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30"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2899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진료과/센터/클리닉 (31)
염증성장질환 클리닉

대상질병 염증성 장질환(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크론병(Crohn’s disease), 베체트 장염(intestinal Behçet's disease) 클리닉 소개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은 지속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의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만성적인 난치 성 위장관 염증 질환을 뜻하며, 최근의 국내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로 10~20대의 젊은 연령에서 호발하여 오랜 기간과 동반되는 합병증으로 환자에게 고통을 주는 질환입니다. 베체트 장염(intestinal Behçet's disease)은 구강 및 성기부의 반복되는 궤양과 눈의 포도막염 등을 유발하는 베체트병 환자 가운데, 약 10%에서 위장관에 특징적인 궤양성 병변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베체트병은 주로 30대에 발병하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극동아시아와 중동아시아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그리고 베체트 장염의 증상과 예후는 환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며,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을 경우 천공, 협착, 농양, 치질, 대장암, 소장암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발병 초기에 정확한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 관리가 필요합니다. 염증성 장질환 클리닉에서는 환자의 진단 및 약물 치료, 수술 치료뿐만 아니라, 영양,일상생활에서의 관리 등에 관한 전문적인 상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염증성장질환은 현재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인 분야이며 기존 약물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환자의 경우에는 임상시험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의료진은 질병으로 인한 고통을 최소화하고, 궁극적으로는 환자들분들의 행복을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염증성장질환클리닉 진료시간 안내 일시 화요일 오전 ,수요일 오전, 목요일 오후 진료과목 궤양성대장염, 크론병, 베체트 장염 참여 의료진 고성준(소화기내과) – 염증성장질환 진단 및 치료 PhD.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Hepat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iagnosis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신재욱(소화기내과) 전담 간호사 염증성장질환 관련 교육 및 상담 ,연구 안내 염증성장질환 클리닉 환우회 소개 서울대병원 염증성장질환 클리닉에서는 환우분들의 진료 편의성 향상과 정확한 정보 전달 및 상담을 위하여 환우회를 운영중입니다. 네이버 밴드를 통해 질환과 관련된 궁금하신 점을 남겨주시면 교수님과 운영진이 성실하게 답변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환우회 모임은 네이버 밴드를 통해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밴드 가입 및 활동은 담당자의 실명 확인 후 이루어집니다. 환우회 오프라인 모임일정은 환우회 밴드를 통해 공지됩니다. 서울대병원 염증성장질환클리닉은 곁에서 도움이되고 환우분들의 건강한 일상을 지속하고 증진 하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염증성장질환연구팀 소개 SIRN(Seoul national university inflammatory bowel Disease research network) 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의 염증성 장질환 연구팀은 난치성 질환인 염증성 장질환의 완치를 목표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초분야의 세포실험, 유전자 변형 마우스를 이용한 연구에서부터 신약 개발을 위한 다국적 임상시험까지 가능한 모든 범위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궁극적으로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삶의 질를 높이고 수명 연장을 위해 도움이 될 것이며 서울대병원 염증성장질환 클리닉은 진료,교육,연구라는 목표로 국내외 최고 수준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연구분야 염증성장질환 기초분야 병태생리연구 및 치료표적 발굴 염증성장질환 새로운 치료 표적 후보 발굴 염증성장질환에서 장신경의 역할 규명 염증성장질환에서 대변이식의 효과와 안전성 표적치료제의 치료 반응 예측을 위한 융합 연구 연구성과 2024년 Toll-like receptor 3 signaling attenuated colitis-associated cancer development in mice Antibiotic usage within the first year of life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ulcerative colitis in South Korea: A nationwide cohort study. Effect of tegoprazan, a novel 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 on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induced enteropathy As sociation of childhood obesity or weight change with early-onset follicular occlusion triad among children. 2023년 GPR15 in colon cancer development and anti-tumor immune responses Regulation of psoriasis, colitis, and the intestinal microbiota by clusterin. Impact of Crohn's Disease on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Small-Bowel Adenocarcinoma in Korea: A Bicenter Cohort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Rosacea and Inflammatory Bowel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topic dermatitis is associated with the clinical cours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Real-lif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tofacitinib treatment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a KASID multicenter cohort study. Depression and anxiety are associated with poor outcomes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in South Korea. Kor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biologics for moderate to severe Crohn's disease. Positive Results from the Fecal Immunochemical Test Can Be Related to Dementia: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in South Korea. 2022년 Association between severe hepatic steatosis examined by Fibroscan and the risk of high-risk colorectal neoplasia. Corticosteroid, a double-edged sword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management: possibility of reducing corticosteroid use through physician education. Concomitant ankylosing spondylitis can increase the risk of biologics or small molecule therapies to control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comitant ankylosing spondylitis can increase the risk of biologics or small molecule therapies to control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titumor necrosis factor treatment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does not promote psoriasis development: A meta-analysis. Epidemiological association between alopecia areata and celiac disease: A meta-analysis. Kor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biologics and small molecules for moderate-to-severe ulcerative colitis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37% 2025.01.20
국제진료센터

당신의 건강을 생각합니다. 대한민국의 대표적 의료기관인 서울대학교병원은, 한국에 거주하거나 방문하는 외국인들의 증가하는 수요에 발맞춰 진료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왔습니다. 여기에는 다양한 전문분야를 아우르는 입원, 외래, 응급진료가 포함됩니다. 국제진료센터는 외국인 환자에게 최적화된 편의성과 효율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이곳에서는 진료 상담, 예약, 검사, 처방, 진료비 수납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합니다. 또한, 24시간 비상 연락 서비스로 긴급 상황에 신속히 대응하고 있습니다. 만성질환 관리, 정기 건강검진, 미국이민비자건강검진, 암 검진, 예방접종 및 해외여행 클리닉 서비스를 포함한 1차 진료 및 전문진료과 상담 등 광범위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제진료센터에서는 영어, 중국어, 몽골어, 러시아와 아랍어 통역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 차별화 바쁜 일정을 소화하는 고객을 위한 빠른 서비스 뛰어난 의료 서비스를 위한 다학제적 접근 다양한 문화와 종교에 대한 지식과 존중 전문의사의 진료와 상담 영어, 중국어, 몽골어, 러시아어와 아랍어 통역 서비스 □ 우수성 90여개 이상의 국가로부터 연간 30,000 명 이상의 환자 방문 세심하게 보살피는 직원 대사관 및 국제 보험사와의 협약를 통한 진료비 청구 대행 서비스 해외 환자의 요구에 따른 시기 적절한 응대 - 만성질환 고객을 위한 일관된 의료서비스 - 건강검진 및 검사 - 예방접종 및 해외여행 상담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31% 2024.08.26
통증센터

서울대학교병원 통증센터에서는 다양한 급만성 통증질환을 진료하고 있습니다. 척추질환(척추협착증, 척추수술후통증증후군, 디스크내장증, 추간판탈출증, 척추 염좌, 추간관절증후군, 경추성두통 등), 근골격계질환(퇴행성 골관절염, 건염, 근근막통증증후군 등), 신경병증성통증질환(삼차신경통, 대상포진후신경통,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등), 암성통증(원발암 통증, 전이성 통증, 치료합병증, 암환자의 퇴행성 통증 등)이 통증센터의 주요 진료 영역입니다. 또한 만성 난치성 통증이 있어서 찾아주신 경우 검사·진단 후 필요 시 타 진료과와의 연계 및 협진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본 통증센터는 각종 통증질환에 대하여 종합적인 진단과 치료를 제공합니다. 다양한 영상검사와 신경기능 검사는 물론, 진단적 신경차단술을 통하여 각종 통증 질환의 원인을 찾습니다. 진단 후에는 약물치료와 신경치료를 통하여 환자의 증상을 조절하고 유지하며, 정상적인 신체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일반적인 치료로 충분하게 호전되지 않는 경우, 원인에 대한 보다 근본적이면서도 신체에 부담이 적은 비수술적 치료를 제시합니다. 난치성 중증 통증 질환에 대해서는 척수신경자극술, 척수강내약물주입술 등의 최신 신경조절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지난 30여년 간 통증센터는 방문하는 환자의 수와 질병의 중증도 면에서 국내 최고의 통증센터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본 통증센터는 이러한 특성을 살려, 진료뿐 아니라 교육과 연구에 있어서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매년 숙련된 통증전문의를 다수 배출하여 보다 많은 환자분들께서 양질의 통증 진료를 받으실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수준 높은 연구 결과를 매년 발표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선진 통증의학을 국내 도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중국, 동남아, 인도, 중동 등 아시아 각국에 체계적인 통증의학을 전파하는 데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통증센터 모든 의료진은 환자분들의 통증을 덜어줌으로써 더 나은 삶의 질을 누리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30% 2024.08.22
건강정보 (241)

흉부 방사선치료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주요 부작용으로는 식도염, 폐 섬유화 또는 방사선폐렴, 식도협착, 출혈, 천공, 심근염, 심낭염, 갈비뼈 골절, 무혈성 골괴사, 팔의 감각 및 운동 이상 등이 있습니다. 1) 식도염 치료를 시작한 지 2~3주 후부터 음식을 삼킬 때 목이 걸리는 듯한 느낌이나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증상은 치료 종료 후 한 달 안에 회복되지만, 심한 경우 한 달 이상 지속될 수 있습니다. ▶ 관리 방법 자극적이거나 뜨거운 음식은 피하고, 씹고 삼키기 쉬우며 부드러운 음식을 선택하세요. 수분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고, 적은 양으로 자주 식사하여 증상을 완화합니다. 생야채와 감귤류, 담배와 술을 피해서 증상 악화를 예방합니다. 식사 후 30분 이상 바른 자세를 유지하여, 위액의 역류를 방지하고 속쓰림을 예방합니다. 통증이 심할 경우, 의료진과 상담하여 진통제를 처방받아 정상적인 식사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식사량이 부족하다면 의료진의 처방을 받아 영양 보충 음료를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2) 폐 섬유화/방사선폐렴 방사선치료를 마친 후 1~3개월 안에 기침, 가래, 미열,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있으면 즉시 의료진과 상담하세요. ▶ 관리 방법 방사선폐렴은 일반적인 폐렴과 치료 방법이 다르므로,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증상이 심할 경우 반드시 의료진과 상담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습니다. 호흡기 증상이 발생하면,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기침, 가래 등 호흡기 증상 조절을 위한 약제를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3) 식도협착/출혈/천공 식도 부위가 좁아지거나(협착), 출혈이 생기거나, 드물게 천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은 치료 부위와 강도에 따라 다르며,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하게 병원을 방문해야 합니다. ▶ 관리 방법 증상이 심각한 경우, 식도를 넓히는 시술이나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암병원 > 암정보·교육 > 치료방법관리 > 방사선치료
정확도 : 37% 2025.01.17

항암치료 중에는 피부 문제가 흔히 발생합니다. 항암제 투약 중에는 피부가 연약해져 있는 상태이므로, 피부를 항상 소중히 다뤄주셔야 합니다. 1. 보습제를 충분히 자주 발라주세요. 보습제를 충분히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보습제는 피부를 덮어주는 보호막으로 작용하여,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연약해진 피부를 보호합니다. 특히, 샤워 후에는 물기를 닦은 직후에 바로 바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손발, 팔의 바깥 면, 다리의 앞쪽 면과 같이 쉽게 건조해지는 부분이나 벨트 등에 의해 피부가 자극을 받기 쉬운 부위에는 특히 세심하게 발라주실 필요가 있습니다. ※ 항암치료 시에는 어떤 보습제를 사용해야 하나요? 항암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대부분 피부가 매우 건조한 상태이기 때문에, 수분을 유지하는 습윤 효과와 피부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는 밀폐 효과를 모두 가진 보습제가 좋습니다. 현재 시중의 보습제는 대부분 이런 습윤 효과와 밀폐 효과를 가진 성분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보습 효과는 다소 끈적임이 있는 연고 형태의 보습제가 좋을 수 있지만, 착용감이 좋지 않고 넓은 부위에 도포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몸통과 같은 넓은 부위에는 사용이 편리한 로션 형태의 보습제를 도포하고, 얼굴에는 착용감이 좋은 제품을, 손과 발의 경우에는 다른 부위보다 자주 씻는 경향이 있고 마찰도 많아 물에 잘 섞이지 않는 기름 성분을 더 많이 함유하는 제품들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최근에는 세라마이드와 같은 피부 장벽 기능에 중요한 인자를 포함한 보습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2. 장시간의 뜨거운 목욕은 피하세요. 순한(약산성) 비누를 사용하고 때를 밀지 마세요. 목욕은 미지근한 물에, 가능한 한 짧게, 샤워 형태로만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장시간의 뜨거운 목욕이나 찜질방은 모두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누는 약산성이나 중성 제품으로 순한 것을 사용하고 때를 밀지는 마십시오. 수영은 물에 오랫동안 들어가 있어야 하므로 피부를 더욱 건조하게 만들 우려가 있습니다. 심한 운동으로 땀이 많이 나면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도 있으므로, 운동 시에는 가벼운 샤워로 씻어내고 보습제를 꼭 바르도록 합니다. 3. 적정 실내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해 주세요. 실내가 너무 건조하지 않도록 가습기, 물수건 등을 이용하여 적정 실내 습도(40~60%)와 적정 실내 온도(22~24℃)를 유지하는 것도 건조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4. 손톱을 보호해 주세요. 항암치료 과정에서 손톱이 약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손톱을 적당하게 자르고, 일부러 떼어내지 않도록 하며, 장갑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손톱과 발톱 주변에도 보습제를 바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캔을 손톱으로 무리해서 따는 등의 행동은 조심하셔야 하며, 매니큐어는 되도록 바르지 않도록 합니다. 5. 꽉 조이는 옷은 피하고, 부드러운 면 소재의 옷을 입습니다. 꽉 조이는 옷은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하고, 피부에 직접 닿는 옷은 부드러운 면 소재로 고르시는 것이 좋습니다. 6. 물수건으로 자주 닦지 마세요.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보호자들이 물수건으로 닦아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너무 세게 문지르지 않도록 조심하여야 합니다. 우리 피부에는 피부가 스스로 만들어 내는 보습 성분들이 있으며, 이들은 피부의 보습 상태와 장벽 기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너무 자주 닦으면 오히려 건조증이나 습진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사타구니, 겨드랑이 등과 같이 땀이나 대소변 등으로 오염되는 부위를 제외하고는 물수건으로 문질러 닦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일에 한 번 정도 가볍게 샤워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7. 과다한 자외선 노출은 피해주세요. 과다한 자외선 노출은 피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외출 시에는 햇빛을 가릴 수 있는 모자나 소매가 긴 옷을 입고, 얼굴을 비롯한 노출부에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도록 합니다. 자외선 차단제는 외출하기 15분 전, SPF 30 이상의 제품으로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흐린 날에도 외출 시에 발라주어야 하며, 장시간 외출 시에는 덧발라주도록 합니다. 또한 햇볕이 강한 여름에는 양산 등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8. 충분한 수분과 영양을 섭취해 주세요. 피부세포가 빠르게 회복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영양 공급이 필요합니다. 충분한 수분과 영양의 섭취는 피부뿐 아니라 전신 건강의 회복에도 중요하므로, 항암치료로 식욕이 떨어지더라도 식사를 잘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9. 너무 두꺼운 화장은 피해주세요. 얼굴에 특별히 심한 발진이 생긴 경우를 제외하고는 화장을 하는 것 자체는 별 문제가 없습니다. 따라서 항암치료 중이라도 화장 후 클렌징만 잘하면 가벼운 화장을 할 수 있습니다. 단, 메이크업을 두껍게 하게 되면 씻을 때 많이 문질러 씻게 되어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너무 두껍게 화장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화장품이 피부에 남아 있으면 피부 자극을 유발하기 쉬우므로, 클렌징에 특히 신경 써야 합니다. 10. 뚜렷한 피부 이상 발생 시, 긁지 말고 피부과를 방문해 주세요. 피부에 뚜렷한 발진이 생기고 가려움증, 통증 등으로 불편감이 있으실 때는 담당 의료진과 상의하여 피부과를 방문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가렵다고 긁으면 이차적으로 습진이나 세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되도록 긁지 않도록 합니다. 보습제를 자주 사용하고 바르는 것은 가려움증 해결에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피부 자체를 건강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몸을 최대한 서늘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려움증에 도움이 됩니다. 참지 못할 경우에는 무리하게 긁지 말고, 조기에 피부과를 방문하여 가려움증에 대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피부 문제의 원인이 항암제이기 때문에, 근본적으로는 항암제의 투약을 중단해야 피부도 완전히 좋아집니다. 그러나 피부 이상을 치료하기 위하여 암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항암제 투여를 중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국소 스테로이드제, 국소 면역조절제, 국소 항생제와 같은 적절한 도포제의 사용 및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경구 항생제 등의 약물치료를 통하여 피부의 불편감을 상당 부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피부 이상을 조기에 최대한 잘 조절하여 환자분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것이 피부과 치료의 목표입니다.

암병원 > 암정보·교육 > 치료방법관리 > 항암치료
정확도 : 12% 2025.01.16

▶ 구내염이란 무엇인가요? 구내염은 입안(잇몸, 혀, 입술, 목 등)이 헐고 염증이 생기는 증상을 말합니다. 주로 항암치료 후 5~7일째 나타납니다. 손상된 점막을 통해 세균 감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입안의 청결 유지가 중요합니다. ▶ 구내염은 왜 생기는 건가요? 대부분의 항암제가 입이나 목에 있는 점막세포에 영향을 미쳐 생깁니다. 구내염은 대부분 항암제 주사 후 5일-7일 즈음에 생기며 대개 2주 이내에 회복 됩니다. ▶ 구강건조증 및 구내염 예방 방법 • 입안 청결을 유지하며, 하루 한 번 구강 점막 상태 관찰하기 •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여 양치질하며, 주기적으로 칫솔 교환하기 • 생리식염수(소금물) 가글하기(약국 구매 또는 물 500ml + 소금 1티스푼) • 알코올이 함유된 구강 청결제는 오히려 점막을 자극하고 건조하게 하므로 사용 피하기 • 신맛 나는 음식, 무설탕 껌, 캔디 등 섭취하기 • 딱딱하거나 마른 음식, 끈적끈적한 음식 피하기 • 가까운 장소에 물 두고 물을 두고, 조금씩 자주 섭취하기 ▶ 가글링은 이렇게 하세요. • 가글 용액 20cc(뚜껑 한 컵) 정도를 입안에 넣고 약 30초~1분 정도 입 안과 목 안에 깊숙이 약물이 닿을 수 있도록 '가글가글' 한 후 뱉습니다. • 입안을 헹군 후 바로 물로 헹궈내지 말고, 최소 20~30분 동안은 음식이나 물을 먹지 않습니다. • 하루 4-6회 시행하고 구내염의 정도에 따라 횟수를 늘립니다(2~3시간 간격). ▶ 구내염 발생 시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부드러운 칫솔, 거즈, 면봉을 이용하여 입안 청결을 유지하고, 가글링을 잘합니다. • 통증이 심하면 의료진에게 알리십시오. • 치과 진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담당 의료진과 상의가 필요합니다. ▶ 구내염 발생시 식사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수분을 자주 섭취하고 얼음, 아이스크림 주스 등의 간식을 섭취합니다. • 음료 섭취 시에는 빨대를 이용해 보십시오. • 딱딱하고 건조한 음식보다 부드럽고 수분이 많은 음식으로 준비하여 드십시오. • 양념이 강한 음식, 뜨겁거나 거친 음식, 신맛이 강한 음식은 피합니다. • 뜨거운 음식은 실온 정도로 식혀 섭취합니다. 때로는 차가운 음식이 섭취하기 더 편할 수도 있습니다.

암병원 > 암정보·교육 > 치료방법관리 > 항암치료
정확도 : 30% 2025.01.16

항암제로 인해 유발되는 오심 및 구토 증상은 항암제 투여 중 또는 투여가 끝난 후 일정 기간 나타날 수 있으며, 대개는 2~8시간 후에 증상이 나타나고, 3~5일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항암제 종류에 따라 오심 증상을 유발하는 정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항구토제를 복용해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으면, 다른 항구토제를 추가로 복용하거나 종류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오심·구토는 언제 생기나요? 항암제를 투여 즉시, 또는 수 시간 후에 나타날 수 있으며, 항암 주입 후 3일 이상 지속되기도 하며, 이전 경험으로 주사를 맞기도 전에 구토 증세를 호소하기도 합니다. 이를 예방하고 경감시키기 위해 항암제 투여 전후에 구토방지제, 스테로이드제, 안정제가 투여됩니다. ▶ 오심(메스꺼움) 예방 및 대처 방법 • 뜨거운 음식보다는 차거나 미지근한 음식 먹기 • 토스트, 크래커 등 마른 음식 먹기 • 너무 덥거나 추운 곳 또는 냄새나는 장소에서 식사 피하기 • 식사 후 앉아서 30분 동안 휴식하기 • 억지로 먹지 않고, 소량씩 자주 먹기 ▶ 어떻게 관리해야 하나요? • 병원에서 처방한 진토제를 꾸준히 복용합니다. • 메스꺼운 느낌이 들면 긴장을 풀고 천천히 심호흡을 합니다. • 얼음조각을 입에 물고 있거나, 머리나 목에 차가운 수건을 얹어 놓으면 도움이 됩니다. • 양치질을 하여 구강을 청결하게 하고, 느슨한 옷, 허리가 조이지 않는 옷을 입도록 합니다. • 어떤 원인으로 메스꺼움이 생기는지 알아내어 그 상황을 피합니다. • 음악, 게임, TV, 명상, 요가 등을 이용하여 관심을 다른 곳으로 집중합니다. • 토할 때는 토사물이 기도로 넘어가지 않게 옆으로 돌아눕도록 합니다. • 시중에서 판매되는 일반 구강 청결제는 알콜을 포함하고 있어 입을 더욱 마르게 할 수 있습니다. ▶ 오심·구토 시에 식사관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식사는 소량씩 자주 섭취합니다. 섭취량에 따라 1일 6~8회 정도 나누어 섭취하도록 합니다. • 소화가 잘되도록 음식을 충분히 씹은 뒤에 삼키십시오. • 식사하는 장소는 환기가 잘되는 곳이 좋습니다. • 냄새가 강한 음식은 피하고, 메스꺼움이 심할 경우에는 음식을 식혀 온도와 냄새를 떨어뜨린 이후에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토스트, 크래커, 빵류, 누룽지, 강냉이 등과 같이 건조한 음식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먹기 싫을 때에는 억지로 먹지 말고, 환자가 언제 무엇을 먹고 싶은지 선택합니다. • 신맛이 나는 레몬, 피클류, 레모네이드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식전, 식후에 수분으로 입을 적셔주고 헹구어 줍니다. • 구토 후에는 탈수가 생기지 않도록 음료, 과일주스, 탄산음료, 푸딩 등 수분을 많이 함유한 음식이 좋습니다. • 식사 직후에는 바로 눕지 않습니다. 휴식이 필요하다면 30~60분간은 기대어 쉽니다. ▶ 이럴 땐 의료진과 상의하세요. • 오심 때문에 식사를 거의 못할 때 • 하루 2회 이상의 구토가 있을 때 • 구토가 심하여 기운이 없고 탈수가 되었을 때 • 구토물에 피가 섞이거나 복통이 심할 때 • 구토방지제를 복용했는데도 오심과 구토가 계속될 때 • 구토방지제를 복용한 후 부작용이 발생했을 때에나 구토 때문에 약을 먹을 수 없을 때

암병원 > 암정보·교육 > 치료방법관리 > 항암치료
정확도 : 30% 2025.01.16
질환정보 (20)

30세 이후 : 매월 유방 자가 검진 • 35세 이후 : 2년 간격으로 의사에 의한 임상 진찰과 유방 자가검진 • 40세 이후 : 1-2년 간격으로 의사에 의한 임상 진찰과 유방 자가검진 : 1-2년 간격으로 유방촬영 (필요하면 유방 초음파) 본인이 직접 자신의 유방을 만져보는 검사로 자신의 유방의 모양과 촉감에 익숙해지면 젖멍울과 구별되는 종괴를 찾을 수 있습니다. 생리를 하는 여성은 매달 월경이 끝난 후 1-2일에 하고 폐경이 된 분이나 월경이 불규칙한 분은 매월 일정한 날을 정하여 시행해야 합니다. 1) 거울 앞에 선 상태에서 양팔을 모두 내린 자세로 양쪽 유방 크기, 피부색깔 변화, 유방 어느 곳 의 함몰이 있는 지 관찰합니다. 2) 양팔을 머리 위로 올린 자세에서 상체를 좌우로 30도씩 돌려가면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관찰합니 다. 3) 양손을 허리에 얹고 상체를 앞으로 약간 숙인 자세에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유방을 관찰합니다. 1) 먼저 검진하려는 쪽 유방의 겨드랑이를 팔을 내린 상태에서 안에서 바깥쪽으로 촉진합니다. 2) 검진하려는 쪽 유방의 팔을 머리위로 올린 상태에서 반대쪽 손의 세 손가락으로 유방을 젖꼭지에 서 바깥쪽으로 원을 만들면서 촉진해 나갑니다. 3) 젖꼭지를 상하 좌우로 짜봅니다. 이때 농빛이나 핏빛의 분비물이 나오는 지 살펴봅니다. 4) 반대쪽 유방도 같은 방법으로 시행합니다. 1) 검진하려는 쪽 어깨 밑에 수건을 받쳐 눕습니다. 2) 검진하려는 쪽 손등을 이마에 얹고 겨드랑이의 안쪽, 중앙, 바깥쪽을 촉진합니다. 3) 검진하려는 쪽 팔을 올리고 반대쪽 손의 세 손가락으로 수직방향 혹은 나선방향으로 유방을 촉진 합니다. * 유방 자가검진 후 젖멍울과 구별되는 만져지는 부분 이 있거나 유두 함몰, 유방 피부색 변화 , 젖꼭지에서 핏빛 이나 검붉은 색의 분비물 이 나오면 의사의 진찰과 함께 영상의학과에서 유방촬영술 과 유방 초음파 를 시행하셔야 합니다. * 검사한 달을 표시해 주세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서울대학교병원 > 의학정보실 > 종합질병정보
정확도 : 93% 2017.07.28

• 규칙적인 운동은 모든 원인에 의한 전체 사망률을 30% 가량 감소시켜 줍니다. • 규칙적인 운동은 심장과 폐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체지방을 감소시켜 몸을 건강하게 만들어 줍니다. • 규칙적인 운동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혈관계 질환 등과 같은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여 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성인병이 발병 하였을 때 가장 효과가 좋은 치료법이자 재발방지법의 하나입니다. • 규칙적인 운동은 대장암과 유방암을 비롯한 각종 암을 효과적으로 예방해 줍니다. • 규칙적인 운동은 뼈를 튼튼하게 하여 골다공증의 발생을 막아주며, 골관절을 지지하는 근육과 인대를 튼튼하게 하여 골관절염의 발생을 막아주며 관절의 기능을 향상시켜 줍니다. • 규칙적인 운동은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생활에 활력과 자신감을 불어넣어주고 정신집중력을 향상시켜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 • 규칙적인 운동은 불안증과 우울증의 증상들의 완화와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운동을 하루의 모든 일을 다하고 남는 시간에 하겠다고 생각하지 마십시오. 운동을 하루 일과의 중요한 일정 중 하나라고 생각하십 시오. 아무리 바빠도 하루에 2번 이상은 식사를 하듯이 운동도 하셔야 합니다. 만약 지금까지 운동을 해 본적이 없거나 따로 시간을 내어 운동을 할 여유가 없다면 다음과 같이 일상 생활 중에서의 신체활동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으십시오. • 직장에서나 쇼핑센터 등에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말고 계단을 이용하십시오. • 집의 아이들이나 손주들과 자주 나가서 놀아 주십시오. 애완 동물이 있다면 매일 한 번씩 산책을 직접 시켜주십시오. • 자가용을 이용할 경우 주차는 좀 멀찌감치 떨어진 곳에 하는 습관을 가지십시오. • 대중 교통을 이용시 한 정거장 일찍 내려 걸어가십시오. • 직장인의 경우 점심식사 후 동료들과 함께 회사주변을 걸으면서 대화를 나누십시오. 운동은 크게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 및 유연성 운동으로 구분됩니다. 유산소 운동은 각종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와 암의 예방과 같은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며, 근력운동은 일상생활의 기능 유지에 도움을 주고, 유연성 운동은 관절의 기능과 근골격계의 기능 유지에 도움을 줍니다. • 종류 빨리 걷기가 가장 무난하며 이외에도 자전거타기, 수영, 에어로빅, 댄스, 등산 등이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입니다. • 빈도 일주일에 5회 이상 시행합니다. 가능하면 매일 하시는 것이 좋으며, 최소한 일주일에 3회 이상은 하셔야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 시간 하루 총 30분 이상을 하셔야 합니다. 한 번에 30분 이상을 하셔도 되며, 3번에 나누어서 한 번에 10분 이상씩 총 30분 이상을 하셔도 효과는 동일합니다. • 강도 중등도의 강도면 충분합니다. 중등도의 강도란 운동 중에 옆 사람과 간단한 대화는 가능하나, 노래를 부르기에는 숨이 차서 힘든 정도에 해당합니다. 운동을 시작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중도에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하는 것은 더 중요합니다. 여기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 배우자나 친구 등 가까운 사람과 같이 운동하십시오. 서로에게 큰 힘이 될 것입니다. • 현실적인 목표를 정하십시오.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목표를 정해 시작한 후 충분히 익숙해지면 다음 단계의 목표를 세우십시오. • 본인의 환경을 고려하여 쉽게 접근 가능한 운동을 선택하십시오. 편한 시간대를 정하시고, 가까운 장소에서 가능한 운동으로 시작하십시오. 추운 날씨나 비가 오는 날씨에 대비하여 평소 실내에서 할 수 있는 운동도 하나쯤 정해 놓으십시오. •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즐기십시오. 한가지 운동만을 할 경우 쉽게 지루해집니다.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운동을 날짜 별로 교대로 하시면 운동 효과도 증가되고 운동도 즐거워집니다. • 운동이 본인에게 가져다 준 다양한 혜택을 늘 생각하면서 운동하십시오. ▪ 남자는 45세 이상, 여자는 55세 이상이면서 운동을 처음으로 시작하시는 분 ▪ 주치의로부터 심장에 문제가 있다고 듣고 운동은 의학적인 감독 아래서만 하라고 추천 받은 적이 있으신 분 ▪ 운동을 하다가 가슴에 통증을 느끼거나, 어지러워 기절할 것처럼 느끼거나 쓰러진 적이 있으신 분 ▪ 운동에 의해서 악화되는 관절이나 뼈의 문제가 있으신 분 ▪ 개인적 경험에 의해서 의학적인 감독 없이 운동하지 못할 신체적인 이유가 있으신 분 가정의학과 허봉렬 유태우 조비룡 박민선

서울대학교병원 > 의학정보실 > 종합질병정보
정확도 : 68% 2017.07.28

1) 흡연은 당신의 수명을 단축시킵니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총 사망률이 70% 높습니다. 담배 1개피를 피울 때마다 약 20분의 수명이 단축됩니다. 담배를 계속 피우는 사람은 35세 때 끊은 사람에 비해 수명이 8.5년 단축됩니다. 약 반수의 흡연자는 흡연으로 인해 사망합니다. 2) 모든 암의 30%는 담배가 원인입니다. 한국 남성의 암으로 인한 사망률 1위는 폐암이며, 담배 피는 사람은 비흡연자에 비해 폐암에 걸릴 확률이 무려 21배나 높습니다. 구강암과 인두암의 92%, 식도암의 78%, 후두암의 81%, 췌장암의 30%, 기관지암과 폐암의 90%, 방광암과 신장암의 50%는 흡연 때문에 생깁니다. 3) 각종 성인병의 가장 중요한 원인입니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관상동맥질환으로 사망할 확률이 70% 이상 높습니다. 65세 이하의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45%, 뇌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51%는 흡연이 원인입니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의 가장 잘 알려진 주요 위험인자가 바로 흡연입니다. 만성기관지염이나 폐기종 등의 만성폐쇄성 호흡기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흡연자에서 무려 16.7배나 높습니다. 4) 가까운 동료들이 당신을 멀리하게 됩니다. 흡연자는 이가 누렇게 변하고 치주염이 잘 생기며 말을 할 때마다 입에서 불쾌한 냄새가 나며 평소 몸과 옷에서도 냄새가 납니다. 주위 동료들에게 나쁜 인상과 불쾌감을 주며 동료들이 내 주변에 다가오지 않습니다. 5) 본인 뿐만 아니라 가족의 건강도 해칩니다. 가족이 폐암, 심장병, 뇌졸중, 페기능장애 등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배우자가 유산되거나 저체중 출생아를 낳을 확률이 높습니다. 자녀가 중이염, 천식, 폐렴, 기관지염, 백혈병 등에 걸릴 확률이 높습니다. 자녀의 학습능력이 떨어지고 행동발달이 뒤떨어질 확률이 높습니다. 1) 행동요법 흡연자가 금연 결심에 이르는 동기화의 과정과 구체적으로 금연일을 정하는 방법, 금연일 1주일 전부터 금연을 체계적으로 준비하는 방법과 함께 금연일 당일을 성공적으로 보내고 금연에 이르는 법, 금연 후 필연적으로 따르는 금단 증상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법을 금연 전문가로부터 배워서 행동으로 옮기게 됩니다. 2) 니코틴 대체 요법 흡연은 니코틴에 의한 중독입니다. 따라서 금연을 하게 되면 금단 증상이 나타납니다.니코틴 대체요법은 니코틴을 외부에서 공급하여 금단증상을 줄여줌으로써 금연 과정의 불편을 덜어주어 금연 성공률을 높이는 치료법입니다. 니코틴을 공급하는 방법에 따라 니코틴 패치, 니코틴 껌, 니코틴 비강 분무제, 니코틴 흡입제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니코틴 패치와 니코틴 껌이 들어와 있습니다. - 니코틴 패치- 니코틴 패치는 피부에 붙이는 제재로서 피부를 통해 니코틴이 서서히 흡수됩니다. 작용시간이 24시간이기 때문에 하루에 한장씩 팔, 가슴 등 털이 없는 부위에 돌아가면서 붙이면 됩니다. 니코틴 패치를 통해 성공률을 대략 2배 이상 높일 수 있습니다. - 니코틴 껌- 니코틴 껌은 금연자가 필요에 따라 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흡연 욕구를 느낄 때마다 껌을 씹고 안쪽 볼에 가만히 대고 있으면 니코틴이 볼의 점막을 통해 흡수가 되면서 금단 증상을 신속히 막아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일정한 시간마다 규칙적으로 껌을 씹는다면 효과가 더 좋습니다. 3) 약물 요법 부프로피온이라고 하여 최근에 국내에 도입된 금연약물입니다. 이 약물의 가장 큰 특징은 바로 니코틴과 같은 담배의 성분이 전혀 없으면서도 금단 증상을 효율적으로 막아 주며 흡연에 대한 욕구를 감소시켜 준다는 것입니다. 효과는 니코틴 패치보다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니코틴 대체요법과 병합요법을 하면 더욱 효과가 증가하므로 대개의 경우 니코틴 대체요법과 부프로피온 약물요법을 같이 사용합니다. 이 약물은 대개 금연일로부터 1주 전부터 복용을 합니다. 4)기타 금연침을 이용하는 법, 아로마 향기치료를 이용하는 법, 여러가지 약물을 이용하는 법 등이 있으나 위의 방법들보다 효과가 떨어지거나 부작용으로 잘 이용하지는 않습니다. 가정의학과 허봉렬 유태우 조비룡 박민선

서울대학교병원 > 의학정보실 > 종합질병정보
정확도 : 49% 2017.07.28
이용안내 (58)

대상질병 염증성 장질환( 궤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크론병(Crohn’s disease), 베체트 장염(intestinal Behçet's disease) 클리닉 소개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은 지속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의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만성적인 난치 성 위장관 염증 질환을 뜻하며, 최근의 국내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주로 10~20대의 젊은 연령에서 호발하여 오랜 기간과 동반되는 합병증으로 환자에게 고통을 주는 질환입니다. 베체트 장염(intestinal Behçet's disease)은 구강 및 성기부의 반복되는 궤양과 눈의 포도막염 등을 유발하는 베체트병 환자 가운데, 약 10%에서 위장관에 특징적인 궤양성 병변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베체트병은 주로 30대에 발병하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극동아시아와 중동아시아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그리고 베체트 장염의 증상과 예후는 환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며,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을 경우 천공, 협착, 농양, 치질, 대장암, 소장암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발병 초기에 정확한 진단과 그에 따른 치료, 관리가 필요합니다. 염증성 장질환 클리닉에서는 환자의 진단 및 약물 치료, 수술 치료뿐만 아니라, 영양,일상생활에서의 관리 등에 관한 전문적인 상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염증성장질환은 현재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인 분야이며 기존 약물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환자의 경우에는 임상시험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의료진은 질병으로 인한 고통을 최소화하고, 궁극적으로는 환자들분들의 행복을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염증성장질환클리닉 진료시간 안내 일시 화요일 오전 ,수요일 오전, 목요일 오후 진료과목 궤양성대장염, 크론병, 베체트 장염 참여 의료진 고성준(소화기내과) – 염증성장질환 진단 및 치료 PhD.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Hepat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iagnosis and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신재욱(소화기내과) 전담 간호사 염증성장질환 관련 교육 및 상담 ,연구 안내 염증성장질환 클리닉 환우회 소개 서울대병원 염증성장질환 클리닉에서는 환우분들의 진료 편의성 향상과 정확한 정보 전달 및 상담을 위하여 환우회를 운영중입니다. 네이버 밴드를 통해 질환과 관련된 궁금하신 점을 남겨주시면 교수님과 운영진이 성실하게 답변해드리겠습니다. 온라인 환우회 모임은 네이버 밴드를 통해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밴드 가입 및 활동은 담당자의 실명 확인 후 이루어집니다. 환우회 오프라인 모임일정은 환우회 밴드를 통해 공지됩니다. 서울대병원 염증성장질환클리닉은 곁에서 도움이되고 환우분들의 건강한 일상을 지속하고 증진 하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염증성장질환연구팀 소개 SIRN(Seoul national university inflammatory bowel Disease research network) 서울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의 염증성 장질환 연구팀은 난치성 질환인 염증성 장질환의 완치를 목표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초분야의 세포실험, 유전자 변형 마우스를 이용한 연구에서부터 신약 개발을 위한 다국적 임상시험까지 가능한 모든 범위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궁극적으로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삶의 질를 높이고 수명 연장을 위해 도움이 될 것이며 서울대병원 염증성장질환 클리닉은 진료,교육,연구라는 목표로 국내외 최고 수준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연구분야 염증성장질환 기초분야 병태생리연구 및 치료표적 발굴 염증성장질환 새로운 치료 표적 후보 발굴 염증성장질환에서 장신경의 역할 규명 염증성장질환에서 대변이식의 효과와 안전성 표적치료제의 치료 반응 예측을 위한 융합 연구 연구성과 2024년 Toll-like receptor 3 signaling attenuated colitis-associated cancer development in mice Antibiotic usage within the first year of life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ulcerative colitis in South Korea: A nationwide cohort study. Effect of tegoprazan, a novel 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 on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induced enteropathy As sociation of childhood obesity or weight change with early-onset follicular occlusion triad among children. 2023년 GPR15 in colon cancer development and anti-tumor immune responses Regulation of psoriasis, colitis, and the intestinal microbiota by clusterin. Impact of Crohn's Disease on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Small-Bowel Adenocarcinoma in Korea: A Bicenter Cohort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Rosacea and Inflammatory Bowel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topic dermatitis is associated with the clinical cours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Real-lif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tofacitinib treatment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a KASID multicenter cohort study. Depression and anxiety are associated with poor outcomes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in South Korea. Kor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biologics for moderate to severe Crohn's disease. Positive Results from the Fecal Immunochemical Test Can Be Related to Dementia: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in South Korea. 2022년 Association between severe hepatic steatosis examined by Fibroscan and the risk of high-risk colorectal neoplasia. Corticosteroid, a double-edged sword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management: possibility of reducing corticosteroid use through physician education. Concomitant ankylosing spondylitis can increase the risk of biologics or small molecule therapies to control inflammatory bowel disease. Concomitant ankylosing spondylitis can increase the risk of biologics or small molecule therapies to control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titumor necrosis factor treatment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does not promote psoriasis development: A meta-analysis. Epidemiological association between alopecia areata and celiac disease: A meta-analysis. Kor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biologics and small molecules for moderate-to-severe ulcerative colitis

어린이병원 > 진료안내 > 진료지원부서
정확도 : 96% 2025.01.20
고객참여 (558)

“서울대학교병원 2025년도 1월 대체근로자 채용 1차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및 2차 면접전형일정을 다음과 같이 공지합니다.” 1. 1차 서류전형 합격자 합격자 조회 2. 2차 면접전형 일정 가. 집결일시 및 장소 지원분야 집결일시 집결장소 의료사회복지팀 촉탁보건직 2025.1.21.( 화 ) 9:45 융합의학기술원 15 층 대기실 통합케어센터 단시간간호직 10:10 강남센터 촉탁간호직 10:35 강남센터 내시경팀 단시간운영기능직 10:50 강남센터 케어팀 단시간운영기능직 11:05 강남센터 촉탁보건직 11:20 강남센터 헬스팀 단시간운영기능직 11:45 건축과 촉탁기술직 13:10 응급의학과 촉탁보건직 13:25 진단검사의학과 촉탁보건직 14:05 임상시험센터 촉탁연구코디네이터직 15:00 신경과 ( 신경심리검사실 ) 촉탁보건직 15:25 신경과 촉탁보건직 15:40 의공학과 촉탁의공직 16:00 간호부문 촉탁운영기능직 16:35 외과 ( 외래 ) 촉탁간호직 17:00 지원분야 집결일시 집결장소 핵의학과 촉탁보건직 2025.1.22.( 수 ) 12:45 융합의학기술원 15 층 대기실 건축과 ( 소방 ) 촉탁시설지원직 13:10 급식영양과 촉탁운영기능직 13:25 내과 단시간간호직 13:40 내과 촉탁운영기능직 13:55 비상계획과 촉탁운영기능직 14:10 영상의학과 촉탁보건직 14:25 영상의학과 촉탁운영기능직 15:05 원무 2 과 촉탁운영기능직 15:30 원무 1 과 촉탁운영기능직 15:55 전임상실험부 촉탁운영기능직 16:35 총무과 ( 주차관리 ) 촉탁환경유지지원직 16:50 총무과 ( 환경미화 ) 촉탁환경유지지원직 17:05 ※ 원활한 면접진행을 위해 집결일시를 엄수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병원 내 주차가 불가 하오니 , 대중교통을 이용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진행시간 및 장소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로드뷰 길찾기 지도 크게 보기 나. 준비물 수험표 ( 홈페이지에서 출력 ), 신분증 (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유효기간 내 여권 ), 하단 제출서류 다. 제출서류 구분 제출서류 항목 공 통 ① 자격증 및 면허증 사본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② 군 복무 기간 ( 병 , 장교 ) 이 모두 명시된 병적증명서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③ 외부 직업교육 수료증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④ 공인 어학성적표 사본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⑤ 경력증명서 또는 재직증명서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⑥ 취업보호대상자 및 장애인 관련 증명서 1 부 ( 해당자에 한함 ) ☞ 해당 서류 제출 시 관련 법령에 의거 가점 부여 ( 단 , 중복일 경우 유리한 것으로 적용 ) ( 촉탁 ) 일반직 ① 학부 및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1 부 ② 학부 및 최종학교 전 학년 성적증명서 1 부 ☞ 편입자는 편입 전 학교 포함 ③ 의료사회복지팀 의료사회복지사 자격 취득 예정자(2025년)의 경우 취득예정증빙자료(시험합격증 등) 1부 ※ 제출서류가 온라인 지원서 작성 시 입력한 내용과 상이한 경우에는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및 성적증명서 등 제출서류는 입사지원서에 기재한 사항의 진위 여부 확인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되며, 학교명 등의 정보는 면접전형 및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학교명 등의 정보는 수정액 등을 사용하여 식별할 수 없도록 삭제 등 조치하여 제출 가능) ※ 「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 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일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 신체검사는 본원에서 실시하며 , 「 공무원 채용 신체검사 규정 」 및 자체 판정기준에 따라 합격여부를 판정함 ※ 면접전형 합격자가 신체검사 수검 및 임용등록을 병원이 지정한 기간 내에 마치지 않거나 병원이 지정한 임용예정일에 임용이 불가능한 경우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면접전형 합격자가 신체검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은 경우 또는 최종합격자가 인사규정 제19조에 따른 결격사유 등으로 인하여 합격이 취소된 경우 및 임용을 포기하는 경우 등에는 내부기준에 의거 예비합격자를 최종합격자로 선발할 수 있음(예비합격자는 개별 통보 예정) 3. 2차 면접전형 합격자 발표 : 2025.2. 3.(월), 병원 홈페이지 ※ 상기 일정은 진행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4. 문의 : 서울대학교병원 인사팀 ( ☏ 02-2072-2715) 2025. 1. 17. 서울대학교병원장.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94% 2025.01.17

2025 년도 서울대학교병원 전공의 ( 인턴 ) 선발 공고 1. 선발인원 : 총 164 명 ( 자병원 정원 포함 ) ※ [ 참고 ] : 병원별 선발인원 구분 선발인원 서울대병원 82 명 분당서울대병원 35 명 보라매병원 20 명 국립암센터 23 명 인천의료원 4 명 2. 응시자격 ▸ 국내 의사면허 취득자 또는 2025 년도 취득 예정자 ( 임용일 3.1. 까지 의사면허 발급이 되지 않는 경우 임용취소될 수 있음 ) ▸ 본원 인사규정 제 19 조 ( 결격사유 ) * , 아동 ㆍ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 56 조 및 아동복지법 제 29조 의 3 에 해당되지 않는 자 * 제 19 조 ( 결격사유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직원으로서 채용될 수 없다 . 1. 피성년후견인,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특정후견인 2 .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6 의2.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20.6.15.신설) 6의3. 미성년자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저질러 파면ㆍ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한다)(20.6.15.신설) 가.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나. 「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아동ㆍ청소년대상 성범죄 7. 병역의무자로서 병역기피를 한 자 8. 징계처분에 의하여 해임된 자로서 5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 (17.1.20.삭제) 10.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제82조에 따른 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자(17.12.28.신설) 11. 채용 관련 부정합격자로서 면직 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18.6.1.신설) ▷ 아동 ·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 56 조 및 아동복지법 제 29 조의 3 에 해당되지 않는 자 ▷ 노인복지법 제 39 조의 17 및 장애인복지법 제 59 조의 3 에 해당되지 않는 자 ▸ 「 전문의 수련 및 자격 인정 등에 관한 규정 」 제 14 조 ( 전공의의 의료기관 개설 등 금지 ) 에 위배되지 않는자만 지원 가능함 ▸ 남성의 경우 병역 의무를 이행 ( 또는 예정 ) 하였거나 면제된 자 - 일반사병 전역인 경우 2025.3.1. 이전 전역자만 지원 가능함 - 병역 이행 예정자 (1997.1.1. 이후 출생자 ) 는 의무사관후보생으로 편입해야 지원 가능 ※ 복수국적자의 경우 , 의무사관후보생 지원 불가 ▸ 병역 이행 예정자 중 1997 년 이전 출생자는 지원 불가능하나 ( 사유 : 군징집 ), 병역 연기사유가 있는 자로서 1 년간 (2025.3.1. ~ 2026.2.28.) 인턴 과정을 수료할 수 있는 경우에는 지원 가능함 ( 「 의무사관후보생 미편입 사유서 」 제출 필요 ) ▸ 국외 영주권을 가진 자는 「 의무사관후보생 미편입 사유서 」 제출 후 , 1 년간 (2025.3.1. ~ 2026.2.28.) 인턴 수련이 가능한 자에 한하여 지원 가능함 ▸ 복수국적을 소지하고 병역의무 미이행한 남자의 경우 , 인턴 지원 불가 ( 사유 : 군 징집 ) ※ 문의 : 병무청 현역입영과 (042-481-2737) 3. 선발일정 구분 일정 장소 온라인 접수 오프라인 접수 기간 내 시행 본원 채용사이트 오프라인 접수 및 인적성 검사 2025.01.22.( 수 ), 01.23.( 목 ), 9:00 ~ 17:00 ( 점심시간 12 시 ~13 시 제외 ) 교육수련팀 슬라이드 시험 2025.01.24.( 금 ), 9:00~12:00 원내 ( 추후 공지 ) 면접시험 2025.01.27.( 월 ), 13:00~16:30 원내 ( 추후 공지 ) 합격자 발표 2025.01.31.( 금 ), 12:00 개별 안내 합격자 채용검진 * ( 총 2 회방문 ) 채용검진 2025.02.03.( 월 )~02.07.( 금 ) 중 1일 원내 결과수령 2025.02.07.( 금 )~2.28.( 금 ) 중 1일 합격자 교육 * 술기교육 2025.02.10.( 월 )~02.14.( 금 ) 개인별 상이 , 최대 3 일 참석 예정 추후 공지 전산교육 시뮬레이션교육 CPR 교육 술기테스트 2025.02.17.( 월 ) / 재시험 02.18. 집체교육 2025.02.19.( 수 ) 야간근무자특수검진 2025.02.20.( 목 ), 9:00~13:00 * 합격자 전원 참석 필수 , 내부사정에 의해 일정 변동될 수 있음 4. 배점기준 항목 배점 국가고시성적 40 점 의대성적 20 점 슬라이드 시험 15 점 면접 15 점 영어 1) 5 점 가점 2) 5 점 합계 100 점 1) 영어는 TOEIC, TEPS, TOEFL 시험 성적 중 한 가지 제출 ▸ 점수환산기준 :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제정 점수상관표 기준 ▸ 유효기간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 최근 3 년 이내에 응시한 시험의 성적표만 인정 2) 가점 항목은 아래의 사항을 총 합산하여 최대 5 점 까지 부여 ▸ 의대성적 상위 10% 이내 : 2 점 ▸ SCI 논문 제 1 저자 : 2 점 , 공저 : 1 점 ( 최대 2 점까지 부여 ) => 논 문 표지만 제출 ▸ 동시통역자격증 ( 동시통역대학원 ) 또는 영어 외 외국어 특기증명 ( 시험종별 최고 등급에 한함 ) : 1점 ▸ 비 의학 분야 학위 취득 시 석사 : 1 점 , 박사 : 2 점 ▸ 국가기관에서 받은 포상 , 교내 표창 , 국가공인연구소 연구원 경력 (1 년 이상 경력 ) 각 1 점까지 부여 => 경력증명서 등 증명서류 제출 가능한 경력에 한함 ▸ 사회봉사경력 최대 1 점까지 부여 ※ VMS, 1365 봉사내역 및 기타 봉사기관에서 발급한 공식 문서 전부 인정 ※ 의대 및 의전원 재학기간동안 실시한 봉사활동에 한하여 인정 ※ 단 , 헌혈은 봉사시간으로 인정하지 않음 ( 제출 불필요 ) ▸ 과대표 , 학년대표 , 학년부대표 등 교내활동 최대 1 점까지 부여 ※ 동아리대표 및 부대표는 가점 인정하지 않음 (2024 년 변경사항 ) ※ 단 , 학생부학장 직인 필수 ( 지도교수 직인 불인정 ) * * 본원 교육위원회 방침으로 , 학생부학장 직인이 없는 경우 , 어떤 경우에도 인정하지 않음 ( 서명 불인정 ) ▸ 기타 본원 교육위원회에서 인정하는 사항 5. 제출서류 구분 제출서류번호 비고 공통 제출 서류 ( 필수 ) 1, 2, 3, 6, 7, 8, 18, 19 전체 공통 ( 필수 ) 학부 졸업증명서 4 해당자에 한하여 제출 영어성적 및 가점서류 5, 9 의사면허 기 취득자 16 외국 국적 소지자 17 군 관련 서류 ( 남자만 ) 군필 및 군면제 10 군 전역예정 11 군 미필 ( 의무사관후보생 지원자 ) 12, 13, 14 1) 지원서 및 수험표 - 컴퓨터로 작성 후 인쇄할 것 ( 수기입력 금지 ) - 수험표에 사진 부착 필수 ( 컬러 인쇄본도 가능 ) 2) 자기소개서 ( 본원 양식 참조 / 컴퓨터 작성 후 인쇄 / 수기입력 금지 ) 3) 의대 성적증명서 - 본과 4 년간의 전체 석차를 기입 - 의전원 개설학교의 경우 , 의대와 의전원의 통합석차 제출 (학교 행정실로 문의) - 서울대 2025 년도 졸업예정자는 제출 필요 없음 (이전년도 서울대 졸업자는 제출 필요) - 해외대학의 경우 , 별도 절차를 통하여 진위 확인 예정 4) 학부 졸업증명서 ( 의전원 졸업생의 경우에만 제출 ) 5 ) 영어성적표 (TOEIC, TEPS, TOEFL 중 하나 ) ( 해당자만 제출 , 필수서류 아님 ) - 원서접수 종료일 기준 , 최근 3 년 이내에 응시한 시험의 성적표 원본 제출 6) 위임장 ( 국시성적표 대리 교부용 ) 7)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서 ( 수련환경평가위원회 양식 ) 8) 성범죄 경력조회 및 아동학대 , 장애인 노인학대 관련 범죄전력 조회 동의서 => 전체 자필로만 기재할 것 9) 가점 증명서류 ( 해당자만 제출 ) - 동시통역 자격증 사본 - 영어 외 언어 특기증명 자격증 사본 - 비 의학분야 석사 또는 박사 학위 사본 - 국가기관에서 받은 포상 또는 공인연구소 연구원 경력증명서 ( 사본 제출 시 “ 원본대조필 ” 필수 ) - 사회봉사활동 증빙 ( 봉사활동기관 발행 증명서 , VMS/1365 양식 또는 가점확인서 제출 ) ( 의대 / 의전원 재학기간 활동만 인정하며 , VMS /1365 제출 시 해당 기간으로 조회 ) ( 헌혈 실적의 경우 미인정 ) - 학생회간부 등 증빙 ( 첨부된 가점확인서 양식 참조 ) ( 교내 활동의 경우 학생부학장 날인 필수 ) 10) 주민등록초본 ( 전역자의 경우 , 반드시 병적사항 표기 ) 11) 전역예정증명서 혹은 재직증명서 ( 전역예정일 명기 ) 12) ( 의무사관후보생 지원서류 ) 현역 ㆍ 대체복무지원서 13) ( 의무사관후보생 지원서류 ) 신원진술서 및 개인정보 수집 ㆍ 이용 ㆍ 제공 동의서 14) ( 의무사관후보생 지원서류 ) 기본증명서 ( 상세 ) , 신용정보조회서 각 1 부 ※ 기본증명서 : 주민센터 , 인터넷 (http://efamily.scourt.go.kr/index.jsp) 등에서 발급 ※ 신용정보조회서 : 한국신용정보원 (http://www.kcredit.or.kr/index.jsp) 또는 Nice 신용평가정보 (https://www.credit.co.kr) 등에서 발급가능 15) 의무사관후보생 미편입 사유서 ( 담당자와 면담 후 작성 요망 ) 16) 의사면허증 사본 ( 기 취득자에 한하며 , 취득예정자는 취득 후 제출 ) 17) 외국인 등록증 사본 ( 외국인에 한함 ) 18) 국시 전환성적 발급 수수료 (5,000 원 ) 이체 확인증 19)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서 ( 본원 양식 ), 결격사유확인서 , 전력조회동의서 각 1 부 6. 지원방법 ▸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접수를 원서접수 기간 내에 모두 완료해야 하며 , ‘ 오프라인 접수 ’ 를 최종지원 기준으로 함 ▸ 온라인 접수 : 채용공고 상단의 ‘ 지원서 작성 ’ 을 클릭 후 , 작성 ▸ 오프라인 접수 : 제출 서류 구비 후 , 방문 접수 - 접수장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194 현대그룹빌딩 서관 7 층 회의실 ( 건물 정문으로 들어와 출입증 게이트 뒤편 화물 엘리베이터 이용 ) - 서류 대리 제출은 가능하지만 , 인성검사는 본인 직접 시행 필요하므로 접수기간내에 1 회는 방문 필수 7. 합격자 사정원칙 ▸ 정원 범위 내에서 총 성적순으로 선발함 ▸ 총 성적이 동점일 경우 면접점수 , 의대성적 순으로 선발함 ▸ 응시자가 정원에 미달되더라도 수련능력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100 점 만점 중 60 점 미만 득점자 또는 전체 지원자 성적 순위의 하위 5% 이내에 속하는 자 등 ) 불합격 처리할 수 있음 ▸ 기타 세부사정원칙은 본원 교육위원회에서 결정함 ▸ 최종 합격여부는 본원 교육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함 8. 신체검사 ▸ 합격자는 서울대학교병원 ( 본원 ) 에서 신체검사를 받아야 하며 , 타 병원에서 신체검사를 받는 경우 , 공무원 채용 신체검사 기준 및 특정 기준을 충족하여야 함 ▸ 신체검사 결과 불합격자는 합격을 취소함 ▸ 본원에서 신체검사 받는 경우에 한하여 검사비용을 면제함 9. 국시전환성적 발급 수수료 : 5,000 원 ▸ 입금계좌 : ( 신한 )100-012-697307, 예금주 : 서울대학교병원 ※ 반드시 지원자 성명으로 입금 후 , 지원서 제출 시 이체확인증 제출 필수 10. 기타사항 ▸ 채용절차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 제출한 서류는 채용 여부 확정일로부터 14 일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 기타 문의사항은 본원 교육수련팀 문의 (02-2072-4738) 2025. 1. 7. 서 울 대 학 교 병 원 장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94% 2025.01.17

2025년도 1차 진료교수요원 채용 공고 “탁월함 그 이상으로(Beyond Excellence)”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진료교수요원을 아래와 같이 초빙합니다. 1. 채용분야 및 응시자격 1.채용분야 및 응시자격 부서 세부분야 채용인원 필요자격 비고 호흡기내과 비결핵항상균폐질환자 등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순환기내과 부정맥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소화기내과 간 2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소화기내과 췌담도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혈액종양내과 혈액 3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혈액종양내과 종양 2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내분비대사내과 당뇨, 고지혈증 등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신장내과 만성콩팥병 등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위장관외과 위장관 2 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대장항문외과 대장항문 1 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유방내분비외과 내분비 1 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소아외과 소아 1 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심장혈관흉부외과 일반흉부 1 심장혈관흉부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심장혈관흉부외과 소아심장 1 심장혈관흉부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신경외과 척추 1 신경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신경외과 소아 1 신경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정형외과 소아 1 정형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성형외과 재건성형 3 성형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산부인과 모체태아의학 1 산부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산부인과 부인종양학 1 산부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산부인과 생식내분비학 1 산부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산부인과 공통 3 산부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안과 각막 1 안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안과 소아 1 안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이비인후과 이과 1 이비인후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이비인후과 비과 1 이비인후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신경과 뇌졸중 1 신경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신경과 근신경계 2 신경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신경과 두통 2 신경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신경과 이상운동질환 2 신경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신경과 뇌전증 2 신경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정신건강의학과 기분장애 1 정신건강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마취통증의학과 마취 4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마취통증의학과 통증 2 마취통증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가정의학과 건강증진 1 가정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건강증진센터 산부인과 1 산부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건강증진센터 영상의학과 1 영상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임상약리학과 약물맞춤요법 1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자 1. 의사면허 소지자 2. 임상약리학 인정의 자격증 소지자 3. 의학박사 학위 소지자 권역응급의료센터 신경과 1 신경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권역응급의료센터 응급의학과 1 응급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응급의학과 응급의료체계 1 응급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응급의학과 응급중환자의학 1 응급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영상의학과 소아 1 영상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영상의학과 소아 및 흉부 1 영상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영상의학과 유방 1 영상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영상의학과 흉부 1 영상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영상의학과 신경두경부 1 영상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진단검사의학과 임상화학 1 진단검사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진단검사의학과 분자진단 2 진단검사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재활의학과 뇌신경 1 재활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재활의학과 근골격 1 재활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재활의학과 소아, 중환자 1 재활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중환자의학과 호흡기내과 3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중환자의학과 순환기내과 2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중환자의학과 외과 1 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중환자의학과 심장혈관흉부외과 1 심장혈관흉부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중환자의학과 신경과 1 신경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완화의료 1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약물안전센터 약물이상반응관리 1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입원의학센터 내과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입원의학센터 외과 3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자 1. 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2. 가정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3.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입원의학센터 외과(소아외과) 1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자 1. 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2. 소아청소년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3. 가정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입원의학센터 심장혈관흉부외과 1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자 1. 심장혈관흉부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2.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3. 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4. 가정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5. 응급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6. 중환자의학과 세부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입원의학센터 신경외과 2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자 1. 신경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2. 신경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3.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4. 가정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5. 소아청소년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6. 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7. 심장혈관흉부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입원의학센터 정형외과 1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자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2. 가정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3. 신경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4. 정형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5. 재활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입원의학센터 성형외과 1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입원의학센터 산부인과 1 아래 조건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자 1. 산부인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2. 가정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입원의학센터 응급의학과 1 응급의학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입원의학센터 소아청소년과(신경) 1 소아청소년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소아청소년과 감염 1 소아청소년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소아청소년과 소화기영양 1 소아청소년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소아청소년과 중환자 1 소아청소년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소아암희귀질환지원사업단 공동연구사업부 1 소아청소년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외부재원 중증소아단기의료돌봄센터 중증소아단기의료돌봄센터 1 소아청소년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강남센터 소화기내과 1 내과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합계 99 2. 제출서류 가. 공개채용응시원서 (본원 소정양식) 1부. 나. 자기소개서 1부. 다. 교육, 연구 및 진료계획서 각 1부. ※ 위 [가], [나], [다]는 서류제출과 별도로 마감일 이전에 한글 파일을 e-mail : 02796@snuh.org 로 송부 요망 라. 졸업증명서(대학 및 대학원) 각 1부. 마. 의사면허증, 전문의자격증, 세부분과자격증 사본(해당자에 한함) 각1부. 바. 경력증명서(응시원서에 기재된 모든 경력) 각1부. 사. 병적기록이 있는 주민등록초본 또는 병적증명서(남성에 한함) 1부. 아.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서 1부. ※ 서류 제출 시 주의사항 ‧ 경력증명서 등 제출 시, 생년월일, 사진 등 개인정보가 포함되는 항목은 펜, 수정테이프 등으로 지운 후 제출 ‧ 근무기관 폐업 등의 사유로 경력증명서 발급이 어려운 경우, 국민연금가입증명서(또는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등으로 제출 가능 3. 서류제출기간 및 제출장소 가. 서류제출기간 : 2024. 12. 23.(월) 09:00 ~ 12. 30.(월) 18:00 나. 서류접수시간 : 09:00 ~ 18:00 (점심시간 12:00~13:00 제외, 주말·공휴일 제외) 다. 서류제출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인사팀(☏02-2072-4928) - (우편)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서울대학교병원 인사팀 - (방문)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194 현대그룹빌딩 서관 7층 인사팀 4. 합격자발표 : 개별통보 5. 기타 가. 임용예정일 및 계약기간은 진료과별 상이함. 나. 임용예정일에 임용이 불가능한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될 수 있음. 다. 기타 본 공고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본원 관련규정을 적용함. 라. 우편접수는 마감일 마감시간까지 도착분에 한함. 마. 제출서류는 원본을 제출하여야 하며 부득이 사본을 제출할 경우에는 원본과 대조 후 도장을 날인하여 제출하고 외국어로 발급된 증명서는 번역문을 첨부(영어제외)하여야 함. 추후 필요한 경우 병원에서 대조할 수 있어야 함. 바. 추천서 제출 가능.(자유양식) 단, 출신학교, 출신지역, 가족관계, 연령 등 블라인드 항목에 대한 내용 기재 금지. 사. 2개 이상의 채용분야에 중복 지원할 수 없으며, 중복지원 시 접수를 무효로 함. 아. 적임자가 없을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음. 자. 최종합격 이후라도 신원조사 및 추가관련 조사에서 부적격으로 판단될 경우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차. 졸업증명서 등의 서류는 직무수행을 위한 응모 자격요건 확인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며, 학교명 등의 정보는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카. 의사 면허 및 전문의 자격 등의 서류는 직무수행을 위한 응모 자격요건 확인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며,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타.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일 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파. 외부재원의 경우, 해당 사업 종료를 사유로 계약이 종료될 수 있음. ※ 보관기간이 경과한 증빙서류는 모두 파기 예정이며, 최종합격 후 임용된 자에 대해서는 서류를 반환하지 않음. 2024. 12. 23. 서울대학교병원장. 끝.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94% 2024.12.23

“2024년도 서울대학교병원 간호직 채용 4차 최종면접 합격자 발표 및 5차 신체검사 전형 일정을 다음과 같이 공지합니다.” 1. (4차) 최종면접 합격자 합격자 조회 2. (5차) 신체검사 안내 가. 대상 : 최종면접 합격자 나. 일시 : 2024.12.26.(목) ~ 12.30.(월) 다. 장소 : 아래 집결장소 및 교통편 참고 라. 상세일정 일 자 집결시간 응시대상 ( 수험번호 ) 집결장소 비고 2024.12.26.( 목 ) 09:30 1001~1011 서울대학교병원 인사팀 (현대그룹빌딩 서관 7 층 ) 집결시간 10 분 전까지 도착 요망 09:45 1012~1028 10:00 1029~1050 10:15 1051~1063 10:30 1064~1076 14:00 1077~1245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 (CMI) 1 층 서성환연구홀 2024.12.27.( 금 ) 10:00 1246~1438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 (CMI) 1 층 서성환연구홀 13:30 1439~1615 2024.12.30.( 월 ) 10:00 1616~1803 서울대학교병원 융합의학기술원 15 층 스마트교육센터 ※ 집결장소 약도 : 아래 교통편 안내 참고 ※ 상기 일정은 진행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마. 교통편 안내 구 분 내 용 비 고 서울대학교병원 인사팀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194 [ 바로가기 ]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 (CMI)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71 [ 바로가기 ] - 서울대학교병원 융합의학기술원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214 [ 바로가기 ] - 바. 비고 - 집결시간 10분 전 도착 요망 - 당일 금식 불요, 약 1시간 소요 예정 -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유효기간 내 여권) 지참 , 편안한 복장으로 집결 - 신체검사 미수검자 또는 불합격자는 합격이 취소되며, 재검대상자는 재검결과에 따라 최종합격 여부를 개별 통지함 ※ 신체검사 사전 환자번호 생성 및 통보 안내 최종면접 합격자께서는 2024.12.23.(월 ) 18:00 까지 병원 홈페이지 회원가입을 완 료 해주시고 수험번호 , 성함 , 주민등록번호 , 휴대전화 연락처 ( 가입 시 기입한 번호 ), 환자번호 ( 로그인 후 [ 진료이력조회 ] 탭에서 확인 가능 ) 정보를 아래의 웹페이지 링크로 접속하여 제출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웹페이지 링크 : [바로가기] ※ 원활한 신체검사 진행을 위하여 회원가입 시 본인 생년월일 및 휴대전화 연락처를 정확하게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 병원홈페이지 회원가입 안내 : [바로가기] ※ 불가피한 상황 외 여행 등의 개인 일정으로 인한 신체검사 일정 변경은 불가능하오니 이와 관련한 문의는 자제 부탁드립니다. 3. 임용후보자 등록 가. 등록서류 : 신체검사 집결 시 교부 및 안내 예정 나. 등록기간 : 2025.01.01.(수) ~ 2025.01.31.(금) 다. 등록방법 : 인사팀 방문 라. 등록처 : 서울대학교병원 현대그룹빌딩 서관 7층 인사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194) [바로가기] 마. 비고 - 임용후보자 등록서류는 신체검사 집결 시 교부 및 안내 예정이며, 신체검사 결과확인 이후 인사팀 방문 제출 - 임용후보자로 등록하지 않을 경우 최종합격을 취소함 - 임용후보자 등록 유효기간은 등록마감일로부터 1년까지이며, 병원이 필요한 경우 1년에 한하여 연장될 수 있음 - 상기 일정은 진행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4. 비 고 ◎ 최종면접 합격자가 신체검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은 경우 또는 최종합격자가 임용후보자 등록을 포기하는 경우 등에는 내부기준에 의거 예비합격자를 최종합격자로 선발할 수 있습니다. (예비합격자는 개별 통보 예정) ◎ 합격자 발표 등에 이의가 있는 경우, 첨부된 이의신청서 양식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2025.01.31.까지 도착한 이의신청에 한해 유효) ◎ 최종면접 불합격자의 경우, 14일 이내 제출서류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채용서류 반환청구서 별첨)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인사팀 (02-2072-2715,3211)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2024. 12. 20. 서울대학교병원장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96% 2024.12.20
병원소개 (1277)
[병원뉴스]서울대병원, '마인드더쉼센터' 개소...정신건강 비약물치료 확대

- 서울대병원-좋은책신사고, 마인드더쉼 비약물치료센터 기부금 사업 협약 추진- 1단계 정신건강 비약물치료 프로그램 20여개 개발 완료, 2단계 통해 프로그램 확대 예정 [사진] 서울대병원 마인드더쉼센터 [사진] 서울대병원 마인드더쉼센터 [이미지] 운영 프로그램 서울대병원(병원장 김영태)은 ㈜좋은책신사고(대표 홍범준)와 협력하여 마인드더쉼센터를 2023년 개소 후 본격 운영 중에 있다고 10일 밝혔다. 마인드더쉼센터는 정신건강을 위한 비약물치료 서비스 개발 및 보급을 목표로 하며, 정신건강 문제 해결에 기여할 비약물치료 옵션을 확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서울대병원은 이를 통해 환자들에게 약물치료 외에도 맞춤형 치료 방법을 제공하며, 정신건강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마인드더쉼센터 개소는 2022년부터 시작된 마인드더쉼 통합치료센터 기부금 사업의 일환으로, 1단계(2022~2024년) 사업 동안 총 30억원의 기부금이 투입됐다. 2단계 사업(2025~2027년)도 동일한 규모의 기부금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이 사업은 정신건강 서비스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근거기반 비약물치료 프로그램들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 서울대병원은 이를 통해 비약물치료가 약물에 의존하지 않고도 정신건강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임을 입증하고, 환자들의 예방 및 회복을 동시에 지원하고자 한다. 1단계 사업을 통해 서울대병원은 약 20여 가지의 비약물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다양한 정신건강 증상과 진단군에 맞춘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고 있다. 제공되는 프로그램은 ▲생활습관 개선 ▲약물 관리 ▲수면 건강 증진 ▲불안 및 트라우마 ▲몸-마음 치료 ▲암 및 중증질환자 심리지원 ▲소아청소년 정신건강 ▲뇌 건강 클리닉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며, 환자의 정신적 안정과 회복을 중점적으로 돕는다. 특히, 기분장애 환자들을 위한 4가지 생활습관 관련 프로그램(행동활성화, 수면 및 신체활동, 영양 및 체중조절, 마음봄봄)이 제공되며, 약물 복용 및 부작용 프로그램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수면 건강 증진 프로그램은 불면증, 일주기리듬장애, 악몽장애 등을 다루며, 불안 및 트라우마 프로그램은 신체 및 정서 조절, 기억 다루기, 동기 증진 등을 통해 불안과 스트레스 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외에도 서울대병원은 마음챙김 인지치료(MBCT), 암 및 중증질환자 심리지원, 건강한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뇌 건강 및 치매 위험도 평가 등을 통해 정신건강 회복을 돕고 있으며, 각 프로그램은 환자 맞춤형 치료로 큰 효과를 보고 있다. 현재까지 약 400여명의 환자가 마인드더쉼센터에서 운영 중인 프로그램에 참여 하였으며, 치료 후 긍정적인 개선 효과를 보고하고 있다. 이는 비약물치료의 효과와 가능성을 더욱 입증하는 중요한 사례로, 앞으로도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계속 확장될 예정이다. 2단계 사업에서는 1단계에서 개발된 비약물치료 프로그램 모듈의 다양성을 더욱 확대하고, 비약물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도 개발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비약물치료가 더 넓은 질환군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 정신건강 분야에서 혁신적인 치료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안용민 센터장(정신건강의학과장)은 정신건강 치료는 더욱 포괄적이고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변화해야 한다며 마인드더쉼센터는 환자들에게 다양한 치료 방법을 제공하고, 비약물치료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계속해서 발전시켜 정신건강 관리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4% 2025.01.10
[병원뉴스]서울대병원-순천향대서울병원, 뇌 스파르가눔증 치료 증례 보고

- 희귀 기생충 감염으로 인한 뇌 염증성 병변, 정확한 진단과 수술로 제거- MRI에서 종양으로 오인된 스파르가눔증, 신속한 검사로 원인 규명 최근 국내 연구팀이 스파르가눔증(Sparganosis) 기생충 감염으로 발생한 드문 뇌 염증성 병변 치료 증례를 발표하며, 기생충 감염의 조기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연구팀은 스파르가눔증 유충이 뇌로 이동하며 발생한 질환을 정밀 검사로 진단하고, 수술로 성공적으로 제거한 사례를 학계에 보고했다.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와 순천향대서울병원 신경외과 박혜란 교수 공동 연구팀은 스파르가눔증 기생충 감염으로 서울대병원에 내원한 40대 여성 환자의 병변을 정밀하게 진단하고 개두술을 통해 살아 있는 기생충을 성공적으로 제거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스파르가눔증은 유충이 체내에 침투해 혈류를 통해 뇌로 이동하며 발생하는 드문 기생충 감염 질환이다. 감염은 주로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익히지 않은 야생 동물의 고기 또는 생선을 섭취했을 때 발생하며, 드물게 피부 상처를 통해 전파되기도 한다. 감염된 기생충이 뇌로 이동하면 두통과 구토 같은 초기 증상이 나타나며, 시간이 지나면서 발작, 시야 결손, 감각 이상 등 심각한 신경학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병원에 내원한 40대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환자는 심한 두통과 구토 증세로 병원을 방문했으며, 초기 뇌 MRI에서 좌측 후두엽에 불규칙하게 조영된 종양성 병변이 발견되어 뇌종양이 의심됐다. 의료진은 수술을 권유했지만, 환자는 증상이 일시적으로 호전되자 치료를 거부하고 퇴원했다. 7개월 후, 환자는 다시 극심한 두통과 전신 발작으로 병원을 방문했다. 후속 MRI에서 병변이 좌측 후두엽에서 좌측 두정엽으로 이동한 것이 확인됐고, 이 병변 이동은 스파르가눔증의 대표적인 진단 단서가 됐다. 환자는 과거 오염된 연못물을 마시고, 날 생선 및 익히지 않은 야생 동물 고기를 섭취한 이력이 있어 의료진은 기생충 감염을 염두에 두고 ELISA 검사와 정위적 생검을 시행했다. [그림] (A) 초기 뇌 MRI에서 좌측 후두엽에 조영증강된 종괴가 관찰됨 (B) 3개월 뒤 시행한 뇌 MRI에서 좌측 후두엽의 종괴가 사라짐 (C) 8개월 뒤 시행한 뇌 MRI에서 좌측 두정엽에 새롭게 조영증강된 종괴가 발견됨 (D) 좌측 두정엽 종괴 주변에 심한 뇌부종이 동반된 모습이 확인됨 그 결과, ELISA 검사와 뇌척수액(CSF) 검사에서 스파르가눔증 항체가 검출됐으며, 정위적 생검에서는 염증성 육아종이 확인됐다. 이후 개두술을 통해 살아있는 스파르가눔증 유충을 성공적으로 제거했다. 수술 과정에서 기생충이 살아 움직이는 모습은 영상으로 기록됐다.(영상 첨부) 연구팀은 이번 사례가 스파르가눔증 감염이 MRI에서 종양처럼 보일 수 있음을 보여주며, 기생충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서울대병원 백선하 교수(신경외과)는 스파르가눔증 증상은 매우 드문 기생충 감염 질환이지만, 오염된 물이나 제대로 익히지 않은 음식을 섭취했을 때 발생할 수 있다며 특히 영상 검사에서 병변이 이동하는 경우 기생충 감염 가능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오염된 물을 피하고 야생 동물의 고기나 생선을 충분히 익혀 먹는 등 개인 위생 수칙을 지키는 것이 예방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순천향대서울병원 박혜란 교수(신경외과)는 스파르가눔증 감염은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치료가 지연되면 기생충에 의한 신경 손상이 영구적으로 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경고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학회 저널인 Neurology 최근호에 게재됐으며, 기생충 감염의 조기 진단과 치료의 중요성을 알리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순천향대서울병원 신경외과 박혜란 교수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4% 2024.12.30
[병원뉴스]대사이상 지방간질환 유래 간세포암, 멀티바이오틱스로 렌바티닙 내성 극복

- 서울대병원-서울의대, 멀티바이오틱스로 렌바티닙 반응성 향상 및 간세포암 치료 가능성 제시- 멀티바이오틱스, 렌바티닙 내성 극복 및 항암 효과 향상...간암 보조 치료 가능성 확인 최근 국내 연구팀이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유래 간세포암 오가노이드에서 렌바티닙 내성 기전을 확인하고, 멀티바이오틱스가 내성을 극복하며 항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멀티바이오틱스가 간암 치료에서 보조 치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며, 향후 간암 치료에 새로운 길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유수종 교수(박제연 임상강사, 노효진 연구원)와 서울의대 암연구소 구자록 교수(김수민정나현이자오 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마우스 모델을 사용해 간세포암으로 진행되는 과정을 연구하고, 멀티바이오틱스가 렌바티닙의 항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간암은 전 세계적으로 암 관련 사망률 3위에 해당하는 치명적인 질환으로, 간세포암(HCC)이 약 90%를 차지한다. 간세포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급부상한 대사이상 지방간질환(MASLD)은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간에 지방이 축적되고 염증이 발생해 간세포가 손상되는 질환이다. 이 질환이 장기적으로 진행되면 간세포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데, 특히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자들에서 간세포암 발생률이 높다. 현재 렌바티닙은 간세포암 치료에 사용되는 1차 표적치료제이지만, 많은 환자들이 렌바티닙에 내성을 보이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멀티바이오틱스가 렌바티닙의 내성을 극복하고 항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평가했다. 연구팀은 고지방식이(CDAHFD)를 30주 동안 투여하여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마우스 모델을 구축하고, 대조군과 실험군을 비교했다. 실험군에는 고지방식이와 함께 비만 완화 및 염증 조절 효과가 있는 멀티바이오틱스를 추가로 투여했다. 멀티바이오틱스는 콩 단백질을 발효한 제품으로, 김치 및 유산균을 사용해 발효된 후 동결 건조된 형태로 보존되며, 12종의 유산균을 포함하고 있다. 이후 양 군에서 유래한 간 세포 조직을 사용해 간세포암 오가노이드*를 성공적으로 생성하고, 렌바티닙을 처리하여 항암 효과를 비교했다.*간세포암 오가노이드: 간 세포의 특성을 모사한 실험모델로, 간암의 진행과 치료 반응 연구하는 데 활용됨 [그림] A.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마우스 유래 간세포암 오가노이드 형태 비교: 대조군(위)과 멀티바이오틱스 추가 실험군(아래)의 형태는 유의미한 변화 없음 B. 간세포암 결절 수: 실험군(Biotics)과 대조군(PC) 간의 결절 수에 유의미한 차이 없었음 C. 약물농도에 따른 렌바티닙 반응성: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렌바티닙에 더 잘 반응해, 더 낮은 농도에서도 효과적으로 작용함 D. 발현 유전자 차이: 실험군에서 KRAS 신호 전달, 염증 반응, EMT 경로가 활성화되어 약물 반응성에 영향을 미쳤음 그 결과, 멀티바이오틱스를 추가한 실험군에서 렌바티닙은 대조군보다 낮은 농도에서도 효과적으로 작용했으며, 렌바티닙의 항암 효과가 유의미하게 향상됐다. 대조군에서는 렌바티닙에 내성이 나타났으나, 멀티바이오틱스를 추가한 실험군에서는 내성이 감소하고 약물 반응성이 크게 개선됐다. 이는 멀티바이오틱스가 렌바티닙의 항암 효과를 향상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간세포암 결절 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종양 억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추가로, 렌바티닙 농도를 증가시키며 약물 민감도를 비교한 결과, 멀티바이오틱스를 추가한 실험군의 오가노이드에서 세포 생존율이 대조군보다 현저히 낮아졌다. 이러한 결과는 멀티바이오틱스가 렌바티닙의 효과를 강화시켜 더 강력한 항암 반응을 유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연구팀은 렌바티닙을 장기간 처리하여 표적치료제 내성 간세포암 오가노이드 모델을 수립한 후, RNA 시퀀싱 분석을 통해 멀티바이오틱스 추가 실험군에서 렌바티닙 반응성과 관련된 1,548개의 차등 발현 유전자(DEGs)를 확인했다. 특히, KRAS 신호 전달, 염증 반응, 상피-중간엽 전이(EMT) 경로가 렌바티닙 내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대사이상 지방간질환이 간세포암으로 진행하면서 표적치료제에 내성을 보이는 주요 기전을 분자적으로 규명한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 서울대병원 유수종 교수(소화기내과)는 이번 연구를 통해 대사이상 지방간질환 유래 간세포암 오가노이드에서 표적치료제 내성 기전을 확인했으며, 멀티바이오틱스를 보조 요법으로 활용해 렌바티닙 내성을 극복하고 항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사진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유수종 교수박제연 임상강사, 서울의대 구자록 교수김수민 연구원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4% 2024.12.12
홈페이지 (714)

“서울대학교병원 2025년도 1월 대체근로자 채용 1차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및 2차 면접전형일정을 다음과 같이 공지합니다.” 1. 1차 서류전형 합격자 합격자 조회 2. 2차 면접전형 일정 가. 집결일시 및 장소 지원분야 집결일시 집결장소 의료사회복지팀 촉탁보건직 2025.1.21.( 화 ) 9:45 융합의학기술원 15 층 대기실 통합케어센터 단시간간호직 10:10 강남센터 촉탁간호직 10:35 강남센터 내시경팀 단시간운영기능직 10:50 강남센터 케어팀 단시간운영기능직 11:05 강남센터 촉탁보건직 11:20 강남센터 헬스팀 단시간운영기능직 11:45 건축과 촉탁기술직 13:10 응급의학과 촉탁보건직 13:25 진단검사의학과 촉탁보건직 14:05 임상시험센터 촉탁연구코디네이터직 15:00 신경과 ( 신경심리검사실 ) 촉탁보건직 15:25 신경과 촉탁보건직 15:40 의공학과 촉탁의공직 16:00 간호부문 촉탁운영기능직 16:35 외과 ( 외래 ) 촉탁간호직 17:00 지원분야 집결일시 집결장소 핵의학과 촉탁보건직 2025.1.22.( 수 ) 12:45 융합의학기술원 15 층 대기실 건축과 ( 소방 ) 촉탁시설지원직 13:10 급식영양과 촉탁운영기능직 13:25 내과 단시간간호직 13:40 내과 촉탁운영기능직 13:55 비상계획과 촉탁운영기능직 14:10 영상의학과 촉탁보건직 14:25 영상의학과 촉탁운영기능직 15:05 원무 2 과 촉탁운영기능직 15:30 원무 1 과 촉탁운영기능직 15:55 전임상실험부 촉탁운영기능직 16:35 총무과 ( 주차관리 ) 촉탁환경유지지원직 16:50 총무과 ( 환경미화 ) 촉탁환경유지지원직 17:05 ※ 원활한 면접진행을 위해 집결일시를 엄수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병원 내 주차가 불가 하오니 , 대중교통을 이용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진행시간 및 장소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로드뷰 길찾기 지도 크게 보기 나. 준비물 수험표 ( 홈페이지에서 출력 ), 신분증 (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유효기간 내 여권 ), 하단 제출서류 다. 제출서류 구분 제출서류 항목 공 통 ① 자격증 및 면허증 사본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② 군 복무 기간 ( 병 , 장교 ) 이 모두 명시된 병적증명서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③ 외부 직업교육 수료증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④ 공인 어학성적표 사본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⑤ 경력증명서 또는 재직증명서 1 부 ( 해당자에 한함 ) ⑥ 취업보호대상자 및 장애인 관련 증명서 1 부 ( 해당자에 한함 ) ☞ 해당 서류 제출 시 관련 법령에 의거 가점 부여 ( 단 , 중복일 경우 유리한 것으로 적용 ) ( 촉탁 ) 일반직 ① 학부 및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1 부 ② 학부 및 최종학교 전 학년 성적증명서 1 부 ☞ 편입자는 편입 전 학교 포함 ③ 의료사회복지팀 의료사회복지사 자격 취득 예정자(2025년)의 경우 취득예정증빙자료(시험합격증 등) 1부 ※ 제출서류가 온라인 지원서 작성 시 입력한 내용과 상이한 경우에는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및 성적증명서 등 제출서류는 입사지원서에 기재한 사항의 진위 여부 확인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되며, 학교명 등의 정보는 면접전형 및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학교명 등의 정보는 수정액 등을 사용하여 식별할 수 없도록 삭제 등 조치하여 제출 가능) ※ 「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 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일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 신체검사는 본원에서 실시하며 , 「 공무원 채용 신체검사 규정 」 및 자체 판정기준에 따라 합격여부를 판정함 ※ 면접전형 합격자가 신체검사 수검 및 임용등록을 병원이 지정한 기간 내에 마치지 않거나 병원이 지정한 임용예정일에 임용이 불가능한 경우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면접전형 합격자가 신체검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은 경우 또는 최종합격자가 인사규정 제19조에 따른 결격사유 등으로 인하여 합격이 취소된 경우 및 임용을 포기하는 경우 등에는 내부기준에 의거 예비합격자를 최종합격자로 선발할 수 있음(예비합격자는 개별 통보 예정) 3. 2차 면접전형 합격자 발표 : 2025.2. 3.(월), 병원 홈페이지 ※ 상기 일정은 진행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4. 문의 : 서울대학교병원 인사팀 ( ☏ 02-2072-2715) 2025. 1. 17. 서울대학교병원장.

채용사이트 > 입사지원 > 채용공고/입사지원
정확도 : 94% 2025.01.17

2025 년도 서울대학교병원 전공의 ( 인턴 ) 선발 공고 1. 선발인원 : 총 164 명 ( 자병원 정원 포함 ) ※ [ 참고 ] : 병원별 선발인원 구분 선발인원 서울대병원 82 명 분당서울대병원 35 명 보라매병원 20 명 국립암센터 23 명 인천의료원 4 명 2. 응시자격 ▸ 국내 의사면허 취득자 또는 2025 년도 취득 예정자 ( 임용일 3.1. 까지 의사면허 발급이 되지 않는 경우 임용취소될 수 있음 ) ▸ 본원 인사규정 제 19 조 ( 결격사유 ) * , 아동 ㆍ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 56 조 및 아동복지법 제 29조 의 3 에 해당되지 않는 자 * 제 19 조 ( 결격사유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직원으로서 채용될 수 없다 . 1. 피성년후견인,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특정후견인 2 .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6 의2.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20.6.15.신설) 6의3. 미성년자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저질러 파면ㆍ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한다)(20.6.15.신설) 가.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나. 「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아동ㆍ청소년대상 성범죄 7. 병역의무자로서 병역기피를 한 자 8. 징계처분에 의하여 해임된 자로서 5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 (17.1.20.삭제) 10.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제82조에 따른 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자(17.12.28.신설) 11. 채용 관련 부정합격자로서 면직 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18.6.1.신설) ▷ 아동 ·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 56 조 및 아동복지법 제 29 조의 3 에 해당되지 않는 자 ▷ 노인복지법 제 39 조의 17 및 장애인복지법 제 59 조의 3 에 해당되지 않는 자 ▸ 「 전문의 수련 및 자격 인정 등에 관한 규정 」 제 14 조 ( 전공의의 의료기관 개설 등 금지 ) 에 위배되지 않는자만 지원 가능함 ▸ 남성의 경우 병역 의무를 이행 ( 또는 예정 ) 하였거나 면제된 자 - 일반사병 전역인 경우 2025.3.1. 이전 전역자만 지원 가능함 - 병역 이행 예정자 (1997.1.1. 이후 출생자 ) 는 의무사관후보생으로 편입해야 지원 가능 ※ 복수국적자의 경우 , 의무사관후보생 지원 불가 ▸ 병역 이행 예정자 중 1997 년 이전 출생자는 지원 불가능하나 ( 사유 : 군징집 ), 병역 연기사유가 있는 자로서 1 년간 (2025.3.1. ~ 2026.2.28.) 인턴 과정을 수료할 수 있는 경우에는 지원 가능함 ( 「 의무사관후보생 미편입 사유서 」 제출 필요 ) ▸ 국외 영주권을 가진 자는 「 의무사관후보생 미편입 사유서 」 제출 후 , 1 년간 (2025.3.1. ~ 2026.2.28.) 인턴 수련이 가능한 자에 한하여 지원 가능함 ▸ 복수국적을 소지하고 병역의무 미이행한 남자의 경우 , 인턴 지원 불가 ( 사유 : 군 징집 ) ※ 문의 : 병무청 현역입영과 (042-481-2737) 3. 선발일정 구분 일정 장소 온라인 접수 오프라인 접수 기간 내 시행 본원 채용사이트 오프라인 접수 및 인적성 검사 2025.01.22.( 수 ), 01.23.( 목 ), 9:00 ~ 17:00 ( 점심시간 12 시 ~13 시 제외 ) 교육수련팀 슬라이드 시험 2025.01.24.( 금 ), 9:00~12:00 원내 ( 추후 공지 ) 면접시험 2025.01.27.( 월 ), 13:00~16:30 원내 ( 추후 공지 ) 합격자 발표 2025.01.31.( 금 ), 12:00 개별 안내 합격자 채용검진 * ( 총 2 회방문 ) 채용검진 2025.02.03.( 월 )~02.07.( 금 ) 중 1일 원내 결과수령 2025.02.07.( 금 )~2.28.( 금 ) 중 1일 합격자 교육 * 술기교육 2025.02.10.( 월 )~02.14.( 금 ) 개인별 상이 , 최대 3 일 참석 예정 추후 공지 전산교육 시뮬레이션교육 CPR 교육 술기테스트 2025.02.17.( 월 ) / 재시험 02.18. 집체교육 2025.02.19.( 수 ) 야간근무자특수검진 2025.02.20.( 목 ), 9:00~13:00 * 합격자 전원 참석 필수 , 내부사정에 의해 일정 변동될 수 있음 4. 배점기준 항목 배점 국가고시성적 40 점 의대성적 20 점 슬라이드 시험 15 점 면접 15 점 영어 1) 5 점 가점 2) 5 점 합계 100 점 1) 영어는 TOEIC, TEPS, TOEFL 시험 성적 중 한 가지 제출 ▸ 점수환산기준 :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제정 점수상관표 기준 ▸ 유효기간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 최근 3 년 이내에 응시한 시험의 성적표만 인정 2) 가점 항목은 아래의 사항을 총 합산하여 최대 5 점 까지 부여 ▸ 의대성적 상위 10% 이내 : 2 점 ▸ SCI 논문 제 1 저자 : 2 점 , 공저 : 1 점 ( 최대 2 점까지 부여 ) => 논 문 표지만 제출 ▸ 동시통역자격증 ( 동시통역대학원 ) 또는 영어 외 외국어 특기증명 ( 시험종별 최고 등급에 한함 ) : 1점 ▸ 비 의학 분야 학위 취득 시 석사 : 1 점 , 박사 : 2 점 ▸ 국가기관에서 받은 포상 , 교내 표창 , 국가공인연구소 연구원 경력 (1 년 이상 경력 ) 각 1 점까지 부여 => 경력증명서 등 증명서류 제출 가능한 경력에 한함 ▸ 사회봉사경력 최대 1 점까지 부여 ※ VMS, 1365 봉사내역 및 기타 봉사기관에서 발급한 공식 문서 전부 인정 ※ 의대 및 의전원 재학기간동안 실시한 봉사활동에 한하여 인정 ※ 단 , 헌혈은 봉사시간으로 인정하지 않음 ( 제출 불필요 ) ▸ 과대표 , 학년대표 , 학년부대표 등 교내활동 최대 1 점까지 부여 ※ 동아리대표 및 부대표는 가점 인정하지 않음 (2024 년 변경사항 ) ※ 단 , 학생부학장 직인 필수 ( 지도교수 직인 불인정 ) * * 본원 교육위원회 방침으로 , 학생부학장 직인이 없는 경우 , 어떤 경우에도 인정하지 않음 ( 서명 불인정 ) ▸ 기타 본원 교육위원회에서 인정하는 사항 5. 제출서류 구분 제출서류번호 비고 공통 제출 서류 ( 필수 ) 1, 2, 3, 6, 7, 8, 18, 19 전체 공통 ( 필수 ) 학부 졸업증명서 4 해당자에 한하여 제출 영어성적 및 가점서류 5, 9 의사면허 기 취득자 16 외국 국적 소지자 17 군 관련 서류 ( 남자만 ) 군필 및 군면제 10 군 전역예정 11 군 미필 ( 의무사관후보생 지원자 ) 12, 13, 14 1) 지원서 및 수험표 - 컴퓨터로 작성 후 인쇄할 것 ( 수기입력 금지 ) - 수험표에 사진 부착 필수 ( 컬러 인쇄본도 가능 ) 2) 자기소개서 ( 본원 양식 참조 / 컴퓨터 작성 후 인쇄 / 수기입력 금지 ) 3) 의대 성적증명서 - 본과 4 년간의 전체 석차를 기입 - 의전원 개설학교의 경우 , 의대와 의전원의 통합석차 제출 (학교 행정실로 문의) - 서울대 2025 년도 졸업예정자는 제출 필요 없음 (이전년도 서울대 졸업자는 제출 필요) - 해외대학의 경우 , 별도 절차를 통하여 진위 확인 예정 4) 학부 졸업증명서 ( 의전원 졸업생의 경우에만 제출 ) 5 ) 영어성적표 (TOEIC, TEPS, TOEFL 중 하나 ) ( 해당자만 제출 , 필수서류 아님 ) - 원서접수 종료일 기준 , 최근 3 년 이내에 응시한 시험의 성적표 원본 제출 6) 위임장 ( 국시성적표 대리 교부용 ) 7)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서 ( 수련환경평가위원회 양식 ) 8) 성범죄 경력조회 및 아동학대 , 장애인 노인학대 관련 범죄전력 조회 동의서 => 전체 자필로만 기재할 것 9) 가점 증명서류 ( 해당자만 제출 ) - 동시통역 자격증 사본 - 영어 외 언어 특기증명 자격증 사본 - 비 의학분야 석사 또는 박사 학위 사본 - 국가기관에서 받은 포상 또는 공인연구소 연구원 경력증명서 ( 사본 제출 시 “ 원본대조필 ” 필수 ) - 사회봉사활동 증빙 ( 봉사활동기관 발행 증명서 , VMS/1365 양식 또는 가점확인서 제출 ) ( 의대 / 의전원 재학기간 활동만 인정하며 , VMS /1365 제출 시 해당 기간으로 조회 ) ( 헌혈 실적의 경우 미인정 ) - 학생회간부 등 증빙 ( 첨부된 가점확인서 양식 참조 ) ( 교내 활동의 경우 학생부학장 날인 필수 ) 10) 주민등록초본 ( 전역자의 경우 , 반드시 병적사항 표기 ) 11) 전역예정증명서 혹은 재직증명서 ( 전역예정일 명기 ) 12) ( 의무사관후보생 지원서류 ) 현역 ㆍ 대체복무지원서 13) ( 의무사관후보생 지원서류 ) 신원진술서 및 개인정보 수집 ㆍ 이용 ㆍ 제공 동의서 14) ( 의무사관후보생 지원서류 ) 기본증명서 ( 상세 ) , 신용정보조회서 각 1 부 ※ 기본증명서 : 주민센터 , 인터넷 (http://efamily.scourt.go.kr/index.jsp) 등에서 발급 ※ 신용정보조회서 : 한국신용정보원 (http://www.kcredit.or.kr/index.jsp) 또는 Nice 신용평가정보 (https://www.credit.co.kr) 등에서 발급가능 15) 의무사관후보생 미편입 사유서 ( 담당자와 면담 후 작성 요망 ) 16) 의사면허증 사본 ( 기 취득자에 한하며 , 취득예정자는 취득 후 제출 ) 17) 외국인 등록증 사본 ( 외국인에 한함 ) 18) 국시 전환성적 발급 수수료 (5,000 원 ) 이체 확인증 19)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서 ( 본원 양식 ), 결격사유확인서 , 전력조회동의서 각 1 부 6. 지원방법 ▸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접수를 원서접수 기간 내에 모두 완료해야 하며 , ‘ 오프라인 접수 ’ 를 최종지원 기준으로 함 ▸ 온라인 접수 : 채용공고 상단의 ‘ 지원서 작성 ’ 을 클릭 후 , 작성 ▸ 오프라인 접수 : 제출 서류 구비 후 , 방문 접수 - 접수장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194 현대그룹빌딩 서관 7 층 회의실 ( 건물 정문으로 들어와 출입증 게이트 뒤편 화물 엘리베이터 이용 ) - 서류 대리 제출은 가능하지만 , 인성검사는 본인 직접 시행 필요하므로 접수기간내에 1 회는 방문 필수 7. 합격자 사정원칙 ▸ 정원 범위 내에서 총 성적순으로 선발함 ▸ 총 성적이 동점일 경우 면접점수 , 의대성적 순으로 선발함 ▸ 응시자가 정원에 미달되더라도 수련능력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100 점 만점 중 60 점 미만 득점자 또는 전체 지원자 성적 순위의 하위 5% 이내에 속하는 자 등 ) 불합격 처리할 수 있음 ▸ 기타 세부사정원칙은 본원 교육위원회에서 결정함 ▸ 최종 합격여부는 본원 교육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함 8. 신체검사 ▸ 합격자는 서울대학교병원 ( 본원 ) 에서 신체검사를 받아야 하며 , 타 병원에서 신체검사를 받는 경우 , 공무원 채용 신체검사 기준 및 특정 기준을 충족하여야 함 ▸ 신체검사 결과 불합격자는 합격을 취소함 ▸ 본원에서 신체검사 받는 경우에 한하여 검사비용을 면제함 9. 국시전환성적 발급 수수료 : 5,000 원 ▸ 입금계좌 : ( 신한 )100-012-697307, 예금주 : 서울대학교병원 ※ 반드시 지원자 성명으로 입금 후 , 지원서 제출 시 이체확인증 제출 필수 10. 기타사항 ▸ 채용절차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 제출한 서류는 채용 여부 확정일로부터 14 일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 기타 문의사항은 본원 교육수련팀 문의 (02-2072-4738) 2025. 1. 7. 서 울 대 학 교 병 원 장

채용사이트 > 입사지원 > 채용공고/입사지원
정확도 : 94% 2025.01.17

에프리손에 의한 과민반응 사례 약물안전센터/지역의약품안전센터 20 대 남성으로 etodolac, eperisone, rebamipide, methylprednisolone, famotidine 을 1 회 복용하였고 , 복용 후 25 분 정도 지나서 몸이 뜨거워지는 느낌과 함께 얼굴 , 입술 , 목이 부었고 몸에 가려움증을 동반한 발진과 두드러기가 발생하여 응급실 내원하여 처치를 받았다 . 당시 감각이 무뎌지는 느낌도 있었고 가슴 답답함도 발생했다 . 1 년 뒤 다른 병원에서 loxoprofen, acetaminophen, tramadol, eperisone, mosapride 를 1 회 복용하였고 동일하게 얼굴 , 목 , 입술이 부으면서 전신 가려움증을 동반한 발진과 두드러기가 발생하여 원인 약물 파악 및 복용 가능한 약물 확인 위해 알레르기 내과 내원하였다 . 이전 감기약 복용시에는 이상반응이 없었으며 다른 알레르기성 질환 및 음식 알레르기 이력 없다 . 입원하여 약물 경구 유발 시험 진행하였으며 aspirin 200mg 과 400mg 모두 음성 확인되었다 . 이후 eperisone 25mg 경구 유발 시험 진행하였고 , 투약 30 분 이내 후두 부종이 발생하였다 . Eperisone 을 50mg 으로 증량 후 30 분 이내 가려움증 발생하였지만 , 확실한 진단을 위해 한 달 뒤 외래에서 다시 eperisone 경구 유발 검사 시행하였다 . Eperisone 을 재복용한 후 다시 발적과 가려움증 발생하였고 , 이에 따라 앞으로 eperisone 은 회피하기로 하였으며 약물안전카드 발급하였다 . Eperisone 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신경전도를 감소시키고 근육 긴장도를 낮추어 근육을 이완 시켜주는 약이다 . 1,2) 동통성 근육연축과 경직성 마비에 많이 사용되며 3) 진통제와 같이 처방되는 경우가 많아서 약물에 의한 이상반응이 발생할 경우 eperisone 을 원인 약물로 우선 지목하기는 쉽지 않다 . 일반적으로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 (NSAID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들에 대한 과민반응 발생 빈도가 높아서 NSAIDs 에 의한 과민반응으로 평가되는 경우가 많지만 NSAIDs 가 아닌 eperisone 에 의한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도 있다 . 또한 eperisone 과 NSAIDs 모두에 대해 과민반응인 경우도 있어서 반드시 원인 약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특히 eperisone 은 다른 근이완제에 비해 진정 효과가 적어서 국내에서 빈번하게 처방되고 있으며 어지러움 , 오심 , 소화불량과 같은 경증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도 있지만 드물게 eperisone 에 의해 아나필락시스도 보고된 바 있다 . 1,3,5,6) 따라서 epersione 에 의한 과민반응 발생 가능성을 배제하지 말아야 하여 eperisone 이 원인약물로 의심이 될 경우 조심스럽게 피부반응시험과 경구유발검사로 정확한 원인 약제를 확인해야 한다 . 또한 정확한 과거력을 확인하여 안전한 약물을 파악하고 의심 원인 약물에서 배제하는 것이 빠른 진단에 도움이 된다 . 참고문헌 1. Park GY, Sohn JE, Moon MR, et al. Characteristics of adverse drug reactions of central muscle relaxants including eperisone: Analysis of KAERS data. JPERM 2020 ;12:79-84. 2. Korea Pharmaceutical Information Center. Eperisone. February 16 2023. Available from: http://www.health.kr/Menu.PharmReview/_uploadfiles/%EC%97%90%ED%8E%98%EB%A6%AC%EC%86%90(eperisone).pdf . Accessed February 16, 2023. 3. KFDA. Eperisone. February 16 2023. Available from: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198902330 . Accessed February 16, 2023. 4. Gomes ER, Demoly P. Epidemiology of hypersensitivity drug reactions. Curr Opin Allergy Clin Immunol 2005;5:309-16. 5. Kim SH, Lee JC, Kim SH, et al. Anaphylaxis caused by muscle relaxant (eperisone hydrochloride).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3;1:172-5. 6. Kang DY, Lee J, Sohn KH, et al. A case series of eperisone-induced immediate hypersensitivity.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7;5:228-31.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안전센터 > 약물이상반응 > 약물이상사례
정확도 : 94% 2025.01.16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