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125"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18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 부인암센터는 환자분의 방문과 동시에 진찰과 검사, 그리고 입원 및 치료의 전 과정을 환자중심, 질병중심으로 운영되는 신속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의료진 산부인과 송용상 교수, 박노현 교수, 김재원 교수, 정현훈 교수, 김희승 교수, 이마리아 교수 방사선종양학과 김학재 교수, 강현철 교수 영상의학과 조정연 교수, 김상윤 교수 병리과 김민아 교수, 이철 교수 진단 부인암센터는 정확하고 신속한 영상 판독 및 병리 판독으로 부인암 환자에게 최고의 진료를 제공합니다. ① 전산화 단층촬영 & 자기공명영상(CT & MRI): 인체의 단면을 촬영하여 종양의 골반을 비롯한 암의 크기 및 전이를 알 수 있는 검사입니다. ② 양전자 단층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scan): 부인암의 원발전이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치료 ① 최소 침습 복강경 수술(단일공 복강경수술): 배꼽에 하나의 구멍을 내어 수술을 하여 수술 후에도 흉터가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② 로봇수술: 수술의 정확성을 높이고, 빠른 회복이 가능합니다. 특히 수술 부위의 신경이나 괄약근 등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암을 정확하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③ 자궁보존 광범위 자궁경부 절제술: 초기의 가임을 원하는 자궁경부암 환자에게 자궁은 보존을 하고, 자궁경부만 절제함으로써 수술 이후에도 임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④ 표적치료: 암조직에 특이적인 약물을 분자 수준에서 제거하는 항암치료의 가장 최신 치료법입니다. 임상연구 서울대학교 부인암센터는 해외의 다기관 공동 임상시험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활발한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아직 알려지지 않은 부인암의 원인과 기전을 연구하고 기존의 치료법보다 더 좋은 방법을 실제 임상에 적용시키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대면다학제 진료 치료방침 결정이 어려운 중증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여러 분과의 전문의가 함께 최적의 치료방침을 논의를 하여, 한 번의 방문진료로 치료방법을 정하고, 각 전문의와 상담을 할 수 있습니다. (1) 자궁암 1. 자궁경부암 1) 원인 자궁경부암은 최근 선별 검사에 의한 조기 발견, 조기 치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환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는 흡연, 호르몬제 복용여성 인구가 증가하는 것과 연관이 있으며 인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 감염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양성인 경우 자궁경부암의 발생 위험도가 10배 이상 증가하며, 특히 16, 18, 32, 33형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고위험 형태이므로 이 경우 반드시 정기적으로 자궁경부암 선별검사를 받도록 하여야 합니다. 2) 증상 대부분 자궁경부암의 초기 증상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질환이 진행될 수록 성교 후 출혈, 생리기간과 연관 없는 질출혈 또는 폐경 후 출혈로 나타나기도 하며 질병의 진행에 따라 악취가 나는 질분비물, 체중감소, 배변곤란, 하복부 통증 등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진단 자궁경부암은 다른 암과는 달리, 초기 골반 내진 검사로 병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경험 많은 부인과 의사의 초기 검사가 매우 중요합니다. 암 조직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조직생검, 원추생검, 경관내소파술을 통해 암 조직을 채취하고 CT, MRI 등을 통해 암의 침윤과 전이를 확인하게 됩니다. 4) 치료 크게 수술적 치료, 방사선치료, 항암화학 요법이 있습니다. 이들 치료법은 초진 시 정해진 병기에 의해 결정되는데 암의 크기, 나이, 전신상태, 향후 출산 희망 여부 등을 고려해서 치료 범위를 결정합니다. 5) 예방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자궁경부암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로 이는 여성들 대부분이 선별 검사와 백신 투여를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성생활을 시작한 여성들은 적어도 2년에 한 번씩은 정기적으로 자궁경부세포진 도말 검사(Pap test)와 인유두종 바이러스 검사(HPV test)와 같은 암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성생활을 시작하기 전 9-25세 여성들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백신을 접종한다면 70-90% 정도의 자궁경부암을 예방할 수 있으며 비록 성생활을 시작한 이후라도 상담을 통하여 백신 접종을 하도록 권하고 있습니다. 2. 자궁내막암 1) 원인 여성의 몸이 에스트로겐에 많이 노출되는 경우(예를 들어 아이가 없는 여성, 조기에 월경을 시작하고 늦게 폐경이 된 여성들, 장기간의 호르몬제 복용 등), 자궁내막암의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특히 비만한 사람의 경우 지방 세포에서 여성호르몬 중 하나인 에스트로겐을 지속적으로 분비하기 때문에 정상 체중에 비하여 자궁내막암의 발생 위험이 증가됩니다. 또한 자궁내막의 양성증식증이 있는 여성의 경우에도 자궁내막암의 위험도가 증가합니다. 2) 증상 비정상적인 질출혈이 일반적인 증상이며 특히 폐경 후 질출혈이 있거나 폐경 전이라도 심한 생리 불순과 비정상적인 질출혈 혹은 질 분비물이 있을 경우 자궁내막암을 의심해야 합니다. 3) 진단 가장 먼저 질 초음파검사를 통해 지궁내막의병변을 확인을 하고 이 부위의 조식을 채취하여 검사하여 확진합니다. 보통 조직을 채취하기 위하여 자궁 내막 생검 시술을 시행하는데 시술 시간은 15-20분 정도이고, 검사 후에 아랫배의 통증이나 질출혈이 있을 수 있습니다. 4) 치료 수술적으로 자궁을 절제하며, 필요에 따라 양측 난소 및냔관을 절제하기도 합니다. 특히 자궁 내막암은 로봇을 이용한 최소침습수술이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는 부인암종으로 이를 통해 수술 후 빠른 회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수술 이후 조식검사 결과의 병기에 따라 수술만으로 치료가 끝나기도 하고 추가 치료를 더하기도 합니다. 5) 예방 비만을 조심해야 하며, 폐경 후 복용하는 호르몬제제는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 하여 종류를 결정하고 오남용을 피해야 합니다. 또한, 앞서 언급한 위험요인을 가진 여성은 6개월에서 1년에 한 번씩 주기적으로 산부인과 초음파 검진을 받도록 하고, 비정상적인 자궁 출혈 및 통증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즉시 산부인과 병원을 방문하여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난소암 1) 원인 난소암은 부인과 암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호발연령은 50세입니다. 난소는 표면을 이루고 있는 바깥 부분의 상피와 난소 내부의 실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중 가장 흔한 난소암의 형태는 난소의 표면에서 발생된 상피성난소암입니다. 난소암이 발생되는 원인은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난소를 구성하고 있는 세포가 특정 원인(BRCA 등의 유전자 변이, 노화, 가족력, 여성 호르몬 등)에 의해 암으로 변이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난관암과복암암 역시 상피성난소암과 비슷한 병리-임상 양상을 보이고 있으므로 상피성난소암에 준하여 진단과 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2) 증상 암 발생 후 복강 내 전이가 일어날 때까지 증상이 전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처음 진단 시 3기 이상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은데 보통 복수가 차서 배가 부르거나 소화가 잘 안 되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3) 진단 가장 먼저 골반 초음파를 시행하여 난소 종괴의 유무와 양상을 확인합니다. 혈액검사를 하여 난소암에 특징적인 CA-125을 검사할 수 있고 CT/MRI,PET을 시행하여 전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검사는 수술을 통한 조직검사입니다. 4) 치료 난소암은 수술적 치료가 필수적이며 수술 1~2주 이후 확인되는 조직 검사 결과에 따라 병기를 결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추가 치료시행하게 됩니다. 특히 난소암은 표적치료 연구가 가장 활발히 되고 있는 부인암종으로 수술 전후 부인암 전문의와 상담을 통하여 표적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5) 예방 난소암의 원인은 많이 알려진 바가 없어서 효과적인 예방방법은 아직까지 없습니다. 조기에 진단 되는 경우 생존율이 90%에 이르므로 증상이 없더라도 꾸준한 정기 검진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가족 중 부인암, 유방암, 대장암의 환자가 있는 경우 반드시 부인암전문의를 통한 유전 상담이 필요합니다. (2) 부인과 희귀암 1. 외음부암 여성 생식기의 외음부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모든 원발성 악성종양의 3-4%를 차지하는 드문 암종으로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과 외음부 상피내종양, 고령과 흡연은 잘 알려진 위험인자입니다.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병의 진행에 따라 가려움증과 만져지는 덩어리가 가장 흔하며, 궤양, 분비물, 자극감, 배뇨장애, 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은 외음부에서 작은 조직을 떼어내어 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조직을 관찰하는 조직 검사로 확진을 하고 이후 MRI, CT, PET 등으로 병기를 결정합니다. 주된 치료는 수술인데, 침윤전암인 경우 단순 외음절제술 통해 조직을 검사하여 병의 침윤 정도에 따라 향후 치료를 결정하게 됩니다. 침윤암의 경우 근치 외음절제술과 동시에 광범위 사타구니의 임파절제술을 하여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추가 치료 여부를 결정하게 됩니다. 2. 자궁 육종 주로 자궁 체부의 근육조직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현미경적 형태에 따라 1) 자궁평활근 육종, 2) 암육종, 3) 자궁내막 간질성육종, 4)비 분화된 육종 등으로 분류합니다. 정확한 발병 원인이나 위험요인은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 과거, 골반 내에 방사선을 조사한 경험이 있는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른 자궁암과 마찬가지로 비 생리기간이나 폐경 이후의 질출혈, 복통이나 하복부의 이물감이 발생한 경우 자궁육종을 의심할 수 있으며 특히 폐경 전 후자궁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에는 자궁육종에 대해 검사를 시행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자궁 육종은 1기 상태의 육종이라도 약 50%에서 재발되며 2기~4기의 경우에는 재발율이 90%까지 이르므로 조기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자궁육종의 치료법에는 수술과 방사선요법, 화학요법이 있습니다. 치료의 중심은 수술이며 병기와 조직 양상에 따라 방사선 치료와 복부와 폐에 발생하는 전이를 줄이기 위한 항암제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3. 임신성 융모 질환 임신성 융모 질환은 가임기 여성에서 줄로 나타나는 질환이며 크게 포상기태와 임신성융모상피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임신성융모상피종은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1) 침윤성기태: 질출혈, 난포막 황체 낭종, 복강출혈이나 감염이 발생하며 혈중 β-hCG상승이 관찰됩니다. 2) 융모상피암: 침윤성 성향이 매우 높은 암으로 동맥혈관을 침범, 혈류를 통해 급속히 다른 장기로 전이하기 때문에 심한 조직괴사 및 출혈성종괴를 형성해, 조직을 파괴하고 심한 출혈을 일으켜서 급작스러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3) 태반 부착부융모성종양: 무월경, 비정상적 질출혈이 가장 흔한 증상이고 골반내진 상 자궁이 8~16주 크기로 촉진되므로 임신으로 오인되기도 합니다. 임신성 융모 질환은 특징적인 초음파 소견을 나타내며 이후 소파술이나 자궁적출술로 조직검사를 하여 진단을 하고 이후 추가적인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으로 치료를 합니다.
2023년 발표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1년 우리나라 여자의 전체 암 발생 총 133,800건 중 난소암은 3,221건 발생하였으며, 여자 전체 암의 2.4%를 차지하였습니다. 여자 인구 10만 명당 조발생률은 12.5명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2023년 12월 발표자료) 난소암은 암이 발생하는 조직에 따라 상피세포암, 생식세포종양, 성삭기질종양으로 구분하는데, 대부분의 난소암은 상피세포암으로, 2007년 통계 자료에 따르면 상피성난소암이 전체 난소암의 76.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상피성난소암은 다시 장액성난소암(serous carcinoma), 점액성난소암(mucinous carcinoma), 자궁내막양난소(endometrioid carcinoma), 투명세포암(clear cell carcinoma), 브레너종양(malignant Brenner tumor), 미분화세포암(undifferentiated carcinoma) 등으로 나뉘는데 이 중 미분화세포암이 가장 예후가 나쁩니다.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수명인 84세까지 생존한다고 가정할 경우, 난소암 발생률은 0.7%입니다. 난소암의 호발 연령은 40~60대로 전체 암 환자 중 40대가 20.7%, 50대가 29.7%, 60대가 18.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14세 이하 여아의 암 발생 중 4위로 드물지만 간과할 수 없습니다. 난소암은 수술 기법 및 여러 항암약제의 개발로 환자 생존율이 점진적으로 향상되고 있는데, 5년간 암생존률이 2000년 58.9%에서 2015년 64.1%로 약 5.2%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나 많은 경우 난소암에 대한 적절한 선별검사가 없고, 대부분의 환자에서 증상이 비특이적으로 나타나 60% 이상의 많은 환자가 3기 이상의 진행된 상태로 진단되고 있습니다. [그림] 난소암의 종류 소는 자궁의 양측에 위치한 두 개의 생식기관으로, 난자를 생산하며, 월경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배란 및 여성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입니다. [그림] 난소 의 구조 난소암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관련된 위험요인으로는 낮은 출산력, 이른 초경, 늦은 폐경, 미혼, 불임, 유방암·자궁내막암·대장암의 기왕력 및 석면이나 활석 등에의 노출을 들 수 있습니다. 반면, 경구피임약을 5년 이상 복용하는 경우에는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난소암의 약 5~10%정도가 유전적인 성격을 가지며, BRCA1, BRCA2 유전자의 이상이 있는 경우, 모친이나 자매가 난소암에 걸린 경우 난소암의 위험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림] 난소암의 원인 난소암은 상당히 진행하기까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간혹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복부 팽만감 및 불편감, 복통, 소화불량, 대소변 시의 불편감 등 비특이적 증상이 나타나서 다른 질환으로 오인하여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외에 비정상 질출혈, 빈뇨, 배뇨곤란, 대하증, 오심, 구토, 변비, 요통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질병의 진행에 따라 복수, 복부 종괴,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의사는 기본적인 환자의 병력 청취 및 진찰을 통해 난소암이 의심되는 경우 내진을 하게 됩니다. 내진을 통해 복부의 종괴 유무 및 크기, 형태를 검사하게 되며, 필요하다고 여겨지면 초음파 검사로 난소의 혹을 검사하게 됩니다. 또한 단순한 양성 물혹인지 암인지를 감별하기 위해 혈액검사로 CA-125라는 종양 표지인자를 확인하게 됩니다. CA-125 종양 표지인자는 비교적 난소암에 특이도가 높아 상피성 난소암의 80%정도에서 증가된 수치를 보입니다. 하지만,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자궁내막증, 골반염, 임신 초기, 생리 중에도 상승 할 수 있고, 초기 난소암의 경우 50%정도에서만 증가를 보여 단독 검사만으로 난소암의 조기 진단에 활용하기는 힘든 상황입니다. 따라서 CA-125 종양 표지인자는 임상적으로 주로 치료에 대한 반응을 추적하는데 사용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종괴의 성격, 주변장기 침범여부, 병의 진행정도를 알기 위해 경정맥신우조영술, 대장내시경검사, 컴퓨터단층촬영 (CT), 자기공명영상 (MRI), 양전자단층촬영 (PET) 등의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검사를 통해 양성 종양인지 악성 종양인지를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으나, 최종적인 진단은 개복수술 또는 복강경 수술을 통하여 난소 종괴를 절제한 후 조직검사를 시행해야만 확진할 수 있습니다. 난소암의 병기는 수술을 한 이후 결과에 따라 결정되며, 한 번 정해지면 재발여부에 따라 변하지 않습니다. [표] 난소암의 병기 [그림] 난소암의 병기 (출처: 국가암정보센터) 난소암의 치료에는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가 있습니다. 수술로 종양을 최대한 떼어내고, 이후 조직검사 결과 및 병기에 따라 항암제를 6~9차례 가량 투여하게 되고 필요 시 방사선 치료를 실시하게 됩니다. 수술 난소암의 치료에서 수술은 종양의 제거 및 난소암 확진, 암의 진행상태를 알기 위해서 반드시 시행되어야 합니다. 난소암은 다른 암과는 달리 암이 진행된 상태에서도 수술이 치료 방법의 한 가지가 될 수 있습니다. 환자의 연령이나 동반질환, 출산 유무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수술을 통해 종양을 가능한 많이 떼어낼수록 향후 항암제 치료에 대한 반응 및 예후가 좋아집니다. 개복 후 종양의 침범 부위 및 정도에 따라 수술범위가 정해지므로 ‘시험적 개복술’이란 용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수술 시에는 자궁, 양측 난소 및 난관, 대망 및 골반 림프절 절제술, 골반 및 복부 세척검사, 조직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예외적으로 환자가 향후 임신을 원할 때에는 병소가 한쪽 난소에 국한되며 피막이 파열되지 않고 주위조직에 유착되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한쪽 난소난관절제술 시행도 고려 가능합니다. 가능한 많은 암 조직을 제거해야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양의 전이부위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대장, 소장, 방광, 요관, 림프절, 비장, 횡경막 등을 절제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술 및 수술 합병증의 위험이 높다거나, 수술로 종양을 모두 떼어내기 힘들다고 생각될 때에는 수술 전에 항암제를 먼저 투여하기도 합니다. 항암화학요법 1기말 이상의 난소암에서 수술 후 대개 3~6차례의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게 됩니다. 3~4기의 광범위한 전이 난소암에서는 수술 전 우선적으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방사선 치료 방사선 치료는 방사선을 쬐여 국소적으로 남아있는 암세포를 소멸시키는 것이지만, 난소암에서 방사선치료는 그 역할이 크지 않습니다. 수술 후 급성 부작용으로는 출혈 , 골반 내 염증 , 장폐색 , 혈관 손상 , 요관 손상 , 직장 파열 , 폐렴 , 폐색전증 , 임파낭종 등이 있으나 , 최근에는 이런 급성 부작용은 드문 편입니다 . 수술 후 만성 부작용으로는 방광이나 직장의 기능 부전 및 양쪽 난관 - 난소 절제술로 인한 폐경 관련 증상들 , 즉 , 질건조증 , 안면 홍조 , 불면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이 경우 자궁이 있더라도 임신은 불가능합니다 . 자궁절제술 및 한 쪽 난관 - 난소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호르몬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난소의 기능이 쇠퇴하기 전까지는 폐경 증상이 나타나지 않고 , 호르몬 대체요법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 이외에도 난소암의 수술로 인한 부작용은 수술 범위가 넓을수록 많이 생기며 , 복강 내 장기와 관련된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현재 난소암의 항암화학요법에서 일차 약제로 쓰고 있는 platinum 제제들의 부작용으로는 복통 , 설사 , 구토 , 신경 · 근육독성 , 신독성 등이 있으나 , 약물 투여 전후 수액요법 , 항구토제 , 스테로이드 제제 투여 등 전처치를 통해 부작용을 줄이고 있습니다 . 또한 항암제 치료는 골수세포를 억제하여 치료기간 동안 면역력이 떨어져 세균감염에 취약해질 수 있으며 , 쉽게 멍이 들거나 피로해지는 증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 이러한 부작용은 줄이고 암세포에 대한 치료효과를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약제가 개발 중이며 , 특정 유전자 변이 여부에 따른 PARP 억제제 사용 , 면역항암제 , 표적치료제 사용 또는 복강 내로 직접 항암제를 투여하는 방법 등도 개발되었습니다 . 난소암 치료 후 재발 및 전이를 진단하기 위해 치료 후 정기적으로 영상검사 및 CA-125 수치를 측정하게 됩니다. 분화도가 좋은 초기 난소암의 경우 수술 후 보조 항암제 치료를 하지 않아도 5년 생존율이 90%이상으로 양호하지만, 진행성 난소암의 경우 일차 치료 후 약 50% 정도에서 종양이 사라지나, 이 중 30~50%에서 다시 재발하게 됩니다. 재발성 난소암의 경우 치료 후 재발까지 걸린 기간, 이전 약제에 대한 반응성 등 환자 상태에 따라, 치료방법 및 치료 약제를 정하게 됩니다. 난소암의 재발과 전이 시 이전에 투여한 항암제에 감수성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2차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때에도 역시 가능한 많은 암조직을 제거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수술 이후, 또는 수술로 암조직을 충분히 제거할 수 없다고 판단되거나 전신상태가 수술을 견딜 수 없다고 생각될 경우에는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항암제 내성 여부에 따라서 다른 조합의 항암제를 사용하여 치료를 지속하게 됩니다. 치료 종료 후 관리 난소암치료 후 재발이나 전이 병변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치료 후 첫 1년은 1~3개월 마다, 2~3년까지는 3~6개월 마다, 4~5년 이후는 6개월~매년마다 추적검사가 필요하게 됩니다. 추적검사 시에는 문진, 골반내진, CA-125 혈액검사를 실시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 흉부 촬영, 컴퓨터단층촬영 (CT), 자기공명영상 (MRI), 양전자단층촬영 (PET)도 실시합니다. 난소암의 위험인자로 확실하게 밝혀진 것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난소암을 예방하거나 피할 수 있는 정확하고 쉬운 방법은 없습니다. 아직은 초기 난소암에 대한 선별검사가 확립되지 않은 실정으로 현재 난소암 조기 진단은 의사의 진찰, 혈청 CA-125 수치의 측정 그리고 초음파검사를 조합하여 시행되고 있습니다. 대개 검사는 매년 시행하지만, 난소암의 발생 위험이 높은 유전자 변이를 가진 환자는 6개월 간격으로 검사를 시행하며, 예방적으로 수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소암의 치료제로 여러 항암제가 개발되었고, 그에 따른 치료 반응이 좋아서 치료 후 종양이 사라진 듯 보이나, 재발이 많아 결국 항암제에 내성을 보이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난소암의 많은 환자가 암이 진행된 상태로 진단되어, 완치 목적의 치료보다 고식적인 치료가 주를 이루게 됩니다. 또한 환자는 항암제 치료를 위해 병원에 자주 방문 또는 입원하게 되고 많은 검사를 자주 받게 되는데 환자와 가족 모두 신체적ㆍ정신적으로 지칠 수 있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서로를 격려하고 희망을 잃지 말아야 합니다. 흔히 몸을 보한다거나 암 치료를 위해 검증되지 않은 약초나 약물 등을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오히려 간에 무리를 주거나 환자에게 해를 끼칠 수 있으니 반드시 의료진과 상의하여야 합니다. 아래의 동영상 제목을 클릭하시면 난소암의 진단 또는 치료와 관련하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동영상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난소암 검사 및 치료 동영상] 자궁절제수술 안내 복강천자 안내 [full ver.] 진단적 복강천자 안내 [요약판] 진단적 복강천자 안내 [full ver.] 치료적 복강천자 안내 [요약판] 치료적 복강천자 안내
자궁내막암은 자궁체부 중 자궁 내막에서 생기는 암을 말합니다 .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는 자궁내막암이 자궁경부암이나 난소암보다 더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 우리나라에서는 자궁경부암 , 난소암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이 발생하는 부인암입니다 . 자궁내막암은 식생활 및 생활습관의 서구화로 우리나라에서도 증가추세에 있으며 , 발생자수가 1999 년 721 명에서 2019 년에는 2,986 명으로 증가하였습니다 . 호발연령으로는 50 대가 전체 자궁내막암의 39.6%, 40 대가 21.7%, 60 대가 18.5% 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발생률 자궁내막암은 자궁체부 대부분을 차지하는 내막에서 발생하는 암을 말합니다. 2023년 발표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1년 한 해 동안 여자의 전체 암 발생은 133,800건입니다. 그 중 자궁체부암은 3,749건 발생하였으며, 여자 전체 암의 2.8%로 암 발생 순위 8위를 차지했습니다. 여자 인구 10만명당 조발생률은 14.6명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2023년 12월 발표자료) 자궁은 임신을 유지하고 출산을 가능하게 하는 기관으로 여러 골반 장기들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자궁의 앞쪽에는 방광, 뒤쪽에는 직장이 있습니다. 자궁은 가장 바깥쪽에 자궁장막이라는 얇은 막이 있고, 그 안쪽에 자궁근층, 그 다음 안쪽에 자궁내막이라는 부드러운 조직이 있습니다. 자궁내막은 생리주기에 따라 증식과 위축을 반복하며 호르몬의 영향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자궁내막암은 두 가지 형태로 나누는데, 첫 번째는 에스트로겐에 의해 자궁내막증식이 발생하고 암으로 진행하는 형태입니다. 낮은 출산력, 무배란, 이른 초경, 늦은 폐경,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 비만 그리고 오랜 기간 동안의 에스트로겐 단독 치료를 받은 경우, 타목시펜 치료를 받은 경우 등이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두 번째는 자궁내막증식 없이 자발적으로 종양이 발생하는 형태로 대개 분화도가 나쁜 형태로 나타나는데, 위험요인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 외 유전적인 요인으로 대장암과 관련된 HNPCC 유전자가 알려져 있습니다. 폐경 이후 연령이 증가할수록 잘 생기며 악성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외에도 면역결핍질환, 과거 복부 방사선 치료의 병력, 자궁내막증식증 등도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궁내막암의 특징적인 증상은 비정상적인 자궁출혈입니다. 이미 폐경이 된 여성에서 질 출혈이 있는 경우, 또는 폐경 전이더라도 비만이나 당뇨, 출산을 적게 했다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와 같이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여성이 불규칙한 자궁출혈이 있다면 자궁체부암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그 외 생리과다, 성교 후 출혈, 악취와 노란색 액성을 띄는 질 분비물의 증가, 복부, 골반, 외음부 주위의 불편감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진행된 자궁내막암의 경우에는 암의 주변 장기 침범에 의해 골반통이나 둔통, 혈뇨, 빈뇨, 변비, 직장 출혈, 하복통, 압통, 요통 및 복강내 전이로 안한 복부 팽만, 복수, 장폐색, 종괴(덩어리)가 만져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전신 증상으로 체중감소, 전신허약감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의사의 병력 청취 및 진찰을 통해 자궁내막암의 의심소견을 알아내게 됩니다. 내진을 하여 자궁의 형상 및 크기변화를 살펴보고, 초음파 검사로 자궁 내막의 모양 및 두께, 병변의 유무를 확인합니다. 검사 상 이상이 있거나, 폐경여성에서 질 출혈이 있는 경우, 흡인술이나 소파술로 자궁내막에 대한 조직검사를 시행하며, 필요에 따라 자궁내부를 자궁경을 통해 확인하기도 합니다. 자궁내막암이 진단된 경우에는 CT, MRI, PET 등의 영상검사와 혈청 CA-125 수치를 측정하여 병의 진행정도를 파악하고 치료 방침을 결정하게 됩니다. 2009년 FIGO 분류에 의한 자궁내막암의 병기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궁내막암 1기 암이 자궁체부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 1A 자궁근육층 두께의 절반 이내로 침범 또는 자궁근육층 침범이 없는 경우 1B 자궁근육층 두께의 절반 이상을 침범한 경우 2기 자궁체부와 자궁경부를 침범하였으나 자궁 외로 퍼지지는 않음 3기 자궁 밖으로 퍼졌으나 골반을 벗어나지는 않음 3A 자궁의 장막(serosa) 또는 부속기 침범 3B 질 또는 자궁방조직 침범 3C 골반 또는 대동맥주위 림프절 전이 3C1 골반 림프절 전이 3C2 대동맥주위 림프절 ± 골반 림프절 전이 4기 골반 밖으로 전이되거나 방광이나 직장 점막 침범 4A 방광 또는 장의 점막 침범 4B 복강내 또는 서혜부 림프절을 포함한 원격 전이 자궁내막암의 치료에서 수술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환자의 상태에 따라 그 범위가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자궁 및 암이 퍼질 수 있는 양쪽 난관, 난소 절제술을 시행하고 골반 및 복부 세척세포검사를 시행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 골반 및 대동맥주위 림프절 절제술을 추가합니다. 최근에는 초기 자궁내막암에 대해 복강경 수술을 시행하여 보다 적은 통증과 짧은 회복기간을 보이고 있습니다. 수술 후, 수술로 절제한 자궁 및 주변 조직들에 대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병기를 설정하게 되고, 결과에 따라 보조적 방사선치료 및 항암제 치료를 시행합니다. 방사선치료는 고용량의 방사선을 사용하여 암세포를 죽이거나 크기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단독으로 실시되거나 수술 전, 후에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 방사선 치료 방법에는 기계를 이용해 신체 외부에서 방사선을 조사하는 외부조사 방법과 방사선 동위원소를 암이 존재하는 자궁강 및 질강에 근접조사하는 강내조사방법이 있으며, 외부조사는 주로 조기 암 혹은 수술 후에, 강내조사는 진행암 혹은 수술 전에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항암화학요법은 진행된 병기, 전이되어 수술이 힘든 경우, 재발된 자궁내막암에서 시행하게 됩니다. 또한 암세포의 성장에 필요한 호르몬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호르몬치료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자궁내막암 환자 중 여성호르몬 수용체 검사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가 모두 양성일 경우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수술 또는 방사선 치료 시행이 어렵거나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 또는 재발된 자궁내막암 환자 중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가 모두 양성일 경우 호르몬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자궁내막암 병기 치료방법 1기 단순전자궁적출술과 양측 난관-난소 절제술, 림프절절제술; 자궁과 양측의 난소, 난관을 절제합니다. 경우에 따라서 골반내의 림프절도 남김없이 절제하며, 림프절로 전이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대동맥주위 림프절도 절제합니다. 골반내 방사선 치료 및 단순전자궁적출술, 양측 난관-난소 절제술; 수술과 방사선을 병용한 치료법입니다. 일반적으로 수술 전에 외부 방사선 조사를 실시하며, 만일 암의 전이가 나타난 경우에는 골반과 복강내의 림프절을 절제합니다. 수술에서 림프절 전이가 확인되거나 병소의 확산이 현저한 경우 수술 후 추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병용하게 됩니다. 이 밖에도 방사선 치료를 희망하는 환자, 고령이거나 다른 질환 등의 이유로 수술을 하지 못하는 환자인 경우 방사선 단독 치료를 실시하게 됩니다. 2기 광범위자궁적출술과 양측 난관-난소 절제술, 림프절절제술; 자궁과 양측의 난소, 난관 및 골반내 림프절을 절제합니다. 림프절로의 전이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대동맥주위림프절도 신정맥의 높이까지 절제합니다. 단순전자궁적출술과 양측 난관-난소 절제술; 광범위자궁적출술에 따르는 부작용을 피하기 위해 실시하며, 암 전이가 있다면 골반과 복강내의 림프절을 절제합니다. 수술에서 림프절 전이가 확인되거나 병소의 확산이 현저한 경우 수술 후 추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병용하게 됩니다. 3기 광범위자궁적출술과 양측 난관-난소 절제술, 림프절절제술, 방사선치료; 광범위한 자궁절제술과 양측 난관-난소 절제술, 림프절절제술과 함께 수술 후 보통 방사선치료를 시행합니다. 수술을 하지 못하는 경우 방사선 치료를 단독으로 시행해야 할 때 강내 방사선 조사 및 외부 방사선 조사를 실시합니다. 필요한 경우 호르몬치료를 실시합니다. 4기 환자에 따라 다르지만, 강내 및 외부 방사선치료, 호르몬 치료, 항암화학요법 등의 치료 방법을 병행합니다. 골반내 출혈이나 분비물과 같은 합병증이 있을 경우 해결을 위해 수술을 시행할 수도 있습니다. 수술 후 급성 부작용으로는 출혈, 골반내 염증, 장폐색, 혈관 손상, 요관 손상, 직장 파열, 폐렴, 폐색전증, 임파낭종 등이 있으나, 최근에는 이런 급성 부작용은 드문 편입니다. 수술 후 만성 부작용으로는 방광이나 직장의 기능 부전 및 양쪽 난관-난소 절제술로 인한 폐경 관련 증상들, 즉, 질건조증, 안면 홍조, 불면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자궁이 있더라도 임신은 불가능합니다. 자궁적출술 및 한 쪽 난관-난소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호르몬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난소의 기능이 쇠퇴하기 전까지는 폐경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호르몬 대체요법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외에도 난소암의 수술로 인한 부작용은 수술 범위가 넓을수록 많이 생기며, 복강내 장기와 관련된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방사선치료의 부작용으로 급성/만성 부작용이 있는데, 급성 부작용으로는 조사 부위 피부 건조 및 발적, 오심, 구토, 백혈구 감소로 인한 감염 위험성 증가, 설사, 식욕 부진, 체중 감소, 직장염, 방광염, 빈뇨, 배뇨 곤란, 혈뇨, 비뇨기계 감염 및 질 건조, 소양감, 작열감, 질염 등이 있습니다. 만성 부작용으로는 간섬유화, 간기능부전, 간경화, 신장기능부전, 소장/결장의 유착, 폐색, 위축 및 흡수력 저하, 천공, 누공, 직장의 섬유화나 만성 직장염, 만성 방광염, 방광의 위축 뿐 아니라 질궤양과 괴사, 방광-질 누공과 요관의 협착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항암화화학요법시의 부작용으로는 빈혈, 백혈구/혈소판 수 감소, 오심, 구토, 설사, 구내염, 탈모, 생식기능 장애가 생길 수 있습니다. 호르몬 치료에 사용되는 프로게스테론 제제의 부작용으로 체중증가, 부종과 고혈압, 혈전성 정맥염, 얼굴 작열감, 식욕 증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폐경 전 여성의 경우 생리주기의 변화가 올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암의 예후는 연령, 병기, 암세포의 조직학적 형태 및 분화도 등에 영향을 받습니다. 종양세포의 분화도가 좋고 암이 자궁 내에 국한된 경우 5년 생존율은 약 90% 정도입니다. 그러나 암이 진행하여 자궁을 벗어나거나 분화도가 나쁜 경우, 투명세포암이나 유두상 장액성 자궁내막암의 경우, 자궁강내 암의 위치가 하부에 있을수록 생존율이 낮아지고 재발률도 높아 불량한 예후를 보입니다. 재발은 질이나 골반 내에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와 폐, 간 등 멀리 떨어진 장기에 재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재발암에 대한 표준적인 치료는 없는 상태로, 재발부위 및 이전 치료력 등에 따라 재수술, 방사선치료, 항암제 치료, 호르몬 치료 등 환자 상태에 따라 다양한 치료를 하게 됩니다. 질이나 골반 조직에 국소 재발한 경우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고, 고립성 원격 전이가 생긴 경우 가능하다면 수술을 시행합니다. 치료 종료 후 관리 자궁내막암 치료 후 재발이나 전이 병변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치료 후 첫 1년은 1~3개월 마다, 2~3년까지는 3~6개월 마다, 4~5년 이후는 6개월~매년 마다 추적검사가 필요하게 됩니다. 추적검사 시에는 문진, 골반내진, CA-125 혈액검사를 실시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 흉부촬영,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양전자단층촬영(PET)도 실시합니다. 적절한 운동을 통해 비만, 당뇨와 같은 위험요인을 줄이고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를 감소시켜, 자궁내막암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경구피임제의 복용이 자궁내막암을 감소시킨다는 여러 보고가 있는데, 이는 피임약에 들어있는 프로게스테론 성분이 자궁내막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외 흡연은 간에서 에스트로겐 대사에 영향을 주어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를 낮춰 자궁내막암의 발생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 폐암을 비롯한 다른 주요 질병의 원인이 되므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폐경 후 질 출혈, 불규칙한 질 출혈 및 생리 과다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의사의 진찰이 필요합니다. 자궁내막검사를 통해 자궁내막증식증과 같은 암의 전구병변을 진단하고 이를 치료하여 자궁내막암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암이나 유방암, 대장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검진에 신경 써야 하며, HNPCC 유전자와 같이 위험이 높은 유전자를 가진 경우에는 예방적인 수술의 시행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조기 발견의 효과가 입증된 권장 조기검진 프로그램은 없으나 프로게스트론이 없는 에스트로겐 단독 호르몬요법을 시행 받는 폐경 여성, 유전성 비폴립 대장직장암 증후군의 가족력 및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의 경우 정기적인 검진을 권장합니다. 자궁내막암은 불규칙한 질출혈, 생리과다 등의 증상이 초기에 나타나고, 자궁내막증식의 전구병변을 거치기 때문에 조기 진단 및 치료를 통해 어느 정도 예방 가능한 암입니다. 따라서 정기 검진 및 증상이 있을 때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자궁체부암, 유방암, 대장암 등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에는 더욱 검진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아래의 동영상 제목을 클릭하시면 자궁내막암의 진단 또는 치료와 관련하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동영상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암 검사 및 치료 동영상] 근치적 자궁절제술 안내 자궁절제수술 안내 [full ver.] 복식 근치적 자궁절제술 및 림프절절제술 안내 [full ver.] 복강경하 근치적 자궁절제술 및 림프절절제술 안내 [full ver.] 근치적자궁절제술 및 림프절절제술 안내(로봇수술) 정맥신우조영술 안내 [full ver.] 진단적 복강천자 안내 [요약판] 진단적 복강천자 안내 [full ver.] 치료적 복강천자 안내 [full ver.] 진단적 자궁경검사 안내 [full ver.] 배뇨기록지작성방법 안내(비뇨기과A) [full ver.] 배뇨기록지작성방법 안내(비뇨기과B) [full ver.] 골반근육운동 안내(여성) [full ver.] 하지림프부종의 개념과 관리방법 안내
정의 CA-125(cancer antigen 125)는 고분자 당단백으로 난소암 및 자궁내막암 등의 부인과계 암에서 증가합니다. 그 외에도 췌장암, 폐암, 유방암, 대장암, 위장관암에서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선별 검사로는 가치가 떨어지나, 자궁내막암의 예후 결정 및 난소암의 크기, 병기 및 생존율과 연관이 있습니다. 검사방법 채혈하여 검체를 얻습니다. 채혈 전 특별한 준비사항은 없습니다. 결과 유럽종양표지자연구회(European Group on Tumor Markers, EGTM), 국립임상생화학학술원(National Academy of Clinical Biochemistry, NACB) 등의 권고에 따르면 CA-125는 난소암의 선별 검사나 진단에 이용하기에는 증거가 부족합니다.(참고치는 0~35μg/mL임) 하지만 난소암의 병기 결정, 예후 판정, 재발 검출 및 치료 효과 모니터에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CA-125는 간경화 같은 양성 질환에서도 증가할 수 있어 해석에 주의해야 합니다.
초음파로 골반 장기를 살펴보는 중에 난소에 생긴 종괴(혹)를 발견하는 수가 있습니다. 난소에서는 매달 난포가 성장하여 성숙한 난자가 배란되는 과정이 되풀이되는데, 이 과정에서 언제든 물혹이 생길 수 있습니다. 폐경 전의 가임기 여성들에게는 기능성 혹이라고 해서 물혹이 생겼다가 없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양성 혹은 악성의 난소 종양이 생길 수도 있으므로 난소에서 종괴가 발견되었을 때에는 정확한 검진이 필요합니다. 기능성 난소 낭종인 경우에는 대부분 자각 증상을 느끼지 않습니다. 또 난소 종괴가 크지 않을 때에도 자각 증상이 없습니다. 물론 증상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난소 종괴로 인해 가장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복부 팽만과 불편감 • 복통 • 복부 압박 증상 • 대·소변시의 불편감 • 소화불량 • 호르몬을 분비하는 종양이 생겼을 때에는 질 출혈이 나타나기도 함 드문 경우이긴 하지만, 종괴(혹)가 꼬이거나 복강 내에서 파열되면 복강 내 출혈과 급성 복통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불임이거나 분만한 경험이 없는 여성, 초경이 너무 이르거나 폐경이 너무 늦은 여성, 난소암을 앓았던 가족이 있는 여성, 유방암이나 자궁내막암에 걸렸던 적이 있는 여성은 난소암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분의 상피성 난소암은 폐경 이후 여성들에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노년기 여성들에게 난소 종괴가 발견되면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난소암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유전자 변이를 가진 환자는 6개월마다 난소 초음파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여성에서는 더이상 자녀를 낳을 계획이 없다면 예방 차원에서 자궁난소적출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난소암을 예방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알려진 것은 경구 피임제인데, 5년 이상 장기 복용했을 때 그 발생률이 현저히 줄어들었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또 분만횟수가 많거나 모유수유를 한 여성에서 그 발생률이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난소 종괴는 혈액검사와 골반 초음파로 진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필요하다면 CT나 MRI 등 추가 검사를 하게 됩니다. CA-125 : 혈액검사로 확인하는 종양항원의 한 가지입니다. 상피성 난소암, 생식세포 난소암, 자궁내막암, 유방암, 소화기에 발생한 암 등 악성 질환이 있을 때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궁 근종, 자궁선근증, 자궁내막증, 골반염, 임신 초기나 생리중에도 상승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혈중 CA-125가 상승되어 있는 경우에는 골반 초음파로 그 원인을 정확히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1) 폐경 이전에 작은 크기의 낭성 종괴(물혹)가 생겼다면 약 2-3개월 후에 다시 검사해서 추적관찰을 하게 됩니다. 이때 경구용 피임약을 복용할 수도 있습니다. 2) 폐경 이후라면 수술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러나 크기가 작고, 증상이 없으면서, 초음파상 단순 물혹으로 양성이라 판단될 때에는 경과를 지켜볼 수 있습니다. 단, 가족이나 본인이 유방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등을 앓았던 경험이 있거나 종괴가 점점 커지는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합니다. 3) 종괴가 큰 경우, 또 초음파 등 영상검사상 악성으로 의심될 경우엔 수술을 하게 됩니다. 산부인과 이효표 강순범 송용상 박노현 김재원 영상의학과 조정연 방사선종양학과 우홍균
암 진단 기술 어디까지 왔나?- 1 μg (1/1000 mg) 유방암 시료에서 300개 이상 단백질 표지자를 한 번에 정량 분석할 수 있는 기술 개발- 저렴한 비용으로 혈액 한 방울로 다양한 암을 진단할 수 있는 기반 마련서울대학교병원 의공학과 김영수 교수, KIST 이철주 박사 공동연구팀 (이하 한국 Seoul 팀, 책임자 김영수 교수)은 질량분석기 (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er)의 다중반응검지법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RM) 을 이용하여 유방암 세포 시료 극미량 1 μg (1/1000 mg)으로 319개 단백질 표지자의 절대 정량 분석 기술을 개발했다.이 연구는 미국국립암연구원의 지원으로 미국 Fred Hutchinson Cancer Research Center 의 Amada Paoulovich 박사 (이하 미국 서부 Seattle 팀)과 BROAD Institute of Harvard and MIT 의 Steven Carr 박사 (이하 미국 동부 Boston 팀)과 공동으로 진행됐다.우리 몸의 세포 형질을 결정하는 중요 요소는 유전자와 단백질이다. 현재 유전체 정보는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기술의 발전으로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지만, 단백질체 정량(특정 단백질 양(농도) 측정) 분석은 속도 및 규모에서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암은 증식과정에서 고유의 단백질을 만들어 내는데, 혈액을 뽑아서, 암세포가 분비한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 종양표지자 검사다. 임상에서 이뤄지는 종양표지자 검사는 [표1]과 같다. 정확한 암 검진을 위해서는 CT, MRI, PET 등 각종 영상검사를 한다. 이러한 검사는 고비용, 방사선 노출의 위험으로 매달 할 수 없다. 종양표지자 검사는 저렴한 비용에 정기적으로 암 유무를 screening 할 수 있다. [표1] 종양 표지자 적용되는 암 AFP 간암, 배아세포암 CEA 대장직장암, 소화기암, 폐암, 유방암 PSA, free PSA 전립선암 ferritin 백혈병, 간암, 췌장염, 폐암, 유방암 TG 갑상선 종양 SCC 자궁경부암, 폐편평세포암 Free light chain 다발성골수종 CA125 난소암 beta-HCG 태반 종양, 고환종양 NSE APUDoma 폐소세포암, 신경맥세포종 cyfra21-1 폐암 Pepsinogen I/II 위선종, 위암 HE4 난소암 proGRP 소세포폐암 현재 종양표지자 검사는 암 세포가 분비한 단백질(항원)과 항체의 반응으로 농도를 측정한다. 종양표지자 마다 새로운 항체 분석법을 개발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같은 검사를 해도 각 분석실험실마다 단백질 분석 편차가 있어서 표준화된 동일한 값을 얻기 어렵다.이러한 고민에서 개발된 것이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다중반응검지법이다. 이 검사법은 극미량 1 μg 시료의 한 번 검사로 100~300여개의 단백질 표지자를 한 번에 정량할 수 있다. 어떤 단백질이 암 표지자인지 밝혀지면, 한 번의 피 검사로 여러 수십 개의 암을 밝혀낼 수 있다.원리는 다음과 같다.[그림1 참조] 한 방울의 혈액에 100개의 단백질 표지자가 있다고 가정하자. 특정 단백질을 화학적 전처리하여 단백질 단편으로 만든 후 전자 스캔으로 질량(Q1)을 측정한다. 같은 단백질 단편을 분쇄하여 단백질 파편으로 만든 후 전자 스캔으로 질량(Q3)을 측정한다. 각 단백질은 지문 같은 고유의 Q1/ Q3 질량 값이 있다. 연구팀은 100개 단백질의 고유의 Q1/ Q3 값을 질량분석기에 미리 입력한다. [그림1]다중반응검지법(Multiple Reaction Monitoring,MRM) 원리- 질량분석기 중에서 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er를 Liquid Chromatography (LC) 에 연결하여 단백질을 정량하는 질량 분석 기법- 인체 시료와 같은 액상 시료 I μg 이하 시료의 한번 주입으로 100-300개 이상 단백질 단편의 동시 절대 정량 분석이 가능- 정량하려는 타겟 단백질을 tyrpsin 등으로 가수분해하여 만든 peptide 질량 (precursor ion m/z, 오른쪽 그림의 Q1에서 측정)를 MS1 스펙트럼으로 측정하고 그 peptide 를 분쇄하여 (Q2에서 분쇄) 만들어진 조각질량 (product ion m/z, Q3에서 측정)을 MS2 스펙트럼으로 측정한다. - MS1 의 precursor ion m/z 및 MS2 의 product ion m/z 을 Transition 이라 정의한다. 각 단백질 마다 지문 같은 고유한 Transition을 지정할 수 있다. 일례로, 가운데 그림의 “Transition = 400.24/205.21”은 Target Protein A를 지정하는 값이다. - 100 개 단백질의 정량을 위해서는 100개 각각 단백질에 대한 Transition을 정하여 질량분석기에 입력하고 msec 단위로 100개를 연속적으로 스캔한 질량 강도를 측정하면 각각 해당하는 단백질 농도를 절대 정량 분석할 수 있다. - 동위원소 치환된 peptide를 Internal Standard 로 시료에 첨가하면 절대 정량 분석이 가능하고 적절한 전처리 분획에 의해서 ng/ml 농도의 민감도의 분석이 가능하다. 그 후 혈액을 질량분석기에 넣고 msec (1000 분의 1초) 단위로 혈액 속 단백질 입자들을 스캔하여 질량을 분석하고, 결과 값과 미리 입력한 단백질 고유의 Q1/ Q3값과 대조한다. A 단백질의 Q1/ Q3값이 400/ 200이라고 하자. 혈액 내 단백질 입자들 중 Q1/ Q3값이 400/ 200인 것이 20개가 있으면, A 단백질이 20개가 있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30개의 유방암 세포주를 화학적 전처리 후에 발생한 319개의 단백질 단편 시료 중 162개를 한국 Seoul 팀, 미국 서부 Seattle 팀, 미국 동부 Boston 팀으로 이송하여 동일한 질량분석기와 기술로 단백질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 각 3팀 간의 162개 평균 분석치의 변화는 0.2% 이내였다.이는 언제 어디서든 동일한 질량분석기와 검사법을 따르면 동일한 단백질 정량 값을 얻을 수 있다는 뜻이다. 즉 국제적으로 대규모 단백질체에 대한 절대 정량 분석 기술이 가능해져 대량 단백질 표지자의 절대 분석 시대가 열린 것이다.김영수 교수는 “개인 맞춤의학의 도래에 따라서 대규모 단백질 표지자가 세계적으로 통일된 절대 정량 분석 값으로 분석이 가능해지면 공통 기술 개발이 가능해져서 단백질 표지자의 분석과 의료 산업 기술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 된다” 며 “본 연구에 수행한 질량분석기기를 이용하여 초고속 다중 단백질 표지자 분석이 가능하면 초저가 혁신적인 의료 분석 장비가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된다” 고 말했다.이 연구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Nature Methods 인용지수(Impact factor=23) 에 12월 온라인 호에 게재되었다.
CA15-3 검사코드 L7615 검사명 Ca-15-3 오더분류 Tumor Maker 참고치 구 분 정상치 30U/ml 이하 단위 U/ml 기본검체 Serum 0.5ml 시행일/보고일 월 ~ 금 5 회 검사방법 IRMA 문의처 핵의학과 체외검사실 T. 2537, 2507 / 2804호 검사소개 유방암 진단에 사용 측정원리 항체가 코팅된 튜브에 검체의 항원과 방사성동위원소에 표지된 항원을 경쟁적으로 반응시켜 고형상법으로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하는 RIA method이다 제조회사 IZOTOP 검사방법 1) 표준액, 관리혈청, 검체를 1:50으로 희석 2) 희석된 표준액, 관리혈청, 검체를 300ul 시험관에 분주 3) 실온에서 60분 shaking(280 rpm이상) 4) 증류수로 세척(3~4번) 5) 125 I 300㎕씩 분주 6) 증류수로 세척(3~4번) 측정의의 7) 감마선계측기에 1분간 측정 주의사항 검사특성 1) 측정범위 : 100 ng/ml 2) 최 소 값 : 0.9 ng/ml 3) 희 석 : 90 ng/ml 이상 일 때 10배 희석함 4) 민 감 도 : 0.2 ng/ml 5) 재 검 : 전 결과랑 상이 한 경우 비고 동의어
CA-125 검사코드 L7674 검사명 CA-125 오더분류 간염 종양 및 빈혈 참고치 0 ~ 35 U/mL 단위 U/mL 기본검체 Serum 0.5mL 시행일/보고일 1차- 당일 09:00 까지 접수에 한함 11:30 2차- 당일 10:00 까지 접수에 한함 12:30 3차- 당일 12:30 까지 접수에 한함 15:00 4차- 당일 14:00 까지 접수에 한함 16:30 5차- 당일 15:30 까지 접수에 한함 17:30 검사방법 IRMA 문의처 핵의학과 체외검사실 T. 2537, 2507 / 2804호 검사소개 CA125는 난소의 장액에서 난소낭선암의 배양주 OVCA433을 면역원으로 제조한 monoclonal 항체 OC 125가 인식하는 항원이다. 측정원리 항체가 피복된 TUBE에 검체인 항원과, 항체가 표지된 동위원소를 비경쟁적으로 결합시킨 고형상법으로써, 결합형과 유리형을 분리하는 면역방사계수측정법(IRMA)으로 샌드위치원리를 이용한다. 제조회사 IZOTOPE (HUNGARY) 측정의의 면역조직학적으로 상기의 선암,유내막암, 장액성낭포선종,미분화암에 존재하고, 태생기에는 체강막,양막에 존재한다. 난소암에서 80~90% 높은 양성률을 나타내며 특히 장액성 난포선암에서 높은 양성률을 보이는 것이 인정되어 있다. * 증 가 : 난소암,자궁내막염,자궁근종,간암,장막염 * 무균성수막염,발진증,Herpangina,심낭염,심근염,기도질환 검사특성 1) 측정범위 : 500 U/ml 2) 최 소 값 : 1.0 U/ml 3) 희 석 : 450 U/ml이상시 10배, 100배 희석한다 4) 민 감 도 : 1.0 U/ml 5) 재검 : 최근 검사와 차이가 많이 날 경우 재검
[1] 職員名單 직명 직급명 성명 科長 敎授 이동수 醫務長 敎授 이명철, 정준기, 정재민 副敎授 강건욱 助敎授 김유경, 이재성, 김순학 招聘敎員 敎授 김종순, 임상무 副敎授 최창운 專任講師 천기정, 김석기 專攻醫 4年次 김범산, 장성준 3年次 오소원, 임일한, 장수진 2年次 강지연, 송요상, 이정원 1年次 문승환, 심혜경, 이상미 看護職 看護師 김정옥 藥務職 藥務師 장영수 保健職 保健技正 김현주 保健副技正 우재룡, 노경운, 김진의 保健士 김태훈, 유태민, 이홍재, 장현영, 조성욱, 황길동, 홍미경 保健士補 김계환, 김대운, 김병진, 김재일, 김정수, 김홍주, 문일상, 박희원, 서효열, 성용준, 신희정, 이형진, 임점진, 임현진, 정규일, 조용현, 황기영 事務職 主事補 최정희 運營技能職 運營技能士 유영주 運營技能士補 신은영, 남은주 運營技能原 문영실, 최윤정 [2] 主要活動事項 진료건수는 전년도에 비하여 9% 증가하였으며 특히 양전자단층촬영(PET) 검사는 2006년 6월 보험적용으로 검사의뢰가 증가하여 50%, 강남센터 및 본원 검사건수 증가로 검체검사가 9% 증가하였다. 토요일에도 전일근무제를 실시하여 평일과 같이 정상적으로 검사결과를 볼 수 있게 하였고 적체되어 밀리는 뼈스캔, PET검사를 처리하기 위해서 시간외 근무를 시행하였다. 그동안 보라매병원에서는 검체검사만 시행하였으나 2008년 6월 새병원 오픈에 맞추어 핵의학과를 개설하기로 확정하였으며 PET-CT를 비롯한 영상장비 5대를 구입하기로 하였다. 핵의학 연수교육은 4월 본원 임상의학연구소 대강당에서 분자영상 기술의 최신지견에 대한 강좌를 주관하였고 대한의학회에서 발행하는 공식 영문학술지인 JKMS에 보건직 신선영 논문이 채택되었다. 연구분야에서는 2007년 미국핵의학회에 모두 31편의 연구결과를 발표하여 세계에서 단일 기관으로 2번째로 많은 연제를 발표하는 등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고, 2004년 이후 IAEA 핵의학 분자영상 협력기관으로서 7명의 핵의학자가 연수하였다. 전국의 보건대학에서 방사선과 129명과 임상병리과 학생 47명을 1주간씩 영상검사와 검체 검사에 대한 실습교육을 실시하였다. 방사약학연구원 1명, 석.박사 학위과정 핵과학 연구원 23명이 연구개발 업무에 매진하였다. [3] IAEA 지원으로 연수를 온 핵의학자 성 명 초청국 기 간 비 고 Mr. Le Doan Pha 베트남 2007. 7. 16 - 2007. 7. 20 IAEA 연수 Mr. Huu Tan Vuong 베트남 2007. 7. 16 - 2007. 7. 20 IAEA 연수 Dr. Nam Vo Khac 베트남 2007. 9. 27 - 2008. 1. 26 IAEA 연수 Dr. Diem Duong Phu Triet 베트남 2007. 9. 27 - 2008. 1. 26 IAEA 연수 Mr. Hoa Binh Pham 베트남 2007. 10 17 - 2007. 10. 23 IAEA 연수 Mr. Durr-E Sabih 파키스탄 2007. 11. 19 - 2007. 11. 30 IAEA 연수 Mr. W. Keerthi Kumara Perera 스리랑카 2007. 12. 2 - 2007. 12. 14 IAEA 연수 [4] 신규장비 설치 장비명 제조사 및 모델 설치장소 설치일자 자동검체분주기(Autosampler) Tecan Freedem EVD 검체검사실 2007. 8. 7 양전자단층촬영(PET CT) Siemens Biograph PET센터 2007. 10. 26 1. 인사사항 직급 성명 인사사항 일자 보건기정 김현주 보건기정으로 승진, 기사장 임용 2007. 1. 1 전공의 문승환 전공의 1년차 신규발령 2007. 3. 1 심혜경 전공의 1년차 신규발령 2007. 3. 1 이상미 전공의 1년차 신규발령 2007. 3. 1 보건부기정 노경운 보건부기정으로 승진, 체외수석기사 임용 2007. 4. 18 김진의 보건부기정으로 승진, 소아수석기사 임용 2007. 4. 18 보건사 유태민 보건사보에서 보건사로 승진 2007. 5. 1 보건사보 임현진 신규발령 2007. 7. 18 신희정 신규발령 2007. 7. 18 서효열 신규발령 2007. 7. 18 황기영 신규발령 2007. 7. 18 교수 이명철 서울대학교 생명공학공동연구원 원장 취임 2007. 8. 25 부교수 강건욱 부교수 신규발령, 의무장 임용 2007. 9. 1 조교수 김유경 조교수 신규발령 2007. 9. 1 보건사 이홍재 모범직원 표창 2007. 10. 15 보건부기정 우재룡 수석기사 전보발령, 소아핵의학검사실에서 체내검사실로 2007. 11. 1 김진의 수석기사 전보발령, 소아핵의학검사실에서 체내검사실로 2007. 11. 1 노경운 대한핵의학기술학회 임상분과학회장 피선 2007. 12. 1 사무직 최정희 5급에서 4급으로 승진 2007. 12. 20 [5] 敎育現況 1. 學生敎育 現況 의과대학 3학년 1학기에 핵의학에 대하여 16시간의 강의교육을 시행하여 실습은 내과 실습교육 에서 8시간, 영상의학과 실습교육에서 8시간을 배당받아 핵의학 진료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을 실시 하였다. 핵의학 실습교육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요일 시간 교육과정 월 09:00 - 17:00 핵의학과 소개, 방사면역측정법의 원리, 학생자원자 영상실습, 뇌관류 SPECT, 심장관류 SPECT, PET 영상증례 목 09:00 - 17:00 핵의학 영상장비, 심근관류 SPECT, 124 병동 증례 발표, 갑상선암의 치료, 방사성의약품의 원리 및 합성 2. 大學院 1) 박사 이름 논문제목 날짜 지도교수 김성은 99mTc-Neolactosyl Human Serum Albumin(LSA)과 99mTc-Neomannosyl Human Serum Albumin(MSA)의 생물학적 특성비교: 간세포와 쿠퍼세포에 대한 차별 표적화 2007년 2월 이명철 강원준 18F-FDG 표지를 이용한 관동맥 주입 말초단핵구/조혈모세포의 심근분포 정량화 2007년 2월 정준기 2) 석사 이름 논문제목 날짜 지도교수 장성준 나트륨 옥소 공동 수송체 이입 중배엽 줄기세포의 지지체 내 생존 평가 2007년 2월 이명철 주간행사표 요일/시간 월 화 수 목 금 토 07:30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08:00 교수회의 (정보도서실) 문헌초독회 흥미영상 (회의실) 수요미니 심포지움 (회의실) Structured course staff lecture (회의실) 화학/물리 임상연구모임 08:30 수석기사회의 (정보도서실) 09:00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10:00 외래 강건욱/외래 이명철 외래 정준기 학생 실습교육 (회의실) 심장집담회 (심장센터) 11:00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영상협의체모임 (회의실) 판 독 13:00 학생 실습교육 판 독 학생 실습교육 (회의실) 판 독 14:00 판 독 판 독 판 독 간질집담회 (회의실) 판 독 15:00 외래 팽진철 소아신장집담회 (소아방사선과) 16:00 판 독 17:00 종양PET 집담회 (회의실:격주) 핵의학 기술학모임 (회의실) 18:00 전공의 배치현황 1, 2년차가 핵의학임상에서 6개월을 방사선과와 내과에 3개월씩 파견 수련 받았다. 월 3 4 5 6 7 8 9 10 11 12 1 2 1 년차 내 과 핵의학과 방사선과 핵의학과 2 년차 핵의학과 방사선과 핵의학과 핵의학과 3 년차 핵의학과 핵의학과 연 구 핵의학과 4 년차 핵의학과 핵의학과 핵의학과 [6] 硏究現況 수요미니심포지움 15회와 물리.화학.종양.생물학.인지과학등 기초-임상 연구 모임을 비롯 7종류의 과내 및 타과와의 집담회를 열었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한국과학재단, 과학기술부 프론티어사업단, 원자력 중장기연구, 원자력기초공동연구소,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 용역, 한국학술진흥재단, 보건복지부, KISTI등의 연구과제를 수행하였고 연구 결과 39편의 국제학술지 논문과 16편의 국내학술지 논문을 발표하였다. 1. 국내학술지 주 연구논문 번호 논문 1 김수진, 이재성. 뇌 PET 영상 정량화 및 파라메터영상 구성을 위한 선형분석기법. 대한핵의학회지 41(2):78-84, 2007 2 정재민. 베타아밀로이드 영상용 프로브. 대한핵의학회지 41(2):112-117, 2007 3 김유경,김상은. 이상운동질환에서의 도파민 신경계 영상. 핵의학분자영상 2007년 41권 2호 p.132~ 140 4 김종민, 김유경, 김상은, 전범석. 도파민운반체 영상의 임상적 유용성. 핵의학분자영상 2007년 41권 2호 p.152~ 157 5 이병일, 김계훈, 김정영, 김수진, 이재성, 민정준, 송호천, 범희승. 3N-암모니아 PET에서 반정량적 심근관류 점수와 절대적 심근혈류량의 상관관계. 대한핵의학회지 2007 Jun;41(3):194-200 6 김수미, 이재성, 이미노, 이주한, 김중현, 김찬형, 이춘식, 이동수, 이수진. 모사된 컴프턴 카메 라투사데이터의 재구성을 위한 OSEM 알고리즘의 부분집합 구성법 비교 연구. 대한핵의학회 지 41(3):234-240, 2007 7 이학정, 정재민, 이윤상, 김형우, 이은경, 이동수, 정준기, 이명철. [11C]6-OH-BTA-1 조제 시 생성되는 부산물 규명과 반응용매에 따른 표지 효율 비교. 대한핵의학회지 8 김범산, 장성준, 어재선, 박은경, 김유경, 김종민, 이원우, 김상은. 도파민운반체 영상의 파킨슨 증 감별진단 성능: 123I-FP-CIT SPECT 연구. 핵의학분자영상 2007년 41권 4호 p.272~279 9 박현수, 조상수, 윤은진, 방성애, 김유경, 김상은. 기질적 성격요인과 국소 뇌포도당대사의 상 관연구: 성별에 따른 차이. 핵의학분자영상 2007년 41권 4호 p.280~290 10 김수진, 이재성, 이원우, 김유경, 장성준, 손규리, 김효철, 정진욱, 이동수. 비가역 방사성추적 자 파라메터 영상을 위한 다중선형분석법. 대한핵의학회지 41(4):317-325, 2007 11 송요성, 이정원, 이호영, 김석기, 강건욱, 국명철, 박원서, 이건국, 홍은경, 이은숙. 방사성 콜 로이드를 이용한 감시림프절 생검 병리처리과정에서 방사선 피폭의 정량적 평가. 핵의학분자영상 2007;41(4): 309-16 12 임일한, 이원우, 정진행, 박소연, 김상희, 김유경, 김상은. FDG-PET 검사시 우연히 발견한 양성 이하선 병변: 유병율과 임상 및 병리 소견. 핵의학분자영상 2007년 41권 5호 p.359~363 2. 국내학술지 부 연구논문 번호 논문 1 이미노, 이수진, 김수미, 이재성. 컴프턴 카메라 영상재구성을 위한 타원 누적법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07;28(4):520-529 2 김추봉, 장윤정, 윤창수, 임민경, 조영호, 김석일, 강건욱. 암 분야 전문가용 데이터베이스 및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수요조사. 대한의료정보학회지 2007; 13(1):43-9 3 Park JB, Hwang JH, Kim H, Choe HS, Kim YK, Kim HB, Bang SM. Castleman disease presenting with jaundice: a case with the multicentric hyaline vascular variant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007 Jun;22(2):113-7 3. 국제학술지 주 연구논문 번호 논문 1 Lee YS, Jeong JM, Kim YJ, Chang YS, Lee HJ, Son M, Lee JW, Yoon HS, Kang WJ, Lee DS, Chung JK, Lee MC, Suh YG. Development of acetylated HDD kit for preparation of 188Re-HDD/lipiodol.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2007 Jan;65(1):64-69 2 Lee JD, Park HJ, Park ES, Kim DG, Rha DW, Kim EY, Kim DI, Kim JJ, Yun M, Ryu YH, Lee J, Jeong JM, Lee DS, Lee MC, Park CI. Assessment of regional GABA(A) receptor binding using (18)F-fluoroflumazenil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spastic type cerebral palsy. Neuroimage. 2007 Jan 1;34(1):19-25 3 Soo Mee Kim, Jae Sung Lee, Mi No Lee, Ju Hahn Lee, Chun Sik Lee, Chan-Hyeong Kim Dong Soo Lee, Soo-Jin Lee. Two approaches to implementing projector- backprojector pairs for 3D reconstruction from Compton scattered data.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A. 2007 Feb;571(1-2):255-8 4 Do Won Hwang, Joo Hyun Kang, Young Soo Chang, Jae Min Jeong, June-Key Chung, Myung Chul Lee, Soonhag Kim, Dong Soo Lee. Development of a dual membrane protein reporter system using sodium iodide symporter and mutant dopamine D2 receptor transgenes. Journal of Nuclear Medicine. 2007 Apr;48(4):588-95 5 Hyun Hoon Chung, Won Jun Kang, Jae Weon Kim, Noh-Hyun Park, Yong-Sang Song, June-Key Chung, Soon-Beom Kang, Hyo-Pyo Lee. Role of [(18)F]FDG PET/CT in the assessment of suspected recurrent ovarian cancer: correlation with clinical or histological findings.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07 Apr;34(4):480-6 6 IL Han Choo, Dong Young Lee, Jong Choul Youn, Jin Hyeong Jhoo, Ki Woong Kim, Dong Soo Lee, Jae Sung Lee, Jon Inn Woo. Topographic Patterns of Brain Functional Impairment Progression According to Clinical Severity Staging in 116 Alzheimer Disease Patients: FDG-PET Study. Alzheimer Disease & Associated Disorders. 2007 April/June;21(2):77-84 7 Xuan Canh Nguyen, Won Woo Lee, Jin-Haeng Chung, So Yeon Park, Sook Whan Sung, Yu Kyeong Kim, Young So, Dong Soo Lee, June-Key Chung, Myung Chul Lee, Sang Eun Kim. FDG uptake, glucose transporter type 1, and Ki-67 expressions in non-small-cell lung cancer: Correlations and prognostic values. European Journal of Radiology. 2007 May;62(2):214-9 8 Yong Hyun Jeon, Yun Choi, Joo Hyun Kang, Chul Woo Kim, Jae MIn Jeong, Dong Soo Lee, June-Key Chung. Immune response to firefly luciferase as a naked DNA Cancer Biology & Therapy. 2007 May 13;6(5):781-786 9 Yun Choi, Yong-Hyun Jeon, Joo-Hyun Kang, June-Key Chung, Manuel Schmidt, Chul-Woo Kim. MIDGE/hNIS vaccination generates antigen-associated CD8(+)IFN-gamma(+) T cells and enhances protective antitumor immunity. Int J Cancer. 2007 May 1;120(9):1942-50 10 Jae Sung Lee, Mikiko Ito, Kwang-Souk Sim, Byungsik Hong, Kyung Sei Lee, Jamil Muhammad, June Tak Rhee, Geon Song Lee, Kwang Suk Park, In Chan Song, Seong Jong Hong. Investigation of Solid-State Photomultipliers fo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canners.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2007 May;50(5):1332-1339 11 Lee S, Kim EY, Kang SH, Kim SW, Kim SK, Kang KW, Kwon Y, Shin KH, Kang HS, Ro J, Lee ES. Sentinel node identification rate, but not accuracy, i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pre-operative chemotherapy in axillary node-positive breast cancer patients. Breast Cancer Res Treat. 2007 May;102(3):283-8 12 Lee JS, Orita H, Gabrielson K, Alvey S, Hagemann RH, Kuhajda FP, Gabrielson E, Pomper MG. FDG-PET for pharmacodynamic assessment of the fatty acid synthase inhibitor C75 in an experimental model of lung cancer. Pharm Res. 2007 Jun;24(6):1202-7 13 Kim J, Kim JM, Kim YK, Shin JW, Choi SH, Kim SE, Kim Y. Dopamine Transporter SPECT of a Liver Cirrhotic with Atypical Parkinonism. Industrial Health 2007 Jun;45(3):497-500 14 Kim YK, Yoon IY, Shin YK, Cho SS, Kim SE. Modafinil-induced hippocampal activation in narcolepsy. Neuroscience Letters 2007 Jul 11;422(2):91-6 15 Kwang Il Kim, Joo Hyun Kang, June-Key Chung, Yong Jin Lee, Jae Min Jeong, Dong Soo Lee, Myung Chul Lee. Doxorubicin Enhances the Expression of Transgene Under Control of the CMV Promoter in Anaplastic Thyroid Carcinoma Cells. J Nucl Med. 2007 Sep;48(9):1553-1561 16 Jin Su Kim, Jae Sung Lee, Ki Chun Im, Su Jin Kim, Seog-Young Kim, Dong Soo Lee, Dae Hyuk Moon. Performance measurement of the microPET focus 120 scanner J Nucl Med. 2007 Sep;48(9):1527-35 17 Yong Hyun Jeon, Yun Choi, Hyun Joo Kim, Chul Woo Kim, Jae Min Jeong, Dong Soo Lee, June-Key Chung. Human sodium iodide symporter gene adjunctive radiotherapy to enhance the preventive effect of hMUC1 DNA vaccine. Int J Cancer. 2007 Oct 1;121(7):1593-9 18 Lee BI, Lee JS, Lee DS, Kang WJ, Lee JJ, Choi S. A clinical application of ensemble ICA to the quantification of myocardial blood flow in dynamic H215O PET. J VLSI Signal Processing. 2007;49:233-41 19 Hyun Hoon Chung, Won Jun Kang, Jae Weon Kim, Noh-Hyun Park, Yong-Sang Song, June-Key Chung, Soon-Beom Kang, Hyo-Pyo Lee. Characterization of surgically transposed ovaries in integrated PET/CT scan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Acta Obstetricia Gynecologica Scandinavica 2007 86(1):88-93 20 Related Articles, LinksChung HH, Kang WJ, Kim JW, Park NH, Song YS, Chung JK, Kang SB, Lee HP. Characterization of surgically transposed ovaries in integrated PET/CT scan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Acta Obstet Gynecol Scand. 2007;86(1):88-93 21 Bernal P, Raoul JL, Vidmar G, Sereegotov E, Sundram FX, Kumar A, Jeong JM, Pusuwan P, Divgi C, Zanzonico P, Stare J, Buscombe J, Minh CT, Saw MM, Chen S, Ogbac R, Padhy AK. Intra-arterial rhenium-188 lipiodol in the treatment of inoper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results of an IAEA-sponsored multination study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7 Dec 1;69(5):1448-55 22 Kim JM, Hong S, Kim GP, Choi YJ, Kim YK, Park SS, Kim SE, Jeon BS Importance of intermediate range polyglutamine expansion and CAA interruption in SCA2 parkinsonism. Archives of Neurology 2007;64(10):1510-1518 23 Hyun Joo Kim, Yong Hyun Jeon, Joo Hyun Kang, Yong Jin Lee, Kwang Il Kim, Hye Kyung Chung, Jae Min Jeong, Dong Soo Lee, Myung Chul Lee, June-Key Chung. In vivo long-term imaging and radioiodine therapy by sodium-iodide symporter gene expression using a lentiviral system containing ubiquitin C promoter Cancer Biology & Therapy. 2007 Apr 25;6(7):? 24 Seung Hong Choi, Woo Kyung Moon, Ju Hee Hong, Kyu Ri Son, Nariya Cho, Bae Ju Kwon, Jong Jin Lee, June-Key Chung, Hye Sook Min, Seong Ho Park. Lymph node metastasis: ultrasmall superparamagnetic iron oxide-enhanced MR imaging versus PET/CT in a rabbit model. Radiology. 2007 Jan;242(1):137-43 25 An SH, Seo H, Lee JH, Lee CS, Lee JS, Kim CH. Effect of detector parameters on the image quality of Compton camera for 99mTc. Nucl Instr Meth A. 2007 Feb 1;571(1-2):251-254 26 Kichul Shin, Jung Chan Lee, Hyo Jin Choi, Jae Min Jeong, Miwon Son, Yun Jong Lee, Eun Bong Lee, Sung Hwan Hong, Yeong Wook Song. Radiation synovectomy using 188Re-tin colloid improves knee synovitis as shown by MRI in refractory rheumatoid arthritis. Nuclear Medicine Communications 2007 Apr;28(4):239-44 27 Jungsu S. Oh, In Chan Song, Jae Sung Lee, Hyejin Kang, Kwang Suk Park, Eunjoo Kang, Dong Soo Lee. Tractography-guided statistics (TGIS) in diffusion tensor imaging for the detection of gender difference of fiber integrity in the midsagittal and parasagittal corpora callosa. Neuroimage. 2007 Jul 1;36(3):606-16 28 Yong Hyun Jeon, Yun Choi, Hyun Joo Kim, Joo Hyun Kang, Chul Woo Kim, Jae Min Jeong, Dong Soo Lee, June-Key Chung. In vivo bioluminescence visualization of antitumor effects by human MUC1 vaccination. Mol Imaging. 2007 Sep-Oct;6(5):297-303 [7] 2002년 핵의학과 검사통계(Statistics of Nuclear Medicine Services) 진료구분(Section) 검사명(Name of Study) 건수 본원(Main H) 소아(Children's H) 계(Total) 체내검사(In-Vivo Studies) 갑상선스캔(Thyroid scan) 1,465 44 1,509 심장스캔(Heart scan) 37 8 45 림프관조영스캔(RI Lymphangiography scan) 889 3 892 폐스캔(Lung perfusion scan) 367 134 501 뼈스캔(Bone scan) 13,609 891 14,500 신장스캔(Kidney scan) 348 710 1,058 심근스캔(Myocardium scan) 368 0 368 심근 SPECT(Myocardium SPECT) 4,117 4 4,121 뇌혈류 SPECT(Cerebral blood flow) 770 431 1,201 추가 SPECT(Additional SPECT) 45 5 50 갑상선테크니슘섭취율(Tc-uptake) 1,323 1 1,324 옥소전신스캔 치료후(I-131 Wholebody,after Tx) 1,310 0 1,310 기타 스캔(Other Scan) 1,271 146 1,417 PET 검사 뇌 Fusion 양전자단층촬영(Brain Fusion PET) 411 59 470 전신 Fusion 양전자단층촬영(Whole body Fusion) 4,736 16 4,752 전신 Fusion 양전자단층촬영 + 추가 PET 1,456 9 1,465 2차 Fusion PET(2nd Fusion PET) 91 13 104 기타 PET(Other PET) 128 3 131 치료(Therapy) 옥소-131 치료(I-131 Therapy) 1,495 0 1,495 기타 치료(Other Therapy) 13 0 13 체외검사(In-Vitro Studies) 트리요오도티로닌(T3-RIA) 42,663 42,663 48,368 갑상선자극호르몬(TSH) 89,838 5,909 95,747 유리 티록신(Free T4) 82,962 5,744 88,706 갑상선글로불린(Tg) 11,732 72 11,804 갑상선글로불린 항체(TgAb) 16,695 736 17.431 TSH 수용항체항체(TSH-R-Ab) 14,742 397 15,139 항마이크로좀항체(Anti microsome Ab) 9,103 747 9,850 부갑상선호르몬(Parathyroid, PTH) 4,718 1,428 6,146 알파휘토프로테인(AFP) 76,672 1,105 77,777 태아성암항원(CEA) 80,145 72 80,217 시에이 125(CA-125) 23,423 42 23,465 시에이 19-9(CA19-9) 59,022 26 59,048 전립선특이항원(PSA) 26,732 7 26,739 시에이 15-3(CA 15-3) 13,338 8 13,346 B형간염s항원.항체(HBsAg & Ab) 20,805 1,512 22,317 B형간염e항원.항체(HBeAg & Ab) 16,998 817 17,815 C형간염항체(HCV Ab) 6,426 281 6,707 A형간염항체(HAVAb) 9,504 607 10,111 코티솔(Cortisol) 5,631 868 6,499 인슐린(Insulin) 16,520 268 16,788 항DNA항체(Anti-ds DNA) 4.580 33 4,613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6,709 713 7,422 황체형성/난포자극호르몬(LH/FSH) 16,734 3,529 20,263 사람융모성자극호르몬(b-HCG) 2,769 435 3,204 에스트라디올(Estradiol : E2) 8,733 398 9,131 페리틴(ferritin) 11,415 2,891 14,306 비타민 B12(Vitamine B12) 14.060 259 14,319 면역글로불린알레르겐(IgE RAST) 8,628 3,230 11,858 기타(Other) 40,485 11,269 51,754 계(Total) 741,868 47,355 789,223
[1] 職員名單 직급 직급명 성명 科長 敎授 이동수 醫務長 敎授 이명철, 정준기, 정재민 助敎授 강원준 助敎授 이재성, 김순학 招聘敎員 敎授 김종순, 임상무 副敎授 최창운 助敎授 강건욱 專任講師 천기정, 김석기 專攻醫 4年次 박은경, 어재선 3年次 김범산, 장성준 2年次 오소원, 임일한, 장수진 1年次 강지연, 송요상, 이정원 看護職 看護師 김정옥 藥務職 藥務師 장영수 保健職 保健技正 조규진 保健副技正 김현주, 우재룡 保健士 김진의, 노경운, 이홍재, 황길동, 홍미경,김태훈,조성옥,장현영 保健士補 김계환, 김대운, 김병진, 김재일, 김정수, 문일상, 박희원, 성용준, 유태민, 이형진, 임점진, 정규일, 조용현 事務職 主事補 최정희 運營技能職 運營技能士 유영주 運營技能士補 신은영, 남은주 運營技能原 문영실, 최윤정 [2] 主要活動事項 진료건수는 전년도에 비하여 13.4% 증가하였으며 특히 양전자단층촬영(PET) 검사는 6월 보험 적용으로 검사의뢰가 증가하여 60.2%, 강남센터 및 본원 검사 건수 증가로 검체검사가 13.6% 증가하였다. 토요일에도 전일근무제를 실시하여 평일과 같이 정상적으로 검사결과를 볼 수 있게 하였고 적체되어 밀리는 뼈스캔, PET검사를 처리하기 위해서 시간외 근무를 시행하였다. 제17차 핵의학과 Workshop을 6월 23-24일 이틀에 걸쳐 수유리 아카데미하우스에서 본원, 보라매병원, 분당핵의학과 교직원과 연구원 102명이 참석하여 세계핵의학회 개최를 성공적으로 치루는데 협력하기로 다짐하였다. 연구분야에서는 2006년 미국핵의학회에 모두 31편의 연구결과를 발표하여 세계에서 단일 기관으로 2번째로 많은 연제를 발표하는 등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고, 2004년 이후 IAEA 핵의학 분자영상 협력기관으로서 5명의 핵의학자가 연수하였다. 전국의 보건대학에서 방사선과 123명과 임상병리과 학생 45명을 1주간씩 영상검사와 검체 검사에 대한 실습교육을 실시하였다. 방사약학연구원 1명, 석.박사 학위과정 핵과학 연구원 23명이 연구개발 업무에 매진하였다. [3] IAEA 지원으로 연수를 온 핵의학자 성명 초청국 기간 비고 Ms. Jasmine Ara Haque Bangladesh 2006. 9. 16 - 2006. 12. 17 IAEA 연수 Ms. Kanaungnit Kingpetch Thailand 2006. 11. 1 - 2007. 1. 31 IAEA 연수 Mr. Sanya Pasawang Thailand 2006. 11. 1 - 2007. 1. 31 IAEA 연수 Dr. Vera Artiko Serbia & Montenegro 2006. 10. 27 - 2006. 11. 19 IAEA 연수 Dr. Dragana Sobic-Saranovic Serbia & Montenegro 2006. 10. 27 - 2006. 11. 19 IAEA 연수 [4] 세계핵의학회(회장 이명철교수) 개최 2006년 10월 22일부터 27일까지 6일간 제 9차 세계핵의학회 학술대회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어 일본 230명, 미국 90명, 중국 77명 등 전세계 75개국으로부터 1700여명의 외국인들과 1800여명의 국내인사 등 3500여명이 참가하였다. Henry Wagner, Hans Biersack, Horacio Amaral 등 세계핵의학회 전 회장과 국제원자력기구의 Werner Burkart 사무차장, 아시아-오세아니아, 유럽, 미국, 중남미 그리고 아프리카의 핵의학 세계 주요 5개 지역 협회 대표자가 참석하였다. “세계핵의학의 전 세계적인 화합과 새로운 도약”이라는 주된 주제 하에 개최된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1091편의 논문이 발표되었고, 전세계로부터 177명의 석학들이 연자로 초청되어 폭넓은 강의와 핵의학 분야의 최신지견을 전달하였다. 또한 핵의학기술학회원들을 위한 “Technologist Session"을 별도로 마련하여 27개국으로부터 105명의 외국인들과 317명의 의료기사 등 422명이 참석하여 142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1. 인사 내용 직급 성명 인사사항 일자 보건사보 윤태석 핵의학과에서 노동조합으로 전보발령 2006. 1. 1 전공의 강지연 전공의 1년차 신규발령 2006. 3. 1 전공의 송요상 전공의 1년차 신규발령 2006. 3. 1 전공의 이정원 전공의 1년차 신규발령 2006. 3. 1 교수 정준기 방사선응용생명과학 협동과정 주임교수 2006. 6. 14 교수 이동수 과장 신규발령 2006. 7. 16 보건사보 성용준 신규발령 2006. 7. 25 보건사보 김계환 신규발령 2006. 7. 25 조교수 김순학 연구조교수 신규발령 2006. 11. 1 교수 이명철 국제과학복합연구단지 추진단장 임명 2006. 11. 25 보건사 김태훈 보건사보에서 보건사로 승진 2006. 12. 1 보건사 조성욱 보건사보에서 보건사로 승진 2006. 12. 1 보건사 장현영 보건사보에서 보건사로 승진 2006. 12. 1 [5] 敎育現況 1. 學生敎育 現況 의과대학 3학년 1학기에 핵의학에 대하여 19시간의 강의교육을 시행하여 실습은 내과 실습교육에서 10시간, 진단방사선과 실습교육에서 2시간을 배당받아 핵의학 진료에 관한 전반적인 교육을 실시하였다. 핵의학 실습교육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요일 시간 교육과정 월 09:00 - 17:00 핵의학과 소개, 방사면역측정법의 원리, 학생자원자 영상실습, 뇌관류 SPECT, 심장관류 SPECT, PET 영상증례 목 09:00 - 17:00 핵의학 영상장비, 심근관류 SPECT, 124 병동 증례 발표, 갑상선암의 치료, 방사성의약품의 원리 및 합성 2. 大學院 이름 논문제목 날짜 지도교수 김재승 [ 18 F]FP-CIT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을 이용한 도파민 운반체 밀도의 정량적 분석과 재현성 2006년 2월 이명철 김유경 통증의 위약효과에서 [ 11 C]carfentanil PET을 이용한 아편신경계 활성화 연구 2006년 2월 정준기 황경훈 흡연자에서 H 2 15 O PET과 찬물자극검사를 이용한 관상동맥 내피세포 의존성 심근 혈류 예비능 평가 2006년 8월 이명철 주간행사표 요일/시간 월 화 수 목 금 토 07:30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08:00 교수회의 (정보도서실) 문헌초독회 흥미영상 (회의실) 수요미니심포지움 (회의실) Structured course: staff lecture (회의실) 화학/물리 임상연구모임 08:30 수석기사회의 (정보도서실) 09:00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PET 판독 10:00 외래 강건욱/외래 이명철 외래 정준기 학생 실습교육 (회의실) 심장집담회 (심장센터) 11:00 판 독 판 독 판 독 판 독 판독영상 협의체모임 (회의실) 판 독 13:00 학생 실습교육 판 독 학생 실습교육 (회의실) 판 독 14:00 판 독 판 독 판 독 간질집담회 (회의실) 판 독 15:00 외래 팽진철 소아신장집담회 (소아방사선과) 16:00 판 독 17:00 종양PET 집담회 (회의실:격주) 핵의학 기술학모임 (회의실) 18:00 전공의 배치현황 1, 2년차가 핵의학임상에서 6개월을 방사선과와 내과에 3개월씩 파견 수련 받았다. 월 3, 4, 5 6, 7, 8 9, 10, 11 12 1 년차 내 과 핵의학과 방사선과 핵의학과 2 년차 핵의학과 방사선과 핵의학과 핵의학과 3 년차 핵의학과 핵의학과 연 구 핵의학과 4 년차 핵의학과 핵의학과 핵의학과 [6] 硏究現況 수요미니심포지움 25회와 물리 · 화학 · 종양 · 생물학 · 인지과학등 기초-임상 연구 모임을 비롯 7종류의 과내 및 타과와의 집담회를 열었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한국과학재단, 과학기술부 프론티어사업단, 원자력 중장기연구, 원자력기초공동연구소,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 용역, 한국학술진흥재단, 보건복지부, KISTI등의 연구과제를 수행하였고 연구 결과 27편의 국제학술지 논문과 7편의 국내학술지 논문을 발표하였다. 1. 국내학술지 주 연구논문 번호 논문 1 김진수, 이재성, 이종진, 이병일, 박민현, 이효정, 오승하, 김경민, 천기정, 임상무, 정준기, 이명철, 이동수. MicroPET R4 스캐너에서 획득한 고양이 뇌 PET 영상의 감쇠 및 산란보정효과. 대한핵의학회지. 2006, 40(1):40-47 2 김범산, 강원준, 이동수, 정준기, 이명철. 특발성 폐섬유증에서 발견된 폐결절의 악성여부 감별에서 F-18 FDG PET의 유용성. 대한핵의학회지. 2006, 40(3):163-168 3 Xuan Cahn Nguyen, 이원우, 성숙환, 전상훈, 김유경, 이동수, 정준기, 이명철, 김상은. 수술로 제거된 비소세포폐암의 예후 예측에 있어 FDG-PET 최대 표준화 섭취계수의 유용성. 대한핵의학회지. 2006, 40(4):205-210 4 박은경, 강원준, 어재선, 이동수, 정준기, 이명철. 대장-직장암의 간전이에서 FDG PET과 MR의 진단 성능. 대한핵의학회지. 2006, 40(5):249-256 5 정재민. 방사성동위원소 치료의 제도적 문제점과 개선. 대한핵의학회지. 2006, 40(2):53-57 6 정준기, 강주현. Sodium/Iodide Symporter를 이용한 이행성 연구. 대한내분비학회지. 2006, 21(3):184-188 2. 국내학술지 부 연구논문 번호 논문 1 김경화, 박윤정, 이용무, 한증석, 이동수, 이승진, 정종평, 설양조. 리포터유전자를 이용한 조골 세포 분화정도에 관한 연구. 대한치주과학회지. 2006, 36(4):839-847 3. 국제학술지 주 연구논문 번호 논문 1 Jeon YH, Choi Y, Kang JH, Chung J-K, Lee YJ, Kim CW, Jeong JM, Lee DS, Lee MC. In vivo monitoring of DNA vaccine gene expression using firefly luciferase as a naked DNA. Vaccine. 2006 Apr. 12;24(16):3057-3062 2 Lee WW, Park EK, Eo JS, Lee SW, Kim CH, So Y, Lee DS, Chung JK, Lee MC, Kim SE. Evaluation of immediate post-stress wall motion on adenosine stress/rest thallium-201 gated myocardial SPECT. Int J Cardiovasc Imaging. 2006 Apr;22(2):213-22. 3 Kang EJ, Lee DS, Kang HJ, Hwang CH , Seung-Ha Oh, Kim C-S, Chung J-K, Lee MC. The neural correlates of cross-modal interaction in speech perception during a semantic decision task on sentences: A PET study. Neuroimage. 2006 Aug 1;32(1):423-31 4 Lee YS, Jeong JM, Kim HW, Chang YS, Kim YJ, Hong MK, Rai GB, Chi DY, Kang WJ, Kang JH, Lee DS, Chung JK, Lee MC, Suh YG. An improved method of 18F peptide labeling: hydrazone formation with HYNIC-conjugated c(RGDyK). Nucl Med Biol. 2006 Jul;33(5):677-683 5 Kang WJ, Kang HJ, Kim HS, Chung JK, Lee MC, Lee DS. Tissue Distribution of 18F-FDG-Labeled Peripheral Hematopoietic Stem Cells After Intracoronary Administration in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J Nucl Med. 2006 Aug;47(8):1295-1301 6 Kim SE, Shim I, Chung JK, Lee MC. Effect of ginseng saponins on enhanced dopaminergic transmission and locomotor hyperactivity induced by nicotine. Neuropsychopharmacology. 2006 Aug;31(8):1714-1721 7 Chang YS, Jeong JM, Lee YS, Kim HW, Ganesha B. Rai, Kim YJ, Lee DS, Chung JK, Lee MC. Synthesis and evaluation of benzothiophene dervatives as ligands for imaging beta-amyloid plaques in Alzheimer`s disease. Nucl Med Biol. 2006, 33(6):811-820 8 Kang JH, Chung JK, Lee YJ, Kim KI, Jeong JM, Lee DS, Lee MC. Evaluation of transcriptional activity of the oestrogen receptor with sodium iodide symporter as an imaging reporter gene. Nucl Med Commun. 2006 Oct;27(10):773-777 9 Lee WW, Chung JH, Jang SJ, Eo JS, Park SY, Sung SW, So Y, Chung JK, Lee MC, Kim SE. Consideration of Serum Glucose Levels During Malignant Mediastinal Lymph Node Detection in Non-Small-Cell Lung Cancer by FDG-PET.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2006 Oct 12;94(7):607-613 10 Lambert B, Bacher K, Defreyne L, Van Vlierberghe H, Jeong JM, Wang RF, van Meerbeeck J, Smeets P, Troisi R, Thierens H, De Vos F, Van de Wiele C. 188Re-HDD/lipiodol 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n activity escalation study. Eur J Nucl Med Mol Imaging. 2006 Mar;33(3):344-352 11 Choi MY, Chung JK, Lee HY, So Y, Park do J, Jeong JM, Lee DS, Lee MC, Cho BY. The clinical impact of 18F-FDG PET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with a negative 131I whole body scan: a single -center study of 108 patients. Ann Nucl Med. 2006 Oct;20(8):547-552 12 Hwanjeong Jeong, Yu-Ri Kim, Ki-Nam Kim, Jae-Gol Choe, June-Key Chung, Meyoung-Kon Kim. Effect of all-trans retinoic acid on sodium/iodide symporter expression, radioiodine uptake and gene expression profiles in a human anaplastic thyroid carcinoma cell line. Nuclear Medicine and Biology 2006 Oct;33(7):875-82 13 Choi JS, Kim KB, Han W, Kim DS, Park JS, Lee JJ, Lee DS. Efficacy of Therapeutic Angiogenesis by Intramyocardial Injection of pCK-VEGF165 in Pigs. Ann Thorac Surg. 2006 Mar;82:679-686 14 Ming-Kai Chen, Jae-Sung Lee, Jennifer L. McGlothan, Eri Furukawa, Robert J. Adams, Mohab Alexander, Dean F. Wong, Tomas R. Guilarte. Acute manganese administration alters dopamine transporter levels in the non-human primate striatum. Neurotoxicology. 2006 Mar;27(2):229-236 15 Lee KH, Lee SH, Kim DW, Kang WJ, Chung JK, Im SA, Kim TY, Kim YW, Bang YJ, Heo DS High fluorodeoxyglucose uptake on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in patients with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on platinum-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 Clin Cancer Res. 2006 Jul 15;12(14 Pt 1):4232-6 4. 국제학술지 부 연구논문 번호 논문 1 Shin Y-W, Kwon JS, Kim J-J, Kang D-H, Youn T, Kang KW, Kang E, Lee DS, Lee MC. Altered neural circuit for working memory before and after symptom provocation in patients with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Acta Psychiatr Scand 2006 May;113(5):420-429 2 Choon-Taek Lee, Yoon-Jin Lee, Sung-Youn Kwon, Jaeho Lee, Kwang Il Kim, Kyung-Ho Park, Joo Hyun Kang, Chul-Gyu Yoo, Young Whan Kim, Sung Koo Han, June-Key Chung, Young-Soo Shim, David T. Curiel, David P. Carbone. In vivo Imaging of Adenovirus Transduction and Enhanced Therapeutic Efficacy of Combination Therapy with Conditionally Replicating Adenovirus and Adenovirus-p27. Cancer Res. 2006 Jan. 66(1):372-377 3 Jung Min Chang, Hyun Ju Lee, Jin Mo Goo, Ho-Young Lee, Jong Jin Lee, June-Key Chung, Jung-Gi Im. False Positive and False Negative FDG-PET Scans in Various Thoracic Diseases. Korean J Radiol 2006 Jan-Mar;7(1):57-69 4 Ho Jun Seol, Kyu-Chang Wang, Seung-Ki Kim, Chang Sub Lee, Dong Soo Lee, In-One Kim, Byung-Kyu Cho. Unilateral (probable) moyamoya disease: long-term follow-up of seven cases. Childs Nerv Syst. 2006 Feb;22(2):145-150 5 Jaeuk Hwang, In Kyoon Lyoo, Seog Ju Kim, Young Hoon Sung, Soojeong Bae, Sung-Nam Cho, Ho Young Lee, Dong Soo Lee, Perry F. Renshaw. Decreased cerebral blood flow of the right anterior cingulate cortex in long-term and short-term abstinent methamphetamine users Drug and Alcohol Dependence. 2006 Apr. 28;82(2):177-181 6 Kang HJ, Lee HY, Na SH, Chang SA, Park KW, Kim HK, Kim SY, Chang HJ, Lee W, Kang WJ, Koo BK, Kim YJ, Lee DS, Sohn DW, Han KS, Oh BH, Park YB, Kim HS. Differential effect of intracoronary infusion of mobilized peripheral blood stem cells by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on left ventricular function and remodeling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versus old yocardial infarction: the MAGIC Cell-3-DE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irculation. 2006 Jul 4;114(1 Suppl):I145-51. 7 Lee DY, Choo IH, Jhoo JH, Kim KW, Youn JC, Lee DS, Kang EJ, Lee JS, Kang WJ, Woo JI. Frontal Dysfunction Underlies Depressive Syndrome in Alzheimer Disease: AFDG-PET Study. Am J Geriatr Psychiatry. 2006 Jul;14(7):625-628. 8 Kwon HM, Hong YH, Sung JJ, Paeng JC, Lee DS, Lee KW. A case of Bickerstaff's brainstem encephalitis; the evidence of cerebellum involvement by SPM analysis using PET. Clin Neurol Neurosurg. 2006 Jun;108(4):418-20. 9 Hwang JW, Lee JB, Kim BN, Lee HY, Lee DS, Shin MS, Cho SC. Regional cerebral perfusion abnormalities in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analysis. Eur Arch Psychiatry Clin Neurosci. 2006 Apr;256(3):131-7. 10 Lee SK, Lee SY, Yun CH, Lee HY, Lee JS, Lee DS. Ictal SPECT in neocortical epilepsies: clinical usefulness and factors affecting the pattern of hyperperfusion. Neuroradiology. 2006 Sep;48(9):678-684 11 Lee BI, Lee JS, Lee DS, Nam SH, Choi HJ, Choi HK. Development of quantification software using model-based segmentation of left ventricular myocardium in gated myocardial SPECT. Comput Methods Programs Biomed. 2006 Jul;83(1):43-49 12 Chung JH, Lee WW, Park SY, Choe G, Sung SW, Chung JK, Lee MC, Kim SE. FDG uptake and glucose transporter type 1 expression in lymph nodes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Eur J Surg Oncol. 2006 Nov;32(9):989-995 2002년 핵의학과 검사통계(Statistics of Nuclear Medicine Services) 진료구분(Section) 검사명(Name of Study) 건수 본원(Main H) 소아(Children's H) 계(Total) 체내검사(In-Vivo Studies) 갑상선스캔(Thyroid scan) 1,910 30 1,940 심장스캔(Heart scan) 73 2 75 림프관조영스캔(RI Lymphangiography scan) 920 6 926 폐스캔(Lung perfusion scan) 571 147 718 뼈스캔(Bone scan) 12,088 803 12,891 신장스캔(Kidney scan) 429 612 1,041 심근스캔(Myocardium scan) 225 0 225 심근 SPECT(Myocardium SPECT) 4,574 39 4,613 뇌혈류 SPECT(Cerebral blood flow) 748 365 1,113 추가 SPECT(Additional SPECT) 410 2 412 갑상선테크니슘섭취율(Tc-uptake) 1,640 1 1,641 옥소전신스캔 치료후(I-131 Wholebody,after Tx) 986 0 986 기타 스캔(Other Scan) 2,376 126 2,502 PET 검사 뇌 Fusion 양전자단층촬영(Brain Fusion PET) 134 25 159 전신 양전자단층촬영(Whole body PET) 20 0 20 추가 양전자단층촬영(Addition PET) 14 0 14 뇌 Fusion 양전자단층촬영(Brain Fusion PET) 227 58 285 전신 Fusion 양전자단층촬영(Whole body Fusion) 3,750 28 131 기타 PET 148 13 161 치료(Therapy) 옥소-131 치료(I-131 Therapy) 1,111 0 1,111 기타 치료(Other Therapy) 6 0 6 체외검사(In-Vitro Studies) 트리요오도티로닌(T3-RIA) 40,883 5,392 45,800 갑상선자극호르몬(TSH) 83,247 5,567 88,814 유리 티록신(Free T4) 77,375 5,450 82,825 갑상선글로불린(Tg) 10,130 45 10,175 갑상선글로불린 항체(TgAb) 17,577 725 18,302 TSH 수용항체항체(TSH-R-Ab) 15,782 362 16,144 항마이크로좀항체(Anti microsome Ab) 10,035 722 10,757 부갑상선호르몬(Parathyroid, PTH) 4,166 1,492 5,636 알파휘토프로테인(AFP) 72,826 1,042 73,868 태아성암항원(CEA) 69,124 61 69,185 시에이 125(CA-125) 22,354 26 22,380 시에이 19-9(CA19-9) 51,532 17 51,549 전립선특이항원(PSA) 24,719 8 24,727 시에이 15-3(CA 15-3) 7,707 4 7,711 B형간염s항원.항체(HBsAg & Ab) 21,351 966 22,317 B형간염e항원.항체(HBeAg & Ab) 16,946 869 17,815 B형간염c항체(HBcAb) 6,510 197 6,707 C형간염항체(HCV Ab) 9,810 301 10,111 코티솔(Cortisol) 5,392 839 6,231 인슐린(Insulin) 4,797 303 5,100 항DNA항체(Anti-ds DNA) 3.433 677 4,110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6,750 736 7,486 황체형성/난포자극호르몬(LH/FSH) 11,199 3,320 14,519 사람융모성자극호르몬(b-HCG) 3,036 328 3,359 에스트라디올(Estradiol : E2) 5,620 394 4,952 페리틴(ferritin) 10,244 2,604 12,383 비타민 B12(Vitamine B12) 13.201 227 12,444 면역글로불린알레르겐(IgE RAST) 6,512 3,227 9,739 기타(Other) 42,667 9,087 51,754 계(Total) 707,953 47,508 755,461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