Lee, Ki Ho Park, Young Suk Yu. Comparison between anisometropic and strabismic amblyopia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2001;85(9):1052-1056 9 Sung Kun Lee, Gheeyoung Choe, Keun-Sik Hong, Hyun-Woo Nam, Joo-Yong Kim, Chun-Kee Chung, Dong-Soo Lee, Kee-Hyun Chang. Neuroimaging Findings of Cortical Dyslamination with Cytomegaly. Epilepsia. 2001;42(7):850-856 10 Mi Young Choi, Dong Soo Lee, Jeong-Min Hwang, Dong Gyu Choi, Kyoung-Min Lee, Ki Ho Park, Young Suk Yu, Hum Chung. Investigation of visual cortex in children with cortical visual impairmen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Neuro-Ophthalmology. 2001;25(3):103-108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핵의학과 소개 > 연혁 > 역사
정확도 : 1% 2024.12.24

1. 직원명단 직명 직급명 성명 과 장 교수 강건욱 교 수 교수 정준기 이동수 정재민 강건욱 천기정 이재성 명예교수 이명철 임상교수 윤혜원 팽진철 임상조교수 최홍윤(09.10) 연구교수 이윤상 황도원 이혜경 연구부교수 김미정 강혜진 최유리 송명근 임상강사 강서영 서민석(연구) 전공의(4년차) 김지현 김현주 이리리 이환희 전공의(3년차) 김지영 서훈녕 유현지 전공의(2년차) 배성우 위원석 전공의(1년차) 오동규 일반직(사무직 J3) 최정희 일반직(간호직 S1) 강신후 김연희 이미정 한현미 김봉선(06.25) 일반직(약무직 J1) 김호영 기사장 일반직(보건직 M1) 노경운 수석기사 일반직(보건직 S2) 이홍재 조성욱 문일상 일반직(보건직 S1) 유태민 일반직(보건직 M1) 김진의 일반직(보건직 S2) 홍미경 일반직(보건직 S1) 임정진 조용현 황길동 일반직(보건직 J3) 김대운 김병진 김재일 도용호 신선영 성용준 윤태석 일반직(보건직 J2) 김승정 김종필 김하균 권형진 박찬록 서효열 신병호 신희정 이용석 이재영 이재형 이한나 인우진 오세문 임소희 윤석환 윤창식 전재환 최성희 최진욱 하동혁 현준호 일반직(보건직 J1) 류화진 박민호 조현수 하태환 운영기능직(C3) 유영주 운영기능직(C2) 신은영 남은주 운영기능직(C1) 문영실 오은영 최윤정 운영기능직(A2) 이혜은 2. 주요활동사항 가. 핵의학과 소개 핵의학과는 방사성동위원소와 추적자원리를 이용한 진단 및 치료를 추구하며, 핵의학 영상검사, 검체검사, 방사성동위원소 치료 등을 주 진료 분야로 한다. 감마카메라, SPECT/CT, PET/CT, PET/MRI 등의 영상장비, 자동분주기와 감마측정기 등의 검체검사장비, 차폐치료병실 등의 핵의학치료 시설, 사이클로트론과 방사성의약품 생산조제 시설 등 여러 시설 및 장비를 보유하고 이를 활용하여 진료와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2005년 국제원자력기구로부터 지정된 핵의학분자영상 협력센터를 지속 운영하며 개발도상국의 핵의학 인재를 교육하는 중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국제/국내 학술, 교육 활동에 기여하고 있다. 나. 주요활동사항 2018년은 전년도의 공간 변화 이후 과가 안정화되는 한 해였다. 의생명연구원 6층의 행정실 및 체외검사실, 본원 1층의 체내검사실, 암병원 지하 2층의 종양영상센터에서 안정적으로 진료를 수행하였다. 과장/의무장과 직원들 간의 간담회를 정례화하여 의견수렴을 확대하고자 하였고, 보직자들이 참여하는 과 발전기획워크숍을 가졌으며, 예년과 마찬가지로 5월 26-27일 1박 2일간 파주홍원연수원에서 제 26차 과 워크숍을 가지며 화합을 다졌다. 한편, 정준기 교수의 퇴임 등의 큰 인사변화가 있었다. 진료 측면에서 진료량은 전체적으로 약간의 성장세를 유지하였다. 감마카메라영상은 32,853건으로 전년 대비 7.9% 증가, PET 영상은 14,162건으로 전년 대비 -5.2%, 검체검사는 698,004건으로 전년대비 2.0% 증가, 치료는 520건으로 전년대비 동일한 수치를 보였다. 체내검사실에 CZT 기반의 감마카메라인 D-SPECT가 3월 도입, 운용되기 시작하여 심근관류검사에 큰 변화가 생겼다. 종양핵의학검사실에서는 1월 신의료기술로 고시된 F-18 choline PET을 시작하였고, N-13 암모니아와 F-18 NaF에 대한 품목허가 갱신을 진행하였다. 체외검사실에서는 검체검사의 예약검사화에 따라 검사횟수를 늘려 환자편의를 도모하였고, KOLAS 내부심사를 수검하였다. 대한외래 개원에 맞추어 방사성의약품치료 확대를 위한 “(가칭)테라노스틱스센터”를 추진하였으나 성사되지는 못하였다. 교육 측면에서는 본원 핵의학과의 아침 학술집담회를 외부에 개방하여 타 대학이나 병원에 교육 기회로 제공하는 정책을 지속 및 확대하였다. 의과대학 교육과정 개편으로 핵의학이 4학년 과목으로 이관되어 2018년에는 핵의학 학생실습이 없었다. 전공의 해외파견 수련도 지속되어 4년차 전공의 김현주가 이탈리아 볼로냐대학에서 1개월간 연수를 하였다. 외국인 펠로우 교육도 이어져 말레이시아의 Wong Teck Huat이 고창순 펠로우십 프로그램으로 1년간 연수기회를 가졌고 예멘의 Shagera Qaid Ahmed는 학위과정을 거쳐 2019년 2월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김의신 교수는 전년에 이어 2018년에도 3월, 9월에 각 3개월씩 내한하여 전공의와 외국인 펠로우 교육을 수행하였다. 연구 측면에서는 연구중심병원 과제를 비롯하여 교실차원의 다양한 연구과제 신규수주 및 수행이 지속되었다. 한편 김의신 Distinguished Lecture 프로그램을 통하여 Wolfgang Weber 교수가 10월 24일 병원을 방문하여 “Monitoring cancer therapy with molecular imaging”을 주제로 특강을 하였다. 이재성 교수는 지적재산권을 활용하여 벤처사 Brightonix를 창업하였다. 인사 측면에서는, 정준기 교수의 정년퇴임을 맞아 이를 기념하기 위해 8월 17일 핵의학과 및 갑상선센터가 공동 주관하여 “갑상선핵의학의 발전과 미래 전망”을 주제로 국제심포지움을 개최하였고, 일본의 Nagara Tamaki, Shunichi Yamashita, 필리핀의 Emerita Barrenchea 교수 등이 초청강의를 하였다. 정준기 교수의 퇴임에 따라 천기정 교수가 겸직교수로 발령받았고, 최홍윤 교수가 신임 임상조교수로 발령받았다. 이외에 이병철, 이윤상 교수가 겸임교수로, 하승균 교수가 의생명연구원 연구조교수로 발령 받았다. 강서영, 서민석 임상강사는 재임용되었고, 신규 전문의가 된 강연구, 이현종은 공보의로, 이정민은 개원가로 진출하였다. 전국적인 핵의학의 어려움에 따라 2019년 신입전공의는 선발하지 못하였다. 직원인사로는 노경운, 장현영, 임정진, 신희정 직원이 승진하였고, 임정진, 신선영 직원이 신규 보직 자격심사를 통과하였다. 김의신 교수는 3월 27일 서울의대 함춘대상을 수상하였다. 다. 인사사항 직급 성명 인사내용 일자 보건직(J1) 박주선 SKSH에서 본원으로 전보발령 2018. 01. 01 보건직(S2) 이홍재 소아핵의학검사실 수석기사로 보직변경 2018. 01. 01 보건직(S2) 문일상 종양핵의학검사실 수석기사로 전보발령 2018. 01. 01 보건직(J1) 박주선 본원에서 보라매병원으로 전보발령 2018. 01. 08 보건직(J2) 최진욱 보라매병원에서 본원으로 전보발령 2018. 01. 08 운영기능직(A2) 이혜은 육아휴직 2018. 01. 24 보건직(J2) 김승정 복직 2018. 02. 14 보건직(J2) 임소희 육아휴직 2018. 03. 02 보건직(J2) 신희정 육아휴직 2018. 04. 15 교수직 최홍윤 진료조교수로 신규임용 2018. 05. 01 보건직(M1) 노경운 M1으로 승진 2018. 05. 01 보건직(S2) 장현영 S2로 승격 2018. 05. 01 보건직(S1) 임정진 S1으로 승격 2018. 05. 01 보건직(J2) 박민호 J2로 승격 2018. 05. 01 보건직(J2) 이재영 육아휴직 2018. 05. 08 보건직(J2) 김하균 육아휴직 2018. 06. 19 간호직(S1) 한현미 내과외래로 전보발령 2018. 06. 25 간호직(S1) 김봉선 핵의학과로 전보발령 2018. 06. 25 보건직(J3) 도용호 보라매병원으로 전보발령 2018. 07. 01 보건직(J2) 권형진 본원으로 전보발령 2018. 07. 01 보건직(J2) 최성희 육아휴직 2018. 07. 01 약무직(J1) 김호영 정규직 발령 2018. 07. 01 보건직(J1) 류화진 정규직 발령 2018. 07. 01 교수직 강건욱 과장 재임용 2018. 07. 16 교수직 팽진철 의무장 재임용 2018. 07. 26 교수직 정준기 정년퇴임 2018. 07. 31 보건직(J3) 도용호 직원단기연수(독일 뮌헨) 2018. 08. 04 교수직 천기정 겸직교수 발령 2018. 09. 01 교수직 최홍윤 임상교수요원(임상조교수) 발령 2018. 09. 10 보건직(S1) 임정진 신규보직자격심사 합격 2018. 09. 18 보건직(J3) 신선영 신규보직자격심사 합격 2018. 09. 18 보건직(J3) 윤태석 새마을금고 이사 선임 2018. 11. 10 교수직 강건욱 책임지도전문의 2018. 11. 12 라. 해외연수 구분 성명 직위 연구 기간 연수국 활동내용 장기연수 윤혜원 교수 2018.01.01. - 2018.12.31 한국 포항공대 단기연수 정재민 교수 2018.05.01 – 2018.06.30 한국/미국 동남원자력의학원/ Emory Univ. 단기연수 김현주 전공의 2018.05.01 – 2018.05.31 이탈리아 Bologna Univ. 단기연수 도용호 보건직 2018.08.04. - 2018.08.31 독일 Klinikum rechts der Isar 마. 수상내역 1) 보건복지부장관상(김진의)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상(이홍재) 3) 개원직원 모범직원(강신후) 4) 2018년 학습조직활동(SNUH-Developer) 경진대회 동상(문일상 수석기사 등) 5) 2018년 CS 최종보고회 환자경험 우수부서 수상(체내검사실) 6) 2018년 의무기록정리 우수전공의(오동규) 7) 암 예방 캠페인 문구 공모전 우수상(문일상) 8) 5월 칭찬직원(한현미, 이미정) 9) 2018년도 함춘대상 (김의신교수) 바. 주요일지 제 목 기 간 장 소 제 26차 핵의학과 워크숍 2018.05.26. ∼ 05.27. 홍원연수원(파주) KOICA/TEIN*CC Workshop –Nuclear Medicine Workshop :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in Cancer Treatment 2018.07.09(월) ~ 07. 13(금) 서울대학교 암연구동 2층 대회의실 정준기교수 정년퇴임 기념 국제학술대회 : Development and Future Perspective of Nuclear Medicine for Thyroid Diseases. 2018. 8. 17.(금) 의생명연구원 1층 대강당 The 8th Prof. Euishin Edmund Kim Distinguished Lecture 제목 : Monitoring Cancer Therapy with Molecular Imaging 연자 : Prof. Wolfgang A. Weber 2018. 10. 24(수) 서울대학교 의생명연구원 1층 대강당 3. 주요 화보 가. 제 26차 핵의학과 워크숍 일시 : 2018. 5. 26 ∼ 5. 27 장소 : 홍원연수원(파주) 나. 정준기교수 정년퇴임기념 국제심포지움 일시 : 2018. 8. 17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1층 대강당 4. 교육 현황 가. 학생교육 핵의학 실습이 4학년으로 이관되어, 2018학년도에는 핵의학 학생실습을 시행하지 않았다. 나. 대학원 1) 박사 : 이 름 논 문 제 목 일 자 지도교수 Arun Gupta Voxel-based dosimetry of iron oxide nanoparticles based 177Lu-labeled folate conjugates targeted SPECT/CT imaging of mice 2018. 8 이동수 윤혜전 류마티스 관절염 동물 모델에서 활성 대식세포 표적 18F-FEDAC PET을 이용한 관절염 평가 2018. 8 천기정 Vinay Kumar Banka Studies of Lipophilic Complexes of Mangan Family (VIIB) Radionuclides 2019. 2 천기정 손정환 Time-of-flight PET based on high-quantum-efficiency multianode PMTs 2019. 2 이재성 이지연 Development of a multimodal imaging agent for sentinel lymph node mapping using 99mTc-labeled mannosylated human serum albumin and dye conjugates 2019. 2 정재민 이효상 Direct measurement of glomerular filtration rate using18F-fluoride dynamic PET/CT: A single-tissue-compartmental tracer kinetic modeling approach 2019. 2 이원우 정석진 Role of 18F-FEDAC PET as a TSPO-target imaging of activated macrophages in animal model of rheumatoid arthritis 2019. 2 천기정 권현우 Radiation-Induced Somatic Mutations by Whole Genome Sequencing from Normal Organoids 2019. 2 이동수 2) 석사 : 이 름 논 문 제 목 일 자 지도교수 유현지 Deep learning-based interpretation of crebrovascular reserve on basal/acetazolamide stress brain perfusion SPECT 2018. 8 이동수 Qaid Ahmed Shagera An additive prognostic value of metabolic tumor volume on baseline F-18 FDG-PET/CT to NCCN-IPI in patients with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Further stratification of the high-risk group in NCCN-IPI 2019. 2 천기정 박준영 Measurement of Glomerular Filtration Rate using Quantitative SPECT/CT and Deep-learning-based Kidney Segmentation 2019. 2 이재성 장혜정 Imaging of secreted protein acidic and rich in cysteine (SPARC) expressing glioblastoma using indocyanine green-human serum albumin complex 2019. 2 이동수 정다이 Activated glial cells stimulated by breast cancer-derived exosomes enhance proliferation of brain metastatic breast cancer cells 2019. 2 이동수 다. 전공의 수련현황 1) 전공의 배치현황 2018년 핵의학 전공의는 4년차 4명(김지현, 김현주, 이리리, 이환희), 3년차 3명(김지영, 서훈녕, 유현지), 2년차 2명(배성우, 위원석), 1년차 1명(오동규)이 수련하였으며, 또 다른 1년차 1명(김시현)은 5월 사직하였다. 지도전문의 4인(정준기, 강건욱, 천기정, 팽진철) 외에 여러 핵의학전문의 교수(김의신, 이동수)와 핵과학자 교수(정재민, 이재성, 윤혜원, 이윤상, 황도원, 강혜진, 김미정, 이혜경, 최유리) 등이 전공의를 지도하였다. 2)전공의 수련현황 1년차에 내과와 영상의학과 각 2개월의 파견 수련이 있으며 2년차에는 영상의학과 2개월, 내과 1개월, 선택 1개월의 파견 수련 일정을 두었다. 2-3년차 중 검사실 수행 1개월의 일정이 2015년에 이어 지속되었다. 시간 월 화 수 목 금 07:00 ~ 08:00 폐암 집담회(3) 심혈관 집담회(4) 08:00 ~ 09:00 과내 집담회 과내 집담회 과내 집담회 과내 집담회 09:00 ~ 12:00 과내 lab meeting 정규판독 정규판독 정규판독 정규판독 정규판독 12:00 ~ 13:00 Book Reading 임상연구미팅 13:00 ~ 17:00 정규판독 소아HMO집담회(3) 정규판독 정규판독 정규판독 소아URO 집담회(4) 정규판독 17:00 ~ 18:00 갑상선 집담회(4) 비뇨기암 집담회 폐암 Board 뇌종양집담회 위암 집담회 두경부암 Board 집담회 구성표 시간 화 수 목 금 1주 임상중점교육 미니 심포지움 세미나 세미나/연구미팅 2주 임상중점교육 미니 심포지움 세미나 세미나/연구미팅 3주 흥미영상 집담회 미니 심포지움 세미나 세미나/연구미팅 4주 임상중점교육 미니 심포지움 세미나 세미나/연구미팅 5. 연구현황 물리ㆍ화학ㆍ종양ㆍ생물학ㆍ인지과학 등 기초-임상 연구 모임과 과내 및 타과와의 집담회를 열었다. 또한 모닝컨퍼런스 120회를 시행하였으며 요일별 문헌초독회, 흥미영상 등의 연구 모임을 열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보건복지부등의 여러 기관들의 연구과제를 수행하였고 연구 결과 38편의 국제학술지 논문과 7편의 국내학술지 논문을 발표하였다. 가. 국내학술지 주 연구논문 1. Application of Quantitative Indexes of FDG PET to Treatment Response Evaluation in Indolent Lymphoma. Kim HJ, Lee R, Choi H, Paeng JC, Cheon GJ, Lee DS, Chung JK, Kang KW. Nucl Med Mol Imaging. 2018 Oct;52(5):342-349. PMID: 30344782 2. Recurrence of Melanoma After Initial Treatment: Diagnostic Performance of FDG PET in Posttreatment Surveillance. Lee HH, Paeng JC, Cheon GJ, Lee DS, Chung JK, Kang KW. Nucl Med Mol Imaging. 2018 Oct;52(5):327-333. PMID: 30344780 3. Measurement of 68Ga-DOTATOC Uptake in the Thoracic Aorta and Its Correlation with Cardiovascular Risk. Lee R, Kim J, Paeng JC, Byun JW, Cheon GJ, Lee DS, Chung JK, Kang KW. Nucl Med Mol Imaging. 2018 Aug;52(4):279-286. PMID: 30100940 4. Correlation of FDG PET/CT Findings with Long-Term Growth and Clinical Course of Abdominal Aortic Aneurysm. Lee H, Paeng JC, Kim KH, Cheon GJ, Lee DS, Chung JK, Kang KW. Nucl Med Mol Imaging. 2018 Feb;52(1):46-52. PMID: 29391912 5. Sodium Iodide Symporter (NIS)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Thyroid Carcinoma. Chung JK, Kim HW, Youn H, Cheon GJ. Nucl Med Mol Imaging. 2018 Oct;52(5):325-326. PMID: 30344779 6. Brain Theranostics and Radiotheranostics: Exosomes and Graphenes In Vivo as Novel Brain Theranostics. Suh M, Lee DS. Nucl Med Mol Imaging. 2018 Dec;52(6):407-419. PMID: 30538772 7. Development of tau PET Imaging Ligands and their Utility in Preclinical and Clinical Studies. Choi Y, Ha S, Lee YS, Kim YK, Lee DS, Kim DJ. Nucl Med Mol Imaging. 2018 Feb;52(1):24-30. PMID: 29391909 나. 국내학술지 부 연구논문 다. 국제학술지 주 연구논문 1. Neuroendocrine differentiation of prostate cancer leads to PSMA suppression. Bakht MK, Derecichei I, Li Y, Ferraiuolo RM, Dunning M, Oh SW, Hussein A, Youn H, Stringer KF, Jeong CW, Cheon GJ, Kwak C, Kang KW, Lamb AD, Wang Y, Dong X, Porter LA. Endocr Relat Cancer. 2018 Nov 23;26(2):131-146. PMID: 30400059 2. In vivo imaging of activated macrophages by 18F-FEDAC, a TSPO targeting PET ligand, in the use of biologic disease-modifying anti-rheumatic drugs (bDMARDs). Chung SJ, Youn H, Jeong EJ, Park CR, Kim MJ, Kang KW, Zhang MR, Cheon GJ.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8 Nov 17;506(1):216-222. PMID: 30343885 3. Relation of EGFR Mutation Status to Metabolic Activity in Localized Lung Adenocarcinoma and Its Influence on the Use of FDG PET/CT Parameters in Prognosis. Kim YI, Paeng JC, Park YS, Cheon GJ, Lee DS, Chung JK, Kang KW. AJR Am J Roentgenol. 2018 Jun;210(6):1346-1351. PMID: 29547059 4. Dual-time point 18F-FDG PET/CT for the staging of oesophageal cancer: the best diagnostic performance by retention index for N-staging in non-calcified lymph nodes. Park S, Paeng JC, Kang CH, Cheon GJ, Kang KW, Chung JK, Lee DS.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8 Jul;45(8):1317-1328. PMID: 29502309 5. 18F-FEDAC as a Targeting Agent for Activated Macrophages in DBA/1 Mice with Collagen-Induced Arthritis: Comparison with 18F-FDG. Chung SJ, Yoon HJ, Youn H, Kim MJ, Lee YS, Jeong JM, Chung JK, Kang KW, Xie L, Zhang MR, Cheon GJ. J Nucl Med. 2018 May;59(5):839-845. PMID: 29326355 6. Prognostic value of simultaneous 18F-FDG PET/MRI using a combination of metabolo-volumetric parameters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in treated head and neck cancer. Kim YI, Cheon GJ, Kang SY, Paeng JC, Kang KW, Lee DS, Chung JK. EJNMMI Res. 2018 Jan 10;8(1):2. PMID: 29322269 7. Whole-Body Voxel-Based Personalized Dosimetry: The Multiple Voxel S-Value Approach for Heterogeneous Media with Nonuniform Activity Distributions. Lee MS, Kim JH, Paeng JC, Kang KW, Jeong JM, Lee DS, Lee JS. J Nucl Med. 2018 Jul;59(7):1133-1139. PMID: 29242397 8. The association between somatic and psychological discomf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elderly and non-elderly. Lee HS, Lee S, Park S, Baek Y, Youn JH, Cho DB, Jin JH, Shin A, Park SK, Kang KW, Lim YK, Kang CH, Yoo KY, Ko KP. Qual Life Res. 2018 Mar;27(3):673-681. PMID: 29027086 9. Graphene-oxide quenching-based molecular beacon imaging of exosome-mediated transfer of neurogenic miR-193a on microfluidic platform. Oh HJ, Kim J, Park H, Chung S, Hwang DW, Lee DS. Biosens Bioelectron. 2018 Nov 20;126:647-656. PMID: 30529896 10. ABNORMAL HOLE DETECTION IN BRAIN CONNECTIVITY BY KERNEL DENSITY OF PERSISTENCE DIAGRAM AND HODGE LAPLACIAN. Lee H, Chung MK, Kang H, Choi H, Kim YK, Lee DS. Proc IEEE Int Symp Biomed Imaging. 2018 Apr;2018:20-23. PMID: 30319734 11. Predicting Aging of Brain Metabolic Topography Using Variational Autoencoder. Choi H, Kang H, Lee DS; Alzheimer's Disease Neuroimaging Initiative. Front Aging Neurosci. 2018 Jul 12;10:212. PMID: 30050430 12. Adaptive template generation for amyloid PET using a deep learning approach. Kang SK, Seo S, Shin SA, Byun MS, Lee DY, Kim YK, Lee DS, Lee JS. Hum Brain Mapp. 2018 May 11. PMID: 29752765 13. Development of a Ga-68 labeled PET tracer with short linker for prostate-specific membrane antigen (PSMA) targeting. Moon SH, Hong MK, Kim YJ, Lee YS, Lee DS, Chung JK, Jeong JM. Bioorg Med Chem. 2018 May 15;26(9):2501-2507. PMID: 29655611 14. Disrupted Resting State Network of Fibromyalgia in Theta frequency. Choe MK, Lim M, Kim JS, Lee DS, Chung CK. Sci Rep. 2018 Feb 1;8(1):2064. PMID: 29391478 15. Achieving reliable coincidence resolving time measurement of PET detectors using multichannel waveform digitizer based on DRS4 chip. Park H, Lee S, Ko GB, Lee JS. Phys Med Biol. 2018 Dec 10;63(24):24NT02. PMID: 30524000 16. Highly Integrated FPGA-Only Signal Digitization Method Using Single-Ended Memory Interface Input Receivers for Time-of-Flight PET Detectors Won JY, Lee JS. IEEE Trans Biomed Circuits Syst. 2018 Dec;12(6):1401-1409. PMID: 30113901 17. Computed tomography super-resolution using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Park J, Hwang D, Kim KY, Kang SK, Kim YK, Lee JS. Phys Med Biol. 2018 Jul 16;63(14):145011. PMID: 29923839 18. The relationship between dopamine receptor blockade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schizophrenia: a [11C]-raclopride PET study with aripiprazole. Shin S, Kim S, Seo S, Lee JS, Howes OD, Kim E, Kwon JS. Transl Psychiatry. 2018 Apr 24;8(1):87. PMID: 29686254 19. Systematic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interdetector scatter recovery in small-animal PET. Lee S, Lee MS, Kim KY, Lee JS. Med Phys. 2018 Aug;45(8):3551-3562 PMID: 29851131 20. Novel inter-crystal scattering event identification method for PET detectors. Lee MS, Kang SK, Lee JS. Phys Med Biol. 2018 Jun 7;63(11):115015. PMID: 29658493 21. Performance of a new accelerating-electrode-equipped fast-time-response PMT coupled with fast LGSO. Lee S, Lee MS, Won JY, Lee JS. Phys Med Biol. 2018 Mar 2;63(5):05NT03 PMID: 29405124 22. Naphthol Blue Black and 99mTc-Labeled Mannosylated Human Serum Albumin (99mTc-MSA) Conjugate as a Multimodal Lymph Node Mapping Nanocarrier. Lee JY, Kim HY, Lee YS, Jeong JM. Sci Rep. 2018 Sep 11;8(1):13636. PMID: 30206287 23. Loss of toll-like receptor 3 aggravates hepatic inflammation but ameliorates steatosis in mice. Lee YS, Kim DY, Kim TJ, Kim SY, Jeong JM, Jeong WI, Jung JK, Choi JK, Yi HS, Byun J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18 Mar 18;497(4):957-962. PMID: 29410095 24. One-pot radiosynthesis of O-[18F]fluoromethyl-D-tyrosine via intra-molecular nucleophilic 18F-fluorination with 1,2,3-triazolium triflate salt precursor. Kim HY, Park C, Lee JY, Chi DY, Lee YS, Jeong JM. Appl Radiat Isot. 2018 Feb;132:105-109. PMID: 29197276 25. Prognostic value of lymph node-to-primary tumor standardized uptake value ratio in endometrioid endometrial carcinoma. Chung HH, Cheon GJ, Kim JW, Park NH, Song YS.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8 Jan;45(1):47-55. PMID: 28828510 26. Preoperative [18F]FDG PET/CT tumour heterogeneity index in patients with uterine leiomyosarcoma: a multicentre retrospective study. Lee JW, Park JY, Lee HJ, Lee JJ, Moon SH, Kang SY, Cheon GJ, Chung HH.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8 Jul;45(8):1309-1316. PMID: 29492644 27. Effects of Maternal Iodine Statu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on Maternal Thyroid Function and Offspring Growth and Development: A Prospective Study Protocol for the Ideal Breast Milk Cohort. Lee YA, Cho SW, Sung HK, Kim K, Song YS, Moon SJ, Oh JW, Ju DL, Choi S, Song SH, Cheon GJ, Park YJ, Shin CH, Park SK, Jun JK, Chung JK. Endocrinol Metab (Seoul). 2018 Sep;33(3):395-402. PMID: 30229579 28. Prostate-Specific Membrane Antigen PET Imaging in Prostate Cancer: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h SW, Cheon GJ. Korean J Radiol. 2018 Sep-Oct;19(5):819-831. PMID: 30174470 29. Prognostic importance of peritoneal lesion-to-primary tumour standardized uptake value ratio in advanced serous epithelial ovarian cancer. Chung HH, Kim JW, Park NH, Song YS, Cheon GJ. Eur Radiol. 2018 May;28(5):2107-2114. PMID: 29260365 30. Integrated 18F-FDG PET/MRI in breast cancer: early prediction of response to neoadjuvant chemotherapy. Cho N, Im SA, Cheon GJ, Park IA, Lee KH, Kim TY, Kim YS, Kwon BR, Lee JM, Suh HY, Suh KJ.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18 Mar;45(3):328-339. PMID: 29101445 31. Virtual reality-assisted localization and three-dimensional printing-enhanced multidisciplinary decision to treat radiologically occult superficial endobronchial lung cancer. Yoon SH, Goo JM, Lee CH, Cho JY, Kim DW, Kim HJ, Paeng JC, Kim YT. Thorac Cancer. 2018 Nov;9(11):1525-1527. PMID: 30253072 32. Infliximab biosimilar CT-P13 therapy in patients with Takayasu arteritis with low dose of glucocorticoids: a prospective single-arm study. Park EH, Lee EY, Lee YJ, Ha YJ, Yoo WH, Choi BY, Paeng JC, Suh HY, Song YW. Rheumatol Int. 2018 Dec;38(12):2233-2242. PMID: 30229280 33. Prognostic Value of Baseline 18F-Fluorodeoxyglucose PET/CT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A Multicenter Cohort Study. Moon SH, Choi WH, Yoo IR, Lee SJ, Paeng JC, Jeong SY, Lee SW, Kim K, Choi JY. Korean J Radiol. 2018 May-Jun;19(3):481-488. PMID: 29713226 34. Imaging Evaluation Following 90Y Radioembolization of Liver Tumors: What Radiologists Should Know. Joo I, Kim HC, Kim GM, Paeng JC. Korean J Radiol. 2018 Mar-Apr;19(2):209-222. PMID: 29520178 35. Radiofrequency ablation for treatment of locally recurrent thyroid cancer presenting as a metastatic lymph node with dense macrocalcification: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Yoo RE, Kim JH, Paeng JC, Park YJ. Medicine (Baltimore). 2018 Mar;97(9):e0003. PMID: 29489641 36. Monitoring tumor response to the vascular disrupting agent CKD-516 in a rabbit VX2 intramuscular tumor model using PET/MRI: Simultaneous evaluation of vascular and metabolic parameters. Ahn SY, Goo JM, Lee KH, Ha S, Paeng JC. PLoS One. 2018 Feb 13;13(2):e0192706. PMID: 29438381 37. Intratumoral heterogeneity characterized by pretreatment PET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predicts progression-free survival on EGFR tyrosine kinase inhibitor. Park S, Ha S, Lee SH, Paeng JC, Keam B, Kim TM, Kim DW, Heo DS. PLoS One. 2018 Jan 31;13(1):e0189766. PMID: 29385152 38. Yttrium-90 Radioembolization of the Right Inferior Phrenic Artery in 20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Kim HC, Kim YJ, Paeng JC, Chung JW. J Vasc Interv Radiol. 2018 Apr;29(4):556-563. PMID: 29373246 라. 국제학술지 부 연구논문 마. 단행본 발간 없음 6. 진료현황 가. 외래 환자수 신환 40명, 초진 485명, 재진 1,532명 합계 2,057명 나. 입원환자수 연인원 627명, 실인원 312명 다. 검사실적(자체통계) 검 사 명 검 사 건 수 감 마 영 상 검 사 32,853 P E T 영 상 검 사 14,162 검 체 검 사 698,004 방 사 성 핵 종 치 료 520 계(Total) 745,539 7. 진료장비 및 시설 가. 주요 진료장비(시설) 번호 장비(시설)명 규격 및 모델 수량 1 PET-MRI Siemens Biograph mMR 1 2 PET-CT Siemens Biograph40, mCT40, mCT64 3 3 SPECT-CT GE Discovery NM/CT 670 2 4 Cyclotron GE Pet trace 10 1 5 Gamma camera Trionix, TRIAD XLT9 1 6 Gamma Camera Philips CardioMD, Skylight 2 7 Gamma Camera Siemens E-CAM 5 8 Gamma Camera D-SPECT 1 9 Gamma Counter Packard Cobra, Dream Gamma 10 4 10 자동방사면역측정기 Gamma pro 1 11 Auto sampler Tecan Freedom, Messia 2 12 F-18 FDG 생산시설 암병원 지하2층 종양핵의학검사실 13 방사성옥소치료병실 갑상선센터 별관병동 3331(1인실), 3332(1인실), 3333(2인실)

서울대학교병원 핵의학과 > 핵의학과 소개 > 연혁 > 역사
정확도 : 2% 2024.12.24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