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源???????" 에 대한 검색 결과로서 총 1333건 이 검색되었습니다.

의료진 (7)
  • 윤지선( 尹志仙 / Jeesun Yoon ) [혈액종양내과(종양)]

    세부전공위암,췌장암,담도암,신경내분비종양,발부위불명암,임상시험,위암, 췌장암, 담도암, 신경내분비종양, 발부위불명암, 임상시험,췌장암, 담도암, 위암, MUO(발부위불명암), 임상시험,

    위암, 췌장암, 담도암, 신경내분비종양, 발부위불명암, 임상시험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 내과
    예약센터 1588-5700
  • 윤지선( 尹志仙 / Jeesun Yoon ) [종양내과센터 종양내과]

    세부전공위암,췌장암,담도암,신경내분비종양,발부위불명암,임상시험,위암, 췌장암, 담도암, 신경내분비종양, 발부위불명암, 임상시험,췌장암, 담도암, 위암, MUO(발부위불명암), 임상시험,

    췌장암, 담도암, 위암, MUO(발부위불명암), 임상시험

    암병원 > 진료예약 > 진료센터 > 종양내과센터
    예약센터 1588-5700
  • 박창희( / CHANG HEE PARK ) [종양내과센터 종양내과]

    세부전공유방암,대장암,소화기암,항암화학요법,임상시험,임상시험 맞춤치료,유방암, 소화기암, 위장관기질종양, 발부위불명암, 임상시험, 맞춤치료,

    유방암, 소화기암, 위장관기질종양, 발부위불명암, 임상시험, 맞춤치료

    암병원 > 진료예약 > 진료센터 > 종양내과센터
    예약센터 1588-5700
  • 조태준( 趙兌埈 / Cho, Tae-Joon ) [소아정형외과]

    세부전공고관절 탈구,유년기 대퇴골두 무혈성괴사(LCP병),희귀골격계질환(유전성 질환, 대사성질환),기타 소아 고관절 질병,만곡족,기타 발 변형,사지기형/변형,상지기형,질병의 진단,치료,골격이형성증의 진단과 치료,질병의 진단, 골절 치료, 사지 변형 교정 수술, 보조기, 유전자 검사,기형 및 변형의 진단, 치료,척추 변형과 관련된 골격이형성증 및 유전질환의 진단과 치료,족부와 사지 변형 평가 및 치료,근골격계 변형 관리 및 치료,진단, 치료,희귀골질환, 유전성 골질환, 선천성기형,척추측만증 및 기타 골격계변형에 대한 치료,사지 변형 교정, 병적 골절의 진단과 치료, ,질병의 진단, 관절 및 사지 변형 교정 수술, 유전자 검사,희귀골격계질환,고관절이상, 골형성부전증,고관절 이형성증의 진단/치료,수술 전후 보행장애, 발변형에 대한 치료,관절 불안정성, 팔다리 변형 치료,변형의 진단, 인 규명 및 치료,골격계 기형 치료,

    희귀골격계질환,고관절이상, 골형성부전증

    어린이병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 소아정형외과
    예약센터 1588-5700
진료과/센터/클리닉 (47)
감염관리실

감염관리센터 서울대학교병 감염관리센터는 국내 감염관리 분야의 선구자로 1979년 처음 감염관리위원회를 설치 및 운영하였다. 1991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감염관리실로 창설되었고, 2011년 국내 최초로 항생제관리팀이 개설되어 현재 감염관리센터 내 감염관리팀과 항생제관리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감염관리팀 1. 소개 환자 및 직원들을 의료관련감염으로부터 보호하고 안전을 증진하기 위해 의료관련감염감시, 유행발생 역학조사, 감염관리정책 수립, 교육자료 개발, 감염관리교육 및 연구, 상담, 자문 등 내 감염관리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 감염관리팀 주요업무 1)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대책, 연간 계획 수립, 시행 및 평가 2) 감염관리 정책 및 절차 3) 의료관련감염 감시(surveillance) 4) 유행발생 확인 및 관리 5) 신종감염병 관리 6) 감염관리위원회 및 실무위원회 운영 7) 감염관리 상담 및 자문 8) 감염관리 교육 9) 직 감염관리 10) 연구 및 학술활동 항생제관리팀 1.소개 내에서의 적정한 항생제 사용을 통해 다제내성균의 출현을 억제하고자 항생제 사용 관련 내 지침 관리, 항생제 사용 현황 모니터링 및 중재, 수술 예방적 항생제 관리 등 항생제 사용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항생제관리팀 주요업무 1) 내 항생제 사용 지침 수립 2) 항생제 사용량 모니터링 3) 제한항균제 사용 관리 4) 항생제 적정 사용을 위한 처방 중재 5) 항생제 처방 개선을 위한 CDSS 관리 6) 수술 예방적 항생제 적정 사용 유도 7) 기타 항생제 관리를 위한 약물 정보 및 자료 제공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31% 2025.04.15
융합의학과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기초과학과 4차산업혁명 기술의 최대 수혜분야가 의료 영역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과거 20년 동안 축적해온 의료빅데이터와 세계 최고수준의 진료 및 연구 역량을 보유한 의료진의 경험과 아이디어가 신의료기술 개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융합의학기술원과 융합의학과를 신설하였습니다. 의료 분야에서 의료진과 융합하여 실제 임상에 사용될 실용적 기술을 개발하는데 뜻이 있는 연구자를 초빙하여 융ㆍ복합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고, 융합의학연수생을 선발해서 융ㆍ복합 인재 양성을 병행해 나가고자 합니다. Vision 최고 수준의 진료, 연구 역량을 보유한 서울대학교병 의료진과 다각적인 협력을 통해 융합의학 기술을 개발하고, 인재를 양성하며, 혁신적인 기술을 실용화해 오랫동안 인류를 괴롭혀온 질병과 장애, 의학적 난제를 해결하고 미래의료를 선도한다. Mission ○ 미래의료를 선도할 융·복합 연구역량 강화 - 인공지능, 정밀의료, 바이오제약, IT, 빅데이터, 로봇, 영상, 의료기기사업화 등 의학 · 공학 · 이학 분야의 연계 협력이 필수적인 미래의료 기술 개발 ○ 국가중심병원으로서 연구역량 강화 - 우수한 연구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안정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해 연구전담 교수를 집중 육성하여 급변하는 의료환경 속에서 연구역량을 강화해 국내외 의학발전을 선도 ○ 융·복합 인재양성을 위한 미래의학 교육과정 개발 - 세계적 수준의 국립대학병원으로서 미래의학 교육과정을 개발해 각 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교육 훈련을 통해 4차 산업시대 의료분야를 선도할 인재 양성 조직 및 구성도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43% 2025.04.14
통증센터

서울대학교병 통증센터에서는 다양한 급만성 통증질환을 진료하고 있습니다. 척추질환(척추협착증, 척추수술후통증증후군, 디스크내장증, 추간판탈출증, 척추 염좌, 추간관절증후군, 경추성두통 등), 근골격계질환(퇴행성 골관절염, 건염, 근근막통증증후군 등), 신경병증성통증질환(삼차신경통, 대상포진후신경통,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등), 암성통증(발암 통증, 전이성 통증, 치료합병증, 암환자의 퇴행성 통증 등)이 통증센터의 주요 진료 영역입니다. 또한 만성 난치성 통증이 있어서 찾아주신 경우 검사·진단 후 필요 시 타 진료과와의 연계 및 협진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본 통증센터는 각종 통증질환에 대하여 종합적인 진단과 치료를 제공합니다. 다양한 영상검사와 신경기능 검사는 물론, 진단적 신경차단술을 통하여 각종 통증 질환의 인을 찾습니다. 진단 후에는 약물치료와 신경치료를 통하여 환자의 증상을 조절하고 유지하며, 정상적인 신체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일반적인 치료로 충분하게 호전되지 않는 경우, 인에 대한 보다 근본적이면서도 신체에 부담이 적은 비수술적 치료를 제시합니다. 난치성 중증 통증 질환에 대해서는 척수신경자극술, 척수강내약물주입술 등의 최신 신경조절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지난 30여년 간 통증센터는 방문하는 환자의 수와 질병의 중증도 면에서 국내 최고의 통증센터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본 통증센터는 이러한 특성을 살려, 진료뿐 아니라 교육과 연구에 있어서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매년 숙련된 통증전문의를 다수 배출하여 보다 많은 환자분들께서 양질의 통증 진료를 받으실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수준 높은 연구 결과를 매년 발표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선진 통증의학을 국내 도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중국, 동남아, 인도, 중동 등 아시아 각국에 체계적인 통증의학을 전파하는 데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통증센터 모든 의료진은 환자분들의 통증을 덜어줌으로써 더 나은 삶의 질을 누리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50% 2024.08.22
건선 클리닉

담당교수 피부과 조성진 교수 피부과 외래 간호사실 2072-2411 소개 건선은 악화와 호전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인 미상의 만성피부질환으로서, 우리나라 사람의 0.5~1%가 이 병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건선클리닉에서는 가장 흔한 판상형건선을 비롯 농포성건선, 박탈성건선 등 각종 건선에 대한 예방과 치료는 물론 특히 피부의 30% 이상을 침범한 중증건선에 대하여 우리나라 사람에 적합한 치료법을 개발하는 등 효과적인 치료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대상 및 치료 우리 몸 중에서 자극을 자주 받는 부위인 팔꿈치, 무릎, 엉덩이, 머리의 피부에 잘 생기는 건선은, 재발성 만성질환이므로 치료효과가 좋으면서도 장기치료로 인한 부작용이 적은 치료법이 요망됩니다. 건선클리닉에서는 환자상태에 적합한 치료법을 선택하기 위해 피부조직검사와 함께 혈액검사, 요검사, 영상검사 등 다양한 검사를 선행합니다. 치료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국소치료: 부작용이 적은 약을 선택해 1~2주간 효과 확인 및 적응기간을 거쳐, 단계적으로 강도를 높여가며 약을 발라 치료합니다. 2. 광치료: 자외선을 인공적으로 발생하는 기기를 이용해, 건선치료에 효과적인 자외선을 선택적으로 쪼임으로써 치료합니다. 3. 전신치료: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혈액검사와 요검사를 주기적으로 시행해가며, 과거와 달리 효과가 우수한 약물을 복용하도록 합니다. 4. 복합치료: 건선이 심한 경우 환자 상태에 적절하게 여러가지 치료법을 복합하여 사용하는 복합치료법 등이 있습니다. 5. 최근에는 생물학적 제제가 널리 사용되면서, 건선의 중등도에 따라 적절한 주사약제를 사용하여 건선을 치료합니다.

본원 > 진료예약 > 진료과/의료진
정확도 : 56% 2024.07.04
건강정보 (187)
질환정보 (13)

갑상선기능저하증이란 갑상선호르몬의 부족으로 인해 말초조직의 대사가 저하된 상태를 말합니다. 갑상선기능 저하증의 95% 이상이 발성 갑상선기능 저하증이며, 발성 갑상선기능 저하증의 인 중 70-85%는 자가면역성 만성 갑상선염(하시모토병)에 의해 발생합니다. 그 외 수술이나 방사성 요드 등의 치료로 갑상선의 일부 혹은 전부를 절제했거나 파괴시킨 경우에도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내과 조보연 박도준 외과 오승근 윤여규 이비인후과 김광현 성명훈 권택균 하정훈 갑상선 호르몬은 에너지 생성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갑상선 호르몬 부족은 온 몸의 기능저하를 초래합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증상은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환자마다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얼굴이 붓고 식욕이 없는 데도 체중이 증가합니다. 쉽게 피로를 느끼고 나른하며 의욕이 없고 기억력이 감퇴됩니다. 피부는 색깔이 누렇게 되고 거칠고 차가우며 추위를 잘 타게 됩니다. 손톱은 연하고 잘 부스러지며 모발은 윤기가 없이 거칠며 잘 부스러지는데 탈모를 동반합니다. 목소리가 쉬며 말이 느려지고 변비가 생깁니다. 여자는 월경량이 많아집니다. 손발이 저리고 쥐가 잘나며 근육이 딴딴해지며 근육통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치료를 하지 않거나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 심장질환, 의식불명 등의 치명적인 합병증이 초래되므로 반드시 치료해야 합니다. 치료로는 보통 일정량의 갑상선 호르몬을 복용해야 합니다. 하루에 한번 일정량을 복용하면 되기 때문에 치료 자체는 단순합니다. 갑상선 호르몬은 우리 몸이 만들어 내는 호르몬으로 단지 양이 부족해서 보충하는 것이므로 약물복용에 따르는 부작용은 없습니다.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약을 복용하는 기간은 발생 인에 따라서 다릅니다. 수술로 갑상선을 제거한 경우나 갑상선기능 항진증의 치료 목적으로 방사성 요드를 투여해서 발생한 갑상선기능저하증인 경우에는 갑상선기능이 회복될 가능성이 전혀 없습니다. 따라서 갑상선 호르몬을 평생 복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만성 갑상선염에 의해 발생한 경우에는 상당수의 환자에서 갑상선기능 저하증이 일시적이거나 혹은 치료 후 자연 회복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환자에 따라서는 일정기간만 치료해도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내과 조보연 박도준 외과 오승근 윤여규 이비인후과 김광현 성명훈 권택균 하정훈 안과 곽상인 소아안과 곽상인 정호경

서울대학교병원 > 의학정보실 > 종합질병정보
정확도 : 56% 2017.07.28

당뇨병성 신증은 미세혈관 합병증 중 가장 나중에 나타나지만 결국 만성 신부전증으로 투석치료나 신장이식을 받아야만 됩니다.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을 받고 있는 말기 신부전증의 3대 인 중 하나로 되어 있으며 당뇨병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새로 투석을 받는 환자의 약 1/3~1/2은 당뇨병성 신증에 의한 신부전증이며 당뇨병이 있는 경우 투석 중 사망률이 당뇨병이 없는 경우에 비해 50%이상 높기 때문에 당뇨병성 신증의 예방 및 치료가 더욱 중요합니다. 당뇨병성 신증의 초기 소견은 소변에 미량의 알부민이 빠져나가는 미세 알부민뇨 단계입니다. 제 1형 당뇨병에서 미세 알부민뇨의 출현은 다음 단계의 신증으로 진행하는 가장 확실한 예측 방법이며, 제2형 당뇨병에서도 다른 인자들이 작용하지만 역시 단백뇨 전 단계로 미세알부민뇨가 나타납니다. 또한 미세 알부민뇨는 당뇨병의 대혈관 합병증을 예측케 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미세 알부민뇨 측정시 주의하여야 할 점은 정상적으로 소변내 알부민 배설이 증가하는 조건(운동, 다량의 단백질 섭취, 발열, 고혈압, 혈뇨, 질분비물 오염, 요로감염증, 조절되지 않는 고혈당)을 먼저 배제하여야 신증의 진행 예측지표로서의 가치가 있습니다. 미세알부민뇨는 14세 이하나 제 1형 당뇨병이 생긴지 5년 미만인 경우에는 잘 생기지 않습니다. 따라서 미세 알부민뇨의 선별검사 대상은 제 1형 당뇨병이 생긴지 5년 이상된 사춘기 이후의 환자나 새로이 진단된 제 2형 당뇨병 환자입니다. 고혈압이 생기거나 혈중 크레아티닌이 증가하면 더 자주 검사합니다. 당뇨병성 신증으로 진단되면 적극적인 생활습관의 교정과 관리가 이뤄져야 합니다. 1) 일차적으로 혈당을 정상에 가깝게 조절함으로써 미세알부민뇨의 빈도를 줄이고 신장질환의 진행 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2) 단백질 섭취를 제한함으로써 신증의 진행을 지연시킬 것으로 추측되나 심한 단백질 섭취제한은 영 양결핍과 영양 불균형으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를 복용 중인 환자는 하루 1.0g/kg, 복용 중이지 않은 환자는 하루 0.6g/kg 정도의 단백질 섭취제한이 권장됩니다. 3) 고혈압이나 부종이 있는 신증의 경우 저염식을 합니다. 4) 고혈압이 있는 경우 철저히 관리하며 120/75mmHg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나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를 고려합니다. 6) 요로감염이 있는 경우 조기에 철저히 치료합니다. 7) 조영제를 사용하는 검사 시 급성 신부전증이 생길 위험성이 높으므로 꼭 필요한 경우 의사와 상 담하여야 하며 전 처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8) 동반되는 지질이상을 철저히 관리합니다. 내과 이정상 김성권 한진석 안규리 김연수 주권욱 오국환 소아청소년과 최용 정해일 하일수

서울대학교병원 > 의학정보실 > 종합질병정보
정확도 : 50% 2017.07.28

어지러움이 있는 환자는 정지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나 주변환경이 움직이고 있다고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이상 감각은 흔히 빙빙도는 느낌으로 나타나며 메스꺼움이나 심하면 구토를 동반합니다. 내이의 평형기관인 전정기관의 장애, 뇌로 연결과는 신경의 이상, 평형을 담당하는 대뇌 영역의 이상에서 생길 수 있습니다. 드물게는 심각한 인 질환의 한 징후로 나타나서 신속한 조치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어지러움의 인 현훈은 간혹 목부위의 관절염(경추증)이 동반되는데 고개를 돌리거나 기울일 때 평형을 담당하는 뇌영역에 피를 공급하는 혈관이 눌리면서 증상이 유발됩니다. 또한 전정기관의 감염(미로염)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흔히 감기 바이러스성 상기도염으로 시작되거나 중이의 세균감염으로 시작됩니다. 이 경우 갑자기 현훈이 시작되어 1-2주간 지속됩니다. 이명과 난청이 동반되며 반복적으로 현훈이 생기는 경우 메니에르병과 같은 내이 질환이 인이 됩니다. 현훈은 항생제 부작용, 과도한 음주, 식중독, 열사병의 한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머리가 움직일 때 나타나는 발작성 현훈은 내이안에 석회화된 덩어리가 있는 경우 생기며 보통 수주에서 수개월에 걸쳐 저절로 회복됩니다. 드물게는 청신경종, 뇌졸중, 두부손상, 다발성 경화증 등이 인이 될 수 있으며, 이때는 언어장애, 시각이상, 사지 무력증 등의 다른 증상들을 동반합니다. 위의 증상이 동반될 경우, 즉시 병원에 가야 합니다. 어지러움이 있을 때 스스로 할 수 있는 행동 현훈이 있을 때는 가만히 누워있고 갑자기 움직이는 것은 피합니다. 구토가 있는 경우 탈수증을 피하기 위해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10분 간격으로 한 모금씩 물을 마십니다. 현훈이 수분간 지속되거나 반복적으로 생기면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어지러움의 진단과 치료 인을 규명하기 위해 귀, 안구운동, 신경계검사를 합니다. 칼로리 검사는 온수와 냉수를 번갈아가며 귀속으로 주입해가며 전정기능의 이상을 확인합니다. 경부 방사선 검사는 경부의 척추 분리증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이명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청신경종양을 의심하여 CT 스캔 또는 MRI 스캔을 시행합니다. 증상을 완화하는 약물치료를 시행하며 항생제 부작용으로 현훈이 생긴 경우에는 다른 약물로 대체합니다. 그 외의 치료는 인에 대한 치료입니다. 이비인후과 장선오 오승하 이준호 신경과 노재규 윤병우 김만호 이승훈 가정의학과 조비룡 박민선 소아이비인후과 장선오 오승하 이준호

서울대학교병원 > 의학정보실 > 종합질병정보
정확도 : 43% 2017.07.28

위염은 위를 보호하는 위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다양한 임상양상, 조직학적 특성, 병인을 가집니다. 위염은 임상 양상(급성 혹은 만성)에 따라, 조직학적 특징에 따라, 위염의 해부학적 분포 등에 따라 분류합니다. 최근에는 위에서 발견되는 헬리코박터균( Helicobacter pylori )이 위염의 개념 및 인, 분류의 중심이 되고 있습니다. 1) 인 급성 위염은 약물(특히, 소염진통제), 알코올, 내과적 혹은 외과적 질환 때문에 생기는 스트레스, 독감 바이러스 혹은 세균 및 진균에 의한 감염 그리고 문맥압 항진 등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고 이보다 덜 흔한 인으로 부식성 화합물의 복용과 방사선에 의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2) 증상 중한 질병과 연관된 급성 미란성 위염을 스트레스성 위염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스트레스성 위염은, 스트레스와 관련된 점막의 미란과 점막상피하 출혈이 발생하고 중한 질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외상, 화상, 저혈압, 패혈증, 중추신경계 손상, 응고장애, 인공 호흡기, 간질환 혹은 신부전, 등)에서 주로 6-24시간에 발생합니다. 임상적으로는 종종 무증상인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심와부 통증, 오심, 구토를 유발시키기도 합니다. 간혹 토혈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만 대개 심각한 정도의 출혈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진단 이러한 급성 미란성, 출혈성 위염은 상부위장관 내시경으로 진단됩니다. 상부위장관 내시경에서 점막출혈, 울혈, 미란, 그리고 일부에서 위저부나 체부에서 발견되는 표층성 혹은 심부 궤양 등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조직학적으로는 심각한 염증 소견은 없는 것이 보통이고 이러한 내시경 소견 및 병변의 병태와 증상과는 직접적인 상관 관계는 없습니다. 4) 치료 급성 위염은 대개 일정 기간 동안 금식하여 위를 휴식시키고 인 물질을 중단합니다. 이때 구토가 지속되면, 체내의 수분이 빠져나가 위액 중의 염분과 기타 필요한 전해질이 소실되어 탈수 현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해 충분한 수분을 공급을 해야 합니다. 식사는 처음에는 유동식에서 시작하여 점차 양을 늘리거나 일반식사로 전환하여 치료합니다. 또한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는 동반 질환을 같이 동반하여 치료하여야 합니다. 약물 치료로는 궤양의 치료에 준하여 항궤양제 (H2 수용체 길항제 혹은 프로톤 펌프 억제제), 제산제(수크랄페이트), 진경제 등이 쓰입니다. 문맥압 항진성 위병증의 경우에는 프로프라놀롤로 문맥압을 낮추면 출혈의 재발을 낮출 수 있고 약물치료에 듣지 않는 환자들은 문맥압을 낮추는 시술로 치료효과를 볼 수도 있습니다. 1) 인 및 역학 만성위염의 인으로는 식이, 조미료, 약물, 알코올, 커피, 담배 등의 외인성 인자와 함께 심리적 스트레스 등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위축성 위염은 유전적 요인 및 면역기능 이상 등이 문제가 되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면역 이상으로 오는 위축성 위염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십이지장액(주로 담즙)이 위 속으로 역류하여 영향을 끼칠 수도 있고 위암.위궤양.십이지장궤양 때와 위절제술 후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 및 항진증, 만성 부신 피질 저하증,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 당뇨병 등의 내분비질환 환자들에게 위축성 위염의 발생이 많습니다. 그 외에 만성신부전, 요독증, 동맥경화증, 철분 결핍성 빈혈 등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젊은이에게서는 표층성 위염이, 연령이 많아질수록 위축성 위염의 빈도는 증가하게 되어 고령층에는 주로 위축성 위염이 많습니다. 만성 위염은 급성 위염과는 달리 분명한 인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가면역의 이상으로 위핵이나 점막 세포에 대하여 항체가 생겨 만성 위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급성 위염의 경우라 해도 여러 차례 되풀이되거나, 염증이 완치되기 전에 식사에 조심을 하지 않으면, 만성 위염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위 종양이나 위궤양에 따르는 수반성 위염의 인이나 발생 인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 만성 위염은 표층성 위염, 위축성 위염 및 비후성 위염으로 나뉘어져 왔으나 현재에는 표층성과 위축성 위염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또한, 만성 위염은 위점막에서의 분포와 병인에 따라 A형(Type A gastritis)와 B형(Type B gastritis)로 나누기도 합니다. 2) 증상 만성 위염의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표층성 위염에서는 상복부에 통증이 올 수 있는데, 식사 직후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상복부가 무겁게 눌리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으며, 메스껍고 가슴이 답답하여 소화성 궤양과 비슷한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위축성 위염은 명확하게 나타나는 증상이 없이 소화 불량을 보일 수 있습니다. 기름기나 조미료(짜거나 매운 것)를 많이 넣은 식사를 하고 난 후에 소화가 잘되지 않는 느낌을 갖는 경우가 많고 특히 과식한 후에 상복부에 불쾌감이나 복통을 느끼며 식사 후에 바로 배가 불러지고 압박감이 동반될 수 있으며, 많은 예에서 체중감소를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입맛이 떨어지고 메스꺼움과 구토, 전신권태감,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빈혈이 합병되는 경우에는 혀에 위축성 변화가 오며 이상 감각을 가져올 수 있고 피부 변화도 올 수 있습니다. 또한 토혈하는 수가 있습니다. 점막이 얇아져 위벽의 혈관이 찢어지기 쉽게 되므로 때로는 대출혈을 일으켜 상당한 토혈을 보이는 수도 있습니다. 만성위염을 발견, 분류하는 데는 내시경적 생검이 가장 믿을만한 방법입니다. 위 점막조직은 위염의 불규칙한 분포 때문에 채취 오차가 충분히 일어날 수 있음을 감안해야 하므로 가능하면 의심스러운 부위에서 안전하게 여러 개의 생검이 추천됩니다. H. pylori 감염 여부는 위점막 표본의 조직검사, 배양, urease 활성검사, 등으로 알 수 있고 위생검조직에서 시행하는 효소 검사는 비교적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검사입니다. 4) 치료 만성 위염은 발생 인이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은 진행성 병변이므로 실제적인 인요법은 없고, 대증요법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인이 된다고 추측되는 알코올, 카페인 등이 들어 있는 음료, 향신료, 차거나 뜨거운 음식 혹은 음료 등과 아스피린, 항생제 등의 약물의 섭취 또는 사용을 피해야 합니다. 식사는 위에 부담을 경감시키고 소화기능을 정상화 하는데 도움이 되며 영양분이 충분히 들어 있는 음식으로 합니다. 약물요법으로는, 표층성 위염에서는 소화성 궤양에 준하여 제산제, 항펩신제, 진경제, 진정제 등을 사용하도록 하는 반면, 위축성 위염에서는 점막 보호제, 소화관운동 기능조정제가 사용되며, 때에 따라서는 정신 안정제가 병용될 수 있습니다. 아무런 자각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약물요법이 필요하지 않으나 빈혈이 있을 때는 철제나 비타민제의 보충이 필요합니다. 드물기는 하지만 대량의 토혈을 되풀이하거나 약물요법을 계속해도 효과가 없을 경우, 또 위암의 의심이 강할 때 등은 위를 절제하는 수술이 행하여지는 수가 있습니다. 5) 예방 표층성위염 중에 위유문부에 있는 것은 어느 정도 치유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위축성위염의 대부분은 계속 진행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위축성위염은 위궤양의 발생근원이 될 수 있다는 것과 위축성위염의 대부분에서 합병되는 장상피화생은 위암의 전구병변이기 때문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만성 위염의 예방에 있어서 일상 생활을 하는데 주의할 것은 무엇보다 규칙적인 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식사요법 외에도 직업이나 생활환경에서 오는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제거하고, 위험 발생과 악화요인이 되는 술, 담배는 중지해야 합니다. 안정요법으로 심신의 안정을 도모하고 충분한 휴양과 수면을 취하는 것과 가벼운 운동, 산책도 도움이 됩니다. 만성 위염은 경과가 긴 병이므로 식이요법과 생활 습관 조절은 장기간에 걸쳐 끈기있게 계속해야 합니다. 내과 송인성 정현채 김주성 김상균

서울대학교병원 > 의학정보실 > 종합질병정보
정확도 : 43% 2017.07.28
이용안내 (31)

감염관리센터 서울대학교병 감염관리센터는 국내 감염관리 분야의 선구자로 1979년 처음 감염관리위원회를 설치 및 운영하였다. 1991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감염관리실로 창설되었고, 2011년 국내 최초로 항생제관리팀이 개설되어 현재 감염관리센터 내 감염관리팀과 항생제관리팀으로 구성되어 있다. 감염관리팀 1. 소개 환자 및 직원들을 의료관련감염으로부터 보호하고 안전을 증진하기 위해 의료관련감염감시, 유행발생 역학조사, 감염관리정책 수립, 교육자료 개발, 감염관리교육 및 연구, 상담, 자문 등 내 감염관리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 감염관리팀 주요업무 1)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대책, 연간 계획 수립, 시행 및 평가 2) 감염관리 정책 및 절차 3) 의료관련감염 감시(surveillance) 4) 유행발생 확인 및 관리 5) 신종감염병 관리 6) 감염관리위원회 및 실무위원회 운영 7) 감염관리 상담 및 자문 8) 감염관리 교육 9) 직 감염관리 10) 연구 및 학술활동 항생제관리팀 1.소개 내에서의 적정한 항생제 사용을 통해 다제내성균의 출현을 억제하고자 항생제 사용 관련 내 지침 관리, 항생제 사용 현황 모니터링 및 중재, 수술 예방적 항생제 관리 등 항생제 사용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2.항생제관리팀 주요업무 1) 내 항생제 사용 지침 수립 2) 항생제 사용량 모니터링 3) 제한항균제 사용 관리 4) 항생제 적정 사용을 위한 처방 중재 5) 항생제 처방 개선을 위한 CDSS 관리 6) 수술 예방적 항생제 적정 사용 유도 7) 기타 항생제 관리를 위한 약물 정보 및 자료 제공

어린이병원 > 진료안내 > 진료지원부서
정확도 : 0% 2025.04.15

최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기초과학과 4차산업혁명 기술의 최대 수혜분야가 의료 영역이 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과거 20년 동안 축적해온 의료빅데이터와 세계 최고수준의 진료 및 연구 역량을 보유한 의료진의 경험과 아이디어가 신의료기술 개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융합의학기술원과 융합의학과를 신설하였습니다. 의료 분야에서 의료진과 융합하여 실제 임상에 사용될 실용적 기술을 개발하는데 뜻이 있는 연구자를 초빙하여 융ㆍ복합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고, 융합의학연수생을 선발해서 융ㆍ복합 인재 양성을 병행해 나가고자 합니다. Vision 최고 수준의 진료, 연구 역량을 보유한 서울대학교병 의료진과 다각적인 협력을 통해 융합의학 기술을 개발하고, 인재를 양성하며, 혁신적인 기술을 실용화해 오랫동안 인류를 괴롭혀온 질병과 장애, 의학적 난제를 해결하고 미래의료를 선도한다. Mission ○ 미래의료를 선도할 융·복합 연구역량 강화 - 인공지능, 정밀의료, 바이오제약, IT, 빅데이터, 로봇, 영상, 의료기기사업화 등 의학 · 공학 · 이학 분야의 연계 협력이 필수적인 미래의료 기술 개발 ○ 국가중심병원으로서 연구역량 강화 - 우수한 연구 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안정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해 연구전담 교수를 집중 육성하여 급변하는 의료환경 속에서 연구역량을 강화해 국내외 의학발전을 선도 ○ 융·복합 인재양성을 위한 미래의학 교육과정 개발 - 세계적 수준의 국립대학병원으로서 미래의학 교육과정을 개발해 각 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교육 훈련을 통해 4차 산업시대 의료분야를 선도할 인재 양성 조직 및 구성도

어린이병원 > 진료안내 > 진료지원부서
정확도 : 0% 2025.04.14

서울대학교병 통증센터에서는 다양한 급만성 통증질환을 진료하고 있습니다. 척추질환(척추협착증, 척추수술후통증증후군, 디스크내장증, 추간판탈출증, 척추 염좌, 추간관절증후군, 경추성두통 등), 근골격계질환(퇴행성 골관절염, 건염, 근근막통증증후군 등), 신경병증성통증질환(삼차신경통, 대상포진후신경통,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등), 암성통증(발암 통증, 전이성 통증, 치료합병증, 암환자의 퇴행성 통증 등)이 통증센터의 주요 진료 영역입니다. 또한 만성 난치성 통증이 있어서 찾아주신 경우 검사·진단 후 필요 시 타 진료과와의 연계 및 협진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본 통증센터는 각종 통증질환에 대하여 종합적인 진단과 치료를 제공합니다. 다양한 영상검사와 신경기능 검사는 물론, 진단적 신경차단술을 통하여 각종 통증 질환의 인을 찾습니다. 진단 후에는 약물치료와 신경치료를 통하여 환자의 증상을 조절하고 유지하며, 정상적인 신체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일반적인 치료로 충분하게 호전되지 않는 경우, 인에 대한 보다 근본적이면서도 신체에 부담이 적은 비수술적 치료를 제시합니다. 난치성 중증 통증 질환에 대해서는 척수신경자극술, 척수강내약물주입술 등의 최신 신경조절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지난 30여년 간 통증센터는 방문하는 환자의 수와 질병의 중증도 면에서 국내 최고의 통증센터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본 통증센터는 이러한 특성을 살려, 진료뿐 아니라 교육과 연구에 있어서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매년 숙련된 통증전문의를 다수 배출하여 보다 많은 환자분들께서 양질의 통증 진료를 받으실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수준 높은 연구 결과를 매년 발표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선진 통증의학을 국내 도입하는 데 그치지 않고 중국, 동남아, 인도, 중동 등 아시아 각국에 체계적인 통증의학을 전파하는 데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통증센터 모든 의료진은 환자분들의 통증을 덜어줌으로써 더 나은 삶의 질을 누리실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어린이병원 > 진료안내 > 진료지원부서
정확도 : 0% 2024.08.22
고객참여 (209)

2025 년도 5월 레지던트 추가 모집 공고 ※ 변경사항(세부내용 본문 참고) (1) 접수기간 연장 / 면접일자 변경 (2) 접수방법 : 부득이한 경우 온라인 접수 가능 1. 모집 인 모집과 1 년차 2 년차 3 년차 4 년차 합계 내과 24 25 28 77 외과 8 15 14 37 심장혈관흉부외과 4 4 4 5 17 신경외과 2 3 3 2 10 정형외과 6 7 7 7 27 성형외과 3 2 4 6 15 산부인과 10 11 11 7 39 소아청소년과 12 14 15 15 56 피부과 0 3 3 3 9 비뇨의학과 4 3 4 3 14 안과 5 6 4 6 21 이비인후과 3 5 6 6 20 정신건강의학과 6 5 5 1 17 신경과 3 4 3 3 13 마취통증의학과 10 9 9 9 37 영상의학과 7 8 8 7 30 방사선종양학과 3 3 3 3 12 진단검사의학과 2 4 2 4 12 병리과 3 5 3 3 14 재활의학과 4 4 6 6 20 가정의학과 16 13 11 40 응급의학과 7 5 7 7 26 핵의학과 1 3 2 1 7 총 모집인 143 161 162 104 570 ※ 금번 추가 모집에 한해 아래사항에 해당할 경우 사후정 인정 - (1년차) ’24년 상반기 합격했던 자가 해당 병(기관)ㆍ과목에 다시 합격하여 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사후정 인정 (단, 동 모집 합격자가 사직(임용포기)하는 경우 사후정 불 인정) - (2~4년차) ’24년 사직 당시 수련 중이던 병(기관)ㆍ과목에 다시 합격하여 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수련 환경평가위원회 공고일 기준 연차별 현 범위 내에서 사후정 인정 (단, 동 모집 합격자가 사직(임용포기)하는 경우 사후정 불인정) ※ (1년차) 2지망 지 인정 과 : 산부인과, 심장혈관흉부외과, 핵의학과(지원서 2지망 란에 상기 2지망 인정과를 기재하지 않으면 2지망 합격이 인정되지 않음) ※ 수련개시일 : 2025년 6월 1일부터 수련 개시 2. 전형 일정 (1) 레지던트 1 년차 구 분 일 시 장소 등 공 고 ’25.5.21( 수 ) - 본 채용 홈페이지 게시 지원서 접수 ‘25.5.21( 수 ) ~ 29 ( 목 ) 18 시 ※ 주말 및 점심시간 12~13 시 제외 - 장소 : 서울대학교병 교육수련팀 ※ 우편접수 불가 ※ 온라인 접수와 방문접수를 모두 해야하며, 방문접수를 최종 지 기준으로 함. 단,부득이한 경우 온라인 접수로 최종지 갈음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출 서류 담당자 메일로 제출해야 최종 지원한 것으로 간주 (서류 스캔본 제출 : 02770@snuh.org) 면접 및 실기시험 ’25.5.30( 금 ) ※ 면접 및 실기일정 : 과별 지정 ※ 세부 시간 및 장소는 추후 안내 예정 ※ 2 지망 면접 : 해당자 개별 통보예정 합격예정자 적합여부 확인 ’25.5.31( 토 ) 합격자 발표 ’25.5.31( 토 ) - 개별 안내 예정 (2) 레지던트 2~4 년차 ( 상급년차 ) 구 분 일 시 장소 등 공 고 ’25.5.21( 수 ) - 본 채용 홈페이지 게시 지원서 접수 ‘25.5.21( 수 ) ~ 29 ( 목 ) 18 시 ※ 주말 및 점심시간 12~13 시 제외 - 장소 : 서울대학교병 교육수련팀 ※ 우편접수 불가 ※ 온라인 접수와 방문접수를 모두 해야하며, 방문접수를 최종 지 기준으로 함. 단,부득이한 경우 온라인 접수로 최종지 갈음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출 서류 담당자 메일로 제출해야 최종 지원한 것으로 간주 (서류 스캔본 제출 : 02770@snuh.org) 면접시험 ’25.5.30( 금 ) ※ 면접 및 실기일정 : 과별 지정 ※ 세부 시간 및 장소는 추후 안내 예정 합격예정자 적합여부 확인 ’25.5.31( 토 ) 합격자 발표 ’25.5.31( 토 ) - 개별 안내 예정 ※ 상기 일정은 보건복지부 및 병 사정 등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음 3. 지 자격 (1) 레지던트 1 년차 ○ 인턴 수료자 또는 해당연도 수료 예정자 ※ ’23.3 ~ ’24.2 월 (’23 수련연도 ) 당시 인턴 : ’24.2 월 발생한 추가수련을 미이수한 경우 , ’24 년 상반기 모집에서 합격했던 병 ( 기관 ) ㆍ 과목에만 지 가능 - 단 , ’24 년 레지던트 1 년차에 미지원하였거나 불합격하여 ’24 년 상반기 모집에서 합격했던 병 ( 기관 )· 과목이 없는 자는 레지던트 1 년차 지원가능 - ’23 년 하반기 수련 개시한 인턴은 동일 병원의 인턴으로 지 가능 ( 동일병원에 합격하여 ’25.6~11 월 수련하는 경우 인턴 이수 인정 ) ○ 의무사관후보생으로 지원하려는 자 또는 선발된 자도 지 가능 ○ 수련 중인 전공의는 지 불가 ( 수련환경평가위원회 모집 공고일 (2025.05.19.) 기준 ) ○ 1 개 병 ( 기관 ) 에만 지 가능 ( 이중 지 불가 ) ○ 본 인사규정 제 19 조 ( 결격 사유 ) 에 해당되지 않는 자 인사규정 제 19 조 ( 결격사유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직원으로서 채용될 수 없다 . 1. 피성년후견인 ,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특정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6 의 2.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제 2 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 만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 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6 의 3. 미성년자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저질러 파면 ㆍ 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 (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한다 ) 가 .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제 2 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나 . 「 아동 ㆍ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 제 2 조제 2 호에 따른 아동 ㆍ 청소년대상 성범죄 7. 병역의무자로서 병역기피를 한 자 8. 징계처분에 의하여 해임된 자로서 5 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 「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 제 82 조에 따른 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자 10. 채용 관련 부정합격자로서 면직 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5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 아동 ㆍ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 56 조 및 아동복지법 제 29 조의 3 에 해당되지 않는 자 ○ 노인복지법 제 39 조의 17 및 장애인복지법 제 59 조의 3 에 해당되지 않는 자 (2) 레지던트 2~4 년차 ( 상급년차 ) ○ 사직일(해당 지원과목 최종 상급년차 수련의 사직일을 기준으로 함)로부터 수련개시일까지의 기간이 1년을 경과하는 자, 군전역자, 외국수련자, 전문의의 다른 전문과목 수련인정 기준 적용과의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또는 취득 예정자 ※ ’24년 이후 사직(임용포 기)한 자로서 위 지원자격에 해당하지 않는 자는 ’24년 사직 당 시 수련 중(임용예정)이던 병(기관)ㆍ과목으로만 지 가능 ※ ’24.2월 발생한 추가수련을 미이수한 자는 ’2 4년 사직 당시 수련 중이던 병(기관)ㆍ과목에 지원하는 경 우 승급된 연차로 지 가능 - 하반기 수련개시자(’23년 하반기 수련개시한 레지던트 1년차 포함)도 승급된 연차로 지 가능(동일병(기관)ㆍ과목에 합격하여 ’25.6~11월 수련하는 경우 해당 수련연차 이수 인정) ○ 1 개 병 ( 기관 ) 에만 지 가능 ( 이중 지 불가 ) ○ 본 인사규정 제 19 조 ( 결격 사유 ) 에 해당되지 않는 자 인사규정 제 19 조 ( 결격사유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직원으로서 채용될 수 없다 . 1. 피성년후견인 ,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특정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6 의 2.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제 2 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 만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 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6 의 3. 미성년자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저질러 파면 ㆍ 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 (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한다 ) 가 .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제 2 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나 . 「 아동 ㆍ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 제 2 조제 2 호에 따른 아동 ㆍ 청소년대상 성범죄 7. 병역의무자로서 병역기피를 한 자 8. 징계처분에 의하여 해임된 자로서 5 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 「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 제 82 조에 따른 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자 10. 채용 관련 부정합격자로서 면직 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5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 아동 ㆍ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 56 조 및 아동복지법 제 29 조의 3 에 해당되지 않는 자 ○ 노인복지법 제 39 조의 17 및 장애인복지법 제 59 조의 3 에 해당되지 않는 자 4. 배점 비율 (1) 레지던트 1 년차 구분 배점 비율 (%) 비고 면접시험 15 - 진료과별 실시 인턴 근무성적 20 실기시험 10 - 진료과별 실시 의대성적 10 영어 5 - 인증시험 : 토익 , 텝스 , 토플 - 성적유효기간 : 3 년 ( 지원서 접수 마감일 기준 ) 합계 60 (2) 레지던트 2~4 년차 ( 상급년차 ) 구분 배점 비 율 (%) 비고 면접 100 - 진료과별 실시 5. 지 방법 및 제출 서류 (1) 지원방법 ○ 온라인 접수 및 오프라인 접수를 서접수 기간 내에 모두 완료해야 하며 , 오프라인 접수를 최종 지 기준으로 함 ○ 온라인 접수 사이트 : http://recruit.snuh.org ( 서 접수 기간에만 오픈됨 ) ○ 오프라인 접수 장소 ( 우편접수 불가 )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194 현대그룹빌딩 서관 7 층 교육수련팀 ( 건물 정문 뒤편 화물 엘리베이터 이용 )| ※ 부득이한 사정으로 오프라인 접수가 어려운 경우, 온라인 접수로도 인정하나 접수 후 아래 사항 참고하여 접수 마감 전까지 담당자 메일 (02770@snuh.org)로 접수여부 및 서류 제출 <온라인만 접수 시 참고사항> ◼ 서류 제출기한 : 접수 마감 전까지 ◼ 제출서류 및 방법 : 지원서를 포함한 제출서류 일체 스캔본을 담당자 메일(02770@snuh.org)로 제출 ◼ 본 필수 제출 - 제출목록 2, 3, 4(범죄 경력 조회 동의서) ⇒ 상기 오프라인 접수장소(교육수련팀)으로 06.02.(월)까지 본 우편 또는 방문 제출 (2) 제출서류 ◼ 레지던트 1 년차 연번 구분 본 인턴 타 인턴 수료( 예정 ) 자 비고 수료 예정자 수료자 1 지원서 및 수험표 ( 사진 수험표에 1 매 부착 ) O O O - 양식 : 공고문 첨부 참조 2 성범죄 경력 및 아동학대관련범죄 전력 조회 동의서 1 부 O O O - 공고문 첨부 참조 - 성명 및 서명란 정자 서명 3 노인학대관련범죄 경력조회 동의서 1 부 O O O 4 장애인학대범죄 경력조회 동의서 1 부 O O O 5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 확인서 및 전력조회 동의서 각 1 부 O O O - 양식 : 공고문 첨부 참조 6 의대 성적 증명서 본 1 부 X O O - 본과 전학년 종합 석차기입 - 의대 / 의전 통합석차 기입 - 졸업일자 기재 필수 7 인턴 수료 ( 예정 ) 증명서 본 , 인턴 근무성적 본 각 1 부 X X O - 본 인턴 수료자 해당 없음 - 석차 기재 필수 8 의사 면허증 사본 1 부 X O O 9 영어 성적표 본 1 부 O O O - TEPS, TOEIC, TOEFL 중 택 1 - 유효기간 : 서접수 마감일 현재 3 년 이내 10 병역 서류 본 1 부 ( 비군보 남자에 한함 ) X O O - 현역 : 전역예정증명서 1 부 - 공중보건의 : 재직증명서 1 부 ( 전역예정일 명기 ) - 군필 또는 면제자 : 주민등록초본 ( 전역일명기 ) 1 부 11 외국인등록증 사본 ( 외국인에 한함 , 외국인등록사실증명 사본 가능 ) O O O - 외국인등록증 또는 외국인등록사실증명 사본 1 부 ◼ 레지던트 2~4 년차 ( 상급년차 ) 연 번 구 분 비 고 1 지원서 및 수험표 ( 사진 수험표에 1 매 부착 ) - 양식 : 공고문 첨부 참조 2 성범죄 경력 및 아동학대관련범죄 전력 조회 동의서 1 부 - 공고문 첨부 참조 - 성명 및 서명란 정자 서명 3 노인학대관련범죄 경력조회 동의서 1 부 4 장애인학대범죄 경력조회 동의서 1 부 5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 확인서 및 전력조회 동의서 각 1 부 - 양식 : 공고문 첨부 참조 6 의사면허증 사본 1 부 7 전문의자격증 사본 1 부 - 해당자에 한함 8 병역 서류 본 1 부 ( 비군보 남자에 한함 ) - 현역 : 전역예정증명서 1 부 공중보건의 : 재직증명서 1 부 ( 전역예정일 명기 ) - 군필 또는 면제자 : 주민등록초본 ( 전역일명기 ) 1 부 9 외국인등록증 사본 ( 외국인에 한함 , 외국인등록사실증명 사본 가능 ) - 외국인등록증 또는 외국인등록사실증명 사본 1 부 10 외국 수련자 경력 인정 관련 증빙서류 - 해당자에 한함 ※ (1년차) 영어 성적은 필수 제출 서류 아님 ※ 오프라인 제출 지원서 및 수험표 양식 등 : 첨부 참조 ※ 지 제출서류는 수련환경평가위원회 임용시험 지침에 따라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음 6. 합격자 사정 칙 (1) 레지던트 1 년차 ○ 과별 정 범위 내에서 총 성적순으로 선발함 ○ 총 성적이 동점일 경우 면접시험 점수 , 인턴근무성적 순으로 선발함 ○ 응시자가 정 ( 모집인 ) 에 미달되더라도 수련능력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60 점 만점 중 36 점 미만 득점자 , 전체 지원자 성적 순위의 하위 5% 이내에 속하는 자 , 기타 수련능력이 없다고 교육위원회에서 결정한 자 등 ) 불합격 처리할 수 있음 ○ 제 2 지망 선발은 2 지망 해당 과에서 면접 ㆍ 실기시험을 실시하고 , 배점 비율은 실기 · 면접시험 각 50% 를 적용하여 총 성적순으로 선발함 ○ 기타 세부 사정원칙은 교육위원회에서 결정함 ○ 최종 합격여부는 교육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함 (2) 레지던트 2~4 년차 ( 상급년차) ○ 과별 정 범위 내에서 총 성적순으로 선발함 ○ 응시자가 정 ( 모집인 ) 에 미달되더라도 수련능력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100 점 만점 중 60 점 미만 득점자 , 전체 지원자 성적 순위의 하위 5% 이내에 속하는 자 , 기타 수련능력이 없다고 교육위원회에서 결정한 자 등 ) 불합격 처리할 수 있음 ○ 기타 세부 사정원칙은 교육위원회에서 결정함 ○ 최종 합격여부는 교육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함 7. 신체검사 ○ 합격자는 서울대학교병 , 서울특별시보라매병 , 분당서울대학교병 또는 국립대학교병원에서 ( 공무 채용 ) 신체검사를 받아야 함 ( 그 외 병 / 기관 신체검사 인정하지 않음 ) ※ 단 , 응시일 현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련 중인 인턴은 신체검사 대상에서 제외 ※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신체검사를 받는 경우만 신체검사 비용 면제 ○ 신체검사결과 불합격자는 합격을 취소함 8. 최종합격자 등록 ○ 최종합격자는 합격자 발표 후 교육수련팀에 등록 9. 기타사항 ○ 응시원서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를 경우 ( 허위기재 , 증명서 미제출 등 ) 에는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됨 ○ 「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 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 일 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 보관기간이 경과한 증빙서류는 모두 파기 예정이며 , 최종합격 후 임용된 자에 대해서는 서류를 반환하지 않음 ○ 문의사항 : 교육수련팀 (T. 02-2072-2122, 3975) 2025. 5. 21. 서울대학교병원장 .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0% 2025.05.27

융합의학교수요 채용 공고 “ 대한민국 의료를 세계로 ” 서울대학교병원은 미래의료를 함께 개척할 연구 전담 ‘ 융합의학교수요 ’ 을 아래와 같이 초빙합니다 . 1. 2025 년도 채용분야 및 채용인 임용분야 세부분야 인 주요 직무 데이터의학 의료정보학 1 명 융합의학교수요원운영규정 제2조에 따라 융합의학 연구, 융합의학 진료/운영 지 및 융합의학 교육 등의 직무를 수행하며, 세부직무 및 업무내용은 직무소개서 참조 2. 응모자격 박사학위 소지자 또는 박사학위에 상응하는 자격을 인정받거나 , 박사학위에 준하는 업적이 있는 자로서 임용에 결격 사유가 없어야 함 . 3. 전형방법 연구실적물 및 총괄연구업적 평가 → 공개발표 → 면접심사 → 채용신체검사 < 1 차 전형 > < 2 차 전형 > < 3 차 전형 > < 4 차 전형 > ※ 각 전형 합격 시 차기 차수 전형 기회 부여 ( 합격자에 한하여 추후 일정 개별통보 ) 4. 제출서류 : 첨부파일 참고 5. 서류제출기간 및 제출장소 가 . 서류제출기간 : 2025. 5. 15.(목 ) ∼ 5. 29.(목 ) 나 . 서류접수시간 : 09:00 ∼ 18:00 ( 점심시간 12:00 ∼ 13:00 제외 ) 다 . 서류제출장소 - 서울대학교병 인사팀 ( ☏ 02-2072-4928) : [방문]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194 (현대그룹빌딩서관) 7층 인사팀 [우편]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학로 101 서울대학교병 인사팀 6. 기 타 가 . 계약기간은 직급별 상이함 . 나 . 기타 본 공고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본 관련규정을 적용함 . 다 . 우편접수는 마감일 마감시간까지 도착분에 한함 . 라 . 병원사정에 따라 본 또는 분 및 수탁병원에 근무할 수 있음 . 마 . 제출서류는 본을 제출하여야 하며 부득이 사본을 제출할 경우에는 본과 대조 후 도장을 날인하여 제출하고 외국어로 발급된 증명서는 번역문을 첨부 ( 영어제외 ) 하 여야 함 . 추후 필요한 경우 병원에서 대조할 수 있어야 함 . 바 . 하나의 세부분야에만 지원이 가능하며 , 중복 지 시 접수를 무효로 함 . 사 . 적임자가 없을 경우 채용하지 않을 수 있음 . 아 . 졸업증명서 등의 서류는 학위 파악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며 학교명 등의 정보는 기타 심사과정에 일체 반영되지 않음 . 자 .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 일 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 차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서울대학교병 인사팀 ( ☏ 02-2072-4928) 으로 문의 바람 . 2025. 5. 15. 서울대학교병원장. 끝.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채용공고
정확도 : 0% 2025.05.15
병원소개 (529)
[병원뉴스]한국 뇌졸중 인식 향상...심층적 이해도는 감소(2009년과 2023년 뇌졸중 인식 수준 비교한 전국 단위 조사 결과 발표)

한국 뇌졸중 인식 향상...심층적 이해도는 감소- 서울대병, 2009년과 2023년 뇌졸중 인식 수준 비교한 전국 단위 조사 결과 발표- 뇌졸중 경고 증상 인식 61.5%74.4% 증가, 2개 이상 위험인자 인식 51.4%40.2% 감소- 40세 미만과 건강하지 않은 생활습관 가진 집단, 뇌졸중 증상 발생 시 적절한 대응 확률 낮아 [그림] 대한민국의 뇌졸중 인식 변화(2009-2023) 서울대병 신경과 정근화 교수와 이응준 공공임상교수팀은 2009년과 2023년 두 시점에서 뇌졸중 인식 수준을 비교한 전국 단위 조사 결과를 16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한국 사회의 뇌졸중 인식 수준은 전반적으로 향상됐으나, 다양한 위험인자에 대한 심층적 이해도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정보 획득 비율이 급증했으며, 정맥 내 혈전용해술(IVT) 인식과 응급 대응 비율은 증가했으나 여전히 미흡한 수준에 그쳤다. 이 결과는 전반적인 뇌졸중 인식 수준이 개선됐으나, 정보의 깊이가 부족하고 디지털 정보 격차가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음을 시사한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파열되어 뇌에 급성 뇌손상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요 사망 인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고령 인구 증가에 따라 발생률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2021년 기준으로 국내 뇌졸중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12.2건, 80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1,500건 이상 발생하는 추세다. 주요 증상으로는 한쪽 팔이나 다리의 마비, 언어 장애, 얼굴 비뚤어짐, 의식 저하 등이 있다. 뇌졸중이 의심되면 즉시 119에 신고하고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뇌졸중의 위험인자에는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병(심장 질환), 뇌졸중 가족력 등이 있으며, 이들 위험인자를 관리하는 것이 예방에 중요하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증상이 경미할 경우 적시에 응급처치를 받지 않아 병 도착 지연이 발생하고, 급성기 치료의 시행률이 여전히 낮다. 특히, 정맥 내 혈전용해술과 같은 적극적인 급성기 뇌졸중 치료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병 도착 지연을 단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병 도착 지연이 장기화되고 있으며, 특히 뇌졸중 증상이 경미한 경우 이러한 지연이 더욱 두드러진다고 보고됐다. 이로 인해 급성기 치료가 지연되고, 결국 뇌졸중 예후가 악화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뇌졸중에 대한 인식 변화와 정보 획득 경로 변화를 분석하고, 향후 효과적인 교육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2009년과 2023년 두 시점에서 뇌졸중 인식 수준을 비교한 전국 단위 조사로, 2009년에는 1,000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을 진행했으며, 2023년에는 1,01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웹 설문을 실시했다. 두 조사 모두 인구통계에 기반한 비례할당 샘플링을 통해 전국 대표성을 확보하고, 성별, 연령, 지역 등을 고려한 층화표본 방식으로 진행됐다. 설문은 ▲뇌졸중 경고 증상 ▲위험인자 ▲치료법 ▲증상 발생 시 적절한 대응에 대한 인식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2023년에는 뇌졸중 경고 증상에 대한 인식이 77.4%로 2009년(61.5%)보다 증가했으나, 2개 이상의 위험인자 인식은 51.4%에서 40.2%로 감소했다. 특히, 혈관 위험인자가 없는 집단에서 인식 감소가 두드러졌으며, 이는 여전히 정보 취약 계층이 존재함을 시사한다. 또한, 2023년에는 정맥 내 혈전용해술에 대한 인식이 30.4%에서 55.6%로 크게 증가했으며, 뇌졸중 증상 발생 시 119를 선택한 비율도 32.5%에서 48.9%로 증가했다. 분석 결과, 정맥 내 혈전용해술에 대한 인식(조정된 오즈비[aOR]=1.54)과 2개 이상의 경고 증상 인식 여부(조정된 오즈비[aOR]=1.43)가 119 신고 확률 증가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줬다. 즉, 정맥 내 혈전용해술 인식과 2개 이상의 경고 증상 인식이 있는 사람일수록 뇌졸중 증상이 발생했을 때 119에 신고할 확률이 더 높다는 것이다. 반면, 40세 미만과 건강하지 않은 생활습관(흡연, 폭음, 운동 부족 등)을 가진 집단에서는 뇌졸중 증상 발생 시 적절하게 대응할 확률이 낮았다. 이는 이들 그룹에서 뇌졸중에 대한 인식이나 응급 대응 행동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건강정보의 획득 경로는 14년 사이에 큰 변화를 보였다. TV를 통한 정보 획득 비율은 2009년 59.1%에서 2023년 48.5%로 감소한 반면, 인터넷(27.8%63.0%)과 유튜브(0%19.9%) 등 디지털 매체를 통한 정보 획득 비율은 크게 증가했다. 정근화 교수(신경과)는 이 연구는 2009년과 2023년 두 시점에서 뇌졸중 인식의 변화를 평가한 최초의 대규모 연구로, 전반적인 인식은 향상됐으나, 정보의 깊이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젊은 층과 기존에 혈관 위험 요인이 없는 집단에서 나와는 관계없는 일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해, 이는 조기 대응의 기회를 놓치는 주요 인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에는 연령, 건강행태, 기저질환 유무에 맞춘 차별화된 교육 전략과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기반 교육 콘텐츠의 개발이 시급하다며 연령대별 맞춤형 교육 전략을 개발하고, 실제 행동 변화와 연결되는 인식 개선의 실질적 효과까지 평가하는 방향으로 연구를 확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 대한뇌졸중학회,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으며, 결과는 미국심장협회지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최신호에 게재됐다. [사진 왼쪽부터] 서울대병 신경과 정근화 교수, 이응준 공공임상교수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 > 병원소식 > 병원뉴스
정확도 : 0% 2025.05.19

2002~현재 국내외 유기적인 네트워크로 혁신적인 의료 패러다임을 구축 전체보기 1978~2002 특수법인 서울대학교병, 대한민국의 의료를 세계로 전체보기 1945~197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 대한민국 의료의 발전을 선도하다 전체보기 1910~1945 일제의 한국 강점과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 경성의학전문학교 부속의 전체보기 1885~1910 조선 정부의 근대화 모색과 제중, 대한의 전체보기 2002 ~ 현재 유기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첨단 의료를 이끌다. 서울대학교병원은 다양한 전문분야 특성을 살리고 최적의 치료가 가능하도록 국내외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공공의료에 대한 열정과 중증 희귀난치질환 분야의 경쟁력이 결집된 서울대학교어린이병, 최첨단 진료시스템과 끊임없는 연구로 암 정복을 앞당기는 서울대학교암병원을 비롯해, 저마다 특화된 의료영역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춰 나가며 혁신적인 성과를 이루고 있습니다. 나아가, 글로벌 협업을 통해 획기적인 의료기술을 실용화하며, 세계 곳곳에 앞선 병원운영 모델과 의료 시스템을 전파함으로써 세계인의 건강을 책임지는 미래의료의 허브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2002년 5.22. 어린이병 증축 기공 6.1. 전자행정시스템(그룹웨어) 가동 7.1. 인터넷 진료예약 시행 10.5. 무인 약처방발행기 가동 10.25. 일본 동경대병 벤치마킹 위해 방문 10.28. 가정간호팀 신설 11.18. 공공부문 혁신대회 기획예산처장관상 수상 12.4. 분당서울대병 준공식 2003년 1.2. 지방거주자, 노인, 장애인 등 대상 당일진료 시작 5.5. 어린이 안전 년 선포식 5.10. 분당서울대학교병 본격적인 진료 시작 5.13. 의료용 스마트카드 '헬스원카드' 발급 시작 8.1. 외래에 고객상담실 개설 9.3. 간호부 고객사랑간호 선포식 10.14.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개 12.10. 세계 최초 장기생산용 돼지 · 광우병 저항소 탄생에 주도적으로 참여 2004년 1.13. 국내 최대 항암치료시설 갖춘 암센터 개설 2. 세계 최초 복제 인간배아줄기세포 확립 연구에 주도적으로 참여 3.2. 유방센터 개소 4.28. 서울권역응급의료센터 확장 개소 5.16. 북한 조선의학협회와 의료기술협력 협약 체결 5.31. 제13,14대 성상철 장 취임 6.23. 의료정보윤리헌장 선포식 및 심포지엄 7.7. 전국 28개병원과 동시 협력병 협약 체결 9.27. 엄마젖 사랑 실천병 선포식 및 심포지엄 10.15. 전자의무기록시스템(EMR) 본격 가동 10.29. 디지털 병 선포 및 기념 심포지엄 11.1. 전화번호 국번이 760, 708 국에서 2072 국으로 변경 12.29. 지진해일 피해입은 스리랑카에 의료진 20명 급파 2005년 1.27. 응급의료센터 확장 개소 3.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5년 연속 1위 4.1. 콜센터(1588-5700) 운영 4.13. 보건복지부 최우수 응급의료센터로 선정 4.14. 보건복지부 의료기관평가 1위 5.24. 핵의학과, 전세계 유일 국제원자력기구(IAEA) 핵의학 협력센터 지정 개소식 5.25. 국내 최초 이상운동센터 개설 기념식 7.1. 대한의 100주년 · 제중 122주년 기념사업추진단 발족 10.15. 어린이병 20주년 10.19. 세계줄기세포허브 개소 10.27. 평양의료협력센터 준공식 2006년 2.6. 당뇨·갑상선·내분비센터 개소 3.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6년 연속 1위 3.15. 대한의 99주년 심포지엄 개최 3.17. 장기이식센터 심포지엄(1969년 첫 신장이식 후 1,000례 돌파) 7.13. 고객만족캠페인 'I-First'실시 7.14. 보건복지부 지정 뇌졸중 임상연구센터 개소 7. 신생아중환자실 국내최대규모로 확장 10.12. 6시그마경영 1차 프로젝트 발대식 개최 12.6. 농협과 농촌지역 순회의료봉사 협약 12.13. 뉴비전 'BREAKTHRU 21' 선포 2007년 2.8. 보건복지부 지정 혁신형 세포치료 연구중심병 사업단 개소 2.21. 임상시험센터 개소 10주년 3.15. 대한의 100주년 제중 122주년 기념식 3. 위암수술 2만례 돌파 4.12. 의료취약계층 위한 의료봉사단 출범 6.22. 국제실험동물관리평가인증협회 완전 승인 획득 7.1. 병원역사문화센터 신설 10.15. 전자사보 e-함춘시계탑 창간 11.8. 몽골 국립병원과 의료교류협약 체결 2008년 2.4. 문경시와 연수 건립 양해각서 체결 2.14. 신경정신건강센터 개소 5.15. 임상의학연구소 개소 10주년 5.26. 로봇수술센터 개소 6.6. 홈페이지 회 대상 웹진 창간 6.18. 보라매병 새 병 7.22. 심장사 간 이식 국내 첫 성공 8.4. 어린이병 새단장 10.1. 암센터 기공 2009년 1.14. 국가 참조 표준 데이터센터 선정 2. 보건복지가족부 공모 유방암 중개연구센터 선정 3.2. 임상의학연구관리시스템 'NEW-CRIS' 가동 4.27. 법무부와 교정시설 수용자 격화상진료 업무협약체결 5.7. 한국장기기증 개소 6. 약물유해반응관리센터 개소 6.29.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정보보호관리 국제인증(ISO27001) 7.3. 보건복지가족부 지정 영장류 연구센터 개소 7.3.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기준 확정 8.17. 건강증진센터 확장개소 12.21. 주한 미육군 의무부대와 진료협력 MOU체결 2010년 2.11. 분당서울대학교병 신관 증축 기공식 3.8.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0년 연속 1위 3.9. 의료정보센터 신축 이전 4.6. 본관 로비 확장 증축 5.31. 제15대 정희 장 취임 6.24. 모바일 예약홈페이지 오픈 7.9. 영장류센터, AAALAC FULL ACCREDITATION 획득 7.15. 이종욱-서울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과 협약 체결 8.30.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1위 9.20. 국제진료센터(IHC) 확장 이전 개소식 개최 10.6. 프라임사이트로 선정(퀸타일즈社) 10.11. 중국 연길시 및 연길중의병원과 건강검진센터 건립 양해각서 체결 10.20. 보라매병 희망관 리모델링 완공 11.1. 라오스 국립의대와 장기지 MOU체결 2011년 1.27. 보건복지부 의료기관 인증 최초 획득 2.11. 신장이식 1,500례 달성 3.8.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1년 연속 1위 3.25. 암병 4.1. '남녀고용평등 우수기업' 선정 국무총리표창 수상 4.11. 의생명연구 현판제막식 5. 환자중심 첨단로비로 새단장 6.1. 중증외상센터 개소 6.23. SNUH 월드클래스센터 발굴 인증 7.20. 간이식 1,000례 돌파 8.4. SNUH, 첫 통합 HI 선포 8.29.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1위 10. SK텔레콤과 공동 국내최초 헬스케어 융합기술 연구 개발 합작사 설립 MOU 10.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내게 맞는 암정보'제공 11. 암병 전용 수술실 4개 추가 12.13. 유방갑상선센터 개소 12.21. 아부다비보건청 첫 송출환자 진료 12. 갑상선 수술 1만례, 로봇갑상선수술 1천례 달성 2012년 1.3. 의생명연구, 국내 최초 '우수동물실험시설' 지정 1.17. 스마트 모바일헬스 지향 '헬스커넥트' 출범 1. 뇌종양 수술 1만례 달성 2.28. 미국 뉴욕 오피스 개소 3.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2년 연속 1위 4. 중앙 119구조단과 응급의료체계 구축 협약체결 5.16. 심장뇌혈관병 기공 6. 포춘코리아, '2012 월드클래스 브랜드'병원부문 선정 7. 보건복지부 공모 희귀질환연구센터에 선정 8.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3년 연속 1위 8.14. 권역응급의료센터 6년 연속 최우수평가 9. 병원보 함춘시계탑 400호 발행 9.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전 분야 최고등급 9.2. 정밀방사선치료(HPRT)센터 개소 10.4. 교양도서관 '함춘서재' 확장 개관 10.10. 연수, '메디컬HRD센터' 기공 10. 잡지사보 VOM창간 11.16. 임상시험센터, '초기임상시험 글로벌선도센터' 선정 12.20. 보행로봇재활치료센터 개소 12. 피보험자보호프로그램(AAHRPP) 국제인증 획득 2013년 1.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조사결과 2년연속 '우수기관'선정 1.18. '2012 BEST ACLS(KALS) TRAINING SITE AWARD' 1. 암병, 미국 국립암연구원과 상호 연구 협력을 위한 MOU체결 2.21. 차세대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으로 스마트한 모바일 진료 환경 완비 3.4.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3년 연속 1위 3.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기관 평가 결과 ‘서울대병 9년 연속 최상위 등급’ 4. 보건복지부 선정 ‘연구중심병’으로 지정 4.10. '2013 메디칼 코리아' 대통령 표창 수상 5.2. 입 환아 위한 '어린이 도서관' 개관 5.31. 제16대 오병희 장 취임 8.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4년 연속 1위 9.11. 소아응급센터 이전 확장 개소 12. 대한민국 교육기부대상에서 교육부장관상 수상 2014년 3. 소통강화 프로젝트 SNUH공감+가동 3.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4년 연속 1위 6. 아랍에미리트(UAE) 왕립 셰이크 칼리파 전문병(SKSH) 위탁운영 프로젝트 수주 성공 6. 사우디아라비아에 7백억 규모 병원정보시스템 수출계약 체결 7. (성인)응급의료센터 업그레이드 7. 팟캐스트 SNUH건강톡톡 제작 8.13. UAE 왕립병 운영 본계약 체결 9.25. 인재원개 9. 생체간이식 1천례 달성 9. 보건복지부 '연구중심병 육성 연구개발 지원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 12. 의료기관 2주기 재인증 획득 2015년 2.18. 병 위탁운영 UAE 왕립병 3.10.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5년 연속 1위 3. 공공기관 고객만족도 4년 연속 최고 등급 3. 신장이식 2천례 달성 4.14. 암맞춤치료센터 개소 4.29. 꿈틀꽃씨 쉼터 개소 4.30. 제중 130주년 기념식 개최 6. 희망진료센터 개소 3주년 기념식 개최 7.16. 의학연구혁신센터(CMI) 개소 7.17. 중국 악양시와 국제병 설립 추진 MOU 체결 10. 어린이병 30주년 기념식 개최 11. 뇌은행 개소 12. 첨단외래센터 기공 2016년 3.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6년 연속 1위 4.1. 제중 131주년 기념 학술강좌 개최 4. 연구중심병 재지정 4.30. 제중 131주년 기념식 개최 5.31. 제17대 서창석 장 취임 8.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종합병 부문 1위 9. UAE 셰이크 칼리파 전문병원과 격의료자문 협약 체결 2017년 2.1.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운영 3.16.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7년 연속 1위 8.13. 아랍에미리트(UAE) 왕립 셰이크 칼리파 전문병(SKSH) 위탁계약 3주년 8.16. 심층진료사업 시행 8.22. 의사직업윤리위원회 발족 8.28. 한국생산성본부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1위 9.21. 중입자가속기사업 추진 MOU 체결 9. 권역응급의료센터 리모델링, 응급실 전담교수제 시행 9. 내과계중환자실 1인 격리병실로 리모델링 10.20. 평창동계올림픽, 동계패럴림픽 의료지 MOU 체결 10.24. 병 홈페이지 리뉴얼 11.1. 인권센터 개소 11.14. 정밀의료센터 개소 12.14. 병 대표전화(1588-5700) 일원화 2018년 1.29. 암 정밀의료 플랫폼 '사이앱스' 도입 2.9. 평창동계올림픽 의료지 2.18. 아랍에미리트(UAE) 왕립 셰이크 칼리파 전문병(SKSH) 개 3주년 3.11. 성인 폐 소아에 이식 국내 첫 성공 3.22.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8년 연속 1위 7.13. 암 정밀의료 플랫폼 '사이앱스' 본격 운영 8.27.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1위 12.13. 어린이병 소아청소년암센터 전 병상 무균실화 2019년 2.25. 대한외래 진료 개시 3.22.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9년 연속 1위 4.3. 대한외래 개원기념식 5.10. 과기정통부 등과 중입자치료센터 구축 협약 5.31. 제18대 김연수 장 취임 7.1. UAE 셰이크칼리파전문병 재계약, 2기 출범 7.18. 어린이병원학교 20주년 기념식 8.13. 의료발전위원회 위촉 8.27. 미래위원회 위촉 10.1. 국립교통재활병 위탁 운영 10.24.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적정수가 연구 업무 협약 11.1. 파견·용역 비정규직, 국립대병 최초로 정규직 전환 11.25. 입원전담전문의 채용 확대 2020년 3.4. 인재, 경북·대구 생활치료센터로 운영 3.9. 코로나19 치료제 임상시험 착수 3.31.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20년 연속 1위 5.1. 외래통합안내도 발간 6.4. 코로나19 백신 국내 첫 임상시험 시작 6.30.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 착수 8.1. 융합의학기술 융합의학과 개소 8.22. 노·성남 생활치료센터 운영 8.31. 도시바 컨소시엄과 중입자가속기 계약 체결 9.14.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5년 연속 1위 9.17. '어린이병 비전 2035' 선포식 11.19. 외과혁신 포럼 개최 12.18. 의료질지표 보고서 'Outcomes Book' 발간 2021년 1.5. 부패방지 시책평가 1위 달성 2.1. 야마가타 대학 MOU 2.4. 국내 최대 규모 멀티-시네마월 영상작품 공모 2.17. 종합지원시설동 기공식 2.26. 발달장애 중앙지원단-한국장애인개발-서울특별시 발달장애인 지원센터 업무협약 3.4. 코로나백신 접종 시작 3.25.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21년 연속 1위 4.30. 배곧서울대병 예비타당성조사 최종 통과 5.3. 소아급성백혈병 CAR-T 치료제 연구 시작 5.3. 서울대 암연구 경쟁력 세계 14위 등극 6.4. 한국수력원자력과 공동연구 업무협약식 개최 6.14. 건강보험공단과 분석협력센터 설치 운영 협약 체결 6.30. 인바이츠바이오코아-헬스커넥트와 3자 MOU 개최 7.22. 병 의료기술을 우즈벡 의료진에 전수 8.6. 국립정신건강센터와 MOU 체결 9.13.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6년 연속 1위 11.11. 산부인과 여성센터 개소 11.22. 라오스 첫 국립대병 건립에 도움 12.9. 소아백혈병 CAR-T 치료제, 국내 최초로 병 생산 2022년 3.2. 서울대병-카카오, 코로나19 자가진단 챗봇 구축 3.4. 안전경영 선포식 개최 3.7. 대웅제약-아피셀테라퓨틱스과 재생의료 첨단바이오의약품 MOU 체결 3.11. 넥슨어린이통합케어센터 기공식 3.25.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22년 연속 1위 4.5. 국내 최초 병 생산 CAR-T 치료 성공 5.10. 카카오헬스케어와 정밀의료 지식은행 구축 맞손 5.11. 어린이병, 어린이날 100주년 기념 캠페인 5.13. 차세대 그룹웨어 BESTWorks 1.0 정식 오픈 5.19. 국내 의료기관 최초 소프트웨어 품목군 의료기기 GMP 인증 획득 6.20. 국립소방병 위탁 운영 결정 7.20. 라오스 국립대병 설립 프로젝트 워크숍 9.1. 2년 4개월간의 기록 코로나19 백서 발간 9.6.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7년 연속 1위 12.23.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최우수 등급 획득 2023년 2.23. 정밀의료 지식은행 기반 차세대 진료 시스템 구축 3.24.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23년 연속 1위 5.3. 하버드-MIT 공동 설립 HST와 의사과학자 양성 협약 5.12. 서울권역책임의료기관 외대표협의체 개최 5.26. 어린이병-우즈베키스탄 국립아동병 Joint 심포지엄 개최 6.19. 국립중앙의료원과 중앙감염병 설립 및 운영 협력 MOU 체결 7.25. 서울가정법-서울시와 학대 피해아동 치료기관 수탁 MOU 체결 8.3. 분산형 임상시험 신기술 개발 연구 개시 10.13. 병 '그룹·미션·비전' 선포 10.20.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8년 연속 1위 11.1. 넥슨어린이통합케어센터 개소 12.19. 공공보건의료계획 시행결과 최우수 기관 선정 12.19.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첨단바이오 연구 활성화 및 발전 MOU 체결 12.21. 중증환자 전담간호사 양성 표준 교육프로그램 개발 2024년 1.9. 국내1호 디지털치료기기 첫 정식 처방 1.29. 대한민국 1호 국가전략기술 특화연구소 지정 2.7. 부산 기장 중입자치료센터 증축 및 리모델링 공사 착공 3.14. 상급종합병 최초 AI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제조인증 획득 3.27.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24년 연속 1위 7.26. 소아복부 초거대 AI 데이터 구축사업 착수 8.7. 국가브랜드경쟁력지수(NBCI) 9년 연속 1위 8.21. UAE 쉐이크 칼리파 전문병 위탁운영 재계약 9.2. 암환자 복합 공간 '동행라운지' 개소 10.2. 의료정보인프라 인증(INFRAM) 6단계 획득 10.21. 이건희 소아암 희귀질환 극복사업 성과 보고회 11.7. 보스턴-서울 바이오 & AI 나잇 개최 12. 서울대병·분당서울대병·보라매병, CDM 데이터 통합 관리 플랫폼 구축 2025년 1.10. 정신건강 비약물치료 '마인드더쉼센터'개소 1.23. 국가전략기술 특화연구소 데이터 플랫폼 글로벌 오픈 1.23. 헬스케어AI연구 3.21. 서울대병·네이버, 디지털·바이오 혁신 포럼 2025 개최 3.25.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25년 연속 1위 4.4. 제중 140주년 기념 학술강좌 개최 레이어 닫기 1978 ~ 현재 특수법인 서울대병 설립 1978년 서울의대 부속병원은 자율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대한민국 의료를 세계 수준으로 높이고자 특수법인 서울대학교병원으로 거듭났다. 이때 제정된 서울대학교병 설치법 제1조의 내용은 '서울대학교병원을 설치하여 의학 및 치의학 등에 관한 교육, 연구와 진료를 통하여 의학발전을 도모하고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이다. 이는 곧 서울대학교병원이 법률적으로도 국가의료의 중심으로 공인되었음을 의미한다. 법인화와 때를 같이 하여 서울대학교병원의 숙원이던 신축 병원이 완공되었다. 새 병원은 지하 1층, 지상 13층에 1,056병상의 입 진료시설과 2천여 명의 외래환자 수용능력을 보유해 당시로서는 동양 최대 규모의 병원이었다. 이로써 서울대학교병원은 대한민국의 대표 병원이자 의학 연구의 중심으로서의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토대를 갖추었다. 그 후 서울대학교병원은 1985년 어린이병, 1987년 서울특별시보라매병(당시 영등포병) 위탁 운영, 2003년에는 노인 및 성인 질환을 전문 진료하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과 건강검진을 전문으로 하는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를 개원하였고, 2011년에는 암정복을 글로벌리더가 되기 위해 암병원을 성공적으로 개원하여 최상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의학 및 의술분야에서는 국내 최초로 시험관아기의 탄생과 간이식,세계 최소형(最小型)의 인공심장을 개발, 부분 간이식 및 심장사 간이식, 세계 최초로 C형 간염 바이러스 혈청분리 성공, 간암 새 검사법을 개발, 세계최초 단일기관 위암수술 2만례 달성, 갑상선수술 1만례 돌파 등 대한민국의료의 새 길을 열어가고 있다. 의학연구 면에서도 서울대의대와 서울대학교병원은 연구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어 2005년 처음으로 SCI 논문 1,000편 시대를 열었으며 2010년에는 1,620편의 SCI 논문을 발표해 첨단의학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아울러 서울대학교병원은 2006년부터 공공보건의료사업단을 구성해 국내외 의료취약계층에 대한 의료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처럼 서울대학교병원은 대한민국의 국가중앙병원이라는 명성에 걸맞은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의료를 세계로 견인해 나가고 있다. 1978년 1.11. 서울대학교병 설치위원회 설치 6.21. 서울대학교병 설치법 시행령 제정 공포 7.14. 특수법인 김홍기 초대원장 취임 7.15. 특수법인 서울대학교병 발족 7.17.~18. 개원기념 국제학술대회 개최 1979년 2.5. 신축병동 외래 진료 시작, 외래 예약제도 실시 4.1. 병원보 창간 5.28. 제2대 권이혁 장 취임 6.1. 병원업무 전산화 돌입 11.1. 의뢰진료제도 실시 11.20. 주보(현 주간소식) 창간 1980년 2.22. 국내 최초 인공췌장 개발(의공학과) 5.30. 부설 병원연구소 설치(구본관) 8.5. 제3대 홍창의 장 취임 11.20. 국문 홍보용 안내책자 발간 1981년 2.1. 외래 수납업무 전산화 8.22. 관리동 개관식 9.15. 국내 최초 가정의학과 외래 설치 11.18. 신경정신과 낮병 개설 1982년 2.15. 간호사 기숙사 개관 6.1. 제4,5대 이영균 장 취임 8.9. 개업의 단기 연수과정 개설 11.4. 의학박물관 개관 준비위원회 발족 12.17. 어린이병 기공식 1983년 3.9. 시청각교육실 설치 7.1. 외래안내전담반 운영 10.11. 한일 양국 정부간 어린이병 OECF 차관 협정 체결 1984년 4.4. 임상병리동 준공 9.3. 영어회화 시청각 교육 실시 11.7. 세계보건기구(WHO) 병원관리분야 협력센터 지정 현판식 1985년 8.31. 새 인공 고관절 개발(정형외과) 10.12. 국내 최초 시험관 아기 탄생(산부인과) 10.16. 어린이병 기념식 12.15. 핵의학 검사동 준공 1986년 4.9. 언어청각장애진료실 진료 시작 5.28. 제6,7대 한용철 장 취임 6.9. 안은행 정식 출범 7.1. 정맥주사 혼합업무 실시 8.30. 여성불임 복원수술 5백례 10.14. 간연구소 개설 1987년 2.3. 개심술 5천례 돌파 5. 대장암 세포주 첫 미국 공인 획득(외과) 5.9. 직원연수교육 시작 7.31. 노동조합 창립 총회 9.24. 국내 첫 여섯 쌍둥이 출산(GIFT방식으로 세계 최다산) 9.26. 시립 영등포병 위탁운영 계약 체결 10.26. 송촌 지석영 선생 동상 제막 12.9. 시립 영등포병 개보수공사 완료 개 12.21. 주보 복간 1988년 1.13. 인공심장 미국특허 획득(의공학과) 2.3. 신장이식 2백례 돌파 3.17. 국내 최초 간이식 성공(외과) 5.9. MRI 설치 11.18. 인공내이 이식술 성공(이비인후과) 1989년 2.1. 제1진료부원장 산하에 의학박물관 설치 4.27. 소아진료부 증축건물 완공 8.23. 임상교수요원제도 신설 12.13. 설비시설 개보수공사 착공 1990년 5.28. 제8대 노관택 장취임 7.14. 강원도 낙산해수욕장에 첫 하계휴양지 설치 11.1. 전화번호 국번이 7601 국에서 760 국으로 변경 11.20. 국내 최초 태아수혈 성공(산부인과) 1991년 1.28. 대한의학협회로부터 의사연수교육 시범기관으로 지정 3.5. 국내 최초 이식연구회 발족(신장, 간, 심장 등 8개팀 구성) 5.20. 부설 임상의학연구소 신설 6.16. 국내 최초 감염관리실 설치 7.1. 조직 및 인력진단 실시 11.18. 신축 보라매병 진료 시작 1992년 1. 컴퓨터 도입, 사무자동화 본격 시작 1.25. 대학로 문(동문) 개통 4.6. 의학박물관 개관 5.18. 국내 최연소 신장이식 성공(외과) 7.11. 국내 최초 부분 간이식 성공(외과) 7.21. 장기이식위원회 발족 12.1. 불우환자돕기 함춘후원회 창립 총회 12.11. 지하주차장 착공식 1993년 1.11. 미국 펜실베니아의대 및 의료원과 협약 체결 3.30. 전공의진료편람 발간 기념식 5.13. 서울대학교병원사 출판 기념식 5.18. 신축 치과병 준공 5.30. 제9대 한만청 장 취임 6.10. 병원건물 내 전역 금연구역 선포 7.1. 환자편의향상위원회 발족 12.23. 국내 최초 뇌세포이식 수술 성공(신경과, 신경외과) 1994년 3.30. 국내 최초 거리 심장이식 성공(흉부외과) 5.7. 국내 최초 폐이식진료실 개설 6.15. 국내 최초 양전자단층촬영기(PET) 설치 6.17. 본관 병동 개보수공사 완료 7.1. 본관 7층에 장기이식병동 개설 7.4. 뇌정위수술시스템 개발, 시술 성공(치료방사선과) 8.1. 수면다원검사실 본격 운영 8.22. 분당병원건립추진본부 발족 9. 국내 최초 간질집중치료센터 개설 9.1. 남성의학클리닉 개설 10.14. 소아 암 및 벽혈병 전문병동 개설 10.17. 지하주차장 준공 10.19. 세계 최초 사람심장크기 인공심장 양에 이식 성공(흉부외과, 의공학과) 1995년 1.6. 외래진료공간 확충위해 장실 등 시계탑건물로 이전 1.10. 환자 보호자 위한 교양도서실 개설 4.21. 임상의학연구소 임상시험센터 기공식 5.1. 건강증진센터 개설 3.1. 전문직위제 도입, 전문간호사 6명 임명 3.2. 어린이집 운영 3.21. 암 체외수술 최초 성공(비뇨기과, 외과) 5.31. 제10대 이영우 장 취임 6.24. 마을버스 운행 7.1. 무분야 전산화 본격 시행 10. 말기암 환자에 유전자요법 시행(종양내과) 1996년 1.25. 인터넷 홈페이지 개설 3.21. 제1회 QA경진대회 개최 3.27. 분당병 기공식 9.24. 격치매센터 개통 11.20. 보라매병원과 격진단시스템 가동 12.1. 지방환자위한 지역채혈제도 시행 1997년 8.4. 마취과 외래 개설 10.26. 심장 · 폐 동시이식 성공(흉부외과) 11.17. 암정복연구동 기공 12.6. 감마나이프센터 개설 1998년 5.15. 국내 최대 규모의 임상의학연구소 준공 5.27. 본관 2층에 안, 이비인후과센터 개설 5.31. 제11,12대 박용현 장 취임 9. 세계 최초 호지킨병 인 규명(병리과) 10. 세계 최초 간종양 새 검사법 개발(진단방사선과) 10.14. 내과계외래 개보수공사 완공 10.21. 대국민 건강강좌 개최 11.1. 의료계 최초 가정폭력피해자보호팀(아동팀) 발족 11.5. 국내 최초 간분할 이식 성공(외과) 1999년 1. 세계 최초 뇌성마비 주 인 규명(산부인과) 1.29. 'VISION 21' 선포 4. 세계 최초 알레르기 인 물질 규명(알레르기내과) 4.2. 의학박물관 확장 재개관 6.17. 장례식장 확장 증축 7.15. 국내 최초 어린이병원학교 개교 10.14. 종합의료정보시스템 구축 11.17. 세계 최초 C형 간염 바이러스 분리 성공(소화기내과) 11.22. 한국능률협회 경영혁신 병원부문 대상 수상 12.27. 과기부 등 주최 20세기 한국의 100대 기술에 종합의료정보시스템 선정 2000년 1.1. 2000년 진료서비스 안전(Y2K 문제 해결) 선언 2. 자동 시력검사시스템 개발(안과) 5. 세계 최초 난치성 류마티스관절염 치료법 개발(류마티스내과) 10.14. 환자위한 휴식처 '함춘쉼터' 준공 2001년 2. 에이즈 바이러스(HIV-1) 새로운 아형 발견(감염내과) 2.21. 호스피스실 개소 3. 5. 환자 간 일부 떼어내고 공여자 간 일부 붙이는 새로운 간 이식 성공(외과) 3.21. 한국능률협회컨설팅 브랜드파워 1위 4.4. 서비스 리더 발대식 7.1. 순수 국내 기술 개발 PACS(의료영상전송시스템) 가동 8.27. 당뇨 및 내분비질환 유전체센터 개소 레이어 닫기 1945 ~ 197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 대한민국 의료의 발전을 선도하다. 해방 이듬해인 1946년 서울대학교가 창설되었다. 이때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와 경성의학전문학교가 통합되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이 발족되었고,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원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이 되었다. 서울의대와 그 부속병원은 해방 직후 정치적, 이념적 혼란기에 의학 연구와 교육 및 진료에 심혈을 기울였다. 6.25전쟁 중에는 부산에서 ‘전시연합대학(戰時聯合大學)’을 운영해 의학교육의 맥을 이어갔으며, 제주도와 부산에서 구호병원을 운영해 지역 주민과 피난민 진료에 혼신의 힘을 다했다. 1954~1961년에는 ‘미네소타 프로젝트’를 통해 시설을 복구하고 교수진의 미국 연수를 통해 최신 의학과 의학교육방법을 도입했다. 그 결과 흉부외과, 신경외과, 마취과, 임상병리과 등이 발전 기반을 확보하게 되었고, 인턴 레지던트제도가 정착되었다. 1963년 국내 최초로 인공심폐기를 사용한 개심술을 성공시켰고, 1970년대에는 세계 최초로 B형간염 바이러스 항원을 분리하는 데 성공하고, 백신을 개발해 실용화했다 결국 서울의대 부속병원은 남북분단, 전쟁, 경제적 곤궁 등 열악한 사회 여건 아래서도 대한민국 의학과 의료를 주도하면서 인술을 통해 국민생활과 사회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선진의학 도입과 확산의 중심 거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체계적인 수련으로 많은 의학자들을 배출해 국내 각 의과대학의 의료진이 되게 함으로써 국가중앙병원으로서 제 몫을 다했다. 1945년 10.17. 미군정이 경성제국대학을 경성대학, 경성제대 의학부 부속의원을 경성대학 의학부 부속의원으로 개칭 1946년 8.22. 국립서울대학교 설치령에 따라 경성대학 의학부와 경성의전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으로 통합 8.22. 경성대학 부속의(연건동)을 서울대 의대 제1부속병원으로, 경성의전 부속의(소격동)을 서울대 의대 제2부속병원으로 개편 10.22. 서울대 의대 부속병 제1병원장에는 명주완(明柱完), 제2병원장에는 윤치왕(尹致旺) 교수 취임 1948년 5.1. 서울대 의대 부속병 제1병원장에 김두종(金斗種) 교수 취임 11.1. 서울대 의대 부속병 제2병원장에 이선근(李善根) 교수 취임 1949년 11.7. 서울대 의대 제1병원장에 김동익(金東益) 교수 취임 12.31. 대한민국 교육법 공포에 따라 국립서울대학교가 서울대학교로 개칭 1950년 한국전쟁 발발로 이갑수(李甲洙) 의대 학장을 비롯한 상당수의 교수들이 납북됨 1951년 부산에서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을 36육군병원으로 개편 2.23.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이 제주도 한림에 구호병(救護病院) 개설 7. 구호병원이 제주도에서 철수해 부산 피난팀 합류하여 신창동에 피난병(避難病院) 개설 1952년 1.20.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장에 진병호(秦柄鎬) 교수 취임 1953년 8. 서울 환도, 약대 교사 및 치과 교사 일부에 의료기구 등 분산 수용 10.20. 병원관사에 임시진료서 개설 1954년 3.30.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에 주둔 중이던 미군측으로부터 병원을 인계받고 정식 개 9. 시계탑건물 수리 9.28. 미네소타 협조계획 확정(교수 교환, 시설 설비 개선 등 기술원조 협정 체결) 1956년 9.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장에 김동익 교수 재취임 12. 서1병동(산부인과), 서2병동(소아과) 증축공사 완료 1957년 외과를 일반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로 분리 운영 1958년 1. 외과에서 마취과 분리 수련의 제도 실시 1959년 3. 최초의 인턴 수료자 18명 배출 8.7. 국내 최초 개심술 시행 (흉부외과) 1960년 5.30. 국내 최초 '방사성동위원소진료실‘ 설치 10.2.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장에 김성환(金星煥) 교수 취임 1963년 1.4. 서울대 의대 제2부속병원이 국방부 관할로 개편됨(현재의 국군지구병) 1964년 1. 특진제도 시작(일반과 특정진료로 구분) 10.1 서울대 의대 부속병원장에 한심석(韓沈錫) 교수 취임 1966년 1.1. 특별회계제도 채택, 독립채산제 도입 7.22. 특실병동 준공 11. 신축병 설계 착수(설계전문가 화이팅 내한) 1967년 12. 신축병 기초공사 착수 1968년 3.16. 서울대학교병 신축 기공식 4. 일반외과, 흉부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가 정식교실로 분리 독립 9.4. 병원장에 김홍기(金弘基) 교수 취임 1972년 12.20. 정신신경과를 정신과와 신경과로 분리 1973년 1.25. 외래진료소 화재 4.30. 외래진료소 복구 7.23. 외과에서 성형외과 분리 독립 1977년 12.31. 서울대학교병 설치법 제정(법률 제 3056호) B형 간염 바이러스 분리 추출 성공(김정룡 교수팀) 레이어 닫기 1910 ~ 1945 일제의 한국 강점과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 경성의학전문학교 부속의 1910년 단행된 ‘한일합방’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부문에서 우리 민족사의 커다란 비극이 되었는데, 의료분야 역시 예외일 수는 없었다. 일제의 강점으로 말미암아 우리 손으로 근대의학의 기틀을 세우려는 움직임은 좌절되고 말았다. ‘한일합방’ 직후 대한의원은 중앙의원을 거쳐 조선총독부의원으로 개편되었다. 대한의 부속의학교 역시 조선총독부의 부속의학강습소로 개편되었다. 운영, 조직, 인력 등 병원과 의학교육을 구성하는 모든 분야가 일본인 위주의 체계로 전환되었다. 소수의 한국인을 제외하면 병원장, 의사, 교수, 약제사, 조수, 사무관, 통역생 등 병원과 학교의 주요 직원들이 모두 일본인으로 대체되었다 1916년 전문학교령이 공포되면서 조선총독부의 부속의학강습소는 경성의학전문학교로 승격되었다. 조선총독부의 장이 교장을, 의관 및 의원들이 교수를 겸직했고, 조선총독부의원은 경성의학전문학교의 실습병 역할을 담당했다. 1926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가 출범한 후, 1928년 조선총독부의원은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원으로 개편되었고, 경성의학전문학교는 서울시 종로구 소격동에 별도로 부속의원을 마련했다. 종전보다 한국인 의사와 의학자의 수가 다소 증가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일본인 주도하에 모든 업무가 이루어져 한국인이 부속병 의사나 학교의 교수요원이 되기는 그야말로 하늘의 별따기 만큼이나 어려웠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열악한 환경과 조건 속에서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경성의학전문학교, 그리고 두 부속의원의 한국인 의학생과 의사들은 선진의학을 열심히 익히고 유능한 전문인력으로 성장해 해방 후 한국 의학계를 주도했다. 1910년 9.2. 대한의원을 중앙의원으로 개칭 9.30. 중앙의원을 조선총독부의, 중앙의 부속의학교를 조선총독부의 부속 의학강습소로 개칭 1911년 3. 총독부의 부속 의학강습소 제1회 졸업식(졸업생 27명) 3. 조선총독부의원이 치과 신설 조선총독부의 본관(시계탑건물) 양측 좌우 날개 증축 1913년 4. 조선총독부의원이 정신병과 개설 1916년 4. 조선총독부의 부속 의학강습소가 경성의학전문학교로 승격 4. 조선총독부의원이 전염병 및 지방병연구과 개설 1917년 5. 조선총독부의원이 외과를 분리해 정형외과 신설 1920년 9. 조선총독부의원이 내과를 제1, 제2내과로 분리 1921년 조선총독부의 외래진료소 신축 착공 1923년 조선총독부의 시료 외래진료소 완공 1924년 조선총독부의 보통 외래진료소 완공 5.2. 경성제국대학 설립(경성제국대학 예과 개설) 1928년 4. 조선총독부의 정신병동 신축 5.28. 경성의전 부속의 설치를 위한 관제 공포 5.28. 총독부의원을 경성제국대학 의학부 부속의원으로 개편 6.21. 경성제대 부속의 개원식 11.29. 경성의전 부속의 개원식(서울시 종로구 소격동 종친부 터) 1929년 4. 경성제대 부속의 임상연구동 1차 준공 5.9. 경성의전 부속 간호부양성소 설치 12. 경성제대 부속의 임상연구동 2차 준공 1930년 3.1. 경성제국대학의학부 제1회 졸업식 1931년 12. 경성제대 부속의 전염병실 준공 1935년 경성제대 부속의 내과, 소아과 병동 개축 1939년 경성제대 부속의 안과, 피부과 병동 개축 1940년 경성제대 부속의 이비인후과, 외과, 피부과 병동 개축 부수(副手)제도 시행 레이어 닫기 1885 ~ 1910 조선 정부의 근대화 모색과 제중, 대한의 고종과 조선 정부는 1876년 문호개방 이후 국가 차원의 개화 프로젝트를 세우고 그 실천에 나섰는데, 이때 의료분야의 근대화에도 주목했다. 이에 1881년 일본에 파견한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을 통해 서양식 의료를 탐색하고, 1884년 정부 기관지《한성순보》를 통해 백성들에게 서양의학 교육이 필요함을 알렸다. 미국감리회 선교사 매클레이(Robert S. Maclay)가 우리나라에 들어와 서양식 병 설립을 제안했을 때는 이를 윤허했다. 그러던 중 갑신정변이 발생했는데, 이때 미국인 의료선교사 알렌(Horace N. Allen)이 자객의 칼에 맞아 죽어가던 고위관료 민영익의 목숨을 구한 사건은 서양식 국립병 개원의 촉매로 작용했다. 마침내 1885년 4월 고종과 조선 정부는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지금의 외교통상부) 산하에 제중(濟衆院)을 설립했다. 부지와 건물, 시설, 행정인력과 운영비 일체를 제공했고, 미국인 의사들을 고용해 환자 진료를 맡겼다. 제중원의 전반적인 운영과 감독은 당연히 정부 관리들 몫이었다. 이에 따라 당시의 선교사들도 각종 보고서에 제중원을 ‘정부병(the government hospital)’으로 표기했다. 결국 제중원은 조선 정부가 설립하고 운영한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국립병원이었다. 고종과 조선 정부는 국립병 제중원에 특별히 두 가지 사명을 부여했다. 하나는 총명한 젊은이들에게 서양의학을 가르쳐 유능한 의료인으로 키우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가난한 환자들을 무료로 치료하는 것이었다. 제중 당시에 이미 국립병원의 사회적 책무는 의학의 선진화와 공공의료로 설정되어 있었던 것이다. 1897년 대한제국 수립 이후에도 정부는 의료의 선진화와 공공의료의 제공이라는 국가 보건의료정책의 기본 목표를 그대로 유지했다. 1899년 의학교(醫學校,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를 설립해 의사 양성에 힘썼고, 새 국립병원으로 광제(廣濟院)을 개원해 빈민층 환자 진료와 종두 보급에 심혈을 기울였다. 1907년 대한제국은 의학교와 그 부속병, 광제, 황실에서 운영하던 대한국적십자병원을 통합해 대한의원을 설립했다. 대한의원은 교육, 연구, 진료 삼위일체의 종합 의료기관이자 공공의료기관의 역할도 수행했다. 국가 보건의료사업 전반을 거느리는 권한까지 행사했다. 1910년 대한제국이 일제에 강제 병합됨으로써 우리나라의 의료 근대화 사업은 일단 좌절되었지만, 제중원에서 대한의원으로 이어진 의학 근대화 경험은 한국 의료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1885년 4.14.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관할로 광혜(廣惠院) 설치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병, 위치는 홍영식 자택으로 현재의 헌법재판소 자리) 4.26. 광혜원의 명칭을 제중(濟衆院)으로 개칭 1894년 9.26 정부가 제중원을 미국 북장로교회 선교부에 위탁 경영 1899년 3.24. 관립의학교(醫學校) 관제 반포(학부 관할의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의학 교육기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 위치는 김홍집의 자택으로 현재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3.28. 관립의학교 교장에 지석영(池錫永) 취임 4.24. 내부병(內部病院) 설립(초기 의료진은 모두 한의(漢醫), 위치는 경복궁 건춘문 건너편 사간 자리) 4.26. 내부병 초대 장에 내부 위생국장 최훈주(崔勳主) 부임 7.14. 관립의학교 첫 학생 모집 10.2. 관립의학교 개교식 1900년 1.15. 내부병 제2대 병원장 이준규(李峻奎) 부임 6.30. 내부병원을 내부 보시(普施院)으로 개칭 7.9. 내부 보시원을 광제(廣濟院)으로 개칭(위치도 서울시 종로구 재동으로 이전) 1901년 2.28. 광제원장에 염홍대(廉洪大) 부임 1902년 6.12. 광제원과 별도로 관립의학교 부속병(위치는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1903년 1.9. 의학교 제 1회 졸업식 (졸업색 19명) 1905년 4.10. 정부가 미국 북장로회 선교부로부터 제중 환수(제중 반환에 관한 합의서 체결) 7.11. 정부가 제중 환수대금 1천 7백 지불 8. 광제 산하에 한약소(漢藥所), 양약소(洋藥所), 종두소(種痘所) 설치 광제 부속병원으로 피병(避病院) 설치 1906년 6.1. 광제원이 이비인후과 진료를 시작으로 내과, 외과, 안과, 이비인후과가 정식 분리 8.11. 광제원이 부인과(婦人科) 개설 8. 대한의 본관 기공식 1907년 3.10. 대한의 관제 제정(3월 15일 시행, 대한제국 정부가 광제, 의학교와 그 부속병, 대한국적십자병원을 통합하여 대한의 설립, 교육, 연구, 진료 등 종합의료기관, 위치는 함춘원으로 현재의 서울시 종로구 연건동) 3.28. 대한의 초대 장에 내부대신 이지용(李址鎔) 취임 5.30. 대한의 제2대 장에 신임 내부대신 임선준(任善準) 취임 7.18. 대한의 교육부 제1회 졸업생(13명) 배출 11. 대한의 준공 12.27. 대한의 교육부를 대한의 의육부(意育部)로 개칭 1908년 10.25. 대한의 개원식 1909년 2.1. 대한의 의육부를 대한의 부속의학교로 개칭 6.1. 대한의 부속의학교가 교사(校舍)를 신축(현재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자리)해 이전 11.30. 대한의 분과규정(分科規程) 발표(서양식 종합병 체제로 전환) 대한의원이 소아과, 피부과 개설 레이어 닫기

서울대학교병원 > 병원소개>병원역사>연혁
정확도 : 0% 2025.05.15
홈페이지 (310)

2025 년도 5월 레지던트 추가 모집 공고 ※ 변경사항(세부내용 본문 참고) (1) 접수기간 연장 / 면접일자 변경 (2) 접수방법 : 부득이한 경우 온라인 접수 가능 1. 모집 인 모집과 1 년차 2 년차 3 년차 4 년차 합계 내과 24 25 28 77 외과 8 15 14 37 심장혈관흉부외과 4 4 4 5 17 신경외과 2 3 3 2 10 정형외과 6 7 7 7 27 성형외과 3 2 4 6 15 산부인과 10 11 11 7 39 소아청소년과 12 14 15 15 56 피부과 0 3 3 3 9 비뇨의학과 4 3 4 3 14 안과 5 6 4 6 21 이비인후과 3 5 6 6 20 정신건강의학과 6 5 5 1 17 신경과 3 4 3 3 13 마취통증의학과 10 9 9 9 37 영상의학과 7 8 8 7 30 방사선종양학과 3 3 3 3 12 진단검사의학과 2 4 2 4 12 병리과 3 5 3 3 14 재활의학과 4 4 6 6 20 가정의학과 16 13 11 40 응급의학과 7 5 7 7 26 핵의학과 1 3 2 1 7 총 모집인 143 161 162 104 570 ※ 금번 추가 모집에 한해 아래사항에 해당할 경우 사후정 인정 - (1년차) ’24년 상반기 합격했던 자가 해당 병(기관)ㆍ과목에 다시 합격하여 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사후정 인정 (단, 동 모집 합격자가 사직(임용포기)하는 경우 사후정 불 인정) - (2~4년차) ’24년 사직 당시 수련 중이던 병(기관)ㆍ과목에 다시 합격하여 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수련 환경평가위원회 공고일 기준 연차별 현 범위 내에서 사후정 인정 (단, 동 모집 합격자가 사직(임용포기)하는 경우 사후정 불인정) ※ (1년차) 2지망 지 인정 과 : 산부인과, 심장혈관흉부외과, 핵의학과(지원서 2지망 란에 상기 2지망 인정과를 기재하지 않으면 2지망 합격이 인정되지 않음) ※ 수련개시일 : 2025년 6월 1일부터 수련 개시 2. 전형 일정 (1) 레지던트 1 년차 구 분 일 시 장소 등 공 고 ’25.5.21( 수 ) - 본 채용 홈페이지 게시 지원서 접수 ‘25.5.21( 수 ) ~ 29 ( 목 ) 18 시 ※ 주말 및 점심시간 12~13 시 제외 - 장소 : 서울대학교병 교육수련팀 ※ 우편접수 불가 ※ 온라인 접수와 방문접수를 모두 해야하며, 방문접수를 최종 지 기준으로 함. 단,부득이한 경우 온라인 접수로 최종지 갈음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출 서류 담당자 메일로 제출해야 최종 지원한 것으로 간주 (서류 스캔본 제출 : 02770@snuh.org) 면접 및 실기시험 ’25.5.30( 금 ) ※ 면접 및 실기일정 : 과별 지정 ※ 세부 시간 및 장소는 추후 안내 예정 ※ 2 지망 면접 : 해당자 개별 통보예정 합격예정자 적합여부 확인 ’25.5.31( 토 ) 합격자 발표 ’25.5.31( 토 ) - 개별 안내 예정 (2) 레지던트 2~4 년차 ( 상급년차 ) 구 분 일 시 장소 등 공 고 ’25.5.21( 수 ) - 본 채용 홈페이지 게시 지원서 접수 ‘25.5.21( 수 ) ~ 29 ( 목 ) 18 시 ※ 주말 및 점심시간 12~13 시 제외 - 장소 : 서울대학교병 교육수련팀 ※ 우편접수 불가 ※ 온라인 접수와 방문접수를 모두 해야하며, 방문접수를 최종 지 기준으로 함. 단,부득이한 경우 온라인 접수로 최종지 갈음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출 서류 담당자 메일로 제출해야 최종 지원한 것으로 간주 (서류 스캔본 제출 : 02770@snuh.org) 면접시험 ’25.5.30( 금 ) ※ 면접 및 실기일정 : 과별 지정 ※ 세부 시간 및 장소는 추후 안내 예정 합격예정자 적합여부 확인 ’25.5.31( 토 ) 합격자 발표 ’25.5.31( 토 ) - 개별 안내 예정 ※ 상기 일정은 보건복지부 및 병 사정 등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음 3. 지 자격 (1) 레지던트 1 년차 ○ 인턴 수료자 또는 해당연도 수료 예정자 ※ ’23.3 ~ ’24.2 월 (’23 수련연도 ) 당시 인턴 : ’24.2 월 발생한 추가수련을 미이수한 경우 , ’24 년 상반기 모집에서 합격했던 병 ( 기관 ) ㆍ 과목에만 지 가능 - 단 , ’24 년 레지던트 1 년차에 미지원하였거나 불합격하여 ’24 년 상반기 모집에서 합격했던 병 ( 기관 )· 과목이 없는 자는 레지던트 1 년차 지원가능 - ’23 년 하반기 수련 개시한 인턴은 동일 병원의 인턴으로 지 가능 ( 동일병원에 합격하여 ’25.6~11 월 수련하는 경우 인턴 이수 인정 ) ○ 의무사관후보생으로 지원하려는 자 또는 선발된 자도 지 가능 ○ 수련 중인 전공의는 지 불가 ( 수련환경평가위원회 모집 공고일 (2025.05.19.) 기준 ) ○ 1 개 병 ( 기관 ) 에만 지 가능 ( 이중 지 불가 ) ○ 본 인사규정 제 19 조 ( 결격 사유 ) 에 해당되지 않는 자 인사규정 제 19 조 ( 결격사유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직원으로서 채용될 수 없다 . 1. 피성년후견인 ,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특정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6 의 2.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제 2 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 만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 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6 의 3. 미성년자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저질러 파면 ㆍ 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 (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한다 ) 가 .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제 2 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나 . 「 아동 ㆍ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 제 2 조제 2 호에 따른 아동 ㆍ 청소년대상 성범죄 7. 병역의무자로서 병역기피를 한 자 8. 징계처분에 의하여 해임된 자로서 5 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 「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 제 82 조에 따른 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자 10. 채용 관련 부정합격자로서 면직 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5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 아동 ㆍ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 56 조 및 아동복지법 제 29 조의 3 에 해당되지 않는 자 ○ 노인복지법 제 39 조의 17 및 장애인복지법 제 59 조의 3 에 해당되지 않는 자 (2) 레지던트 2~4 년차 ( 상급년차 ) ○ 사직일(해당 지원과목 최종 상급년차 수련의 사직일을 기준으로 함)로부터 수련개시일까지의 기간이 1년을 경과하는 자, 군전역자, 외국수련자, 전문의의 다른 전문과목 수련인정 기준 적용과의 전문의 자격증 소지자 또는 취득 예정자 ※ ’24년 이후 사직(임용포 기)한 자로서 위 지원자격에 해당하지 않는 자는 ’24년 사직 당 시 수련 중(임용예정)이던 병(기관)ㆍ과목으로만 지 가능 ※ ’24.2월 발생한 추가수련을 미이수한 자는 ’2 4년 사직 당시 수련 중이던 병(기관)ㆍ과목에 지원하는 경 우 승급된 연차로 지 가능 - 하반기 수련개시자(’23년 하반기 수련개시한 레지던트 1년차 포함)도 승급된 연차로 지 가능(동일병(기관)ㆍ과목에 합격하여 ’25.6~11월 수련하는 경우 해당 수련연차 이수 인정) ○ 1 개 병 ( 기관 ) 에만 지 가능 ( 이중 지 불가 ) ○ 본 인사규정 제 19 조 ( 결격 사유 ) 에 해당되지 않는 자 인사규정 제 19 조 ( 결격사유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직원으로서 채용될 수 없다 . 1. 피성년후견인 ,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특정후견인 2.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6 의 2.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제 2 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 만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 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 6 의 3. 미성년자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저질러 파면 ㆍ 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 (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한다 ) 가 . 「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 제 2 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나 . 「 아동 ㆍ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 제 2 조제 2 호에 따른 아동 ㆍ 청소년대상 성범죄 7. 병역의무자로서 병역기피를 한 자 8. 징계처분에 의하여 해임된 자로서 5 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 「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 제 82 조에 따른 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자 10. 채용 관련 부정합격자로서 면직 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5 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 아동 ㆍ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 56 조 및 아동복지법 제 29 조의 3 에 해당되지 않는 자 ○ 노인복지법 제 39 조의 17 및 장애인복지법 제 59 조의 3 에 해당되지 않는 자 4. 배점 비율 (1) 레지던트 1 년차 구분 배점 비율 (%) 비고 면접시험 15 - 진료과별 실시 인턴 근무성적 20 실기시험 10 - 진료과별 실시 의대성적 10 영어 5 - 인증시험 : 토익 , 텝스 , 토플 - 성적유효기간 : 3 년 ( 지원서 접수 마감일 기준 ) 합계 60 (2) 레지던트 2~4 년차 ( 상급년차 ) 구분 배점 비 율 (%) 비고 면접 100 - 진료과별 실시 5. 지 방법 및 제출 서류 (1) 지원방법 ○ 온라인 접수 및 오프라인 접수를 서접수 기간 내에 모두 완료해야 하며 , 오프라인 접수를 최종 지 기준으로 함 ○ 온라인 접수 사이트 : http://recruit.snuh.org ( 서 접수 기간에만 오픈됨 ) ○ 오프라인 접수 장소 ( 우편접수 불가 )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194 현대그룹빌딩 서관 7 층 교육수련팀 ( 건물 정문 뒤편 화물 엘리베이터 이용 )| ※ 부득이한 사정으로 오프라인 접수가 어려운 경우, 온라인 접수로도 인정하나 접수 후 아래 사항 참고하여 접수 마감 전까지 담당자 메일 (02770@snuh.org)로 접수여부 및 서류 제출 <온라인만 접수 시 참고사항> ◼ 서류 제출기한 : 접수 마감 전까지 ◼ 제출서류 및 방법 : 지원서를 포함한 제출서류 일체 스캔본을 담당자 메일(02770@snuh.org)로 제출 ◼ 본 필수 제출 - 제출목록 2, 3, 4(범죄 경력 조회 동의서) ⇒ 상기 오프라인 접수장소(교육수련팀)으로 06.02.(월)까지 본 우편 또는 방문 제출 (2) 제출서류 ◼ 레지던트 1 년차 연번 구분 본 인턴 타 인턴 수료( 예정 ) 자 비고 수료 예정자 수료자 1 지원서 및 수험표 ( 사진 수험표에 1 매 부착 ) O O O - 양식 : 공고문 첨부 참조 2 성범죄 경력 및 아동학대관련범죄 전력 조회 동의서 1 부 O O O - 공고문 첨부 참조 - 성명 및 서명란 정자 서명 3 노인학대관련범죄 경력조회 동의서 1 부 O O O 4 장애인학대범죄 경력조회 동의서 1 부 O O O 5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 확인서 및 전력조회 동의서 각 1 부 O O O - 양식 : 공고문 첨부 참조 6 의대 성적 증명서 본 1 부 X O O - 본과 전학년 종합 석차기입 - 의대 / 의전 통합석차 기입 - 졸업일자 기재 필수 7 인턴 수료 ( 예정 ) 증명서 본 , 인턴 근무성적 본 각 1 부 X X O - 본 인턴 수료자 해당 없음 - 석차 기재 필수 8 의사 면허증 사본 1 부 X O O 9 영어 성적표 본 1 부 O O O - TEPS, TOEIC, TOEFL 중 택 1 - 유효기간 : 서접수 마감일 현재 3 년 이내 10 병역 서류 본 1 부 ( 비군보 남자에 한함 ) X O O - 현역 : 전역예정증명서 1 부 - 공중보건의 : 재직증명서 1 부 ( 전역예정일 명기 ) - 군필 또는 면제자 : 주민등록초본 ( 전역일명기 ) 1 부 11 외국인등록증 사본 ( 외국인에 한함 , 외국인등록사실증명 사본 가능 ) O O O - 외국인등록증 또는 외국인등록사실증명 사본 1 부 ◼ 레지던트 2~4 년차 ( 상급년차 ) 연 번 구 분 비 고 1 지원서 및 수험표 ( 사진 수험표에 1 매 부착 ) - 양식 : 공고문 첨부 참조 2 성범죄 경력 및 아동학대관련범죄 전력 조회 동의서 1 부 - 공고문 첨부 참조 - 성명 및 서명란 정자 서명 3 노인학대관련범죄 경력조회 동의서 1 부 4 장애인학대범죄 경력조회 동의서 1 부 5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 확인서 및 전력조회 동의서 각 1 부 - 양식 : 공고문 첨부 참조 6 의사면허증 사본 1 부 7 전문의자격증 사본 1 부 - 해당자에 한함 8 병역 서류 본 1 부 ( 비군보 남자에 한함 ) - 현역 : 전역예정증명서 1 부 공중보건의 : 재직증명서 1 부 ( 전역예정일 명기 ) - 군필 또는 면제자 : 주민등록초본 ( 전역일명기 ) 1 부 9 외국인등록증 사본 ( 외국인에 한함 , 외국인등록사실증명 사본 가능 ) - 외국인등록증 또는 외국인등록사실증명 사본 1 부 10 외국 수련자 경력 인정 관련 증빙서류 - 해당자에 한함 ※ (1년차) 영어 성적은 필수 제출 서류 아님 ※ 오프라인 제출 지원서 및 수험표 양식 등 : 첨부 참조 ※ 지 제출서류는 수련환경평가위원회 임용시험 지침에 따라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음 6. 합격자 사정 칙 (1) 레지던트 1 년차 ○ 과별 정 범위 내에서 총 성적순으로 선발함 ○ 총 성적이 동점일 경우 면접시험 점수 , 인턴근무성적 순으로 선발함 ○ 응시자가 정 ( 모집인 ) 에 미달되더라도 수련능력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60 점 만점 중 36 점 미만 득점자 , 전체 지원자 성적 순위의 하위 5% 이내에 속하는 자 , 기타 수련능력이 없다고 교육위원회에서 결정한 자 등 ) 불합격 처리할 수 있음 ○ 제 2 지망 선발은 2 지망 해당 과에서 면접 ㆍ 실기시험을 실시하고 , 배점 비율은 실기 · 면접시험 각 50% 를 적용하여 총 성적순으로 선발함 ○ 기타 세부 사정원칙은 교육위원회에서 결정함 ○ 최종 합격여부는 교육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함 (2) 레지던트 2~4 년차 ( 상급년차) ○ 과별 정 범위 내에서 총 성적순으로 선발함 ○ 응시자가 정 ( 모집인 ) 에 미달되더라도 수련능력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100 점 만점 중 60 점 미만 득점자 , 전체 지원자 성적 순위의 하위 5% 이내에 속하는 자 , 기타 수련능력이 없다고 교육위원회에서 결정한 자 등 ) 불합격 처리할 수 있음 ○ 기타 세부 사정원칙은 교육위원회에서 결정함 ○ 최종 합격여부는 교육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함 7. 신체검사 ○ 합격자는 서울대학교병 , 서울특별시보라매병 , 분당서울대학교병 또는 국립대학교병원에서 ( 공무 채용 ) 신체검사를 받아야 함 ( 그 외 병 / 기관 신체검사 인정하지 않음 ) ※ 단 , 응시일 현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련 중인 인턴은 신체검사 대상에서 제외 ※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신체검사를 받는 경우만 신체검사 비용 면제 ○ 신체검사결과 불합격자는 합격을 취소함 8. 최종합격자 등록 ○ 최종합격자는 합격자 발표 후 교육수련팀에 등록 9. 기타사항 ○ 응시원서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를 경우 ( 허위기재 , 증명서 미제출 등 ) 에는 합격 또는 임용이 취소됨 ○ 「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 에 의거 제출한 서류는 채용여부 확정일로부터 14 일 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 보관기간이 경과한 증빙서류는 모두 파기 예정이며 , 최종합격 후 임용된 자에 대해서는 서류를 반환하지 않음 ○ 문의사항 : 교육수련팀 (T. 02-2072-2122, 3975) 2025. 5. 21. 서울대학교병원장 .

채용사이트 > 입사지원 > 채용공고/입사지원
정확도 : 0% 2025.05.27

모집요강 경쟁률 및 자주하는 질문 홍보브로셔 2025 년도 서울대학교병 5 월 전공의 ( 인턴 ) 추가 모집 공고 지원서 접수기간에 서울대병 채용 홈페이지를 통하여 접수 바랍니다. (접수에 필요한 서류 양식들은 접수기간 채용 홈페이지에 함께 업로드 예정) 서울대병 채용 홈페이지 : https://recruit.snuh.org/main.do 1. 모집인 : 총 152 명 ( 자병 포함 ) ※ 금번 모집에 한해 , ‘ 24 년 상반기 합격했던 자가 다시 합격하여 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사후 정 인정 ( 단 , 동 모집 합격자가 사직 ( 임용포기 ) 하는 경우 사후정 불인정 ) ※ 자병 지침에 의거 서울대병 , 분당서울대병 , 보라매병 , 국립암센터 , 인천의료원을 근무지로 함 ※ 수련 개시일 : ‘25.6.1. 2. 응시자격 ▸ 국내 의사면허 취득자 또는 2025 년도 취득 예정자 ( 수련개시일 6.1. 까지 의사면허 발급이 되지 않는 경우 임용취소될 수 있음 ) ▸ ‘23 년 하반기 수련개시한 인턴이 ’24 년 2 월 말일 이후 사직한 경우 , 동일 병원의 인턴으로 지 가능 (‘25.6~11 월 수련하는 경우 인턴 이수 인정 ) ▸ 본 인사규정 제 19 조 ( 결격사유 ), 아동 ㆍ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 56 조 및 아동복지법 제 29 조의 3 에 해당되지 않는 자 ▸ 「 전문의 수련 및 자격 인정 등에 관한 규정 」 제 14 조 ( 전공의의 의료기관 개설 등 금지 ) 에 위배 되지 않는 자만 지 가능함 ▸ 의무사관후보생으로 지원하려는 자 또는 선발된 자도 지 가능 ▸ 수련중인 전공의는 지 불가 ( 수련환경평가위원회 모집 공고일 기준 ) ▸ 복수국적을 소지하고 병역의무 미이행한 남자의 경우 , 인턴 지 불가 ( 사유 : 군 징집 ) ▸ 본 인사규정 제 19 조 ( 결격 사유 ) 에 해당되지 않는 자 * 제 19 조 ( 결격사유 )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직원으로서 채용될 수 없다 . 1. 피성년후견인, 피한정후견인 또는 피특정후견인 2 .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또는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5.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를 받고 그 선고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 6.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따라 자격이 상실되거나 정지된 자 6 의2.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규정된 죄를 범한 사람으로서 100만 이상의 벌금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3년이 지나지 아니한 사람(20.6.15.신설) 6의3. 미성년자에 대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죄를 저질러 파면ㆍ해임되거나 형 또는 치료감호를 선고받아 그 형 또는 치료감호가 확정된 사람(집행유예를 선고받은 후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한 사람을 포함한다)(20.6.15.신설) 가.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2조에 따른 성폭력범죄 나. 「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제2호에 따른 아동ㆍ청소년대상 성범죄 7. 병역의무자로서 병역기피를 한 자 8. 징계처분에 의하여 해임된 자로서 5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 (17.1.20.삭제) 10.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제82조에 따른 비위면직자 등의 취업제한 사유에 해당하는 자(17.12.28.신설) 11. 채용 관련 부정합격자로서 면직 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18.6.1.신설) ▸ 아동 ㆍ 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제 56 조 및 아동복지법 제 29 조의 3 에 해당되지 않는 자 ▸ 노인복지법 제 39 조의 17 및 장애인복지법 제 59 조의 3 에 해당되지 않는 자 = 3. 선발일정 (내 부 사 정에 의거 변경될 수 있습니다.) 구분 일정 장소 온라인 접수 오프라인 접수 기간 내 시행 본 채용 사이트 오프라인 접수 및 인적성 검사 ‘25.5.21.( 수 )~27.( 화 ) 18 시 ※ 주말 및 점심시간 12-13 시 제외 - 장소 : 서울대학교병 교육수련팀 ※ 우편접수 불가 ※ 온라인 접수와 방문접수를 모두 해야하며 , 방문접수를 최종 지 기준으로 함 면접 및 실기시험 ‘25.5.28.( 수 )~29.( 목 ) 중 일정 및 장소 추후 안내 예정 합격자 발표 ‘25.5.30.( 금 )~31.( 토 ) 중 개별 안내 예정 합격자 채용검진 추후 공지 합격자 교육 4. 배점기준 항목 배점 국가고시성적 40 점 의대성적 20 점 실기 ( 구술평가 ) 15 점 면접 15 점 영어 1) 5 점 가점 2) 5 점 합계 100 점 1) 영어는 TOEIC, TEPS, TOEFL 시험 성적 중 한 가지 제출 ▸ 점수환산기준 :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제정 점수상관표 기준 ▸ 유효기간 : 서접수 마감일 기준 , 최근 3 년 이내에 응시한 시험의 성적표만 인정 2) 가점 항목은 아래의 사항을 총 합산하여 최대 5 점 까지 부여 ▸ 의대성적 상위 10% 이내 : 2 점 ▸ SCI 논문 제 1 저자 : 2 점 , 공저 : 1 점 ( 최대 2 점까지 부여 ) ▸ 동시통역자격증 ( 동시통역대학 ) 또는 영어 외 외국어 특기증명 ( 시험종별 최고 등급에 한함 ) : 1 점 ▸ 비 의학 분야 학위 취득 시 석사 : 1 점 , 박사 : 2 점 ▸ 국가기관에서 받은 포상 , 교내 표창 , 국가공인연구소 연구 경력 (1 년 이상 경력 ) 각 1 점까지 부여 ▸ 사회봉사경력 최대 1 점까지 부여 ※ VMS, 1365 봉사내역 및 기타 봉사기관에서 발급한 공식 문서 전부 인정 ※ 의대(의전) 입학 이후 실시한 봉사활동에 한하여 인정 ※ 단 , 헌혈은 봉사시간으로 인정하지 않음 ( 제출 불필요 ) ▸ 과대표 , 학년대표 , 학년부대표 등 교내활동 최대 1 점까지 부여 ※ 동아리대표 및 부대표는 가점 인정하지 않음 (2024년 변경사항) ※ 단 , 학생부학장 직인 필수 ( 지도교수 직인 불인정 ) * * 본 교육위원회 방침으로 , 학생부학장 직인이 없는 경우 , 어떤 경우에도 인정하지 않음 ( 서명 불인정 ) ▸ 기타 본 교육위원회에서 인정하는 사항 5. 제출서류 구분 제출서류번호 비고 공통 제출 서류 ( 필수 ) 1, 2, 3, 6, 7, 8, 16, 18, 19 전체 공통 ( 필수 ) 학부 졸업증명서 4 해당자에 한하여 제출 영어성적 및 가점서류 5, 9 외국 국적 소지자 17 군 관련 서류 ( 남자만 ) 군필 및 군면제 10 군 전역예정 11 군 미필 ( 의무사관후보생 지원자 ) 12, 13, 14 1) 지원서 및 수험표 - 컴퓨터로 작성 후 인쇄할 것 ( 수기입력 금지 ) - 수험표에 사진 부착 필수 ( 컬러 인쇄본도 가능 ) 2) 자기소개서 ( 컴퓨터 작성 후 인쇄 / 수기입력 금지 ) 3) 의대 성적증명서 - 본과 4 년간의 전체 석차를 기입 - 의전 개설학교의 경우 , 의대와 의전원의 통합석차 제출 ( 학교 행정실로 문의 ) - 해외대학의 경우 , 별도 절차를 통하여 진위 확인 예정 4) 학부 졸업증명서 ( 의전 졸업생의 경우에만 제출 ) 5 ) 영어성적표 (TOEIC, TEPS, TOEFL 중 하나 ) ( 해당자만 제출 , 필수서류 아님 ) - 서접수 종료일 기준 , 최근 3 년 이내에 응시한 시험의 성적표 본 제출 6) 위임장 ( 국시성적표 대리 교부용 ) 7)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서 ( 수련환경평가위원회 양식 ) 8) 성범죄 경력조회 및 아동학대 , 장애인 노인학대 관련 범죄전력 조회 동의서 ( 자필 기재 ) 9) 가점 증명서류 ( 해당자만 제출 ) - 동시통역 자격증 사본 - 영어 외 언어 특기증명 자격증 사본 - 비 의학분야 석사 또는 박사 학위 사본 - 국가기관에서 받은 포상 또는 공인연구소 연구 경력증명서 ( 사본 제출 시 “ 본대조필 ” 필수 ) - 사회봉사활동 증빙 ( 봉사활동기관 발행 증명서 , VMS/1365 양식 또는 가점확인서 제출 ) ( 의대 / 의전 입학 이후 실시분만 인정하며 , VMS/1365 제출 시 해당 기간으로 조회 ) ( 헌혈 실적의 경우 미인정 ) - 학생회간부 등 증빙 ( 첨부된 가점확인서 양식 참조 ) ( 교내 활동의 경우 학생부학장 날인 필수 ) 10) 주민등록초본 ( 전역자의 경우 , 반드시 병적사항 표기 ) 11) 전역예정증명서 혹은 재직증명서 ( 전역예정일 명기 ) 12) ( 의무사관후보생 지원서류 ) 현역 ㆍ 대체복무지원서 13) ( 의무사관후보생 지원서류 ) 신원진술서 및 개인정보 수집 ㆍ 이용 ㆍ 제공 동의서 14) ( 의무사관후보생 지원서류 ) 기본증명서 ( 상세 ) , 신용정보조회서 각 1 부 ※ 기본증명서 : 주민센터 , 인터넷 (http://efamily.scourt.go.kr/index.jsp) 등에서 발급 ※ 신용정보조회서 : 한국신용정보 (http://www.kcredit.or.kr/index.jsp) Nice 신용평가정보 (https://www.credit.co.kr) 등에서 발급가능 15) 의무사관후보생 미편입 사유서 ( 해당자만 , 담당자와 면담 후 작성 요망 ) 16) 의사면허증 사본 17) 외국인 등록증 사본 ( 외국인에 한함 ) 18) 국시 전환성적 발급 수수료 (5,000 ) 이체 확인증 19)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서 ( 본 양식 ), 결격사유확인서 , 전력조회동의서 각 1 부 6. 지원방법 ▸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접수를 서접수 기간 내에 모두 완료해야 하며 , ‘ 오프라인 접수 ’ 를 최종지 기준으로 함 ▸ 온라인 접수 : 채용공고 상단의 ‘ 지원서 작성 ’ 을 클릭 후 , 작성 ▸ 오프라인 접수 : 제출 서류 구비 후 , 방문 접수 - 접수장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194 현대그룹빌딩 서관 7 층 교육수련팀 ( 건물 정문으로 들어와 출입증 게이트 뒤편 화물 엘리베이터 이용 ) 7. 합격자 사정원칙 ▸ 정 범위 내에서 총 성적순으로 선발함 ▸ 총 성적이 동점일 경우 면접점수 , 의대성적 순으로 선발함 ▸ 응시자가 정원에 미달되더라도 수련능력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100 점 만점 중 60 점 미만 득점자 또는 전체 지원자 성적 순위의 하위 5% 이내에 속하는 자 등 ) 불합격 처리할 수 있음 ▸ 기타 세부사정원칙은 본 교육위원회에서 결정함 ▸ 최종 합격여부는 본 교육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결정함 8. 신체검사 ▸ 합격자는 서울대학교병 ( 본 ) 에서 신체검사를 받아야 하며 , 타 병원에서 신체검사를 받는 경우 , 공무 채용 신체검사 기준과 기타 특정 기준을 충족하여야 함 ▸ 신체검사 결과 불합격자는 합격을 취소함 ▸ 본원에서 신체검사 받는 경우에 한하여 검사비용을 면제함 9. 국시전환성적 발급 수수료 : 5,000 ▸ 입금계좌 : ( 신한 )100-012-697307, 예금주 : 서울대학교병 ※ 반드시 지원자 성명으로 입금 후 , 지원서 제출 시 이체확인증 제출 필수 10. 기타사항 ▸ 채용절차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거 , 제출한 서류는 채용 여부 확정일로부터 14 일간 반환 청구할 수 있음 ▸ 기타 문의사항은 본 교육수련팀 문의 (02-2072-4738) 2025. 05. 21. 서 울 대 학 교 병 장 인턴 모집 경쟁률 연도 정 지원인 합격인 경쟁률 2020 179 188 179 1.1 : 1 2021 179 200 179 1.12 : 1 2022 180 188 180 1.04 : 1 2023 172 192 172 1.12 : 1 2024 166 184 166 1.11:1 교육수련팀에서 인턴 채용과 관련한 자주묻는 질문을 공유하고,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연도별 상반기 채용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2024년도 인턴 합격자 평균 점수가 궁금합니다 . (1) 국시 점수 : T 점수로 163.9점 (2) 의대 성적 : 석차 백분율 41% (3) 영어 : TOEIC 947.3점 2. 토익 구간 별 점수가 궁금합니다.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제정 점수상관표 기준이며, 세부 사항은 비공개 입니다. 다만, 참고하실 수 있도록 대표적인 구간을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1) TOEIC 990 -> 5점 (환산점수) (2) TOEIC 950 -> 4.52점 (3) TOEIC 945 -> 4.46점 (4) TOEIC 880 -> 3.68점 3. 의대 통합석차 성적표 발행이 안되는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우선, 의과대학(단과대학) 학사지원부 쪽에 연락하셔서 의대, 의전 통합석차를 받아 제출하는 것이 칙입니다. 다만 학교 정책상 통합석차 발급이 불가한 경우, 발급 가능한 석차가 기재된 성적표를 제출해주시면 됩니다. 4. 평균 가산점이 궁금합니다. 합격자 166명 중, 163명이 가점을 받았으며, 평균 가점 1.11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5. 봉사활동 세부 배점이 궁금합니다. 봉사활동의 경우 200시간 이상 시, 만점인 1점을 부여하고 200시간 미만인 경우 소수점으로 반영됩니다. 다만, 구체적인 소수점 구간은 비공개이며 헌혈은 봉사시간으로 인정되지 않는 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6. 슬라이드 시험은 무엇이며 어떻게 공부 해야 하나요? 객관식 50문제가 출제되며, 문항당 2분이 주어집니다. 약 25문제는 강의실 화면의 사진을 보고 푸는 문제이고, 나머지 문항은 문제지만 보고 푸는 객관식 유형입니다. 의대 교육 과정 및 국가고시 시험 범위에서 출제되며 2023년도 합격자 평균은 100점 만점에 79점 입니다. 7. 면접에서는 무엇을 물어보나요? 일반적인 인성 면접을 실시합니다. 지원자가 작성한 지원서 및 자기소개서가 기본입니다. 2024년도 인턴 선발 홍보 브로셔 다운로드 ※ 브로셔내용 수정 : 영어시험 성적 유효기간 : 5년 -> 3년 수정

서울대학교병원 교육인재개발실 > 인재채용 > 인턴채용
정확도 : 0% 2025.05.22

아목시실린 의한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 약물안전센터/지역의약품안전센터 항인지질항체증후군으로 아스피린과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을 복용하고 있는 것 외에 특이 병력 없는 60 대 여성 환자가 피부발진으로로 내원했다 . 일주일 전 치과 치료로 처방 받은 아목시실린 , 록소프로펜 , 모사프라이드를 1 번 복용한 뒤 손 부종을 시작으로 전신에 가려움을 동반한 홍반이 발생했으나 5 일분 처방을 지속 복용하였고 , 증상이 악화되었다 . 내 당일에는 환자의 양팔에서 농포를 동반한 다형 홍반이 관찰되었다 . 혈액 검사에서는 이상 소견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 임상적 소견 상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 (acute generalized exanthematous pustulosis, AGEP) 의심되어 단기간 경구용 스테로이드 처방 및 첩포검사 시행하기로 하였다 . 스테로이드 복용 후 피부 병변은 전반적으로 호전되었고 , 증상 호전 후 인약제를 확인하기 위한 첩포검사에서 아목시실린만이 양성 반응을 보였다 . 이에 아목시실린에 대한 약물안전카드 발급했으며 , 향후 해당 성분은 반드시 피하도록 안내했다 .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의 발병 요인에는 바이러스 감염, 수은 노출, 약물 등이 있으며, 인 약제 노출 이후 빠른 발현을 보이고 간찰부의 무균성 비낭포성 농포 양상으로 발현된다. 인 약물로는 베타락탐계 항생제(아목시실린, 암피실린, 페니실린),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에리트로마이신, 록시트로마이신)와 그 외 반코마이신, 이미페넴, 아세트아미노펜 등이 있다. 임상 양상으로는 38 ℃ 이상의 발열이 흔하고, 얼굴에서 시작되어 수시간 안에 몸통, 다리까지 퍼지는 광범위한 부종성 홍반 위에 무균성 비낭포들의 산재를 특징으로 한다. 피부병변은 며칠 안에 없어지는 특성을 지니며, 점형의 표피 탈락 또는 비늘 벗음을 남긴다.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의 유발기전은 명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나 면역복합체, C3의 침착을 보이므로 제3형과 제4형 면역반응이 관여한다는 주장과, 인 약물 특이 T 세포가 활성화되고 CD4+ T 세포가 인터류킨 (IL)-1 또는 IL-8과 같은 호중구의 화학주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분비함으로써 농포 형성에 관여한다고 주장하는 연구들이 있다.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은 대부분 인 물질 노출 중단 후 15일 이내 병변이 자발적으로 소실되는 경과를 보이므로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경우에 따라 스테로이드나 항히스타민 투여가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이차적인 세균감염이 동반된 경우 항생제가 필요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 이 임상적으로 의심되는 경우 유발 인이 되는 약물을 찾아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참고문헌> 1. Parisi R, Shah H, Navarini AA, et al. Acute generalized exanthematous pustulosis: Clinical featur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Am J Clin Dermatol. 2023; 24(4):557-575 2. Sidoroff A, Haelvy S, Bavinck J.N.B, et al. Acute generalized exanthematous pustulosis (AGEP) – A clinical reaction pattern. Journal of Cutaneous Pathology, 28:113-119 3. 공두경 , 류석용 , 김혜진 , 강태경 , 오성찬 , 조석진 , 이상래 . 급성 전신성 발진성 농포증 (acute generalized exanthematous pustulosis) 에 대한 1 례 . 대한응급의학회지 , 22(4), 387-389. 4. Britschgi M, Steiner UC, Schmid S, et al. T-cell involvement in drug-induced acute generalized exanthematous pustulosis. J Clin Invest. 2001;107:1433-41 5. Kardaun SH, Kuiper H, Fidler V, et al. The histopathological spectrum of acute generalized exanthematous pustulosis (AGEP) and its differentiation from generalized pustular psoriasis. J Cutan Pathol. 2010;37:1220-9.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안전센터 > 약물이상반응 > 약물이상사례
정확도 : 1% 2025.05.19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