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cess"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6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대장항문외과는 하부 위장관(소장, 대장, 항문)에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에 대한 기초 연구와 임상 연구, 그리고 외과적 치료를 시행하는 세부 전공 분야입니다. 대장항문외과의 임상 진료는 질환에 따라 크게 악성 질환과 양성 질환으로 나누어 집니다. 악성 질환에는 유전성 비용종성 대장암 (hereditary non polyposis colorectal cancer)과 가족성 용종증 (familial adenomatous polyposis)과 같은 유전성 암을 포함하여, 대장암(colorectal cancer), 항문암(anal cancer), 소장암 (small bowel cancer) 등이 포함됩니다. 양성 질환에는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충수돌기염 (appendicitis), 변비 (constipation)와 함께, 항문 질환으로 치핵 (hemorrhoids), 치루 (anal fistula), 치열 (anal fissure), 항문주위농양 (perianal abscess), 직장 탈출증(rectal prolapse), 변실금 (incontinence) 등이 포함됩니다. 2020년 5월 현재 서울대학교 대장항문외과에는 5명의 교수와 1명의 진료 교수, 4명의 전임의가 소속되어 있으며, 대장항문질환을 가진 환자의 진료와 더불어 대장항문학 분야의 기초 및 임상 연구, 그리고 학생 및 전공의 교육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1. 대상질환 유방섬유선종(Breast fibroadenoma), 유방 농양(Breast abscess), 유방염(Mastitis), 부유두(Accessary nipple), 부유방(Accessary breast) 2. 소개 사춘기 전후의 여아들에서 나타나는 유방 종괴는 대부분 양성 종괴로, 가장 흔한 형태는 섬유선종이며 70% 정도를 차지합니다. 15% 정도에서는 다발성 종괴로 나타나며, 경과를 관찰하거나 수술적 절제를 통해 조직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유방 농양도 사춘기 전후의 여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포도상구균이 감염의 주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항생제 치료, 주사 배농 등의 방법으로 치료를 시행하며, 이러한 방법으로 치료가 잘되지 않을 경우 절개 배농 등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신생아 유방염 또한 항생제 치료 및 주사 배농으로 일차 치료를 시행하고, 치료가 잘되지 않을 경우 수술적 배농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부유방, 부유두는 전 인구의 1%에서 확인되며, 유선을 따라 주로 발생합니다. 이는 추후 악성 변화를 일으킬 수 있어 수술적 절제를 필요로 합니다. 소아 청소년기의 유방 질환은, 본원의 축적된 경험과 치료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최적의 진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진단 및 수술적, 비수술적 치료에 있어 최신의 지식으로 진단 및 치료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1. 대상질환 항문 열상(Anal fissure), 항문 주변부 농양(Perianal abscess), 치루(Anal fistula) 2. 소개 양성 항문 질환에는 항문 열상, 항문 주변부 농양, 치루 등의 질환을 포함합니다. 항문 열상은 직장 점막 항문에 상처가 발생하여 출혈이 일어나는 질환으로, 신생아기 및 영아기에 발생하는 항문 출혈의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항문 열상에 의한 출혈은 대부분 단단한 변으로 인해 항문 주변 조직이 상처를 입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항문 주변부 농양은 항문 주변의 연부조직 안으로 농양을 형성하는 감염을 일컫는 말로, 대부분 1세 미만의 남아에서 발생하지만 여아 및 전 연령에 걸쳐 발생 가능한 질환입니다. 처음 시작할 때에는 피부 밑으로 붉게 변한 것처럼 보이다가 점차 농양을 형성하며 통증을 호소합니다. 치루는 항문 주변 조직의 염증으로 인해 항문 주변 피부와 샛길을 형성하는 것으로, 항문 주변부 농양과 동반하여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본 클리닉은 항문 주변부 질환의 오랜 경험을 가진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존적 치료 또는 수술을 통해 체계적인 관리를 진행합니다.
편도 주위 농양(peritonsillar abscess)은 편도 주위 조직에 농(고름)이 국소적으로 축적된 것을 말한다. 대개 편도의 화농성 감염에서 비롯되는데, 감염이 편도 주위막을 뚫고 편도 주위막과 편도 사이의 결합조직으로 퍼지면서 농이 생긴다. 양측에 생기는 경우는 드물며, 편도의 상부에서 주로 발생한다.
Ga-67 Scan 01 목적 정확한 기전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염증부위에서 67 Ga 이 염증세포와 세균에 의해 비가역적으로 포획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 즉 종양의 활성도 , 혈관분포의 변화 , 염증세포벽의 투과성 증가 , 종양세포의 분화 등의 인자에 의하여 67 Ga 이온이 종양내의 단백질에 결합되는 것으로 짐작되며, 따라서 주위조직에 비해 백혈구나 세균에 결합된 67 Ga 이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뚜렷한 병소 부위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 A. 복부 : 복부 농양에 대해서 80-90% 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인다 . 복부의 염증 병소는 다음의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 ① 농양 (abscess) : 해부학적으로 경계가 명확한 병소인데 원인균과 괴사된 세포 부스러기를 포함하는 cavity 와 wall 로 이루어져 있다 . ② 봉와직염 (cellulitis) : 한 곳의 한정된 염증 병소이지만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 . cavity 를 형성하지 않는 국소적인 조직의 염증병소이다 . ③ 복막염 (peritonitis) : 복막강을 전부 혹은 대부분을 포함하는 미만성의 염증 병소이며 초음파나 CT 에서 잘 관찰되지 않는다 . B. 근골격계 : 급 ․ 만성 골수염의 진단 , 관절의 염증진단에 사용된다 . X-ray 와 골스캔에서 발견되나 유 ․ 소아에서는 10~30% 음성으로 나타나는데 이 경우 갈륨스캔이 유용하다 . C. 흉부 : 24 시간 영상에서는 약한 갈륨섭취가 정상인에서도 보일 수 있으므로 48 시간 이후의 영상을 이용한다 . 대부분의 호흡기 감염에서는 X-ray 가 갈륨스캔보다 진단에 도움이 된다 . : X-ray 에 비해 갈륨스캔이 도움이 되는 경우로는 ① 면역이 저하된 환자에서 류마티스성 폐렴 (pneumocystis pneumonia), 거대세포바이러스 (cytomegalovirus) 와 같은 기회감염의 조기진단에 특히 유용하다 . ② 여러 약제에 의한 폐독성이 있는 경우에 X-ray 변화없이 갈륨섭취를 보일 수 있다 . ③ 유육종증 (sarcoidisis) 의 평가 ④ 특발성 폐 섬유증의 병기결정 D. 악성종양의 진단 (50~70%) : 식도암 , 두경부종양 , 유방암 , 전이성 간암 , 백혈병 , 전립선암 , 신장암 E. 악성종양의 진단 (70% 이상 ) : 호지킨병 , 비호지킨 림프종 , 갑상선 미분화암 , 흑색종 , 폐암 , 원발성 간암 , 신경아세포종 , 연부조직 육종 , 고환종양 . 02 준비사항 67 Ga 은 장과 소변으로 배설되므로 정상인에서도 67 Ga 방사능이 장관에 나타난다 . 비특이적인 장의 방사능과 복부의 병변을 구별하기 위해서 경구 설사제나 관장 (enema) 을 이용해 장의 방사능을 줄이는 것이 도움이 될 수도 있으나 환자에 따라 장세척을 견디기 어려운 경우도 있고 , 오히려 심한 장세척이 대장점막에 자극을 주어서 67 Ga 의 장내 잔류가 증가된다는 보고도 있어서 그 효과가 의문시된다 . 03 방사성의약품 A. 67 Ga -citrate B. 성인 : 4~6mCi ( 몸집이 큰 환자의 경우 9mCi 까지 증량가능 ) C. 소아의 경우 0.04~0.07mCi/kg ( 최소용량 : 0.25~0.5mCi) 04 검사 절차 A. 염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방사성의약품 투여 후 6 시간 , 24 시간 , 48 시간에 스캔한다 . B. 종양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방사성의약품 투여 후 48 시간 , 72 시간에 촬영한다 .(6 시간 영상으로 염증병소를 찾는 경우도 보도 되었지만 24 시간이 최초영상으로 가장 적절하다 . 그러나 67 Ga 은 혈액으로부터 천천히 제거되기 때문에 48~72 시간에 영상을 얻는 것이 좋다 ) C. Whole Body scan 얻은 후 두부 (skull), 흉부 (thorax), 복부 (abdomen), 골반 (pelvis) 의 전후면 영상을 얻는다 . 05 정상 영상 67 Ga 은 정상인에서 간 (5%), 비장 (1%), 신장 (2%), 골수 (5%) 와 골 (13%) 에 흡수된다 . 67 Ga 은 몸에서 비교적 늦게 제거되며 혈청과 연조직에서의 생물학적 반감기는 25 일이다 . 67 Ga 스캔의 정상소견은 나이 , 성별 , 스캔시간에 따라 다르며 , 여러 형태의 정상분포와 변이를 아는 것이 정확한 판독을 하는데 중요하다 . A. 두부 (head) 와 경부 (neck) 의 영상 정상적으로 비인강 (nasopharynx), 누액선 (lacrimal) 과 타액선 (salivary gland) 에서 67 Ga 의 집적이 나타난다 . B. 흉부 (thorax) 흉골을 포함하여 흉부 골격에서 방사능의 집적이 나타나며 종격동의 병소가 의심되면 측방향 (lateral) 이나 사방향 (oblique) 으로 흉부영상을 기록하여 흉골에 집적된 방사능과 구별하도록 한다 . 67 Ga 을 주입한 후 4~6 시간에 기록하는 조기영상 (early image) 에서는 심장과 동맥의 방사능이 나타난다 . 또 피임약과 같은 호르몬제를 투여했거나 , 임신중인 경우 등에서는 양측의 유방이 대칭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 C. 복부 (abdomen) 정상적으로 67 Ga 은 간 (liver) 에 집적되며 주입 후 24 시간 영상에서 배설경로인 신장과 방광이 잘 나타난다 . 대장 내에서는 특히 맹장 (cecum), hepatic flexure) 과 비만곡 (splenic flexure) 과 직장 S- 상 결장 (rectosigmoid) 부위에서 방사능의 집적을 볼 수 있다 . 이와 같은 방사성의약품의 집적은 주입 후 몇 시간 내에 나타나며 지연상 (delay image) 을 기록함으로써 병소조직을 구분할 수 있다 . D. 골반 (pelvis) 천골 (sacrum) 의 후면 영상 (posterior view) 에서 천장관절 (sacroiliac joint) 의 방사능을 볼 수 있으며 초기의 영상에서 방광의 방사능도 나타나며 후에 질 (vagina) 이나 고환 (scrotum) E. 사지 (extremities) 견관절 (shoulder joint), 고관절 (hip joint) 과 어린이의 경우 골단부 (epiphysis) 에서 방사성 의약품의 집적을 나타낸다 . FINDING 검사 종류 : Ga-67 scan 소견 : Ga-67 주사 후 72 시간까지의 영상을 얻음 . 정상적으로 보이는 간 , 비장 , 골수 , 골의 radioactivity 외에 비정상적인 Gallium uptake 는 관찰되지 않음 . CONCLUSION No abnormal Ga uptake. FINDING 검사 종류 : Ga-67 scan 소견 : Ga-67 주사 후 72 시간까지의 영상을 얻음 . Left skull base 로 gallium uptake 가 증가되어 있으며 이는 24 시간과 72 시간 지연영상에서 모두 관찰 됨 . CONCLUSION Increased gallium uptake in left skull base. - Suggesting localizing active inflammatory lesion.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