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호중구"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15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진료과/센터/클리닉 (1)
건강정보 (2)

다발골수종은 혈액 내 백혈구의 일종인 형질세포에서 발생하는 혈액암입니다. 정상 형질세포(plasma cell)는 골수에서 만들어지는데, 세균이나 바이러스들과 싸울 수 있는 여러 면역 단백을 생산하며 이를 통해 신체를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면역체계의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형질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분화, 증식하면서 암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혈액암을 다발골수종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형질세포를 골수종세포(myeloma cell)라고 부르며, 손상된 형질세포가 골수에 점차 많은 양의 악성 골수종세포를 만들어 뼈를 약화시켜 통증과 골절을 유발하고, 골수에서 비정상적인 증식을 하여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수치를 감소시켜 빈혈, 감염, 및 출혈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이처럼 신체 여러 부위에 암세포가 증식되어 다발성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특성 때문에 다발골수종(Multiple Myeloma)이라고 부릅니다. 남자, 특히, 65세 이상 고령에서 많이 발생하고,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에 점차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발생률 2022년 발표된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2020년 우리나라의 암 발생 총 247,952건 중, 다발성 골수종은 총 1,747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0.7%를 차지했습니다. 인구 10만명당 조발생률은 3.4명으로 보고되었습니다.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2022년 12월 발표 자료)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환경적 요인으로 방사선이나 화학물질(중금속, 석유제품, 제초제, 살충제 등)에의 노출이 위험요인이나 직접적인 연관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지는 못한 상태입니다. 염색체 이상이나 발암 유전자에 의하여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 뼈의 병리적 변화와 관련된 증상들 ① 뼈 통증 가장 흔한 증상으로 약 70%에서 나타나며, 골수종 세포의 뼈 침착으로 생깁니다. 주로 척추와 늑골(갈비뼈), 고관절에 나타나고, 운동 시에 악화됩니다. 통증은 손상 정도에 따라 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국소적으로 지속된 통증이 있을 때는 병적 골절의 가능성이 있으며, 척추 침범의 경우 척수압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② 골절 다발골수종 암세포의 뼈 침착과 다발골수종 암세포에서 나오는 다양한 사이토카인으로 인하여 뼈가 약해져 골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③ 고칼슘혈증 골 융해(뼈가 녹아 내림)로 인한 뼈의 손상이 초래되고 뼈 안의 칼슘이 혈류로 유입되어 고칼슘혈증과 이와 관련된 증상(식욕감퇴, 오심 또는 구토, 갈증, 빈뇨, 변비, 피로감, 근육 허약감, 안절부절, 의식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감염 원인 미상의 고열이나 박테리아 감염이 잘 발생하며, 폐렴과 요로감염, 부비동염, 피부 감염이 일반적입니다. 골수종 세포의 증식으로 면역기능이 저하되었을 경우에도 감염 발생율이 높습니다. 감염은 진단 전이나 치료 도중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사망의 원인이기도 합니다. ■ 신기능 장애로 인한 증상 1/4의 환자에서 신기능 장애가 나타납니다. 다발골수종 암세포에서 생성되는 항체의 일부인 유리경쇄의 신장침착, 고칼슘혈증 등이 가장 흔한 원인이고, 그 외 아밀로이드, 과요산혈증, 반복된 감염, 검사를 위한 조영제, 비스포스포네이트 사용 등도 원인일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소변량 감소, 부종, 신기능 수치의 증가 등이 있습니다. ■ 골수기능 저하로 인한 증상 ① 빈혈(약 80%에서 동반): 피로, 무기력, 창백, 흡곤란 ② 백혈구 내 호중구 감소(발열, 잦은 감염), 혈소판 감소증(쉽게 멍이 들거나 출혈) ■ 신경증상 ① 말초신경병증: 손,발 등의 무감각, 저림, 마비 통증 ② 고점도증후군: 두통, 피로, 시력장애, 출혈, 장기손상 다발골수종의 진단은 혈청 또는 소변 검사를 통한 M단백의 존재, 골수검사에서 형질세포의 증가, 골수조직검사에서 형질세포 종양의 존재, 뼈 단순촬영에서 뼈의 융해성 병적 변화 등을 종합하여 진단하게 됩니다. ■ 혈액 및 소변검사 ① 일반혈액검사 백혈구, 혈색소, 혈소판수치 ② 일반화학검사 칼슘, 총단백, 알부민, 크레아티닌(신기능 수치) ③ 혈청 베타-2-마이크로글로불린 치료 결과 예측 및 병기와 관련됨 ④ 혈청/소변 단백 전기영동검사 M단백 확인 ⑤ 혈청/소변 면역 전기영동검사 M단백의 종류, 요 중 벤스존스 단백(Bence Jones protein)의 종류 확인 ⑥ 혈청 유리경쇄검사, 면역글로불린 검사 ■ 골수검사 엉덩이뼈에서 골수 조직의 일부를 얻어 골수종세포의 존재 및 골수에서 골수종세포가 차지하는 정도 등을 확인하고, 특수검사를 통해 염색체 이상 유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염색체 이상은 병의 경과 및 치료 결과의 예측과 관련됩니다. 다발골수종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골수검사에서 10% 이상의 악성형질세포가 존재해야 합니다. 골수종세포의 유전자검사 (FISH, NGS 등)를 통하여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약제 결정에 도움을 받습니다. ■ 뼈 촬영 전신의 뼈에 대해 단순촬영(X-ray)을 하고, 필요 시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촬영(MRI),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컴퓨터 단층촬영(PET-CT) 등을 통하여 뼈의 융해(녹음) 정도와 종양의 크기 및 침범 정도를 알아봅니다. ■ 항암화학요법 항암화학요법은 약물로 골수종세포를 파괴하는 방법으로, 주사나 경구로 투약합니다. 일반적으로 항암화학요법은 수 개월동안 지속되며, 치료를 받는 환자는 대부분 통원 치료를 받습니다. 다발골수종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항암화학요법 약물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면역조절제제 – 탈리도마이드, 레날리도마이드, 포말리도마이드 등 ② 스테로이드제제 –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③ 프로테아좀 억제제 – 보르테조밉, 카필조밉, 익사조밉 등 ④ 단클론항체 – 다라투무맵, 이사툭시맵, 엘로투주맵 등 ⑤ 알킬화 약물 – 멜팔란,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 벤다무스틴 ⑥ 세포독성 항암제 – 빈크리시틴, 독소루비신, 시스플라틴, 에토포시드 등 상기 항암제들은 단독 혹은 몇 가지 약제를 함께 사용하는 병합요법으로 투여되며, 투여 주기는 각 약제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일정 주기를 두고 약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면서 반복 투여합니다. 그 외에도 임상 시험을 통해 신약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셀리넥서 등), CAR-T 치료 등의 세포 치료법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 방사선 요법 골수외 형질세포종 혹은 고립성 형질세포종양의 경우 또는 척수압박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종양이 있는 부위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종양을 파괴시키는 국소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방사선은 선량을 조절한 뒤 치료 부위에 노출하게 됩니다. 방사선 치료는 항암화학요법에 비해 보다 빠르게 악성 세포를 제거하며, 그로 인해 통증을 빠르게 진정시키거나 혹은 심각한 뼈 손상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방사선 치료는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와 함께 조사량을 비롯한 치료 방법을 상의한 후 시행하며, 대부분의 환자가 통원 치료를 받게 됩니다. ■ 조혈모세포 이식 고용량 항암화학요법을 통해서 전체 골수세포를 파괴해서 악성 골수종 세포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다발골수종에서는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자가조혈모세포 이식은 고용량 항암제로 타격을 받은 정상세포의 회복을 위해 자가조혈모세포를 이식해줌으로써 혈구 회복의 시간을 단축하고 모든 증상이 없어지는 완전관해를 유도하는 치료법으로 국내에서는 70세 이하의 환자에서 급여가 적용됩니다. 일부의 경우 조직적합항원(HLA)이 일치하는 타인의 조혈모세포를 이식하는 동종이식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그 밖의 치료 ①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뼈의 병리적 변화의 진행을 감소시켜주는 대증요법 약제이며, 뼈를 파괴하는 파골세포(osteoclast)의 생산을 차단하여 칼슘이 혈액 내로 빠져 나오는 것을 감소시키고, 뼈의 통증과 골절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가 있습니다. ② 진통제 대부분의 통증은 진통제와 항암치료에 의해 완화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국소 방사선치료가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효과적인 통증 완화를 위해서는 규칙적인 진통제 복용 및 조절이 필요합니다. 병의 진행 단계, 즉 병기는 1기, 2기 및 3기로 나눌 수 있고, 분류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 듀리-새먼 기준(Durie-Salmon criteria)과 국제병기분류체계 (International stagingsystem; ISS)가 있으나 최근에는 개정된 국제병기분류체계(R-ISS)가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국제병기분류체계는 알부민과 마이크로글로불린 수치와 유전자 검사소견, 젖산탈수소효소(LDH) 수치를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중간 생존 개월 수는 전자에 따르면 1기, 2기, 3기가 각각 61개월, 55개월, 15~30개월이고, 후자에 따르면 1기, 2기, 3기가 각각 62개월, 44개월, 29개월입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예방이 어렵지만 위험인자가 될 수 있는 물질을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아주 적은 양이라도 방사선, 중금속 유기용제, 제초제, 살충제 등에 대해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흡연이나 과도한 음주는 피하는 것이 추천됩니다. 치료 중에 약제에 의한 호중구감소증이 발생하였을 때나 질병의 합병증으로 신기능 이상이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특별한 식사에 대한 제한은 없습니다. 그렇지만 한약 등이나 건강 보조 식품의 경우 치료 중인 약제와의 상 작용이나 신체에 부작용 등을 나타내어 치료에 어려움을 가져 올 수 있으므로 금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의 경우 골 병변 등으로 뼈가 약해진 상태이므로 무거운 물건, 역기 등을 들거나 골프와 같은 뼈에 힘을 많이 받는 운동은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가장 좋은 운동은 걷기입니다. 항암치료를 하는 동안에는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손 씻기, 양치질, 샤워 또는 목욕에 신경을 쓰고 감기 등의 감염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한 진료가 필요합니다. 다발골수종은 전과 재발을 반복하는 만성 혈액암입니다. 신약을 포함한 항암화학 요법과 조혈모세포 이식의 치료와 정기적인 병원 방문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면 장기간 건강한 상태로 생활을 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동영상 제목을 클릭하시면 다발골수종의 진단 또는 치료와 관련하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동영상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 [다발골수종 검사 및 치료 동영상] 조혈모세포이식 [full ver.] 조혈모세포이식을 위한 말초조혈모세포채집 안내 골수검사 안내 [full ver.] 골수검사 안내(골수흡인 및 생검) 저균식과 무균식(멸균식) 안내 수혈의 개념과 종류 중심정맥삽관안내

암병원 > 암정보교육 > 암종별의학정보
정확도 : 18% 2023.06.26
고객참여 (3)

2023년도 레지던트 모집공고 1. 모집인원 모집과 모집인원 모집과 모집인원 내과 27 정신건강의학과 5 외과 14 신경과 4 흉부외과 4 마취통증의학과 11 신경외과 4 영상의학과 8 정형외과 8 방사선종양학과 3 성형외과 3 진단검사의학과 4 산부인과 12 병리과 5 소아청소년과 14 재활의학과 5 피부과 3 가정의학과 20 비뇨의학과 3 응급의학과* 8 안과 6 핵의학과 2 이비인후과 6 총 모집인원 179 ※ 2지망 지원 인정 과 : 가정의학과, 병리과, 산부인과, 소아쳥소년과, 외과, 핵의학과 ※ 지원서 2지망란에 상기 2지망 인정과를 기재하지 않으면 2지망 합격이 인정되지 않음 ※ 응급의학과 : 보건복지부 「전공의 공동수련 시범사업」 참여 진료과로서, 공동수련모델을 적용하여 '23년 3월부터 개발된 수련과정에 따라 인천적십자병원 파견수련을 진행할 예정 ◎ 자병원별 독자모집과 구 분 독자모집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과, 마취통증의학과, 병리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성형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영상의학과, 외과, 응급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피부과, 핵의학과, 흉부외과 (총 18개과) 국립암센터 마취통증의학과, 병리과, 소아청소년과, 핵의학과 (총 4개과) ※ 상기 병원별 독자모집과는 서울대학교병원과 별도로 모집 예정이며, 지원자는 해당 병원으로 지원서 접수 요망 (분당 : http://recruit.snubh.org / 암센터 : http://www.ncc.re.kr) 2. 전형일정 구 분 일 시 장소 등 1. 지원서 접수 '22.12.05.(월) ~ 12.07.(수) 09:00 ~ 18:00 ※ 12.7(수) 17시 접수 마감 -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교육수련팀 - 위치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 구혁신센터 운영지원동 2층 ※ 우편접수 불가 ※ 온라인접수와 방문접수를 모두 해야 하며, 방문접수를 최 종 지원 기준으로 함 (세부사항 6. 지원 방법 및 제출 서류 참조) 2. 시험 가. 필기시험 '22.12.18.(일) 10:00 ~ 12:00 ※ 09시 30분까지 입실 - 레지던트 필기시험 장소 : 한양공업고등학교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99) ※ 수험표,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 지참 - 컴퓨터용 수성 싸인펜: 감독관 배부 나. 면접, 실기시험 '22.12.20.(화) - 면접 : 과별 지정시간 - 실기 : 과별 지정시간 - 세부 시간 및 장소는 12.16(금) 17시 본원 홈페이지 공고 예정 - 2지망 면접(12.21.(수) 예정)은 대상자 개별 통보 예정 3. 합격자 발표 '22.12.23.(금) 12:00 - 본원 홈페이지 공고 4. 합격자 등록 및 신체검사 '23.01.02.(월) ~ 01.06(금) 13:00 ~ 16:00 (신체검사는 14:00 ~ 16:00에만 가능) - 합격자에 한함 -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교육수련팀 및 가정의학과 ※ 공지한 시간 외 신체검사 불가 ※ 신체검사 전 교육수련팀 방문 필수 5. 최종 등록 '23.01.09.(월) ~ 01.13.(금) 14:00 ~ 16:00 - 신체검사 결과 및 교부서류 최종 제출 - 본인방문 필수 ※ 상기 일정은 병원 사정 등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음 3. 지원자격 가. 인턴 수료자 또는 수료예정자(2023년 2월)로서 국가공무원법 제33조와 본원 인사규정 제19조(결격사유)*에 저촉되지 않은 자 *인사규정 제19조(결격사유) 다음 각 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직원으로서 채용될 수 없다. 1. 피성년후견인,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특정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6의2.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6의3. 미성년자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저질러 파면·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한다.) 가.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나.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2에 따른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 7. 병역의무자로서 병역기피를 한 자 8. 징계처분에 의하여 해임된 자로서 5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제82조에 따른 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자 10. 채용 관련 부정합격자로서 면직 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나.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56조 및 아동복지법 제29조의3에 해당되지 않는 자 다. 노인복지법 제39조의17 및 장애인복지법 제59조의3에 해당되지 않는 자 라. 의무사관후보생의 경우 33세 되는 해의 2월까지 수료 가능한 자 마. 병역의무 미이행자 중 의무사관후보생 미편입자는 지원할 수 없음 바. 2022년도 수련중단자 중 군보(2023년 2월 입대 예정자)는 지원불가 사. 타병원과 중복 응시 불가 4. 시험별 배점 비율 및 시험 실시 방법 구분 배점비율 비고 필기시험 40% - 수련환경평가위원회 주관 출제 및 실시 - 시험과목 :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면접시험 15% - 진료과별 실시 실기시험 10% - 진료과별 실시 인턴근무성적 20% 의대성적 10% 영어 5% - 인증시험 : 토익, 텝스, 토플 - 성적유효기간 : 지원서 접수 마감일 기준 3년 5. 필기시험 과목 구분 배점 비고 내과 15점 30문항 외과 15점 30문항 산부인과 10점 20문항 소아청소년과 10점 20문항 합계 50점 100문항 6. 지원방법 및 제출서류 가. 온라인 접수 및 오프라인 접수를 원서접수 기간 내에 모두 완료해야 하며, 오프라인 접수를 최종 지원 기준으로 함 나. 온라인 접수 사이트 : http://recruit.snuh.org (원서 접수 기간에만 오픈됨) 다. 오프라인 접수 장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71,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 운영지원동 2층 교육수련팀 라. 지원자 제출서류 구 분 본원 인턴 타원 인턴 수료(예정)자 비 고 수료 예정자 수료자 지원서 및 수험표 (사진 수험표에 1매 부착) O O O - 양식 : 공고문 첨부파일 참조 성범죄경력 및 아동학대관련범죄 전력 조회 동의서 1부 O O O - 공고문 첨부파일 참조 - 서명란 정자서명 기입 노인학대관련범죄 경력 조회 동의서 1부 O O O 장애인학대관련범죄 경력 조회 동의서 1부 O O O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 확인서 및 전력조회 동의서 각 1부 O O O - 공고문 첨부파일 참조 ( 병원양식/수련환경평가위원회 양식 각 1부씩 제출 ) 의대 성적 증명서 원본 1부 X O O - 본과 전학년 종합 석차기입 - 의대/의전원 통합석차 기입 - 졸업일자 기재되어 있어야 함 인턴수료(에정)증명서, 인턴근무성적 원본 각 1부 X X O - 본원 인턴 수료자 해당 없음 - 석차 기재 필수 요망 ※ 인턴 수련병원→서울대병원 우 편 발송 시 주소 →(03080)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서울대학교병원 교육수련팀 (우편발송 시 fax로 사본을 우선 발 송 해주시기 바랍니다 02)762-5289) 의사면허증 사본 1부 O O O 영어성적표 원본 1부 O O O - TEPS, TOEIC, TOEFL 중 택1 - 유효기간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3년 이내 병역 의무 이행 확인 서류 원본 1부 (비군보 남자에 한함) X O O - 현역 : 전역예정증명서 1부 - 공중보건의 : 재직증명서 1부(전역예정일 명기) - 군필/면제 : 전역일 명기된 주민등록초본 원본 1부 외국인등록증 사본 1부 O O O - 외국인등록증 또는 외국인등록사실증명 사본 1부 코로나19 관련 사전 질문지 O O O - 붙임양식 참조 필기시험 응시료 영수증 O O O - 입금 확인할 수 있는 서류 (입금확인증, 이체내역 명세서 등) ※ 영어성적은 필수 제출 서류 아님 ※ 오프라인 제출 지원서 및 수험표 양식 등 : 첨부 참조 ※ 지원 제출서류는 수련환경평가위원회 임용시험 지침에 따라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음 7. 합격자 사정 원칙 가. 과별 정원범위 내에서 총 성적순으로 선발한다. 나. 총 성적이 동점일 경우 면접시험 점수, 인턴근무성적 순으로 선발한다. 다. 응시자가 정원에 미달되더라도 수련능력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100점 만점 중 60점 미만 득점자, 전체 지원자 성적 순위의 하위 5% 이내에 속하는 자 등) 불합격 처리할 수 있다. 라. 제2지망 선발은 2지망 해당 과에서 면접·실기시험을 실시하고, 배점 비율은 면접·실기시험 각 50%를 적용하여 총 성적순으로 선발한다. 마. 기타 세부 사정원칙은 교육위원회에서 결정한다. 바. 최종 합격여부는 교육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한다. 8. 신체검사 가. 합격자는 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국립대학교병원에서 (공무원채용) 신체검사를 받아야 함 (그 외 병원/기관 신체검사 인정하지 않음) ※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신체검사를 받는 경우에만 신체검사비용을 면제 나. 신체검사 불합격자는 합격을 취소함 다. 신체검사 불합격으로 인한 결원은 불합격자 중에서 과별 차 순위자로 충원함 9. 최종합격자 등록 최종합격자는 '23. 01. 13.(금)까지 교육수련팀에 등록 10. 필기시험 응시료 가. 금액 : 100,000원 나. 입금계좌 : 신한은행 100-012-697307 (예금주 : 서울대학교병원) ※ 응시자 성명으로 입금 후 입금 증빙자료 제출(입금확인증, 명세서 등) 11. 기타사항 가. 타 병원(기관)에 중복 응시할 수 없음 나. 필기시험에 응시하지 않은 자와 결시 처리된 자는 레지던트 면접(실기)시험을 포함한 당해연도 전공의 모집 전형(전기모집, 후기모집, 추가모집)에 응시할 수 없음 다. 필기시험 부정행위자의 당해 필기시험은 무효이며, 면접(실기)시험을 포함한 당해연도 전공의 모집 전형( 전기모집 , 후 기모집 , 추 가모집 ) 및 후반기 모집(가을턴)에 응시할 수 없음 라. 응시원서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를 경우(허위기재, 증명서 미제출 등)에는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됨 마.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일 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 보관기간이 경과한 증빙서류른 모두 파기 예정이며, 최종합격 후 임용된 자에 대해서는 서류를 반환하지 않음 바.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교육수련팀(02-2072-2122, 3975)으로 문의 바랍니다. 2022. 11. 21. 서울대학교병원장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0% 2022.11.29

서울대학교병원 블라인드 직원채용 ( 대체근로자 ) 공고 ( 장애인 특별우대 ) 1. 채용분야 및 응시자격 채용직종 · 부서 채용 인원 월 최대 근로시간 계약기간 * 지원자격 직무 설명 촉탁 보건직 내과 (폐기능검사실) 1 명 통상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임상병리사 첨부 파일 참고 정신건강의학과 1 명 약 6 개월 ‧ 임상심리전문가 또는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자격증 소지자 영상의학과 1 명 약 6 개월 ‧ 방사선사 진단검사의학과 3 명 약 4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임상병리사 병리과 1 명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임상병리사 강남센터 (헬스팀) 1 명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임상병리사 보라매병원 (건강돌봄네트워크실) 1 명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사회복지사1급, 의료사회복지사 자격증을 모두 소지한 자 보라매병원 (병리과) 1 명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임상병리사, 세포병리사(KAC) 자격증을 모두 소지한 자 촉탁 사무직 법무팀 1 명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변호사 의학연구협력 센터 1 명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통계학 관련 전공자 촉탁 간호직 소아영상의학과 1 명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간호사 의학연구협력 센터 1 명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간호사 보라매병원 (재난의료총괄팀- 선제선별검사소) 3 명 약 3 개월 (사업연장 시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간호사 보라매병원 (서울형생활치료센터 의료지원팀- 남산생활치료센터) ※서울특별시 중구 소재 5 명 약 3 개월 (사업연장 시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간호사 보라매병원 (서울형생활치료센터 의료지원팀- 서울대호암생활치료센터) ※서울특별시 관악구 소재 4 명 약 3 개월 (사업연장 시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간호사 보라매병원 (서울형생활치료센터 의료지원팀- 소망생활치료센터) ※경기도 광주시 소재 1 명 약 3 개월 (사업연장 시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간호사 촉탁 약무직 약제부 8 명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약사 촉탁 운영기능직 소아진단검사의학과 1 명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외래원무과 1 명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전임상실험부 1 명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단시간 보건직 건강증진센터 1 명 월90 h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방사선사 인체자원은행 1 명 월150 h 약 6 개월 ( 근무평가에 따른 재계약 ) ‧ 임상병리사 단시간 운영기능직 건강증진센터 1 명 월90 h 약 6 개월 - 단시간 환경유지 지원직 비상계획 과 (출입통제) 3 명 월6 0h미만 약 3 개월 ( 근무평가 및 COVID-19 상황에 따라 연장될 수 있음 ) - ※ 대체근로자 채용의 경우 결원 발생기간 내에서 운영되며 해당 대체근로계약사유 변동 ( 휴직 연장 등 ) 에 따라 계약기간이 변동될 수 있음 ▷ 공고일 기준 정년퇴직 기준연령 ( 만 60 세 ) 에 도달한 자는 지원할 수 없음 ▷ 남자는 병역필 또는 면제자에 한함(단, 단시간환경유지지원직-비상계획과 분야의 경우 제외) ▷ 공고일 기준 기졸업자에 한함(단, 단시간환경유지지원직-비상계획과 분야의 경우 제외) ▷ 면허 ( 자격 ) 을 요하는 분야는 공고일 기준 해당 면허 ( 자격 ) 증 소지자에 한함 ※ 본 채용은 블라인드 공개채용으로 자기소개서 등에 본인의 출신지역 , 가족관계 , 출신학교 등을 직 · 간접적으로 표현하거나 이를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을 기재하는 경우에는 불이익이 있을 수 있으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첨부파일의 채용분야 직무소개서 , 입사지원서 작성요령 및 주의사항을 반드시 확인 후 입사지원서를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 어학성적 (TOEIC, TEPS 중 1 개 ) 제출 시 우대합니다 . (2019.12.28. 이후 공인어학성적만 인정 ) ※ 채용공고 내 타부서 및 타직종 중복지원 불가합니다 . 2. 전형방법 가 . 1 차전형 : 서류전형 나 . 2 차전형 : 실무면접 다 . 3 차전형 : 신체검사 ※ 각 전형 합격 시 차기 차수 전형 기회 부여 3. 전형일정 가 . 원서접수(온라인접수 http://recruit.snuh.org ) : 2021.12.3.(금 ) ∼ 2021.12.10.(금 ) 10:00 ※ 마지막 날은 접속이 어려울 수 있으니 , 반드시 사전접수 해 주시기 바랍니다 . ※ 서류전형 접수마감일 기준 "최종제출"된 지원서에 한하여 입사지원 한 것으로 인정하며, 마감시간까지 최종제출을 완료하지 않은 지원자는 입사지원의사가 없는 것으로 간주함 나 . 1 차 서류전형 합격자 및 실무면접 대상자 발표 : 2021.12.16.(목 ) 예정 다 . 2 차 실무면접 : 2021.12.20.(월 ) ∼ 2021.12.21.(화 ) 예정 라 . 2 차 실무면접 합격자 발표 : 2021.12.28.(화 ) 예정 마 . 3 차 신체검사 : 2021.12.29.(수 ) 예정 ※ 상기 일정은 진행과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 최종 확정된 일정은 각 전형단계별 합격자 발표 공고문을 반드시 확인할 것 4. 서류제출 안내 ① 학부 및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1 부 ☞ 편입자는 편입 전 학교 포함 , 운영기능직은 고등학교 졸업 · 성적증명서 각 1 부 ☞ 환경유지지원직의 경우 해당 없음 ② 학부 및 최종학교 전학년 성적증명서(입사지원서 기재한 5개 교과목 형광펜 표시) 1 부 ☞ 편입자는 편입 전 학교 포함 , 운영기능직은 고등학교 졸업 · 성적증명서 각 1 부 ☞ 환경유지지원직의 경우 해당 없음 ③ 병적사항이 기재된 주민등록초본 (남자 에 한함 ) 1 부 ④ 외부 직업교육 수료증 ( 해당자에 한함 ) 1 부 ⑤ 면허증 및 자격증 사본 ( 해당자에 한함 ) 1 부 ⑥ 공인 어학성적표 사본 ( 해당자에 한함 ) 1 부 ⑦ 경력증명서 ( 해당자에 한함 ) 1 부 ⑧ 취업보호대상자 및 장애인 증명서 ( 해당자에 한함 ) 1 부 ※ 서류는 1 차 전형 합격자에 한해 추후 제출하며 ( 제출방법 등 1 차 전형 합격자 발표 시 안내 ), 입력사항이 제출서류와 다를 시에는 합격이 취소될 수 있음 ※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 일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 최종학교 졸업증명서 및 성적증명서 등 제출서류는 입사지원서에 입력한 학교교육사항의 이수 여부 확인 등을 위한 자료로만 활용되며 , 학교명 등의 정보는 면접전형 및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5. 특 전 ▷ 국가유공자예우등에 관한 법률 등 취업지원 적용대상자 , 등록 장애인은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우대합니다 . ▷ 등록 장애인 지원자는 서류전형 등에서 가점을 부여하며 , 병원 기준에 의거 일정 인원 우선 선발될 수 있습니다 . ( 단 , 채용분야 직무수행에 지장이 없는 자에 한함 ) 6. 유의사항 ▷ 응시원서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를 경우 ( 허위기재 , 증명서 미제출 등 ) 에는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 될 수 있음 ▷ 국가공무원법 제 33 조와 본원 인사규정의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됨 인사규정 제 19 조 ( 결격사유 ) 다음 각 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직원으로서 채용될 수 없다 . 1. 피성년후견인,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특정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6의2.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6의3. 미성년자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저질러 파면ㆍ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한다) 가.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나. 「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2에 따른 아동ㆍ청소년대상 성범죄 7. 병역의무자로서 병역기피를 한 자 8. 징계처분에 의하여 해임된 자로서 5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제82조에 따른 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자 10. 채용 관련 부정합격자로서 면직 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 우리병원에서 수탁 운영하는 의료기관에서도 근무할 수 있음 ▷ 동종 직무를 수행하는 다른 부서에서도 근무할 수 있음 ▷ 타 기관과의 겸직은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음 ▷ 보수는 본원 규정에 의거 지급 ▷ 응시인원이 모집인원과 같거나 미달하더라도 적격자가 없는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음 ▷ 실무면접 합격자가 신체검사에서 불합격 판정을 받은 경우 또는 최종합격자가 인사규정 제19조에 따른 결격사유 등으로 인하여 합격이 취소된 경우 및 임용을 포기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예비합격자를 둘 수 있음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인사팀 (02-2072-2715,3211) 으로 문의바람 2021. 12. 3. 서울대학교병원장 .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0% 2021.12.10

서울대학교병원 2022년도 레지던트 모집공고 1. 모집인원 모집과 모집인원 ( 명 ) 모집과 모집인원 ( 명 ) 내과 27 정신건강의학과 7 외과 14 신경과 4 흉부외과 4 마취통증의학과 9 신경외과 4 영상의학과 7 정형외과 8 방사선종양학과 3 성형외과 4 진단검사의학과 3 산부인과 9 병리과 5 소아청소년과 16 재활의학과 6 피부과 3 가정의학과 20 비뇨의학과 4 응급의학과 7 안과 4 핵의학과 2 이비인후과 6 총 모집인원 176 ※ 2지망 지원 인정 과 : 가정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병리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외과, 진단검사의학과, 핵의학과, 흉부외과 (총 10개과) ※ 지원서 2지망란에 상기 2지망 인정과를 기재하지 않으면 2지망 합격이 인정되지 않음 ◼ 자병원별 독자모집과 구 분 독자모집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과 , 마취통증의학과 , 병리과 , 비뇨의학과 , 산부인과 , 성형외과 , 신경과 , 신경외과 , 영상의학과 , 외과 , 응급의학과 , 정신건강의학과 , 정형외과 , 진단검사의학과 , 피부과 , 핵의학과 , 흉부외과 ( 총 17 개과 ) 국립암센터 마취통증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비뇨의학과, 병리과 (총 4개과) ※ 상기 병원별 독자모집과는 서울대학교병원과 별도로 모집 예정이며, 지원자는 해당 병원으로 접수 요망 2. 전형 일정 구 분 일 시 장소 등 1) 지원서 접수 * ‘21. 12. 6( 월 ) ∼ 12. 8( 수 ) 09:00 ~ 18:00 ※ 12.8 (수) 17시 접수마감 -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교육수련팀 ※ 우편접수 불가 ※ 온라인 접수와 방문접수를 모두 해야하며 , 방문접수를 최종 지원 기준 으로 함 ( 세부사항 6. 지원 방법 및 제출 서류 참조 ) 2) 시험 가 . 필기시험 ‘21. 12. 19( 일 ), 10:00 ∼ 12:00 ※ 09 시 30 분까지 입실 - 장소 : 한양공업고등학교(서울시 중구 을지로 299) - 수험표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 컴퓨터용 수성 싸인펜 : 감독관 배부 나 . 면접 ㆍ 실기시험 ‘21. 12. 21( 화 ) 면 접 : 과별 지정 실 기 : 〃 ※ 세부 시간 및 장소는 12.17( 금 ) 17:00 본원 홈페이지 공고 ※ 2 지망 면접은 해당자 개별 통보예정 3) 합격자 발표 ‘21. 12. 24( 금 ) 12:00 - 본원 홈페이지 4) 합격자 서류 교부 ‘22. 1. 3.( 월 ) ~ 1. 7( 금 ) 10:00 ~ 16:00 - 합격자에 한함 -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교육수련팀 5) 신체검사 ‘22. 1. 3.( 월 ) ~ 1. 7( 금 ) 14:00 ~ 16:00 - 해당시간 외 신체검사 불가 - 신체검사 전 교육수련팀 방문 필수 6) 최종 등록 ‘22. 1. 17.( 월 ) ~ 1. 21( 금 ) 10:00 ~ 16:00 - 신체검사 결과 및 교부서류 최종 제출 - 본인방문 필수 ※ 상기 일정은 병원 사정 등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음 3. 지원 자격 ◼ 인턴 수료자 또는 수료예정자(2022년 2월)로서 본원 인사규정 제19조(결격사유)*,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56조 및 아동복지법 제29조의 3에 해당되지 않는 자 인사 * 인사규정 제 19 조 ( 결격사유 ) 다음 각 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직원으로서 채용될 수 없다 . 1. 피성년후견인 ,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특정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6 의 2.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제 2 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 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 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6 의 3. 미성년자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저질러 파면 ㆍ 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 (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한다 ) 가 .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제 2 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나 . 「 아동 ㆍ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 제 2 조제 2 에 따른 아동 ㆍ 청소년대상 성범죄 7. 병역의무자로서 병역기피를 한 자 8. 징계처분에 의하여 해임된 자로서 5 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 「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 제 82 조에 따른 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자 10. 채용 관련 부정합격자로서 면직 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5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 의무사관후보생의 경우 33세 되는 해의 2월까지 수료 가능한 자 ◼ 병역의후 미이행자 중 의무사관후보생 미편입자는 지원할 수 없음 ◼ 2021년도 수련중단자 중 군보(2022년 2월 입대 예정자)는 지원불가 ◼ 타병원과 중복 응시 불가 4. 시험별 배점 비율 및 시험 실시 방법 구분 배점 비율 (%) 비고 필기 40 - 수련환경평가위원회 주관 출제 및 실시 - 시험과목 : 내과 , 외과 , 산부인과 , 소 아청소년과 면접 15 - 진료과별 실시 인턴근무성적 20 실기시험 10 - 진료과별 실시 의대성적 10 영어 5 - 인증시험 : 토익 , 텝스 , 토플 - 성적유효기간 : 3 년 ( 지원서 접수 마감일 기준 ) 5. 필기 시험 과목 과목 배점 문항수 내과 15 점 30 문항 외과 15 점 30 문항 산부인과 10 점 20 문항 소아청소년과 10 점 20 문항 계 50 점 100 문항 6. 지원 방법 및 제출 서류 가. 온라인 접수 및 오프라인 접수를 원서접수 기간 내에 모두 완료해야 하며, 오프라인 접수를 최종 지원 기준으로 함 나. 온라인 접수 : http://recruit.snuh.org (원서 접수 기간에만 오픈됨) 다. 오프라인 접수 장소 (우편접수 불가) ☞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71,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 운영지원동 2층 교육수련팀 라. 제출 서류 구 분 본원 인턴 타원 인턴 수료 ( 예정 ) 자 수료 예정자 수료자 지원서 및 수험표 ( 사진 수험표에 1 매 부착 ) O O O 성범죄 경력 및 아동학대관련범죄 전력 조회 동의서 O O O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 확인서 O O O 의대 성적 증명서 ( 본과 전학년 종합 석차기입 , 의대 / 의전원 통합석차 기입 ) X O O 인턴수료 ( 예정 )증 명서 , 인턴근무성적 X X O 의사 면허증 사본 X O O 영어 성적표 (TEPS,TOEIC,TOEFL 중 택 1) ※ 유효기간 : 3 년 이내 O O O 병역 서류 ( 비군보 남자에 한함 ) X ㆍ 현역 : 전역예정 증명서 1 부 ㆍ 공중보건의 : 재직증명서 1 부 ( 전역예정일 명기 ) ㆍ 군필 또는 면제자 : 주 민등록초본 ( 전역일명기 )1 부 좌동 외국인등록증 사본 ( 외국인에 한함 , 외국인등록사실증명 사본 가능 ) O O O 코로나 19 관련 사전 질문지 O O O 필기시험 응시료 영수증 O O O ※ 영어 성적은 필수 제출 서류 아님 ※ 오프라인 제출 지원서 및 수험표 양식 등 : 첨부 참조 7. 합격자 사정 원칙 ◼ 과별 정원범위 내에서 총 성적순으로 선발한다. ◼ 총 성적이 동점일 경우 면접시험 점수, 인턴근무성적 순으로 선발한다. ◼ 응시자가 정원에 미달되더라도 수련능력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100점 만점 중 60점 미만 득점자, 전체 지원자 성적 순위의 하위 5% 이내에 속하는 자 등) 불합격 처리 할 수 있다. ◼ 제2지망 선발은 2지망 해당 과에서 면접·실기시험을 실시하고, 배점 비율은 면접·실기시험 각 50%를 적용하여 총 성적순으로 선발한다. ◼ 기타 세부 사정원칙은 교육위원회에서 결정한다. ◼ 최종 합격여부는 교육위원회 심의를 거쳐 결정한다. 8. 신체검사 ◼ 합격자는 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국립대학교병원에서 (공무원 채용)신체검사를 받아야 함 (그 외 병원/기관 신체검사 인정하지 않음) ※ 단, 응시일 현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련 중인 인턴은 신체검사 대상에서 제외함 ※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신체검사를 받는 경우에만 신체검사비용을 면제 ◼ 신체검사결과 불합격자는 합격을 취소함 ◼ 신체검사 불합격으로 인한 결원은 불합격자 중에서 과별 차 순위자로 충원함 9. 최종합격자 등록 ◼ 최종합격자는 '22. 1. 21.(금)까지 교육수련팀에 등록 10. 필기시험 응시료 ◼ 금액 : 100,000원 ◼ 입금계좌 : 신한은행 100-012-697307 (예금주 : 서울대학교병원) ※ 응시자 성명으로 입금 후 입금 증빙자료 제출(입금확인증, 명세서 등) 11 . 기타사항 ◼ 타 병원(기관)에 중복 응시할 수 없음 ◼ 필기시험에 응시하지 않은 자와 결시 처리된 자는 면접(실기)시험을 포함한 당해연도 전공의 모집 전형(전기, 후기 추가)에 응시할 수 없음 ◼ 부정행위자의 당해 필기시험은 무효이며, 면접(실기)시험을 포함한 당해년도 전공의 전반기 모집 전형(전기, 후기, 추가) 및 후반기 모집(가을턴)에 응시할 수 없음 ◼ 응시원서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를 경우(허위기재, 증명서 미제출 등)에는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됨 ◼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일 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 보관기간이 경과한 증빙서류는 모두 파기 예정이며, 최종합격 후 임용된 자에 대해서는 서류를 반환하지 않음 ◼ 문의사항 : 02-2072-2122, 3975 2021. 11. 22. 서울대학교병원장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0% 2021.12.03
병원소개 (3)
[병원뉴스]만성 부비동염 환자,  <!HS>호중구<!HE> 세포외 덫 억제하면 증상 악화 막을 수 있어

- 서울대병원, 호중구 세포외 덫이 기저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발표- 호중구 세포외 덫 억제제, 만성 부비동염 환자에서 염증 및 상피세포 증식 완화 유도 [그림1] 호중구 세포외 덫은 비강상피세포 내 기저세포의 과증식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내 연구진에 의해 호중구 세포외 덫이 기저세포를 증식시켜 만성 부비동염의 발생과 악화를 촉진시킨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호중구 세포외 덫은 세포사멸 과정에서 방출되는 세포 내 성분으로, 과도하게 방출되면 세포 손상이나 염증, 세포 증식을 유발해 만성 부비동염 혹은 폐쇄성 폐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을 악화시킬 수 있다.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신현우 교수팀(임수하 박사과정)은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을 받은 만성 부비동염 환자를 대상으로 코 조직과 콧물에서 호중구 세포외 덫의 발견 빈도와 기저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만성 부비동염은 전 세계 인구 중 약 10%가 보유하고 있는 질환으로, 코폴립 존재 여부에 따라 분류된다. 서양인은 주로 산구성으로 나타나는 것에 비해 동양인은 호중구성으로 많이 나타난다. 주요 증상은 코막힘, 콧물, 얼굴 통증, 후각 감퇴 등으로 일상생활에 불편을 겪을 수 있으며, 약물 및 수술적 치료 후에도 질병의 재발률이 높다. 이전에는 산구성 만성 부비동염 관련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호중구가 만성 부비동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연구팀은 기능적 내시경 부비동 수술을 받은 45명의 만성 부비동염 환자의 코조직과 콧물, 비강 상피세포 및 기저세포에서 호중구 세포외 덫이 얼마나 발견되는지 각각 확인했다. 그 결과, 정상군에 비해 코폴립이 있는 만성 부비동염 환자군의 코조직에서 호중구 세포외 덫이 10배 이상 빈번하게 관찰됐으며, 대부분 비강 상피세포층 부근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호중구 세포외 덫이 많은 부위에서 상피세포가 두꺼워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호중구 세포외 덫이 기저세포 과증식을 유도할 것이라 예상한 연구팀은 정상인의 코조직에서 상피세포를 분리분화시킨 후 호중구 세포외 덫을 처리해 기저세포 수의 변화를 확인했다. 확인 결과, 호중구 세포외 덫은 비강상피세포 내 기저세포의 과증식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중구 세포외 덫과 기저세포의 수와 층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기저세포의 과증식은 만성 부비동염 악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추가적으로 연구팀은 호중구 세포외 덫 억제제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해 호중구성 코폴립 쥐 모델을 활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호중구 세포외 덫 억제제는 코폴립의 개수 감소와 염증 및 상피세포 증식의 완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비인후과 신현우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호중구 세포외 덫은 체내를 보호하는 비강상피세포 내 기저세포 과형성을 유도하며, 호중구 세포외 덫을 억제하면 비강상피세포를 보호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라며 이는 호중구가 많이 침윤되어 있는 동양인 만성 부비동염 환자에서 새로운 치료 전략 및 신약 후보 물질을 제안해 효과적인 치료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알레르기 및 임상면역학 저널(The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중견 연구 사업 및 기초연구실 지원 사업, 그리고 서울대병원의 중점 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사진 왼쪽부터] 이비인후과 신현우 교수, 임수하 박사과정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9% 2024.01.02
[병원뉴스]서울대병원, 외상성 뇌손상 치료용 나노입자 개발

- 세리아 나노입자 기반 CX201, 외상성 뇌손상 이후 신경학적 회복 속도 높여- 활성산소 제거 및 염증 치료 효과 가진 CX201 활용 새로운 치료제 개발 가능성 [Figure1] CX201 모식도 및 실험 디자인 직접적인 치료법이 없는 외상성 뇌손상을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최근 서울대병원에서 외상성 뇌손상 치료용 나노자임 물질을 개발했다. 이를 활용하면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통해 외상성 뇌 손상으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이승훈(강동완 전임의) 교수팀이 독자 개발한 세리아 나노자임 기반의 CX201을 외상성 뇌손상 동물 모델에 투여해 이차 뇌손상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두부 외상 이후의 뇌손상은 물리적 충격으로 인한 신경 손상인 일차성 손상과 그 이후의 세포독성, 산화스트레스, 염증반응 등에 의한 이차성 손상으로 나뉜다. 외상성 뇌 손상 치료 분야는 수술 외 지혈이나 뇌압 관리와 같은 보존적인 치료뿐이며 손상 기전을 직접 목표로 한 치료제는 아직 승인된 바 없다. 특히 이차성 손상 기전 중 활성산소에 의한 산화스트레스(체내 활성산소가 많아져 생체 산화 균형이 무너진 상태)는 염증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뇌손상 직후 폭발적으로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감소시키면 염증 반응 및 추가적인 뇌손상을 막을 수 있다. 이에 연구팀은 강력한 활성산소 제거 효과로 뇌손상을 줄이는 초소형 산화세륨 나노입자인 CX201을 개발했다. 폴리머 코팅 기술이 적용된 이 입자는 생체 투여가 가능하도록 독성 용매가 없는 수용액 상태에서 합성됐다. CX201은 수용액 상에서 직경 약 6.49㎚의 잘 분산된 상태로 존재한다. 연구팀은 뇌손상을 유발한 쥐를 대상으로 CX201의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CX201 투여군과 대조군(생리식염수 투여군)으로 나눠 실제 임상시험을 모사한 이중 눈가림 동물 연구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투여 후 3일차부터 CX201 투여군의 신경학적 중등도 점수(mNSS)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아지기 시작했고 14일차까지 낮은 점수가 유지됐다. [Figure2] CX201 투여군 및 대조군신경학적 중증도 점수(mNSS) 비교 특히 CX201 투여군은 자세, 걷기, 균형 등의 운동 기능과 관련된 점수에서 대조군에 비해 우월한 결과를 보였다. [Figure3] CX201 투여군 및 대조군 하위 항목 왼쪽부터 자세, 걷기, 균형잡기 이러한 결과는 CX201의 정맥 투여가 뇌 손상을 유발한 동물 모델의 신경학적 회복 속도를 높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행동신경학적 회복 속도와 함께 CX201의 뇌 조직 염증 억제 및 활성 산소 제거 효과도 함께 확인했다. CX201 투여군은 병변 주변부에서 대식세포, 미세아교세포, 호중구와 같은 염증 세포의 침윤과 신경세포 사멸이 대조군에 비해 확연히 감소했다. [Figure4] CX201의 뇌 조직 염증 억제 효과 또한 외상성 뇌손상 유도 후 72시간 후 산화스트레스의 지표인 말론디알데히드(MDA) 수치가 CX201 투여군에서 감소한 것이 확인됐다. [Figure5] CX201 투여군 및 대조군뇌 조직 지질과산화 지표 비교 이는 CX201이 손상된 뇌조직에서 직접 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염증 반응 및 신경세포 사멸을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번 연구결과는 산화스트레스를 억제하는 CX201을 기반으로 외상성 뇌손상으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새로운 치료제가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승훈 교수는 세리아 나노자임은 지주막하출혈, 뇌경색, 뇌출혈, 패혈증 등 중증 급성 염증 질환에서 치료 효과를 보여왔다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외상성 뇌손상 분야에서도 세리아 나노자임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라고 말했다. 이어 외상성 뇌 손상이 미충족 수요가 큰 분야인 만큼 CX201이 향후 후보 약물로 개발될 가치가 높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나노메디슨(Nanomedicine: Nanotechnology Biology and Medici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사진 왼쪽부터] 신경과 이승훈 교수, 강동완 전임의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3% 2022.09.16

서울대병원 김효수 교수팀, 세균에 백혈구 면역반응 기전 세계 최초 규명 세균은 박멸하면서 독소 방출을 줄이는 백혈구 내 핵심 효소 찾아내 세균에 감염되면 백혈구는 세균을 공격하는 동시에 장기를 손상시키는 물질을 방출한다. 이 때문에 패혈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국내 연구진이 이 독성물질이 나타나는 원인을 밝혀 패혈증 치료제 개발에 한 발 다가섰다. 서울대병원의 연구중심병원 프로젝트 염증/대사 유니트 김효수 교수팀(김영찬 장현덕 이상언 김솜이)은 세균 감염 시 백혈구인 호중구가 세균 박멸과 함께 독한 사이토카인을 방출해 인체에 손상을 준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밝혔다. 또한 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기전을 규명해 패혈증 치료제 개발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이 연구는 세계 최고의 권위지인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 IF; 13.94) 온라인 19일자에 게재됐다. 패혈증은 세균에 감염되어 온 몸에 염증 반응이 나타나 주요 장기를 손상시키는 질환이다.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3천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고 한 달 내 사망률이 30%에 달한다. 수많은 치료제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패혈증의 원인과 진행 과정이 단순하지 않아 뚜렷한 성과가 아직까지 없다. 감염된 세균을 죽이는 역할은 백혈구 중에서도 호중구가 담당한다. 이 때 세균을 빨리 제거하면서 동시에 인체에 손상을 입히는 사이토타인의 과도한 방출은 자제해야 하지만 적절하게 균형 잡기가 어렵다. 세균을 박멸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환자가 사망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 패혈증 치료의 난관이었다. 패혈증 주요 원인 물질은 세균의 균체 내에 함유된 독소인 내독소(endotoxin)다. 연구팀은 내독소가 백혈구의 사이토카인을 대량 방출해 인체를 손상시키는 원인을 추적했다. 패혈증 악화의 중요한 계기는 염증반응-후폭풍이 발생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세균의 내독소에 의해서 백혈구 안의 염증매개 단백질인 MYD88이 팔미토일화 되는 변형이 중요하다는 것을 규명했다. 팔미토일화(化)란 단백질에 지질(lipid)이 결합되어 단백질의 활성이 변형되는 과정이다. 연구팀은 팔미토일화의 재료인 팔미트산(palmitic acid)을 생산하는 지방산 합성 효소(FASN) 억제제를 패혈증 쥐에 투여했다. 그 결과 억제제를 투여한 쥐는 복강에 감염시킨 세균이 감소하면서 쥐의 생존율이 대폭 향상됐다. 김효수 교수는 패혈증에서 백혈구가 인체에 해를 끼치는 사이토카인 폭풍을 불러일으키는 기전을 밝히면서 이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는 핵심 효소를 최초로 규명한 것이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이어 핵심 효소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물질만 개발하면 체내 백혈구가 다른 부위에 손상없이 세균만 선택적으로 죽여 환자 생존을 향상시키는 특효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5년 여 만에 성과를 맺은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가 연구중심병원 사업 염증/대사-유닛 프로그램으로 지원했다. 붙임1 관련사진그림 1. 이번 연구결과 모식도1. 패혈증 환자에서 세균의 내독소(endotoxin)에 의해서 호중구의 기능 이상이 초래되어 환자가 손상을 입는 기전과 이를 제어하여 패혈증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 전략 제시. 패혈증 상황에서 호중구(백혈구)가 다량의 사이토카인을 방출하여 인체에 손해를 끼치는 기전은, 세균의 내독소가 호중구의 TLR4 수용체를 자극하여 세포내 MYD88 단백질이 이량체를 구성하면서 팔미토일-화가 되어 염증 신호를 활성화하기 때문임. 여기서 팔미토일-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세포내에 팔미트 지방산이 공급되어야 하는데, 그 공급원으로서 세포내 합성뿐만 아니라 세포 외부로부터 팔미트산 유입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음. 그리고, 세포내외에서 공급된 팔미트산은 ZDHHC6 효소를 통해서 MYD88 단백질에 결합함으로써 백혈구의 사이토카인 방출이 야기되어 인체에 해를 끼침. 동시에, 호중구에서 TLR/MYD88 신호계가 활성화되면 백혈구 표면의 CXCR2 수용체가 감소하여 감염원에서 유리되는 CXCL2를 인지하지 못하게 되어 염증 부위로 이동이 저하되고 세균을 죽이지 못하게 되어 패혈증을 제압하지 못하게 됨. 즉, MYD88의 팔미토일-화를 억제하면 2가지 기전을 모두 차단하여 패혈증을 제압할 수 있음을 동물실험으로 증명하였음. MYD88-특이적 팔미토일 효소를 발견하여 신약 개발의 타겟을 제시하였기에 향후 패혈증 치료제의 기반을 구축하게 됨. 그림 2. 이번 연구결과에 대한 모식도2.[1] 세균침입부위에서 상피세포가 CXCL2를 분비하고 이를 호중구(백혈구)의 CXCR2가 인지하여 세균을 죽이게 됨. 그러나 동시에, [2]세균에서는 內毒素(ENDOTOXIN, LPS)를 분비하는데, 이것이 호중구의 TLR4 수용체를 자극하여 MYD88 단백질의 팔리토일-화를 거쳐서 염증-사이토카인을 대량 방출하게 하여 오히려 환자에 손상을 입히면서, 호중구 표현의 CXCR2를 감소시켜서 호중구의 이동을 방해하여 세균 제거를 못하게 함. 그 결과 패혈증 환자들이 사망하게 됨.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전을 규명함과 동시에 MYD88의 팔미토일-화 효소를 규명하여 이를 차단하면 패혈증의 생존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음을 동물실험으로 증명해 보였음. 향후 패혈증 치료 신약 개발을 교두보를 확보하게 되었음. 그림 3. 패혈증 동물에 대한 치료제의 생존율 향상 효과.동물 패혈증 모델에서, 지방산 합성을 억제하여 MYD88 팔미토일-화를 차단하는 C75를 투여하였더니, 복강내 세균이 감소하면서 패혈증 쥐의 생존율이 향상되었음.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96% 2019.08.20
홈페이지 (6)

2023년도 레지던트 모집공고 1. 모집인원 모집과 모집인원 모집과 모집인원 내과 27 정신건강의학과 5 외과 14 신경과 4 흉부외과 4 마취통증의학과 11 신경외과 4 영상의학과 8 정형외과 8 방사선종양학과 3 성형외과 3 진단검사의학과 4 산부인과 12 병리과 5 소아청소년과 14 재활의학과 5 피부과 3 가정의학과 20 비뇨의학과 3 응급의학과* 8 안과 6 핵의학과 2 이비인후과 6 총 모집인원 179 ※ 2지망 지원 인정 과 : 가정의학과, 병리과, 산부인과, 소아쳥소년과, 외과, 핵의학과 ※ 지원서 2지망란에 상기 2지망 인정과를 기재하지 않으면 2지망 합격이 인정되지 않음 ※ 응급의학과 : 보건복지부 「전공의 공동수련 시범사업」 참여 진료과로서, 공동수련모델을 적용하여 '23년 3월부터 개발된 수련과정에 따라 인천적십자병원 파견수련을 진행할 예정 ◎ 자병원별 독자모집과 구 분 독자모집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내과, 마취통증의학과, 병리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성형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영상의학과, 외과, 응급의학과, 정신건강의학과,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진단검사의학과, 피부과, 핵의학과, 흉부외과 (총 18개과) 국립암센터 마취통증의학과, 병리과, 소아청소년과, 핵의학과 (총 4개과) ※ 상기 병원별 독자모집과는 서울대학교병원과 별도로 모집 예정이며, 지원자는 해당 병원으로 지원서 접수 요망 (분당 : http://recruit.snubh.org / 암센터 : http://www.ncc.re.kr) 2. 전형일정 구 분 일 시 장소 등 1. 지원서 접수 '22.12.05.(월) ~ 12.07.(수) 09:00 ~ 18:00 ※ 12.7(수) 17시 접수 마감 -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교육수련팀 - 위치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 구혁신센터 운영지원동 2층 ※ 우편접수 불가 ※ 온라인접수와 방문접수를 모두 해야 하며, 방문접수를 최 종 지원 기준으로 함 (세부사항 6. 지원 방법 및 제출 서류 참조) 2. 시험 가. 필기시험 '22.12.18.(일) 10:00 ~ 12:00 ※ 09시 30분까지 입실 - 레지던트 필기시험 장소 : 한양공업고등학교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299) ※ 수험표,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 지참 - 컴퓨터용 수성 싸인펜: 감독관 배부 나. 면접, 실기시험 '22.12.20.(화) - 면접 : 과별 지정시간 - 실기 : 과별 지정시간 - 세부 시간 및 장소는 12.16(금) 17시 본원 홈페이지 공고 예정 - 2지망 면접(12.21.(수) 예정)은 대상자 개별 통보 예정 3. 합격자 발표 '22.12.23.(금) 12:00 - 본원 홈페이지 공고 4. 합격자 등록 및 신체검사 '23.01.02.(월) ~ 01.06(금) 13:00 ~ 16:00 (신체검사는 14:00 ~ 16:00에만 가능) - 합격자에 한함 - 장소 : 서울대학교병원 교육수련팀 및 가정의학과 ※ 공지한 시간 외 신체검사 불가 ※ 신체검사 전 교육수련팀 방문 필수 5. 최종 등록 '23.01.09.(월) ~ 01.13.(금) 14:00 ~ 16:00 - 신체검사 결과 및 교부서류 최종 제출 - 본인방문 필수 ※ 상기 일정은 병원 사정 등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음 3. 지원자격 가. 인턴 수료자 또는 수료예정자(2023년 2월)로서 국가공무원법 제33조와 본원 인사규정 제19조(결격사유)*에 저촉되지 않은 자 *인사규정 제19조(결격사유) 다음 각 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직원으로서 채용될 수 없다. 1. 피성년후견인,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특정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6의2.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만원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6의3. 미성년자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저질러 파면·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한다.) 가.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나.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2에 따른 아동·청소년대상 성범죄 7. 병역의무자로서 병역기피를 한 자 8. 징계처분에 의하여 해임된 자로서 5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제82조에 따른 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자 10. 채용 관련 부정합격자로서 면직 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나.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56조 및 아동복지법 제29조의3에 해당되지 않는 자 다. 노인복지법 제39조의17 및 장애인복지법 제59조의3에 해당되지 않는 자 라. 의무사관후보생의 경우 33세 되는 해의 2월까지 수료 가능한 자 마. 병역의무 미이행자 중 의무사관후보생 미편입자는 지원할 수 없음 바. 2022년도 수련중단자 중 군보(2023년 2월 입대 예정자)는 지원불가 사. 타병원과 중복 응시 불가 4. 시험별 배점 비율 및 시험 실시 방법 구분 배점비율 비고 필기시험 40% - 수련환경평가위원회 주관 출제 및 실시 - 시험과목 :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면접시험 15% - 진료과별 실시 실기시험 10% - 진료과별 실시 인턴근무성적 20% 의대성적 10% 영어 5% - 인증시험 : 토익, 텝스, 토플 - 성적유효기간 : 지원서 접수 마감일 기준 3년 5. 필기시험 과목 구분 배점 비고 내과 15점 30문항 외과 15점 30문항 산부인과 10점 20문항 소아청소년과 10점 20문항 합계 50점 100문항 6. 지원방법 및 제출서류 가. 온라인 접수 및 오프라인 접수를 원서접수 기간 내에 모두 완료해야 하며, 오프라인 접수를 최종 지원 기준으로 함 나. 온라인 접수 사이트 : http://recruit.snuh.org (원서 접수 기간에만 오픈됨) 다. 오프라인 접수 장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71,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연구혁신센터 운영지원동 2층 교육수련팀 라. 지원자 제출서류 구 분 본원 인턴 타원 인턴 수료(예정)자 비 고 수료 예정자 수료자 지원서 및 수험표 (사진 수험표에 1매 부착) O O O - 양식 : 공고문 첨부파일 참조 성범죄경력 및 아동학대관련범죄 전력 조회 동의서 1부 O O O - 공고문 첨부파일 참조 - 서명란 정자서명 기입 노인학대관련범죄 경력 조회 동의서 1부 O O O 장애인학대관련범죄 경력 조회 동의서 1부 O O O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 확인서 및 전력조회 동의서 각 1부 O O O - 공고문 첨부파일 참조 ( 병원양식/수련환경평가위원회 양식 각 1부씩 제출 ) 의대 성적 증명서 원본 1부 X O O - 본과 전학년 종합 석차기입 - 의대/의전원 통합석차 기입 - 졸업일자 기재되어 있어야 함 인턴수료(에정)증명서, 인턴근무성적 원본 각 1부 X X O - 본원 인턴 수료자 해당 없음 - 석차 기재 필수 요망 ※ 인턴 수련병원→서울대병원 우 편 발송 시 주소 →(03080)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서울대학교병원 교육수련팀 (우편발송 시 fax로 사본을 우선 발 송 해주시기 바랍니다 02)762-5289) 의사면허증 사본 1부 O O O 영어성적표 원본 1부 O O O - TEPS, TOEIC, TOEFL 중 택1 - 유효기간 : 원서접수 마감일 기준 3년 이내 병역 의무 이행 확인 서류 원본 1부 (비군보 남자에 한함) X O O - 현역 : 전역예정증명서 1부 - 공중보건의 : 재직증명서 1부(전역예정일 명기) - 군필/면제 : 전역일 명기된 주민등록초본 원본 1부 외국인등록증 사본 1부 O O O - 외국인등록증 또는 외국인등록사실증명 사본 1부 코로나19 관련 사전 질문지 O O O - 붙임양식 참조 필기시험 응시료 영수증 O O O - 입금 확인할 수 있는 서류 (입금확인증, 이체내역 명세서 등) ※ 영어성적은 필수 제출 서류 아님 ※ 오프라인 제출 지원서 및 수험표 양식 등 : 첨부 참조 ※ 지원 제출서류는 수련환경평가위원회 임용시험 지침에 따라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음 7. 합격자 사정 원칙 가. 과별 정원범위 내에서 총 성적순으로 선발한다. 나. 총 성적이 동점일 경우 면접시험 점수, 인턴근무성적 순으로 선발한다. 다. 응시자가 정원에 미달되더라도 수련능력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100점 만점 중 60점 미만 득점자, 전체 지원자 성적 순위의 하위 5% 이내에 속하는 자 등) 불합격 처리할 수 있다. 라. 제2지망 선발은 2지망 해당 과에서 면접·실기시험을 실시하고, 배점 비율은 면접·실기시험 각 50%를 적용하여 총 성적순으로 선발한다. 마. 기타 세부 사정원칙은 교육위원회에서 결정한다. 바. 최종 합격여부는 교육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한다. 8. 신체검사 가. 합격자는 서울대학교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또는 국립대학교병원에서 (공무원채용) 신체검사를 받아야 함 (그 외 병원/기관 신체검사 인정하지 않음) ※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신체검사를 받는 경우에만 신체검사비용을 면제 나. 신체검사 불합격자는 합격을 취소함 다. 신체검사 불합격으로 인한 결원은 불합격자 중에서 과별 차 순위자로 충원함 9. 최종합격자 등록 최종합격자는 '23. 01. 13.(금)까지 교육수련팀에 등록 10. 필기시험 응시료 가. 금액 : 100,000원 나. 입금계좌 : 신한은행 100-012-697307 (예금주 : 서울대학교병원) ※ 응시자 성명으로 입금 후 입금 증빙자료 제출(입금확인증, 명세서 등) 11. 기타사항 가. 타 병원(기관)에 중복 응시할 수 없음 나. 필기시험에 응시하지 않은 자와 결시 처리된 자는 레지던트 면접(실기)시험을 포함한 당해연도 전공의 모집 전형(전기모집, 후기모집, 추가모집)에 응시할 수 없음 다. 필기시험 부정행위자의 당해 필기시험은 무효이며, 면접(실기)시험을 포함한 당해연도 전공의 모집 전형( 전기모집 , 후 기모집 , 추 가모집 ) 및 후반기 모집(가을턴)에 응시할 수 없음 라. 응시원서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를 경우(허위기재, 증명서 미제출 등)에는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됨 마.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일 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 보관기간이 경과한 증빙서류른 모두 파기 예정이며, 최종합격 후 임용된 자에 대해서는 서류를 반환하지 않음 바.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교육수련팀(02-2072-2122, 3975)으로 문의 바랍니다. 2022. 11. 21. 서울대학교병원장

채용사이트 > 입사지원 > 채용공고/입사지원
정확도 : 0% 2022.11.29

Rituximab 투약 후 발생한 지연성 과민반응 사례[ 증례 #3] 본 환자는 만성 B형 간염으로 (2018-08-28)부터 Baraclude(Entecavir) 복용 중입니다. 약물유해반응에 대한 과거력은 없었습니다. 다결절 간세포암으로 내원 1달 전 간동맥 화학색전술(TACE) 1차 시행하였습니다. 가족력 약물유해반응에 대한 가족력은 없었다. 진찰 및 검사소견 2P25 Ceftriaxone AST 결과 음성임을 확인하였으며, 3P11 Ceftriaxone 2g 2/3가량 투여 했을 때 복부 두드러기 나타나 투약 중단하였다. 조치 항히스타민제 투약 후 두드러기 증상 감소되었다. 경과 퀴놀론계 항생제인 Moxifloxacin으로 항생제 변경하여 유해반응 재발없이 투약 종료함 유해반응평가 본 환자는 약물 투여 중 두드러기 증상이 나타나 약물 투여를 중단했으므로 중등증의 유해반응으로 평가하였다.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난 환자에게 반복하여 해당 성분의 약물을 투여하면 아나필락시스 등 생명에 위협을 가하는 증상으로 발전할 수 있다. 위중도는 환자에게 발생한 복부 두드러기 증상이 환자의 생명에 위협을 가하거나 입원기간을 연장하여 치료가 필요한 정도의 증상이 아니므로 심각하지 않은 유해반응으로 평가하였으며, 병리기전 상 TypeB_Drug Allergy 의 가능성이 높다. Ceftriaxone 투여 중 발생한 두드러기 증상으로 약물 투여와 증상 발현 사이에 시간적 인과성이 존재한다. Ceftriaxone 투약 시 0.01-0.1% 미만의 빈도로 두드러기 등의 피부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증상 발현 당시 투약 중인 다른 약물이 없었으며, 투약 중단 이후 증상이 전된 점을 감안하였을 때 해당약물에 의한 약물유해반응일 가능성이 높다. 향후 항생제 처방 시 비 beta-lactam계열 약물을 처방하고, eta-lactam계열의 항생제 처방이 반드시 필요하다면 Ceftriaxone과 같은 R1 Side chain을 가진 Cefepime, Cefotaxime, Ceftizoxime, Cefuroxime을 피해 상이한 side chain을 가진 약물을 처방할 것을 권고하였다. 또한 약물 투여 전 항생제 피부반응 검사를 통해 해당 항생제에 약물 알레르기가 없는지 반드시 확인하기를 권고하였다. 유해반응정보 Ceftriaxone 은 항생제로서 국내에서는 Nelaxone, Gomcephin, Trisone Kit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며 , 보통 성인에서 하루 1-2g 을 근육주사 또는 정맥주사로 투여한다 . 하루 최대 용량은 4g 으로 투약 전 반드시 항생제 피부반응검사를 통해 해당 항생제에 약물 알레르기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 Ceftriaxone 은 3 세대 세팔로스포린계열 약제로서 그람 양성균 , 그람 음성균 모두에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그람음성균에 작용이 뛰어나다 . 또한 본 약제는 혈장 단백질에 광범위하게 (83-96%) 작용하며 , 반감기가 8 시간 정도로 매우 길다는 특징이 있다 . Ceftriaxone 은 하나 이상의 페니실린 결합 단백질에 결합하여 활발히 분열하는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한다 . 페니실린 결합 단백질은 세균의 세포막과 관련되어 있으며 세포벽 합성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또한 Penicillin 과 Cephalosporine 같은 beta-lactam 계열의 항생제들은 세포 분열과 관련된 효소인 뮤린 하이드로라제 (murein hydrolase) 억제제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한다 . 베타 락탐 계열 항생제 알레르기는 즉시형과 지연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체 인구의 1-10%, 입원한 환자의 20% 에서까지 나타날 수 있다 . 전체 항생제 알레르기를 경험한 사람 중 10-20% 만이 항생제 피부반응 검사 시 양성 반응이 나왔는데 , 이는 항생제 피부반응 검사가 피부에 페니실린에 특이적인 반응을 보이는 IgE 가 있는지 탐지하여 IgE 와 관련된 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을 예측하는 검사이기 때문이다 . IgE 와 관련된 알레르기 반응은 즉시형 반응으로 아니필락시스 , 저혈압 , 혈관확장 , 기관지경련 혈관부종 , 가려움증 , 장관부종 , 심혈관 허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투여 후 수 분에서 수 시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난다 . 지연형 반응은 T 세포와 관련되어 있으며 열 , 관절통 , 근육통 , 가려움증 , 빈혈 , 혈소판 감소증 , 혈관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지연형 반응은 투여 후 7-10 일 이내에 증상이 나타난다 . 국내 허가사항에 알려진 유해반응 정보 신체기관 흔하게 (1-10%) 흔하지 않게 (0.1-1%) 드물게 (0.01-0.1%) 감염 및 침습 생식기진균감염 위막성대장염 혈액 및 림프계 산구증가증 , 백혈구감소증 과립구감소증 , 빈혈 , 응고병 신경계 두통 , 어지러움 흡기계 기관지연축 위장관계 설사 , 묽은변 오심 , 구토 간담도계 간효소증가 피부 발진 가려움증 두드러기 신장 혈뇨 , 당뇨 전신 , 투여부위 정맥염 , 주사부위통증 , 발열 부종 , 오한 반응 정보 는 다음과 같다 . 시판 후 사용 중 다음과 같은 이상반응이 확인되었다 . ( 다만 , 해당성분과 신체기관 이상반응 위장관계 췌장염 , 구내염 , 설염 혈액 무과립구증 피부 급성전신발진농포증 (AGEP), 중증피부이상반응 (SJS/TEN) 신경계 경련 감염 균교대증 이상사례 간에 인과관계가 입증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Micromedex 에 알려진 유해반응 정보는 다음과 같다 . 2% 미만의 빈도로 발진이 발생할 수 있다 . 임상시험 중 1.7% 환자에게서 발진 반응이 나타났으며 , 피부 발진은 안정성 시험에서 약물투여를 중단한 가장 빈번한 원인이었다 . 2.7-3.3% 의 빈도로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 아나필락시스 , 발진 , 가려움증을 포함한 과민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약물 투여 전 과거 Ceftriaxone 을 포함한 다른 Cephalosporin 계열 약물 , Penicllin 계열 약물에 과민반응이 발생한 적이 없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Penicillin 계열에 과민반응이 있었던 환자는 이 약물과 교차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이 약물 복용 후 가 신체기관 발현빈도 이상반응 피부 5-17% 주입부위 경화 , 열감 , 긴장 소화기계 2.7-5.6% 설사 혈액 호중구 증가 (6%), 혈소판 증가증 (5.1%) 장 흔하게 보고된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 참고문헌 1. Stoeckel K: Pharmacokinetics of Rocephin(R), a highly active new cephalosporin with an exceptionally long biological half-life. Chemotherapy 1981; 27(suppl):42-46. 2. Neu HC: The new beta-lactamase-stable cephalosporins. Ann Intern Med 1982; 97:408-419. 3. Cadoz M, Denis F, Felix H, et al: Treatment of purulent meningitis with a new cephalosporin--Rocephin(R) (13-9904): clinical, bacter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observations in 24 cases. Chemotherapy 1981; 27(suppl 1):57-61. 4. Gilman AG, Goodman LS, Rall TW, et alGilman AG, Goodman LS, Rall TW, et al (Eds):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7th. Macmillan Publishing Co, New York, NY, 1985. 5. AMA Council on DrugsAMA Council on Drugs: AMA Drug Evaluations, 6th.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Chicago, IL, 1986. Product Information: ROCEPHIN powder for injection, ceftriaxone sodium powder for injection. Roche Pharmaceuticals, Nutley, NJ, 2007. 6. Product Information: ROCEPHIN(R) IV, IM injection, ceftriaxone sodium IV, IM injection. Roche Laboratories Inc, Nutley, NJ, 2009. Moskovitz BL: Clinical adverse effects during ceftriaxone therapy. Am J Med 1984; 77(suppl C):84-88. 7. Sacco KA, Bates A, Brigham TJ, et al: Clinical outcomes following inpatient penicillin allergy test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llergy 2017; 72(9):1288-1296. 8. Nasr I, Chua I, Alam S, et al: Penicillin allergy diagnosis and desensitization. Br J Hosp Med (Lond) 2014; 75(7):C98-100, C102. 9. Esposito S, Castellazzi L, Tagliabue C, et al: Allergy to antibiotics in children: an overestimated problem. Int J Antimicrob Agents 2016; 48(4):361-366.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안전센터 > 알림마당 > 약물이상반응 소개
정확도 : 94% 2022.07.25

진료과 :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주요질환 - 소화기계 : 급성장염, 만성 설사, 주기성 구토증, 장중첩증, 염증성 장질환 등 - 간, 담도계 : 간염, 담도폐쇄증, 담관염 등 - 흡기계 : 급성 세기관지염, 급성 인두염, 천식, 크룹 등 - 감염계 : 뇌막염, 경부 임파선염, 폐렴 등 - 면역계 : 만성 육아종, 루프스 등 - 혈액종양계 : 백혈병, 림프종, 조직구증식증, 신경모세포종, 횡문근육종, 골육종, 망막모세포종, 생식세포 종양 - 신장계 : 급성 사구체 신염, 신중후군, 용혈성 요독 증후군, 요로감염, 급.만성 신부전 - 심장계 : 선천성 심장질환, 가와사키등 - 내분비계 : 당뇨병성 케톤산증 - 신경계 : 간질, 경련 - 기타 : 고열, 설사, 외상 간호활동 응급상황 간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환아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초기사정을 시행하며, 소아응급환자를 위한 연령별 장비와 기구를 사용하여 기도삽관, 제세동이 시행되며, 집중 모니터, 투약 간 등 소아 전문 간호가 이루어집니다. 소아경련 등의 소아과적 응급 증상 시에는 필요한 처치를 시행 후 해당과의 협진을 받게 됩니다. 진정간 각종 외상으로 여러 가지 처치가 필요한 환아에게 두려움과 통증을 없애기 위해 약물 및 각종 진정 방법을 사용하여 환아가 두려움과 통증 없이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봉합이 필요한 찢어진 상처의 경우에는 약물을 사용하여 진정, 진통을 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흡저하 등의 문제를 조기 발견하기 위해 집중 관찰합니다. 취약환자 간 아동학대 의심 환아 발생시 소아응급실에서 진료를 받고 필요시 원내 아동보호팀이나 경찰서에 신고합니다. 성폭력의 경우 서울해바라기 여성아동센터에 연락하고, 검진에 앞서 독립되고 편안한 느낌이 드는 공간에서 진료할 수 있도록 합니다. 항암환자 간 종양치료를 받고 있는 환아의 경우, 호중구 감소증이 오게 되면 각종 배양검사를 시행하고 적절한 항생제, 항진균제 혹은 항바이러스제와 군락자극인자의 약물요법, 상처관리, 말초혈관, 중심정맥관 관리와 같은 전문 간호를 집중적으로 시행합니다. 교육 및 상담 퇴원 후 관리 및 교육 (해열제 사용법, 상처봉합 후 관리, 진정제 사용 후 유의사항, 두부손상)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 환자간호 > 응급간호팀 > 소아응급실
정확도 : 94% 2022.02.09

역사 및 목적 암환자를 대상으로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상급수준의 전문가적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자격요건 - 임상경력 5년 이상으로 종양전문간 분야에 대한 특수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상급실무를 수행하는 간호사 -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인정하는 종양 전문간호사의 자격을 취득한 자 활동 항암화학요법 교육 교육 대상자 교육내용 시간 항암화학요법 개인교육 외래환자 /입원환자 - 항암화학요법의 이해 - 항암화학요법의 부작용 예방 및 대처방안 - 일상생활 관리 - 심리적 상담 월~금 개인교육 및 상담 (09:00~18:00) 혈액암환자 항암화학요법 개인교육 입원환자 - 항암화학요법 시 자가관리 - 혈액암환자 히크만 카테터 관리 - 혈액암환자 호중구 감소증 환자 교육 교육자료 - 항암화학요법 - 중심정맥관관리 방법 - 경구 항암제 복약일지 - 항암치료가 끝났어요!! 어떻게 생활하면 될까요? - 항암화학요법 시 증상관리 Brochure (9종) 유방암 수술 후 관리 교육 - 수술 전, 후 상담 및 교육 - 항호르몬요법 교육 - 림프부종/인조유방/유전성 유방암 상담 단체교육 프로그램 날짜 월 화 수 목 금 교육시간 11:00~12:00 11:00~12:00 1200~13:00(월 1회) 11:00~12:00 10:00~12:00 교육내용 유방암의 이해 (전임강사) 유방암의 영양관리 (임상영양사) 항암화학요법 종양내과전임의) +강의 날짜는 상담실로 문의 유방암수술 후 관리 (교육상담간호사) 림프부종 (재활의학과 전공의/ 교육상담간호사) 장소 유방센터 3층 별관병동 교육실(휴게실) 암환자 통증관리 교육 암환자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환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암환자 통증관리 개인교육 시행 교육 교육내용 시간 암환자 통증관리 교육 - 통증 평가 - 암성 통증 관리 교육 및 상담 - 마약성 진통제 용량결정, 복용법 교육 - 마약성 진통제의 부작용 증상관리 - 말기 암환자 증상관리 및 심리적 상담 월~금 개인교육 및 상담 (09:00~18:00) 교육자료 - 암환자의 통증, 이해하고 조절하기 조혈모세포이식 코디네이션 조혈모세포이식 전, 후 교육 및 조혈모세포이식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조정 교육 대상자 교육내용 시간 조혈모세포이식 전, 후 교육 동종/자가 조혈모세포이식을 앞두고 있는 환자와 가족 조혈모세포 이식의 이해 조혈모세포이식 시 자가관리 종양전문간호사 월~금 개인교육 및 상담 (09:00~18:00) 조혈모세포이식 시 영양관리 영양사 교육자료 - 조혈모세포이식 환자를 위한 안내서 -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퇴원 후 주의사항 간호사교육 - 신규 및 복직, 전보 간호사의 업무 동질화 및 질 향상을 위한 교육 - 종양 간 실무의 최신 지식과 정보를 제공 - 간호사 교육자료 개발 - 간호대학원 실습학생 지도 연구 - 근거에 기반한 간 중재 실무 제공을 위해 암 환자 증상과 관련된 연구 논문을 학습하고 실무에 적용 - 암 치료와 관련된 다양한 최근의 연구 결과를 학습하고 교육, 상담에 반영 - 다학제간 연구과정에 참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 전문/전담 간호 > 종양간호 > 성인종양간호
정확도 : 94% 2022.02.09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