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박정규"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8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고객참여 (1)
병원소개 (7)

“마모셋 원숭이를 이용한 질병연구의 새시대”- 서울의대서울대병원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공동주최- 아시아오세아니아 마모셋 연구지부 심포지엄 성료서울대학교 의과대학(학장 강대희)과 서울대학교병원(원장 서창석)은 지난 16~17일 서울대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에서 '제2회 아시아오세아니아 마모셋 원숭이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마모셋 원숭이는 체중이 300~500g 정도 되는 작은 원숭이로, 현재 뇌질환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실험동물로 이용되고 있다. 미국, 유럽, 일본에서는 40년 전부터 이를 통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생소한 동물이다. 한국은 주로 게잡이 원숭이, 붉은털 원숭이가 의약품 안전성 및 효능평가, 뇌 연구, 장기이식, 줄기세포 연구에 사용됐다. 마모셋은 크기가 실험용 설치류인 랫드와 같이 소형이면서 성품이 온순해 관리가 쉽고 번식력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지난 2009년 일본에서는 세계최초 유전자 변형 마모셋이 탄생해 네이처지에 소개됐다. 이를 개발한 일본실험동물중앙연구소 사사키 박사팀은 파킨슨, 알츠하이머, 면역부전 등의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 주제는 'New Era of Preclinical Research for Human Diseases using Marmoset'였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연구진들이 외국의 마모셋연구 선두그룹과 함께 심포지엄을 개최한 것은 국내 영장류연구 분야에 국제적 위상을 보여주는 기회가 됐다. 사사키 박사를 비롯, 미국 텍사스 대학 타리프 박사(재생의학), 호주 제임스본 박사(재생의학), 네덜란드 호르닝 대학의 하트 교수(자가면역질환), 일본 리켄 연구소의 야마모리 박사(뇌질환) 등 전 세계 권위 있는 학자 24명이 발표자로 나셨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에서는 구승엽 교수(산부인과)가 불임증에 대한 영장류 연구결과를, 김정훈 교수(안과)는 황반변성에 대한 원숭이 연구결과를, 강병철 교수(실험동물의학)는 파킨슨병 마모셋 모델에서 세포치료제의 효능연구를 발표하였다. 김현진 교수(영상의학과)도 파킨슨병 마모셋 모델로 뇌 MRS 영상연구결과를 제시했다.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 단장을 맡고 있는 박정규 교수(면역학)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이종장기이식연구 결과를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박경수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장은 “서울대병원 영장류연구센터는 2009년 설립돼 지난 8년간 장기이식, 뇌신경 연구 분야에 훌륭한 성과를 내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을 기회로 국내외 연구진들이 협력융합연구의 여건을 조성하고, 연구 분위기를 활성화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동시에 윤리적인 동물실험을 위해 모든 연구자들이 실험동물의 고귀한 희생을 깊게 새기며, 연구에 매진하기를 당부 한다”고 말했다. 이번 심포지엄을 유치한 서울의대 강병철 교수는 “바이오메디컬 발전과 함께 실험동물을 이용한 연구가 인간 질병극복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영장류 동물실험은 높은 수준의 인프라와 연구 인력이 필요한 분야인 만큼, 서울의대서울대병원이 국내 영장류 전임상연구를 이끌어가는 선두주자 역할을 다 하도록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는 150여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해, 동물실험 연구에 대한 최신 동향을 발표했다. 행사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의생명연구원,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한국마모셋연구회가 공동 주관했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8% 2017.03.22

제11회 이종이식 서울 포럼 개최 - 이종이식 임상 적용을 향하여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단장: 박정규)이 12월15일(화) 오후 1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암연구소 이건희홀에서 “이종이식 임상 적용을 향하여”라는 주제로 제11회 이종이식 서울 포럼을 개최했다. 이종이식 서울 포럼은 2005년부터 보건복지부, 교육부, 농촌진흥청 산하의 각 이종이식연구사업단이 상호정보교환 및 연구방향설정을 위하여 개최되었음. 2012년부터는 보건복지부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 단독으로 개최함. 올해로 11회를 맞이하는 이번 서울 포럼에서 세계적으로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고 있는 국내의 이종 췌도와 이종 각막 이식에 대한 전임상 연구결과를 박정규 교수(서울의대)와 김미금 교수(서울의대)가 발표했다. 이종 췌도 이식에 있어 박정규 교수팀은 유전자 조작을 가하지 않은 돼지 췌도만으로 전임상 실험결과 세계 최장 기간 인슐린 없는 당뇨병 치료에 성공하여 많은 주목을 받았다. 실험에 사용된 5마리 영장류 모두 6개월 이상 정상혈당이 유지되었고, 이중 한 마리는 약 1,000일까지 정상혈당이 유지되어 세계 최장 기록을 경신하였다. 이는 그동안 최장 기록으로 여겨졌던 미국 피츠버그 대학의 David Cooper 교수팀이 세운 396일을 월등히 앞서는 결과로, 이식학계 최고 권위지인 American Journal of Transplantation지에 2015년 11월 발표되었다. 이종 췌도 이식에 대한 전임상 연구결과는 지난 11월 15~19일, 호주 멜버른에서 개최된 세계 이종이식 학회(International Xenotrnasplantation Association)에서도 세계 석학들의 발표에 무려 20회 이상 언급되어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특히 Bernard Hering 박사(전 세계이종이식학회장 및 현 세계췌장췌도이식학회장)가 향후 10년 내에 이종 췌도 이식이 당뇨병 치료의 핵심 기술로 떠오를 것이라며 이 연구결과를 적극적으로 소개하였고, 연구결과에 대한 박정규 교수의 발표를 최근 이종 췌도 이식의 가장 핵심적 학문적 성과로 소개하였다. '사이언스'를 출판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과학문화단체인 미국과학진흥협회(AAAS)에서도 보도홈페이지를 통하여 최근 크게 발전한 이종이식 연구 성과를 소개하였다. 특히 이종 심장, 신장 이식 연구 성과와 함께 박정규 교수팀의 이종 췌도 이식 전임상 연구결과를 비중 있게 언급하며,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수많은 환자들에게 이종이식이 새로운 희망이 될 것이라고 보도하였다. 김미금 교수팀도 이종 각막 이식 영장류 실험에서 세계 최고 및 최장 생존 기록(933일)을 경신 하여 2015년 3월 American Journal of Transplantation지에 발표하였고, 임상시험시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면역억제 프로토콜의 최적화를 현재 연구 중이다. 서울 포럼에서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 이종 이식의 최신 지견을 나눌 수 있는 자리도 마련하였다. 일본 오츠카 제약회사의 캡슐화 이종췌도이식 임상시험 책임자인 마츠모토(Shinichi Matsumoto) 박사가 'Clinical Islet Transplantation from Allogeneic to Xenogeneic'라는 주제로 특별강연(Plenary Lecture)을 했다. 마츠모토 박사는 세계 최초로 시행된 캡슐화 이종(돼지) 췌도 이식 임상 시험 성과를 발표하였다. 러시아와 아르헨티나에서 실시된 임상시험 결과는 이종이식 시대의 개막을 본격적으로 알렸으며, 향후 10년간 이종 췌도 임상시험을 위한 치열한 각축전이 열릴 것을 전망케 한다. 또한 이종이식의 임상적용을 위해 필요한 관련법 제정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지난 12월 1일 장정은 국회의원(새누리당) 주최로 공청회가 개최된바 있는'첨단재생의료의 지원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에 대하여 이화여대 김현철 교수 발표와 관련 전문가들의 토론이 진행되었다. 우리나라는 이종 췌도와 각막 전임상 연구결과에서 선도적, 경쟁력 있는 성과를 도출하였으나 관련 법안이 없어 임상시험을 진행하지 못하는 실정이기에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첨단 재생의료의 지원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은 이종세포, 줄기세포 등 첨단재생의료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세포 및 조직에 관한 법률로 이 법안이 통과되면 이종이식 임상시험을 실시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된다. 일본은 2014년에 재생의료법이 제정되어 이종이식을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으며, 중국도 올 4월부터 이종(돼지) 각막이식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이화여대 권복규 교수는 우리나라가 이종이식 임상시험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규와 제도가 조속하게 정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보충설명]이종(異種)이식이란? 말기장기부전의 궁극적인 해결방법인 이식에 있어 공여 장기의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에 인간의 공여 장기 대신 차선책으로 기대를 모으는 것이 동물(돼지)의 세포, 조직 또는 장기를 사람에게 이식하는 '이종이식'이다.국내의 이종이식 연구 현황은?국내에서는 2004년부터 1단계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 주도로 이종장기이식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동안 무균돼지 장기의 이종이식 실험을 진행하여 영장류 전임상 단계에서 세계적으로 경쟁력있는 연구 성과를 이루었다. 이후 2013년 6월, 2단계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이 출범하여 돼지 췌도이식을 통한 당뇨병 치료, 돼지 각막이식을 통한 각막질환 치료, 돼지 고형장기이식기술 개발하여 임상에 적용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특히 이종췌도이식, 이종각막이식에 대한 성공적인 영장류 전임상 연구결과는 임상적용을 눈앞에 두는 단계까지 진행되어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9% 2015.12.15

2013 한국실험동물학회 동계심포지엄 개최한국실험동물학회(이사장 박재학)는 실험동물학 관련 국내외 학계, 산업계, 협회 관계자 약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오는 2월 21일부터 2일간의 일정으로 강원도 용평리조트에서 '2013 한국실험동물학회 동계심포지엄'을 개최한다.이번 심포지엄에서는 실험동물을 이용한 이 분야 최신 기술과 동향, 연구 성과들이 다양하게 소개된다. 세포치료 및 질환모델, 비임상시험 가이드라인 해설, 인간화마우스를 이용한 최신연구 현황, 특수동물을 이용한 동물실험 등 총 4개의 심포지엄과 개정된 The guide 8th, 임상시험대행기관(CRO) 독성시험보고서 작성법 등 2개의 교육강연이 진행된다. Translation of xenogenic immune response in nonhuman primate model 라는 연제로 서울대 박정규 교수의 특별 강연도 준비되어 있다. 또한, 22일에는 농림수산식품부와 보건복지가족부의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운영안 현장 애로에 관한 IACUC 기관장 회의가 진행된다.학술대회장 밖에서는 실험동물 생산 및 실험동물 관련 기자재를 제조하는 국내 여러 업체들이 홍보 부스를 설치, 운영함으로써 생명과학 기초 산업으로서의 국내 실험동물 연구와 생산 현장을 한눈에 볼 수 있다.한국실험동물학회 동계학술대회 홈페이지( http://nm.kalas.or.kr/www/index.html?pg=35KY=6 )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8% 2013.01.17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